KR20220001723U - 광지연기 - Google Patents

광지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23U
KR20220001723U KR2020210003971U KR20210003971U KR20220001723U KR 20220001723 U KR20220001723 U KR 20220001723U KR 2020210003971 U KR2020210003971 U KR 2020210003971U KR 20210003971 U KR20210003971 U KR 20210003971U KR 20220001723 U KR20220001723 U KR 202200017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crew shaft
circular tube
screw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충 우
Original Assignee
에즈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즈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즈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01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6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fibre optic delay lines and optical elements associated with them, e.g. for use in signal processing, e.g.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원형관, 내부 원형관 및 반사부품을 포함하는 광지연기를 개시한다. 상기 외부 원형관은 상기 내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외부 원형관에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하고, 따라서 광섬유와 반사부품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상기 반사부품은 내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렌즈홀더, 반사경, 복수의 고정나사 및 복수의 조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나사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면, 상기 조정나사는 상기 렌즈홀더를 구동하여 상기 반사경을 축방향으로 기울여 빛 반사 경로와 강도를 변경한다.

Description

광지연기{Optical Delay Line}
본 고안은 광지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로 전달되는 광로를 조정할 때, 조정나사로 반사경의 기울기 각도를 축 방향으로 변경하여, 전체 모듈의 부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광지연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보 전송에 대한 현대적인 수요가 증가되고 있고, 고도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리, 문자,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가 필요하다. 과거에 사용하던 구리 케이블 네트워크는 오늘날의 막대한 정보 수요를 제공할 수 없어서, 그 대신 빛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광 통신망이 탄생하였다. 광통신망에서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광 전송 매체로 사용한다.
광섬유는 저 손실성과 광대역이라는 두 가지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먼 거리의 각 지점 간 정보 전송에 적합하지만, 전송 과정에서 다양한 응용 목적에 따라 광 신호의 전송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어떻게 효과적으로 광학소자를 배치하고 광 신호의 전송을 조정하는가는 광 전송 분야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광지연기(Optical Delay Line)는 광학 시스템에서 두개이상의 광 펄스 사이에 시역 지연이 필요한 경우에 자주 사용되는 기술적 수단이다. 광지연기를 사용하는 경우, 광지연기내의 반사경(Mirror)을 앞뒤로 움직여 빛의 파장의 간섭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데, 한 기존 기술에서는 광지연기의 양쪽에 슬라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슬라이드 레일을 사용하여 반사경을 구동하여 반사경과 광섬유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였으며, 더 상세하게는, 광파가 광섬유에서 반사경으로 전파될 때, 광섬유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을 이동시키는데, 이때 광섬유와 반사경 사이의 광로 거리는 변경되어 광로 차이를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지연기 사용 시, 반사경의 기울기 각도를 변경하여 광섬유로 되돌아오는 빛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다른 기존 기술에서는 반사경 주위에 각도 조정 프레임을 설치하여 조정 프레임의 조정소자를 조작하여 반사경의 기울기 각도를 변경하였고, 더 상세하게는, 광파가 반사경에 전달될 때 반사각의 변화로 인해 반사경에서 전달된 광파는 각도의 다름에 따라 다른 경로로 반사되고, 광지연기내의 렌즈의 조합을 통해, 이 때 광파의 일부는 원래의 입력 경로에서 벗어나 다시 광섬유로 돌아오지 않아 광강도를 감쇠시키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이 외에, 다른 기존 기술은 반사경 측면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회전 프레임을 통해 반사경을 축심을 따라 회전시켜 광파의 복귀시간을 지연시키고 광파의 복귀 경로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세계 인구의 증가와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 전송 분야의 장비와 도구들은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고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상기 기존 기술에서는 광지연기 외부에 추가로 조정소자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조정소자의 크기는 광섬유를 배치할 때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공간이 점차 좁아지는 정황에 직면하여 현대 광학 시스템의 소형화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 기술은 많은 병목을 가지고 있어,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실용성 있는 광지연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광지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기술의 광지연기 외부에 슬라이드 레일과 조정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는 등 방법 대신, 광지연기에 광로차와 광로를 조정하는 구조를 직접 설계하여, 광지연기를 설치할 때, 조정소자를 설치하기 위해 추가 외부공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점유공간을 크게 줄였다.
