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11U -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 Google Patents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11U
KR20220001711U KR2020200004955U KR20200004955U KR20220001711U KR 20220001711 U KR20220001711 U KR 20220001711U KR 2020200004955 U KR2020200004955 U KR 2020200004955U KR 20200004955 U KR20200004955 U KR 20200004955U KR 20220001711 U KR20220001711 U KR 202200017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head
pocket
baby carri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5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876Y1 (en
Inventor
정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스포스트
Priority to KR2020200004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76Y1/en
Publication of KR20220001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1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7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아기띠용 보조 기구는 보조부 및 머리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부는 사용자가 아기를 앞으로 안을 때 사용되는 아기띠의 전면에서 상기 아기의 머리와 대응하는 부위에 입구를 가지면서 형성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감겨서 서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끈들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포켓의 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의 머리를 지지하며, 완충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한다.The assistive device for a baby carrier includes an auxiliary part and a head support part. The auxiliary part extends from both ends of a pocket formed while having an entran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baby on the front of the baby carrier used when the user holds the baby in front, and is wound around the body of the user. Includes fixing straps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The head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of the pocket to support the head of the child, and includes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Description

아기띠용 보조끈 장치{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Assistive strap device for baby carrier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본 고안은 아기띠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아서 이동할 때 아기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that can safely support the head of a baby when a user moves while holding a baby using the baby carrier.

아기는 실질적으로 보행이 불가능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안아서 이동하게 되는데, 그냥 안은 상태에서 이동하게 될 경우에는 장시간 이동이 실제로 어려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안은 아기를 안전하게 지지해 주는 아기띠를 사용하게 된다.A baby is practically unable to walk, so when moving, the user safely carries it. However, if it is moved while holding it, it is difficult to move for a long time, so the user generally uses a baby carrier that safely supports the baby. .

이러한 아기띠는 안전을 핵심으로 편리함까지 제공해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아기를 앞으로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등과 엉덩이를 사용자의 어께와 허리에 연결끈을 달아 지지해 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6-16171호(발명의 명칭; ベビ??キャリア)에 일부 유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Since such a baby carrier must provide convenience as well as safety as the core, it ha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back and buttocks of the baby by attaching a connecting strap to the user's shoulder and waist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holding the baby in front. Regarding this, some similar techniques a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16171 (Title of the Invention; ベビ??carea).

하지만, 상기의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어깨띠형 아기띠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장시간 사용 시 어깨에 통증이 심할 뿐 아니라, 착용도 불편하고 이럼에도 불구하고 가격까지 상대적으로 고가로 책정되어 있어, 최근에는 사용자의 양쪽 어깨를 넓게 지지한 상태에서 아기를 보자기 형태로 감싸 안아 이동하는 랩형 아기띠가 각광을 받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houlder strap-type baby carrier having the above conventional structure, the shoulder strap-type baby carrier basically causes severe pain in the shoulder when used for a long time, is uncomfortable to wear, and the price is set at a relatively high price despite this. A wrap-type baby carrier that holds and moves a baby in the shape of a furoshiki while supporting both shoulders of a baby is in the spotlight.

그러나, 상기 랩형 아기띠의 경우는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머리가 앞으로 노출되어 있어 이동 중 아기의 머리가 흔들리거나 심할 경우 꺾여서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아기의 머리를 손으로 받쳐 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rap-type baby carrier, the baby's head is exposed in the forward state while holding the baby, and the baby's head shakes during movement or if severe, it may bend and cause injury.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that must be supported.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앞으로 안을 때 상기 아기의 머리가 흔들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that can be safely supported so that the head of the baby is not shaken or bent when the user holds the baby in front using the baby carrier.

본 고안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아기띠용 보조 기구는 보조부 및 머리 지지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n auxiliary portion and a head support portion.

