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438A - 측정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한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의 추정 - Google Patents

측정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한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의 추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438A
KR20220001438A KR1020210041066A KR20210041066A KR20220001438A KR 20220001438 A KR20220001438 A KR 20220001438A KR 1020210041066 A KR1020210041066 A KR 1020210041066A KR 20210041066 A KR20210041066 A KR 20210041066A KR 20220001438 A KR20220001438 A KR 2022000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ire
additional
electrodes
ab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스 클라우디오 알트만
아사프 고바리
이스라엘 질버만
Original Assignee
바이오센스 웹스터 (이스라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센스 웹스터 (이스라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오센스 웹스터 (이스라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67Electrophysiological study [EPS], e.g. electrical activation mapping or electro-anatomical m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28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related to intensity or progress of surgic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9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 console, e.g. a control panel with a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13Irreversible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32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61D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45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92Volt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방법은 절제 카테터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을 목표 조직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제1 진폭을 갖는 제1 양극성 신호가 이러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수신되며,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제2 진폭을 갖는 제2 양극성 신호가 이러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수신되고,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추정된다.

Description

측정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한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의 추정{ESTIMATING PROGRESS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BASED ON AMPLITUDE OF MEASURED BIPOLAR SIGNA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직 절제 시술(tissue ablation procedure)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가역적 전기천공(irreversible electroporation) 절제 시술에서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어진 전극을 사용하여 조직 절제의 진행을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10,342,606호는, 절제 과정과 관련되는 측정된 파라미터를 실시간 그래픽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절제 과정 동안 자동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 출력의 파라미터의 변동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 발생기로부터의 신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 제어기 및 컴퓨터 그래픽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고주파 발생기에 연결된 냉각식 고주파 전극을 사용한 신체에서의 조직의 고주파 절제를 기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절제 카테터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을 목표 조직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제1 진폭을 갖는 제1 양극성(bipolar) 신호가 이러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수신되며,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제2 진폭을 갖는 제2 양극성 신호가 이러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수신되고,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추정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그래프 상에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동일한 그래프 상에,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막대(bar) 및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막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절제 카테터의 추가의 쌍의 전극들로부터 추가의 제1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1 양극성 신호 및 추가의 제2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추가의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1 막대 및 추가의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2 막대를 동일한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쌍의 전극들은 제1 부위에서 목표 조직에 결합되고, 추가의 쌍의 전극들은 제1 부위와 상이한 제2 부위에서 목표 조직에 결합되며, 본 방법은 동일한 그래프에 기초하여 목표 조직에 (i) 제1 부위에서 제1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그리고 (ii) 제2 부위에서 제2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IRE 펄스들을 인가하는 단계는 제2 IRE 펄스와 상이한 제1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덧씌워지는 제1 및 제2 막대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지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전에 제1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지에서 수신하는 