상기 목적에 기초하여, 본 고안은 외부 원형관, 내부 원형관 및 반사부품을 포함하는, 광섬유로 전달되는 광로를 조정하기에 적합한 광지연기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 원형관은 상기 광섬유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 원형관은 상기 외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나사 홀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품은 상기 내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렌즈홀더, 반사경, 복수의 고정나사 및 복수의 조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홀더는 복수의 렌즈홀더 나사 홀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렌즈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는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 홀과 일부 렌즈홀더 나사 홀 안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는 활동 가능하게 다른 일부의 렌즈홀더 나사 홀 안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는 상기 내부 원형관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일 때 상기 조정나사는 상기 렌즈홀더를 구동하여 상기 반사경을 축방향으로 기울이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원형관은 외부 원형관 헤드부 및 외부 원형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원형관 헤드부는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외부 원형관 헤드부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원형관은 내부 원형관 헤드부 및 내부 원형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 헤드부는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반사부품은 상기 내부 원형관 헤드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원형관은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은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과 상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은 대응되게 조합 및 설치되어, 상기 내부 원형관이 상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은 상기 외부 원형관의 내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은 상기 내부 원형관의 외 표면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광로 조정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로 조정부품은 베어링, 스레드 소켓, 나사축 및 휠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에 연결된다. 상기 스레드 소켓은 상기 내부 원형관에 연결된다. 상기 나사축은 상기 베어링 및 상기 스레드 소켓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휠은 상기 나사축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휠이 활동하면 상기 나사축이 작동되어 상기 스레드 소켓을 상기 나사축 위에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을 상기 스레드 소켓의 구동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레드 소켓은 스레드 소켓 나사산이 포함되고, 상기 나사축은 나사축 암나사가 포함되며, 상기 스레드 소켓 나사산은 상기 나사축 암나사와 대응되게 조합 및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공간이 더 포함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휠의 내부 및 상기 나사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휠 및 상기 나사축 사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나사축 조정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은 나사축 조정부품 헤드부와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헤드부는 상기 휠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는 상기 나사축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는 나사축 조정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의 내부는 나사축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 조정 나사산과 상기 나사축 암나사는 대응하여 조합 및 배열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선형 베어링이 더 포함되며, 상기 선형 베어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원형관이 상기 스레드 소켓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부 원형관은 상기 선형 베어링에서 이동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 베어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에 배열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콜리메이터 렌즈, 스프링 및 포커스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포커스 렌즈는 상기 광섬유에서 상기 반사부품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는 상기 외부 원형관의 헤드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는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 및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 사이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의 내경은 내부 원형관 본체의 외경보다 작지 않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 베어링의 내경은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의 외경보다 작지 않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와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는 교착되게 설치된다.