상기 보조부는 사용자가 아기를 앞으로 안을 때 사용되는 아기띠의 전면에서 상기 아기의 머리와 대응하는 부위에 입구를 가지면서 형성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감겨서 서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끈들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포켓의 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의 머리를 지지하며, 완충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part extends from both ends of a pocket formed while having an entran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baby on the front of the baby carrier used when the user holds the baby in front, and is wound around the body of the user. Includes fixing straps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The head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of the pocket to support the head of the child, and includes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부는 통기성과 지지력을 위해 3D 또는 에어메쉬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3D or air mesh fabric for breathability and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끈들 각각의 길이는 서로의 합이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2회 감싸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each of the fixing stra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so that the sum of each other wraps around the user's body at least twice to be coupled and fix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부는 상기 포켓의 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를 주름 방식에 따라 조이거나 풀어서 차단 및 개방하는 조임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awstring attached to the entrance of the pocket to block and open the entrance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entrance according to a wrinkle method.

일 실시예에따른 상기 조임끈은 상기 포켓을 뒤집었을 때 노출되도록 상기 입구의 안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The draw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entrance to the outside so as to be exposed when the pocket is turned over.

상기한 본 고안의 보조 기구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기띠를 이용하여 안은 아기의 머리를 보조부의 포켓 입구에 삽입된 완충력 재질을 갖는 머리 지지부를 통해 편안하고 안전하게 실시간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이동 중 상기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아기의 머리를 항상 주의를 기울이면서 받쳐줄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comfortable and safe real-time support for the head of the baby held by the user using the baby carrier through the head support having a cushion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pocket entrance of the auxiliary unit, The user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baby's head while always paying attention as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safely operat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보조 기구를 착용한 사용자의 옆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기구를 착용한 사용자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기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들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기구에서 보조부의 고정끈들을 통해 사용자가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들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기구의 보조부를 이용하여 머리 커버부와 같이 아기띠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user wearing an auxiliary device on a baby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user wearing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2 .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fixed through the fixing straps of the auxiliary part in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3 .
6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er is accommodated, such as a head cover part, using the auxiliary part of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3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용 보조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dimensions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보조 기구를 착용한 사용자의 옆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기구를 착용한 사용자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기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user wearing an auxiliary device on a baby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user wearing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FIG. 3 FIG. 2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2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100)는 보조부(200) 및 머리 지지부(300)를 포함한다.1 to 3 , the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unit 200 and a head support unit 300 .

상기 보조부(200)는 사용자(10)가 아기(20)를 앞으로 안을 때 사용되는 아기띠(30)의 전면에서 상기 아기띠(30)에 안정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부(200)는 포켓(210) 및 고정끈(220)들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unit 200 serves to provide additional stability to the baby carrier 30 from the front of the baby carrier 30 used when the user 10 holds the baby 20 forward. The auxiliary part 200 includes a pocket 210 and a fixing strap 220 .

상기 포켓(210)은 상기 아기(20)의 머리와 대응하는 부위에 입구(212)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켓(210)의 입구(212)는 사용자(10)가 상기 아기띠(30)로 상기 아기(20)를 안은 상태에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상기 머리 지지부(300)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 잘 빠지지 않도록 상부에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cket 210 is formed while having an inlet 212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baby 20 . At this time, the entrance 212 of the pocket 210 allows the user 10 to easily insert the head support 30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hile holding the baby 20 with the baby carrier 30 .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opened at the top so as not to fall out easily.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은 상기 포켓(210)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10)의 몸통에 감겨서 서로 결합 고정된다. 이에, 상기 보조 기구(100)는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으로 자신의 몸통을 감싸서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은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포켓(210)과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extends from each of both ends of the pocket 210 .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is wound around the body of the user 10 and fix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uxiliary device 100 can be fixed by the user 10 wrapping his or her body with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and coupling them to each other. In addition,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may be manufactur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pocket 210 for stable fixing.

상기 머리 지지부(300)는 상기 포켓(210)의 입구(212)에 삽입되어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머리 지지부(300)는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고정끈(220)들을 통해 고정하는 힘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지력을 통해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 지지부(300)에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의 길이는 서로의 합이 상기 사용자(10)의 몸통을 적어도 2회 감싸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 support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inlet 212 of the pocket 210 to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20 . Specifically, the head support unit 300 may s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20 through the support force transmitted from the force that the user 10 secures through the fixing straps 220 . 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support force to the head support unit 300, the length of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sum of each other wraps around the body of the user 10 at least twice to be coupled and fixed. do.