단계는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목표 조직에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할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추가의 IRE 펄스가 요구되는 경우, 본 방법은, 절제 시술의 제3 스테이지에서, (i)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목표 조직에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ii) 이러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3 진폭을 갖는 제3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iii) 제1 및 제3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는 (i) 제1 진폭과 제2 진폭 사이의 제1 수치 차이, 및 (ii) 제2 진폭과 목표 임계치 사이의 제2 수치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목표 조직에 결합되는 절제 카테터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a)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제1 진폭을 갖는 제1 양극성 신호를 그리고 (b)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제2 진폭을 갖는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는 파라미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취해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기반 위치-추적 및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절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그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IRE 절제 파라미터를 추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표시된 진폭의 그래프의 개략적인 그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IRE 절제 시술 동안 획득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절제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
개관
비가역적 전기천공(IRE)은, 예를 들어 조직에 인가되는 고전압 펄스를 사용하여 조직 세포를 절제함으로써 부정맥을 처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막 전위(transmembrane potential)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 세포 파괴가 일어나, 세포사(cell death) 및 병변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IRE 기반 절제 시술에서, 고전압 양극성 전기 펄스가, 예를 들어 절제될 조직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쌍의 전극들에 인가되어 전극들 사이에 병변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환자의 심장에서 부정맥을 처치한다.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IRE 펄스로도 지칭되는 양극성 전기 펄스들의 하나 초과의 세트가 병변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에 의해 절제 시술을 완료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또한, 절제되도록 의도되는 병변은 불균일할 수 있어서, 상이한 양의 IRE 펄스들이 상이한 쌍들의 전극들에 의해 조직에 인가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IRE 펄스들을 인가한 후에, 각각의 쌍의 전극들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절제 시술을 완료할지 여부의 지시(indication)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임피던스 측정들은 절제 시술의 진행의 충분히 정확한 지시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절제 시술의 진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의사는 IRE 절제 카테터를 환자의 심장에서 절제되도록 의도된 조직을 갖는 절제 부위 내로 삽입한다. 절제 카테터는 절제 부위에서 심장 조직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쌍의 전극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RE 절제 시스템은 IRE 펄스 발생기(IPG), IPG에 의해 인가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선택된 쌍의 전극들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박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IRE 펄스의 제1 세트를 인가하기 전에, 의사는 절제 부위에서의 조직의 주어진 부위에서 측정되는 제1 양극성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이러한 쌍의 전극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문맥에서, 용어 "양극성 신호"는 임피던스와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신호를 지칭한다. 양극성 신호는 카테터의 2개의 전극, 또는 동일한 부위에서의 임의의 다른 프로브(probe)의 전극들, 예를 들어 전술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측정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문맥에서, 용어 "IRE 펄스" 및 "IRE 펄스들의 세트"는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하나 이상의 IRE 펄스의 세트를 지칭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예컨대 제1 IRE 펄스를 인가한 후에, 의사는 주어진 부위에서 측정되는 제2 양극성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이러한 쌍의 전극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RE 절제 시스템은 각각의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1 및 제2 양극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쌍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양극성 신호들에서 제1 및 제2 진폭들을 각각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각각의 쌍의 전극들에 대해, 제1 진폭과 제2 진폭 사이의 시각적 비교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와 같은 적합한 그래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진폭들의 표시된 그래프에 기초하여, 의사는 각각의 쌍의 전극들에 대해, 절제 시술의 진행 및 효능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폭들의 표시된 그래프에 기초하여, 의사는 제1 IRE 펄스가 주어진 부위에서 필요한 병변을 형성하기에 불충분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의사는, 단지 주어진 부위에서만 제2 IRE 펄스를 조직에 인가하기 위해, IPG 및 스위칭 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예컨대 절제 시술 동안, 각각의 절제 부위에서의 절제의 진행의 시각적 지시를 의사에게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은 조직에 인가되는 IRE 펄스들의 양을 최적화하는 것을 돕고, 따라서, 환자에 대한 과정의 안전성을 개선하고 절제 시술의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킨다.