요약하면, 본 고안이 제출한 광지연기에서는, 광섬유가 외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반사경이 내부 원형관에 설치되어 내부 원형관과 외부 원형관 사이의 작용을 통해 광섬유와 반사경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광로 차이를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그중 내부 원형관을 작동하는 방식으로 내부 원형관 및 외부 원형관에 각각 나사산 섹션을 설치하고 나사산 섹션 사이의 조합을 통하여, 내부 원형관을 나사산 섹션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동시켜 멀어지거나 외부 원형관 쪽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부 원형관을 작동하는 방식으로 내부 원형관 및 외부 원형관에 광로 조정 부품을 설치하여 광로 조정 부품의 휠을 작동할 때 내부 원형관은 스레드 소켓의 구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멀어지거나 외부 원형관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나사산의 설계는, 광로 차를 조정할 때 특정한 구성소자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달성할 수 있고, 조정 시 필요 및 소비되는 힘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조정나사를 반사경 홀더에 설치하는 설계는 광파의 반사경로를 조정하려 하는 경우, 조정나사의 회전을 이용하여 반사경의 경사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어, 광섬유로 되돌아가는 광파의 경로에 더한층 영향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산 섹션, 광로 조정부품 및 조정나사 등 모두가 광지연기 자체의 구조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외부의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고, 광학 시스템에서 광학 지연기의 위치 지정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 외에도 전체 사용공간을 줄이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 구조 개략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 구조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본 고안의 장점과 정신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하여 더욱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 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은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고안은 특정 배경 기술에서 광범위하게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개념을 제공하였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특정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만들고 사용하기 위해 특정한 방식으로 표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광지연기는 광섬유로 전달되는 광로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광지연기의 일단은 광섬유에 연결되고, 광섬유에서 광지연기로 광신호가 전달되면, 광지연기내의 반사경을 통과하여 광 신호를 광섬유로 다시 전송한다. 다음으로, 먼저 본 고안의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동시에 도 1, 도 2, 도 3a및 도 3b를 함께 참조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 구조 개략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광지연기(1)는 외부 원형관(11), 내부 원형관(12) 및 반사부품(13)을 포함하고, 외부 원형관(11)의 일단은 광섬유(2)에 연결되고, 내부 원형관(12)은 외부 원형관(11)에 연결되며, 반사부품(13)은 내부 원형관(12)에 연결된다. 외부 원형관(11)은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을 포함하고, 내부 원형관(12)은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 및 복수의 고정나사 홀(1222)을 포함하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은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반사부품(13)은 렌즈홀더(131), 반사경(132), 복수개의 고정나사(133) 및 복수개의 조정나사(134)를 포함하고, 반사경(132)에는 복수개의 렌즈홀더 나사 홀(1312)이 구비되고, 각각의 고정나사(133)는 내부 원형관(12)의 고정나사 홀(1222)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활동 가능하게 고정 나사 홀(1222) 및 일부의 렌즈홀더 나사 홀(1312) 안에 관통 설치되고, 각 조정나사(134)는 렌즈홀더 나사 홀(1312) 안에 관통 설치되고 내부 원형관(12)에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외부 원형관(11)은 외부 원형관 헤드부(112)와 외부 원형관 본체(114)로 구분되고, 외부 원형관 헤드부(112)는 외부 원형관 본체(114)에 연결되고, 광섬유(2)는 외부 원형관 헤드부(112)에 연결되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은 외부 원형관 본체(114)에 위치한다. 내부 원형관(12)은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와 내부 원형관 본체(124)로 구분되고,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는 내부 원형관 본체(124)에 연결되고, 반사부품(13)과 고정나사 홀(1222)은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에 위치하고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은 내부 원형관 본체(124)에 위치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이 외부 원형관 본체(114)의 내 표면(1142)에 위치하고,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이 내부 원형관 본체(124)의 외 표면(1242)에 위치하며,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외부 원형관 본체(114)의 내경은 내부 원형관 본체(124)의 외경보다 작지 않다. 다만, 본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외부 원형관과 내부 원형관이 서로 이동하여 반사부품과 광섬유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고안은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 및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이 외부 원형관 및 내부 원형관의 위치하는 표면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14), 포커스 렌즈(15) 및 스프링(16)을 더 포함한다. 콜리메이터 렌즈(14)는 외부 원형관 헤드부(112)에 설치된다. 포커스 렌즈(15)는 내부 원형관 본체(124)에 설치된다. 스프링(16)은 외부 원형관 본체(114)와 내부 원형관 본체(124)의 범위 내에,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14)와 포커스 렌즈(15) 사이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외부 원형관(11), 콜리메이터 렌즈(14), 스프링(16), 포커스 렌즈(15), 내부 원형관(12) 및 반사부품(13)은 축심방향(L)을 따라 광섬유(2)로부터 순차 멀어지는 순서로 배열되였다.