상기 머리 지지부(300)는 상기 아기(20)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완충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머리 지지부(300)는 상기의 안정적인 완충력은 물론,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어 통기성이 좋고 땀이 차지 않고 위생적일 뿐 아니라, 일반 메쉬에 비해 압축 회복 성능이 우수하고 곰팡이나 진드기가 번식하기 어려워 이로 인한 질병 감염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3D 메쉬또는 에어매쉬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지지부(300)는 중심 지지대가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덧대어 추가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 지지대(310)는 안정적인 형상 유지를 위하여 X자 구조로 삽입 고정된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 지지대(310)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upport 30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ower to provide comfort and stability to the baby 20 . For example, the head support unit 300 has not only the stable buffering power described above, but also has good ventilation and is hygienic without sweat because it has dense holes like a mesh, and has excellent compression recovery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mesh, mold and mites It may contain 3D mesh or air mesh fabric that can safely prevent disease infection due to difficult propagation. In addition, the head support unit 300 may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20 more stably by reinforcing additional strength by inserting a central support inside or padding the outside. Here, the center support 310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and fixed in an X-shaped structure to maintain a stable shape. For example, the center support 310 may include a polyester material.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아기띠(30)를 이용하여 안은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상기 보조부(200)의 상기 포켓(210)의 입구(212)에 삽입된 완충력 재질을 갖는 상기 머리 지지부(300)를 통해 편안하고 안전하게 실시간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상기 사용자(10)는 이동 중 상기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항상 주의를 기울이면서 받쳐줄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10 has a cushion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entrance 212 of the pocket 210 of the auxiliary unit 200 for the head of the baby 20 held by the user 10 using the baby carrier 30 . By providing comfortable and safe real-time support through the head support unit 300, the user 10 can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20 while always paying attention, as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There is no need for it, so you can operate conveniently and safely.

특히, 상기 아기띠(30) 중 상기 사용자(10)의 어깨를 넓게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아기(20)를 보자기 형태로 감싸 안아 이동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어깨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착용도 간편하고 심지어는 가격까지 저렴한 랩형의 아기띠(30)의 경우, 그 특성 상 상기 아기(20)의 머리가 앞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아기(20)의 머리를 지지해 주는 상기 보조 기구(100)는 상기 랩형의 아기띠(30)에 더욱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baby 20 is wrapped around and moved in the form of a furoshiki in a state in which the shoulder of the user 10 is widely supported among the baby carrier 30, shoulder pain can be minimized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it is easy to wear and even In the case of the wrap-type baby carrier 30, which is inexpensive up to the price, since the head of the baby 20 is inevitably exposed in the front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auxiliary device 100 supporting the head of the baby 20 is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the wrap-type baby carrier 30 .

이하,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고정끈(220)들을 사용하여 결합 고정하는 방식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upling and fixing by the user 10 using the fixing straps 2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dditionally.

도 4 및 도 5들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기구에서 보조부의 고정끈들을 통해 사용자가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fixed through the fixing straps of the auxiliary part in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3 .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10)는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을 상기 아기띠(30)의 앞쪽에서 어깨로 연장된 부위의 안쪽 각각으로 끼워서 등쪽으로 연장시킨다. Referring additionally to FIGS. 4 and 5 , the user 10 inserts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into the inside of each of th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baby carrier 30 to the shoulder to extend them toward the back.

이어, 상기 사용자(10)는 등쪽에서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을 서로 엇갈리게 크로스시켜 양 손들 각각으로 잡았던 고정끈(220)들 각각을 서로 바꾸어 잡는다. 이어, 상기 사용자(10)는 상기 서로 바꾸어 잡은 고정끈(220)들 각각은 앞쪽으로 잡아 당겨서 서로 매듭시켜 결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10)는 상기 머리 지지부(300)에 안정적인 지지력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아기(20)에게 무리한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상기 고정끈(220)들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 고정할 수 있다.Next, the user 10 crosses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alternately from the back side to alternately hold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held with each of both hands. Next, the user 10 pulls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exchanged with each other to tie them together and fix them. At this time, the user 10 can be coupled and fix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each of the fixing straps 220 so as not to give excessive pressure to the baby 20 while providing a stable support force to the head support unit 300 . .