시스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21)-기반 위치-추적 및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절제 시스템(20)의 개략적인 그림 예시도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20)은 카테터(21)의 샤프트(22)의 원위 단부(distal end)(22a)에 끼워진 편향가능 팁 섹션(40)을 포함하고, 이때 편향가능 팁 섹션(40)은 삽도(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극(50)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50)들은 심장내(intra-cardiac, IC)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신호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심장(26)의 좌심방의 조직의 IRE 절제, 예를 들어 심장(26) 내의 폐 정맥의 소공(ostium, 51)의 IRE 절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이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하여 심장(26)의 다른 섹션들(예컨대, 심방 또는 심실)에 그리고 환자(28)의 다른 장기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카테터(21)의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절제 전력 공급원, 본 예에서는 수십 kW의 범위의 피크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IRE 펄스 발생기(IPG)(45)를 포함하는 제어 콘솔(24)(본 명세서에서 콘솔(24)로도 지칭됨)에 연결된다. 콘솔(24)은 IPG(45)에 의해 인가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선택된 쌍의 전극(50)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박스(46)를 포함한다. 시퀀스화된(sequenced) IRE 절제 프로토콜은 콘솔(24)의 메모리(48)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의사(30)는 샤프트(22)의 원위 단부(22a)를 시스(sheath)(23)를 통해 테이블(29) 상에 누워 있는 환자(28)의 심장(26) 내로 삽입한다. 의사(30)는 시스(23)로부터의 편향 및/또는 카테터(21)의 근위 단부 부근에 있는 조작기(32)를 사용하여 샤프트(22)를 조작함으로써 샤프트(22)의 원위 단부(22a)를 심장(26) 내의 목표 위치로 조종한다. 원위 단부(22a)의 삽입 동안에, 편향가능 팁 섹션(40)은 시스(23)에 의해 직선화된 구성으로 유지된다. 팁 섹션(40)을 직선화된 구성으로 수용함으로써, 시스(23)는 또한 의사(30)가 카테터(21)를 환자(28)의 혈관구조를 통해 심장(26) 내의 절제 부위와 같은 목표 위치로 이동시킬 때 혈관 외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일단 샤프트(22)의 원위 단부(22a)가 절제 부위에 도달하였으면, 의사(30)는 시스(23)를 후퇴시키고 팁 섹션(40)을 편향시키며, 또한 팁 섹션(40) 위에 배치된 전극(50)들을 절제 부위에서 소공(51)과 접촉 상태로 배치하도록 샤프트(22)를 추가로 조작한다. 본 예에서, 절제 부위는 폐 정맥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의사(30)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절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50)은 콘솔(24) 내의 인터페이스 회로(44)의 스위칭 박스(4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41)로 샤프트(22)를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삽도(25)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22a)는 예컨대 팁 섹션(40)에서, 원위 단부(22a)에 결합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의 위치 센서(39)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위치 센서(39)는 자기 위치 센서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컨대, 자기(magnetic) 기반 이외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위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심장(26) 내에서의 원위 단부(22a)의 조종 동안에, 콘솔(24)의 프로세서(41)는, 예를 들어 심장(26) 내에서의 팁 섹션(40)의 위치를 측정하고 선택적으로 심장(26)의 이미지 상에 덧씌워진 추적된 위치를 콘솔(24)의 디스플레이(27) 상에 표시하는 목적을 위해, 외부 자기장 발생기(36)로부터의 자기장에 응답하여 자기 위치 센서(39)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자기장 발생기(36)는 환자(28) 외부의 알려진 위치에, 예컨대 테이블(29) 아래에 배치된다. 콘솔(24)은 또한 자기장 발생기(36)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기 회로(34)를 포함한다.
외부 자기장을 사용하는 위치 감지 방법은 다양한 의료 응용, 예를 들어 바이오센스-웹스터 인크.(Biosense-Webster Inc.)(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 소재)에 의해 제조된 카르토(CARTO)™ 시스템에서 구현되며, 미국 특허 제5,391,199호, 제6,690,963호, 제6,484,118호, 제6,239,724호, 제6,618,612호, 및 제6,332,089호, PCT 특허 공보 WO 96/05768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065455 A1호, 제2003/0120150 A1호, 및 제2004/0068178 A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이들의 개시내용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전형적으로, 콘솔(24)의 프로세서(41)는, 카테터(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뿐만 아니라, 심장(26)의 좌심방에 카테터(21)를 통해 절제 에너지를 인가하는 데 그리고 시스템(2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데 적합한 프론트 엔드(front end) 및 인터페이스 회로(44)를 갖는, 범용 컴퓨터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는 전형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시스템(20)의 메모리(48) 내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전자 형태로 다운로드될 수 있거나, 그것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자기, 광학, 또는 전자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 유형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media) 상에 제공되고/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효능 및 진행의 추정
펄스식 전계 절제(Pulsed Field Ablation, PFA)로도 지칭되는 비가역적 전기천공(IRE)은 고전압 펄스를 조직에 인가함으로써 절제 부위에서 병변을 형성하기 위한(예컨대, 조직 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한) 최소 침습성 치료 기법(minimally invasive therapeutic modality)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IRE 펄스는 심장(26)에서 심장 부정맥을 처치하기 위해 심근 조직 세포를 사멸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막 전위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 세포 파괴가 일어나, 세포사 및 이에 따른 조직 병변의 발달로 이어진다. 따라서, 예컨대 절제 부위에서 조직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전극(50)들을 사용하여, 고전압 양극성 전기 펄스들을 사용해서 (예컨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높은 전기장을 발생시켜 전극들 사이에 위치된 조직 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이 특히 관심대상이다.