반사부품(13)에서 고정나사(133)와 조정나사(134)의 분포위치에 대한 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1, 도 3a 및 도 3b를 계속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원형관(12)의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에는 고정나사 홀(1222)이 구비되고, 렌즈홀더(131)에는 렌즈홀더 나사 홀(1312)이 구비되며, 고정나사(13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 홀(1222)과 일부 렌즈홀더 나사 홀(1312)내에 관통 설치되고, 조정나사(13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렌즈홀더의 나사 홀(1312)내에 관통 설치되고, 고정나사(133)와 조정나사(134)가 교착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나사(133)와 조정나사(134)의 개수는 동일하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고정나사 및 조정나사의 개수가 반사경을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여 기울기를 조정하기에 충분하다면 본 고안은 고정나사 및 조정나사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광지연기의 광로를 조정하는 과정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데, 계속해서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고,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먼저, 반사경(132)이 조정되지 않은 경우, 도 3a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133)가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의 고정나사 홀(1222)과 일부 렌즈홀더 나사 홀(1312)내에 맞물려 고정되고, 조정나사(134)는 일부의 렌즈홀더의 나사 홀(1312)내에 관통 설치되고, 내부 원형관 헤드부(122)에 맞닿는다. 반사경(132)의 경사각도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조정하고자 하는 부위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고정나사(133)를 먼저 살짝 풀어서 고정나사(133)가 내부 원형관 본체(124)에서 약간 멀어지게 하고,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나사(134)를 조이고, 이때 렌즈홀더(131)는 조정나사(134)의 나사산을 따라 내부 원형관 본체(124)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렌즈홀더(131)의 반사경(132)도 특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동되고, 광섬유(2)로의 복귀 강도는 반사경(132)의 기울기와 함께 동기적으로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나사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조정나사 양측의 고정 나사를 풀고 조정나사를 조이는데,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만 있다면, 조절 시 조였다가 풀리는 고정나사 및 조절나사의 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반사경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것 외에도 광섬유와 반사경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광로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추가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는 내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1241)이 완전히 외부 원형관(1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스프링(16)은 압축되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내부 원형관(12)을 회전이동하여 일부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이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과 겹치지 않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때 스프링이 받은 압축은 도 4a의 경우보다 작다.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과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의 배합, 및 스프링(16)을 통해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과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241)의 나사산이 백래시를 없도록 하여 회전의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이고,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원형관(12)은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1141)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반사경(132)과 광섬유(2)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외부 원형관 및 내부 원형관에 나사산 섹션을 설정하는 방법외에, 본 고안은 또한 광로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 구조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광지연기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광로 조정 소자를 설치하여 광로 차이를 조정한다는 점이며,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여기서는 같은 내용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지연기(3)는 외부 원형관(11), 내부 원형관(12), 반사부품(13) 및 광로 조정부품(31)을 포함한다. 광로 조정부품(31)은 베어링(311), 스레드 소켓(312), 나사축(313) 및 휠(314)을 포함한다. 베어링(311)은 외부 원형관(11)에 연결된다. 스레드 소켓(312)은 내부 원형관(12)에 연결된다. 나사축(313)은 베어링(311)과 스레드 소켓(312)사이에 관통 설치된다. 휠(314)은 나사축(313)에 연결된다.
또한, 스레드 소켓(312)은 스레드 소켓 나사산(312a)을 포함하고, 나사축(313)은 나사축 수나사(313a)를 포함하며, 스레드 소켓 나사산(312a)과 나사축 수나사(313a)는 대응되게 조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30)을 더 포함하며, 수용공간(30)은 휠(314)의 중심과 나사축(313)의 내부, 그리고 휠(314)과 나사축(313)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수용공간(30)에는 나사축 조정부품(301)이 설치되고, 나사축 조정부품(301)은 나사축 조정부품헤드부(3011)와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3012)를 구비하며, 나사축 조정부품헤드부(3011)는 휠(314)의 내부에 위치하며,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3012)는 나사축(313)의 내부에 위치한다.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3012)는 나사축 조정나사(3011a)를 포함하고, 나사축(313)내부는 나사 암나사(313b)를 포함하고, 나사축 조정나사(3011a)와 나사 암나사(313b)는 대응되게 조합 되어 설치 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베어링(40)을 더 포함하고, 선형 베어링(40)은 외부 원형관(11)에 설치되고 적어도 내부 원형관(12)의 일부를 감싼다.
구체적으로, 휠(314)이 이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휠(314)을 회전시키면 휠(314)은 내부에 위치한 나사축 조정부품(301)을 작동시키고, 이때, 나사축 조정 나사산(3011a)과 나사축 암나사(313b)사이의 조합된 설치로 인해 나사축(313)이 휠(3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스레드 소켓 나사산(312a)과 나사축 수나사(313a)사이의 조합된 설치로 인해 스레드 소켓(312)은 나사축(313)에서 이동할 수 있고 내부 원형관(12)은 스레드 소켓(312)에 의해 구동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내부 원형관(12)이 스레드 소켓(312)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부 원형관(12)은 베어링(311)위에서 외부 원형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나사를 나사축 조정부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고안은 휠과 나사축사이에서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소자라면 나사축 조절부품의 실제상태를 국한하지 않는다.