본 실시예는 단지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고정끈(220)들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하는 방식의 어느 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필요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끈(220)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음도 당업자 입장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only describes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in which the user 10 is coupled and fixed using the fixing straps 220, and the fixing straps 220 are coupled in various ways as needed or if necessary. It can also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fixed.

이하, 도 6 내지 도 9들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보조 기구(100)를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auxiliary device 100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dditional reference to FIGS. 6 to 9 .

도 6 내지 도 9들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기구의 보조부를 이용하여 머리 커버부와 같이 아기띠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6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er is accommodated, such as a head cover part, using the auxiliary part of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3 .

도 6 내지 도 9들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우선 상기 보조 기구(100)의 보조부(200)에서 상기 포켓(210)의 입구(212)를 개방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300)를 꺼낸다.6 to 9 , first, the inlet 212 of the pocket 210 is opened in the auxiliary unit 200 of the auxiliary device 100 to take out the head support unit 300 .

이어, 상기 포켓(210)을 상기 입구(212)를 통해 반대로 뒤집는다. 이러면 상기 보조부(200)의 고정끈(220)들이 상기 뒤집어진 포켓(210)에 자동적으로 수납되어 외관상 상기 뒤집어진 포켓(210)만 보이게 된다.Then, the pocket 210 is reversely turned over through the inlet 212 . In this case, the fixing straps 220 of the auxiliary part 200 are automatically accommodated in the inverted pocket 210 so that only the inverted pocket 210 is visible.

이어, 상기 뒤집어진 포켓(210)의 입구(212)로 상기 머리 지지부(300)와 같이 상기 아기(20)를 안을 때 사용했던 상기 아기띠(30)도 같이 넣어서 수납한다. 이때, 상기 보조부(200)는 상기 포켓(210)의 입구(212)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212)를 주름 방식에 따라 조이거나 풀어서 차단 및 개방하는 조임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조임끈(230)을 조여서 상기 입구(212)를 차단한다. Next, the baby carrier 30 used to hold the baby 20 like the head support 300 is also put into the inlet 212 of the inverted pocket 210 and accommodated. In this case, the auxiliary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drawstring 230 mounted on the inlet 212 of the pocket 210 to block and open the inlet 212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inlet 212 according to a wrinkling method. Next, the inlet 212 is blocked by tightening the drawstring 230 .

이러면, 상기 뒤집어진 포켓(210)이 상기 보조 기구(100) 및 상기 아기띠(30)를 수납하는 가방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사용자(10)는 이를 통해 쉽게 운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끈(230)은 실질적으로 상기 포켓(210)이 뒤집어질 경우에만 노출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포켓(210)이 뒤집어지기 전 상기 입구(212)의 안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side-down pocket 210 serves as a bag for accommodating the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baby carrier 30, so that the user 10 can easily carry and move through it. Here, since the drawstring 230 is substantially exposed and used only when the pocket 210 is turned over, it is mount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inlet 212 to the outside before the pocket 210 is turned over. it is preferabl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 사용자 20 : 아기
30 : 아기띠 100 : 보조 기구
200 : 보조부 210 : 포켓
220 : 고정끈 230 : 조임끈
300 : 머리 지지부
10: user 20: baby
30: baby carrier 100: auxiliary device
200: auxiliary part 210: pocket
220: fixing string 230: tightening string
300: head support

Claims (6)