본 개시의 문맥에서, "양극성" 전압 펄스는, 예를 들어 카테터 상에 위치되지 않은 일부 공통 접지 전극에 대한 카테터 전극에 의해, 예컨대 고주파 절제 동안, 인가되는 단극성 펄스와는 대조적으로, 카테터(21)의 2개의 전극(50)들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를 의미한다.
심장(26)의 비교적 큰 조직 영역, 예를 들어 폐 정맥(PV)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장기의 소공의 원주에 걸쳐 IRE 절제를 구현하기 위해, 편향가능 팁 섹션(40) 내에 다중 전극(50)들을 갖는 카테터(21)의 다수의 쌍의 전극(50)들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성된 전기장을 큰 조직 영역에 걸쳐 가능한 한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중첩하는 전기장들, 또는 적어도 서로 인접한 전기장들을 갖는 선택된 쌍들의 전극(50)들을 갖는 것이 최상이다. 그러나, IRE 발생 전기장들에 의해 발생하는 줄(Joule) 가열 성분이 있고, 이러한 가열은 다수의 쌍의 전극(50)들이 IRE 펄스들의 시퀀스를 전달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사용될 때 전극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20)은 케이블(37)을 통해 환자(28)의 흉부 및 어깨로 연장되는 와이어들에 의해 부착되는 바와 같은, 도 1의 예에 도시된 표면 전극(38)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면 전극(38)은 심장(26)의 박동에 응답하여 신체-표면(body-surface, BS) ECG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BS ECG 신호의 획득은 신체 표면에 부착된 전도성 패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전극(38)들이 환자(28)의 흉부 및 어깨에 부착되지만, 추가의 표면 전극(38)들이 팔다리와 같은 환자(28)의 다른 장기들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50)은 심장내(IC) ECG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예컨대, 동시에) 표면 전극(38)이 BS ECG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C ECG 신호를 감지하는 것은 IRE 절제를 수행하기에 충분할 수 있어서, 표면 전극(38)이 다른 사용 경우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의사(30)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50)을 심장(26) 내의 절제 부위에서의 목표 조직에 결합시킬 수 있다. 목표 조직은 전극(50)을 통해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절제되도록 의도된다. IRE 펄스들이, 예컨대 IRE 절제 시술의 상이한 스테이지들 동안, 목표 조직에 다수회 인가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IRE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로 지칭되는, 목표 조직에 제1 IRE 펄스를 인가하는 것 이전에, 의사(30)는 본 명세서에서 제1 양극성 신호로 지칭되는 양극성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50)들을 사용할 수 있다. IRE 절제 시술의 후속 스테이지들, 예컨대 제2 및 제3 스테이지들에서, 제1 IRE 펄스를 인가한 후에, 의사(30)는 IRE 절제 시술의 효능 및/또는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제2 및 제3 양극성 신호들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후속 양극성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이러한 쌍의 전극(50)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용어 "제2 양극성 신호"는 제1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한 쌍의 전극들에 의해 획득된 양극성 신호를 지칭하고, 용어 "제3 양극성 신호"는 제2의 후속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획득된 양극성 신호를 지칭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스테이지들은 IRE 절제 시술의 임의의 다른 스테이지들을 지칭할 수 있고, 따라서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양극성 신호들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시간에, 예컨대 IRE 펄스를 인가하기 전에, 인가하는 도중에, 또는 인가한 후에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전극(50)들로부터 전술된 제1 및 제2 (및 선택적으로 제3) 양극성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수신된 양극성 신호에 대해 각자의 양극성 신호의 진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IRE 절제 시술 동안, 프로세서(41)는 (i) 제1 양극성 신호의 제1 진폭(예컨대, 