상기 광로 조정부품의 설치와 선형 베어링의 도움으로 내부 원형관은 외부 원형관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 원형관은 이동하는동안 회전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각도가 조정된 반사경은 광로 조정의 회전으로 인해 각도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또한, 광로 조정부품과 선형 베어링은 광지연기 본체의 장치 범위내에 직접 설치되며 광지연기 외부의 소자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를 기반으로 본 고안은 광로차이를 조정하는 두 가지 형태를 제공하였고, 첫 번째는 외부 원형관과 내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의 조합을 통해 내부 원형관이 나사산 섹션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광섬유와 반사경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두 번째는 광로 조정부품의 도움을 받아 광로 차이를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광로차를 조절하는 방법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이든 조절나사와 고정나사 사이의 조임에 맞춰야 하며, 조절나사의 회전을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반사경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광섬유로 되돌아오는 광파경로 및 광파강도를 완전히 변경한다.
상기 내용에서 본 고안의 광지연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고정나사와 조정나사를 설치하고 나사 사이의 풀고 조임을 통해 반사경을 조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복잡한 조작구조에 비해 본 고안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줄였다.
2. 반사경과 광섬유 사이의 광로 차이는 두 가지 축방향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고, 내부 원형관 및 외부 원형관에 나사산 섹션을 직접 설치하거나 광로 조정부품을 설치하는 두 가지 설계 형태는 광지연기의 전체 구조에 직접 설치되며, 이는 선행 기술에서 광경로를 조정하기 위해 외부 조정 장치에 의해 희생되는 외부공간을 크게 줄였다.
3. 본 고안은 슬라이드 레일 및 기타 조정소자를 추가로 설치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 문제를 줄이는 것 외에도 광지연기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개시되는 기술적 내용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에 개시되어 있는 창작 개념 및 원리와 동일한 것은 모두 본 고안에 대한 실용신안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고안의 상기 구성소자의 방향은 예를 들어, "위", "아래", "위쪽", “아래쪽", "수평", "수직", "왼쪽", "오른쪽" 등은 절대 위치 및/또는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첫 번째", "두 번째"와 같은 소자의 정의는 한정하기 위한 단어가 아니라 구별하기 위한 용어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포괄되는" 또는 "포함하는"의 사용은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의 개념을 포괄하며, 소자, 조작 단계 및/또는 이들의 그룹 또는 상기 조합을 의미하며, 제외 또는 추가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작업 단계의 순서는 절대적인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더하여,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의 소자를 언급할 때(예를 들어 관사 "하나" 또는 "한 개"의 사용은), "하나뿐인 하나"가 아니라 "하나혹은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사용된 "및/또는"은 "그리고" 또는 "또는"뿐만 아니라, "및" 및 "또는"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사용된 범위와 관련된 용어는 전부 및/혹은 범위한정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보다 큼", "보다 작음", "초과하지 않음" 등은,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나타낸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이 실용신안에 대한 청구의 범위와 실용신안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이루어진 모든 간단한 등가 변경 및 수식은 여전히 이 실용신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3 광지연기
11 외부 원형관
112 외부 원형관 헤드부
114 외부 원형관 본체
1141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
1142 내 표면
12 내부 원형관
122 내부 원형관 헤드부
124 내부 원형관 본체
1222 고정나사 홀
1241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
1242 외 표면
13 반사부품
131 렌즈홀더
1312 렌즈홀더 나사 홀
132 반사경
133 고정나사
134 조정나사
14 콜리메이터 렌즈
15 포커스 렌즈
16 스프링
2 광섬유
30 수용공간
301 나사축 조정부품
3011 나사축 조정부품 헤드부
3012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
3011a 나사축 조정 나사산
31 광로 조정부품
311 베어링
312 스레드 소켓
313 나사축
312a 스레드 소켓 나사산
313a 나사축 수나사
313b 나사축 암나사
314 휠
40 선형 베어링
L 축심 방향

Claims (20)

  1. 광섬유로 전달되는 광로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광지연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에 연결되는 외부 원형관;
    상기 외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나사 홀이 포함되는 내부 원형관;
    상기 내부 원형관에 연결되고 복수의 렌즈홀더 나사 홀을 구비하는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반사경을 포함하는 반사부품;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나사 홀 및 일부의 렌즈홀더 나사 홀 안에 활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고정나사; 및
    다른 일부의 렌즈홀더 나사 홀 안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내부 원형관에 맞닿아 있는 복수의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일 때 상기 조정나사는 상기 렌즈홀더를 구동하여 상기 반사경을 축방향으로 기울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형관은 외부 원형관 헤드부 및 외부 원형관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은 내부 원형관 헤드부 및 내부 원형관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원형관 헤드부는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외부 원형관 헤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원형관 헤드부는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품은 상기 내부 원형관 헤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형관은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은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과 상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은 대응되게 조합 및 설치되어, 상기 내부 원형관이 상기 외부 원형관 나사산 섹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은 상기 외부 원형관의 내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은 상기 내부 원형관의 외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은 상기 외부 원형관의 외부 원형관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나사산 섹션은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내부 원형관 본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6. 제1항에 있어서,