사용자가 아기를 앞으로 안을 때 사용되는 아기띠의 전면에서 상기 아기의 머리와 대응하는 부위에 입구를 가지면서 형성된 포켓 및 상기 포켓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감겨서 서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끈들을 포함하는 보조부; 및
상기 포켓의 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의 머리를 지지하며, 완충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머리 지지부를 포함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
A pocket formed while having an entranc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baby on the front of the baby carrier used when a user holds a baby in front, and both ends of the pocket are wound around the user's body and fixed to each other Auxiliary part comprising a fixing string to be; and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that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of the pocket to support the head of the child, and includes a head support unit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는 3D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support part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3D mesh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들 각각의 길이는 서로의 합이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2회 감싸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each of the fixing straps for a baby carrier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each other is formed to wrap the user's body at least twice to be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포켓의 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를 주름 방식에 따라 조이거나 풀어서 차단 및 개방하는 조임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art is attached to the entrance of the pocket, the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wstring for blocking and opening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entrance according to a wrinkle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은 상기 포켓을 뒤집었을 때 노출되도록 상기 입구의 안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awstring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entrance to the outside so as to be exposed when the pocket is turned 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는 안정적인 형상 유지를 위하여 X자 구조로 삽입 고정된 탄성 재질을 갖는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용 보조 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support part is an auxiliary device for a bab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nter support having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and fixed in an X-shaped structure to maintain a stable shape.
KR2020200004955U 2020-12-31 2020-12-31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KR2004968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5U KR200496876Y1 (en) 2020-12-31 2020-12-31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5U KR200496876Y1 (en) 2020-12-31 2020-12-31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11U true KR20220001711U (en) 2022-07-07
KR200496876Y1 KR200496876Y1 (en) 2023-05-16

Family

ID=8239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55U KR200496876Y1 (en) 2020-12-31 2020-12-31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76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343A (en) * 1997-02-17 1998-08-25 Aprica Kassai Inc Baby carrier
JPH10272038A (en) * 1997-04-01 1998-10-13 Lucky Kogyo Kk Side head support member, and baby carri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2282097A (en) * 2001-03-26 2002-10-02 Combi Corp Head support for infant, baby band with head support for infant, and baby band for holding baby horizontally
JP2006061467A (en) * 2004-08-27 2006-03-09 Moribun Co Ltd Pillow
US20200221885A1 (en) * 2017-02-10 2020-07-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JP3232305U (en) * 2020-11-24 2021-06-03 株式会社スモルビ Auxiliary belt device for carrying strap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305B2 (en) 1996-11-12 2001-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Drilling ri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343A (en) * 1997-02-17 1998-08-25 Aprica Kassai Inc Baby carrier
JPH10272038A (en) * 1997-04-01 1998-10-13 Lucky Kogyo Kk Side head support member, and baby carri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2282097A (en) * 2001-03-26 2002-10-02 Combi Corp Head support for infant, baby band with head support for infant, and baby band for holding baby horizontally
JP2006061467A (en) * 2004-08-27 2006-03-09 Moribun Co Ltd Pillow
US20200221885A1 (en) * 2017-02-10 2020-07-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JP3232305U (en) * 2020-11-24 2021-06-03 株式会社スモルビ Auxiliary belt device for carrying str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76Y1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040B2 (en) Cinchback backpack with padded strap
JP3856625B2 (en)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KR101829876B1 (en) Baby carrier
US20090026235A1 (en) Baby Carrier
US20080190972A1 (en) Baby Carrier
KR101812529B1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KR200482240Y1 (en) Down jacket which is transformed into a neck pillow
ITMI20090254U1 (en) MARSUPIO FOR THE TRANSPORT OF CHILDREN
KR20110018064A (en) A wadded baby wrapper and infant carrying band having waist bag
CN111970944A (en) Neck pillow with storage capacity
KR20100002191U (en) Baby carrier
KR20220001711U (en) Head Support Strap for baby carriers
JP3232305U (en) Auxiliary belt device for carrying straps
KR101918822B1 (en) A baby warmer enabled to change positions of clamp belt
KR200191936Y1 (en) Backpack with backrest as cushion
ITPI20100022U1 (en) WEARABLE ITEM TO SUPPORT A NEWBORN
KR200330394Y1 (en) Baby Carrier Built in Backbone Protector
JPH0737531Y2 (en) Rucksack that also has the function of a hug
KR102353383B1 (en) Windbreaker cover that can hold a baby carrier
JP3230688U (en) Hugging strap cover
KR200284167Y1 (en) A knapsack of having a ventilation means
KR20090003460U (en) Receiving Apparatus
US20230363470A1 (en) Removable cycling chamois
KR200346812Y1 (en) Baby's bedding
KR200346574Y1 (en) Quilt for Little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