제1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전에 전극(50)들에 의해 획득됨), (ii) 제2 양극성 신호의 제2 진폭(예컨대, 제1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전극(50)들에 의해 획득됨), 및 선택적으로, (iii) 제2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선택적으로 인가한 후에 전극(50)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제3 양극성 신호의 제3 진폭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41)는 IRE 절제의 효능 및 진행과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전술된 진폭들 중 2개 이상을 갖는 그래프를, 예컨대 디스플레이(27)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그래프가 아래의 도 2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시스템(20)의 이러한 특정 구성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소정의 문제점들을 예시하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IRE 절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의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용을 보여주기 위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종류의 예시적인 시스템으로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유사하게 다른 종류의 절제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양극성 신호의 진폭을 표시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IRE 절제 파라미터를 추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표시된 진폭의 그래프(60)의 개략적인 그림 예시도이다. 위의 도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래프(60)는 디스플레이(27) 상에 또는 시스템(2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래프(60)는, 의사(30)가 예를 들어 IRE 절제 시술의 제1 및 제2 스테이지들 동안 심장(26)의 목표 조직에 결합시켰던(예컨대, 접촉시켰던) 3개의 각자의 쌍(1, 4, 7)의 전극(50)들로부터 수신된 양극성 신호들의 진폭(mv 단위로 측정됨)들을 나타내는 3개의 막대(61, 64, 67)를 표시한다.
도 2의 예에서, 막대(61)는 쌍(1)의 전극(50)들 사이에서 측정된 양극성 신호들의 진폭을 나타내는, 서로 중첩하는 막대(62, 63)들을 포함한다. 막대(62)는 본 명세서에서 제1 양극성 신호로도 지칭되는, 목표 조직에 IRE 절제 펄스들을 인가하기 전에 획득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막대(63)는 본 명세서에서 제2 양극성 신호로도 지칭되는, 목표 조직에 최근 절제 펄스들을 인가한 후에 획득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막대(64)는 전극 쌍(4)의 전극(50)들 사이에서, IRE 절제 시술의 전술된 제1 및 제2 스테이지들에서 각각 측정된 양극성 신호들의 진폭을 나타내는, 서로 중첩하는 막대(65, 66)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막대(67)는 전극 쌍(7)의 전극(50)들 사이에서, IRE 절제 시술의 전술된 제1 및 제2 스테이지들에서 각각 측정된 양극성 신호들의 진폭을 나타내는, 서로 중첩하는 막대(68, 69)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래프(60)의 막대(61, 64, 67)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41)는 의사(30)가 심장(26)의 절제 부위에서 수행되는 IRE 절제의 진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그래프(60)에 기초하여, 의사(30)는 IRE 절제의 효능, 및 그/그녀가 본 명세서에서 제2 IRE 펄스로도 지칭되는 추가의 IRE 펄스들을 하나 이상의 특정 쌍의 전극(50)들에 인가하여 결과적 IRE 절제 시술을 개선하기 위해 IPG(45)(및 스위칭 박스(46))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하나 이상의 특정 쌍의 전극(50)들에 추가의 IRE 펄스들을 인가하기 위해 IPG(45)(및 스위칭 박스(4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막대(62, 65, 68)들이 목표 조직에 IRE 펄스들을 인가하기 전에 측정된 양극성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막대(63, 66, 69)들이 IRE 펄스들(의 제1 세트)을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측정된 양극성 신호 진폭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일한 쌍의 전극들 상에서 측정된 진폭들 사이의 차이를 표시함으로써, 의사(30)는 각자의 절제된 영역에서의 IRE 절제의 진행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막대(67)의 막대(68, 69)들 사이의 차이는 막대(64)의 막대(65, 66)들 사이의 차이보다 더 크다. 