    광로 조정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로 조정부품은:
    상기 외부 원형관을 연결하는 베어링;
    상기 내부 원형관에 연결되는 스레드 소켓;
    상기 베어링 및 상기 스레드 소켓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에 연결된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이 활동하면 상기 나사축이 작동되어 상기 스레드 소켓을 상기 나사축 위에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을 상기 스레드 소켓의 구동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소켓은 스레드 소켓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은 나사축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스레드 소켓 나사산은 상기 나사축 수나사와 대응되게 조합 및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8. 제6항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휠의 중심 및 상기 나사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휠과 상기 나사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는 나사축 조정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은 나사축 조정부품 헤드부와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헤드부는 상기 휠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는 상기 나사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 조정부품 본체는 나사축 조정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의 내부는 나사축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 조정 나사산과 상기 나사축 암나사는 대응하여 조합 및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선형 베어링이 더 포함되며, 상기 선형 베어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원형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원형관이 상기 스레드 소켓의 구동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부 원형관은 상기 선형 베어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베어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의 외부 원형관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콜리메이터 렌즈, 스프링 및 포커스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포커스 렌즈는 상기 광섬유에서 상기 반사부품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는 상기 외부 원형관의 외부 원형관 헤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는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내부 원형관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외부 원형관의 외부 원형관 본체와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내부 원형관 본체, 그리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형관 본체의 내경은 상기 내부 원형관 본체의 외경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베어링의 내경은 상기 내부 원형관의 내부 원형관 본체의 외경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와 상기 복수의 조정나사는 교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지연기.
KR2020210003971U 2020-12-30 2021-12-29 광지연기 KR2022000172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31828P 2020-12-30 2020-12-30
US63/131,828 2020-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23U true KR20220001723U (ko) 2022-07-07

Family

ID=8211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71U KR20220001723U (ko) 2020-12-30 2021-12-29 광지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06225A1 (ko)
KR (1) KR20220001723U (ko)
CN (1) CN217085420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085420U (zh) 2022-07-29
US20220206225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533B2 (ja) 光路長補正モジュール
CN102566235A (zh) 光源装置、光源产生方法及包含光源装置的激光投影机
CN202720431U (zh) 一种照明角度可调节的补光装置
CN201138381Y (zh) 光纤耦合器
CN1448747A (zh) 光纤阵列及其制造方法
KR20220001723U (ko) 광지연기
US7782545B2 (en) Zoom lens assembly and zoom lens module
CN105988172A (zh) 用于管道在线tdlas气体监测仪的物距微调系统
US20220221672A1 (en) Optical path length adjusting device
TWM637039U (zh) 光延遲器
CN107870502B (zh) 光机照明系统及激光投影设备
CN203217154U (zh) 用于激光在线气体分析仪器实现管道光路准直调节的装置
CN2869896Y (zh) 光纤输入耦合装置
CN1158550C (zh) 光纤双向传输旋转连接器
CN202383412U (zh) 一种投影装置的成像组件及使用其的投影装置
CN103364920B (zh) 用于激光在线气体分析仪器实现管道光路准直调节的装置
CN110007476B (zh) 可自动调节的激光衰减器
CN1438774A (zh) 生产平行光管的设备和方法
WO2021063143A1 (zh) 镜头调节装置及投影设备
CN116184617B (zh) 一种反射棱镜角度调节结构及镜头
US20130336616A1 (en) Beam Coupler Alignment System and Method
CN2533483Y (zh) 机械式光开关
JP2000194459A (ja) 光デ―タ伝送機構および電子機器
CN218956809U (zh) 主动成像系统
CN216052281U (zh) 一种多角度可拆卸光纤准直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