막대(64, 67)들에 의해 예시된 진폭들이 각자의 전극 쌍(4, 7)들 상에서 측정되고, 막대(64, 67)들이 프로세서(41)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막대(64, 67)들을 바라봄으로써, 의사(30)는 (전극 쌍(4)에 의해 측정되는 영역과 비교하여) 전극 쌍(7)에 의해 측정되는 영역에서, 절제의 효능이 더 크고, 절제가 더 빠르게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래프(60)를 표시하는 대신에, 프로세서(41)는 신호 진폭의 감소의 백분율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는 목표 조직을 100%로 절제하기 전에 전극(50)들 사이에서 측정된 양극성 신호들의 진폭을 표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인가한 후에, 프로세서(41)는 잔여 백분율 또는 감소된 백분율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전극 쌍(1)에서, 프로세서(41)는 막대(62, 63)들 사이의 차이 대신에, 감소된 백분율의 35%와 같은 수치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전극 쌍(7)에서, 프로세서(41)는 막대(68, 69)들 사이의 (백분율 단위의) 차이에 대응하는 7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문맥에서, 용어 "감소된 백분율"은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인가하기 전과 후의 측정된 진폭 사이의 수치적 차이를 보여주는 임의의 종류의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각자의 전극 쌍에 인가된 충분한 IRE 펄스들을 나타내는, 진폭 레벨에 대한 임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예에서, 임계치는 막대(69) 상에 표시된 진폭보다 더 클 수 있고, 막대(63, 66)들 상에 표시된 진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가의 IRE 펄스들을 전극 쌍(7)에 인가할 필요가 없지만, 병변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극 쌍(1, 4)들에 의해 추가의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인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막대(63, 66)들에 기초하여, 의사(30) 또는 프로세서(41)는 절제 부위에서 목표 조직을 따라 균일한 병변을 형성하기 위해, 전극 쌍(1, 4)들에 추가의 하나 이상의 IRE 펄스의 상이한 세트들을 인가하도록 IPG(4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에너지 및 주어진 지속시간을 갖는 제1의 추가의 IRE 펄스가 전극 쌍(4)에 의해 목표 조직에 인가될 수 있고, 예컨대 더 큰 에너지 및/또는 더 긴 지속시간을 갖는 제2의 추가의 IRE 펄스가 전극 쌍(1)에 의해 목표 조직에 인가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전극들의 서브세트 상에서 동일한 절제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각각의 전극 쌍에 대한 임계치(또는 모든 쌍의 전극들에 대한 공통 임계치)를 설정하고,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인가한 후에, (i)(예컨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임계치에 대한 측정된 진폭 레벨, 또는 임계치와 측정된 진폭 레벨 사이의 산술 차이를 보여주는 수치 값(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차이로도 지칭됨)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IRE 펄스들을 인가하기 전의 진폭은 1 mv 또는 2 mv일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IRE 펄스의 제1 세트를 인가한 후에 측정된 진폭이 0.1 mv보다 더 낮은 경우에, 각자의 전극 쌍에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측정된 진폭이 임계치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프(60)의 이러한 특정 구성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소정의 문제점들을 예시하기 위해 그리고 절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의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적용을 보여주기 위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종류의 예시적인 그래프로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IRE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절제 시술 동안 및 그 후에 절제 파라미터들의 추정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그래프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래프(60)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측정된 진폭은 (서로 중첩하기보다는) 인접한 막대들을 사용하여 또는 산포와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시되어,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의사(30)는 디스플레이(27) 상에 표시된 목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형의 그래프를 표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시간 경과에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된 추가의 양극성 신호들을 유지할 수 있고, 의사(30)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프로세서(41)는 다수의(예컨대, 2개 초과의) 측정된 진폭 사이의 비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의사(30)가 IRE 절제의 진행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의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수행되는 절제 시술의 제3 스테이지에서, 프로세서(41)는 제3 진폭을 갖는 제3 양극성 신호의 측정치를 각자의 쌍의 전극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진폭(제1 IRE 펄스를 인가하기 전에 이러한 쌍의 전극들에 의해 획득됨) 및 제3 스테이지에서 획득된 제3 진폭에 기초하여, 프로세서(41)는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IRE 절제 시술 동안 획득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하여,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카테터 삽입 단계(100)에서 시작되는데, 이때 의사(30)는 환자 심장(26)에서의 절제 부위 내로 IRE 카테터(21)를 삽입하고, 하나 이상의 쌍의 전극(50)들을 심장(26)의 목표 조직과 접촉하게 한다. 위의 도 1에 묘사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쌍의 전극(50)들이 심장(26)에서의 목표 조직에 결합된 때, 카테터(21)는 IPG(45)에 의해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함으로써 IRE 절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의 설명은 단일 쌍의 전극(50)들을 지칭하지만, 예를 들어 위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쌍의 전극(50)들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제1 절제 단계(102)에서, 프로세서(41)는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예컨대 IRE 펄스들을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전에, 제1 진폭을 갖는 제1(예컨대, 절제전(pre-ablation)) 양극성 신호를 이러한 쌍의 전극(50)들로부터 수신한다. 제2 절제 단계(104)에서, 의사(30)는 제1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위해 카테터(21)를 사용한다. 제1 IRE 펄스를 인가한 후에, 프로세서(41)는 후속(예컨대, 제2) 진폭을 갖는 후속(예컨대, 제2) 양극성 신호를 이러한 쌍의 전극(50)들로부터 수신한다. 제2 양극성 신호가, 제1 IRE 펄스를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절제 부위에서 이러한 쌍의 전극(50)들 사이에서 측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추정 단계(106)에서, 프로세서(41)는, 예컨대 그래프(60) 상에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함으로써, 적어도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IRE 절제의 효능을 추정하거나, 의사(30)가 이를 추정하도록 돕는다. 결정 단계(108)에서, 프로세서(41) 및/또는 의사(30)는 파라미터가 목표 임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용어 "목표 임계치"는 임계 수치, 또는 제1 진폭과 제2 진폭 사이의 비 또는 차이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의사(30)는 시각적 비교에 의해, 예를 들어 막대(62, 63)들 간에 비교함으로써, 파라미터가 목표 임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파라미터가 목표 임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이 방법은 제2 IRE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 단계 104로 되돌아가고, 뒤이어 제3 진폭을 갖는 제3 양극성 신호가 획득되며, 단계 106 및 단계 108에서 제3 진폭이 목표 임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추정된다.
시술 완료 단계(110)에서, 파라미터가 목표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에, 예컨대 임의의 적합한 개수의 IRE 절제 펄스들을 인가한 후에, 의사(30)는 IRE 절제 시술을 완료하고 카테터(21)를 환자 심장(26)으로부터 후퇴시킨다.
일부 경우에, 단계 104, 단계 106 및 단계 108의 루프를 수회 수행한 후에,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목표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는 의사(30)에게 카테터(21) 또는 RF 절제 시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카테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고주파(RF) 절제 펄스의 세트를 목표 조직에 인가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주로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절제 시술의 개선을 다루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시스템은 또한 다른 응용들에, 예를 들어 환자(28)의 임의의 적합한 장기에 적용되는, RF 절제와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절제 시술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로서 언급된다는 것, 그리고 본 발명이 위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는 전술된 다양한 특징들의 조합 및 하위-조합 둘 모두뿐만 아니라, 전술한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떠오를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개시되지 않은 그의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한다. 본 특허 출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은, 임의의 용어가 이러한 포함되는 문헌에서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이루어진 정의와 상충되는 방식으로 정의되는 경우에, 본 명세서 내의 정의만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의 필요불가결한 부분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의 진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절제 카테터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을 목표 조직에 결합시키는 단계;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상기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1 진폭을 갖는 제1 양극성(bipolar)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상기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2 진폭을 갖는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그래프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그래프 상에, 상기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막대(bar) 및 상기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막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카테터의 추가의 쌍의 전극들로부터 추가의 제1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1 양극성 신호 및 추가의 제2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1 막대 및 상기 추가의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2 막대를 상기 동일한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전극들은 제1 부위에서 상기 목표 조직에 결합되고, 상기 추가의 쌍의 전극들은 상기 제1 부위와 상이한 제2 부위에서 상기 목표 조직에 결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동일한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조직에 (i) 상기 제1 부위에서 제1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그리고 (ii) 상기 제2 부위에서 제2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IRE 펄스들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IRE 펄스와 상이한 상기 제1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덧씌워지는 상기 제1 및 제2 막대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상기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전에 상기 제1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RE 펄스를 상기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상기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조직에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할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IRE 펄스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절제 시술의 제3 스테이지에서, (i) 상기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조직에 상기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ii) 상기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3 진폭을 갖는 제3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1 및 제3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는 (i) 상기 제1 진폭과 상기 제2 진폭 사이의 제1 수치 차이, 및 (ii) 상기 제2 진폭과 목표 임계치 사이의 제2 수치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을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목표 조직에 결합되는 절제 카테터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들로부터, (a) 절제 시술의 제1 스테이지에서, 제1 진폭을 갖는 제1 양극성 신호를 그리고 (b) 상기 절제 시술의 제2 스테이지에서, 제2 진폭을 갖는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절제 시술의 진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동일한 그래프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진폭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막대 및 상기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막대를 상기 동일한 그래프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절제 카테터의 추가의 쌍의 전극들로부터 추가의 제1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1 양극성 신호 및 추가의 제2 진폭을 갖는 추가의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의 제1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1 막대 및 상기 추가의 제2 진폭을 나타내는 추가의 제2 막대를 상기 동일한 그래프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전극들은 제1 부위에서 상기 목표 조직에 결합되고, 상기 추가의 쌍의 전극들은 상기 제1 부위와 상이한 제2 부위에서 상기 목표 조직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일한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조직에 (i) 상기 제1 부위에서 제1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그리고 (ii) 상기 제2 부위에서 제2 IRE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 펄스 발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상이한 상기 제1 및 제2 IRE 펄스들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펄스 발생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덧씌워지는 상기 제1 및 제2 막대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비가역적 전기천공(IRE) 펄스를 상기 목표 조직에 인가하기 전에 상기 제1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RE 펄스를 상기 목표 조직에 인가한 후에 상기 제2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조직에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할지 여부를 점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가의 IRE 펄스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절제 시술의 제3 스테이지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추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조직에 상기 추가의 IRE 펄스를 인가하고, (ii) 상기 쌍의 전극들로부터 제3 진폭을 갖는 제3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고, (iii) 상기 제1 및 제3 진폭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제1 진폭과 상기 제2 진폭 사이의 제1 수치 차이, 및 (ii) 상기 제2 진폭과 목표 임계치 사이의 제2 수치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210041066A 2020-06-29 2021-03-30 측정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한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의 추정 KR20220001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14,624 US20210401491A1 (en) 2020-06-29 2020-06-29 Estimating progress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based on amplitude of measured bipolar signals
US16/914,624 2020-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38A true KR20220001438A (ko) 2022-01-05

Family

ID=7530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066A KR20220001438A (ko) 2020-06-29 2021-03-30 측정된 양극성 신호의 진폭에 기초한 비가역적 전기천공 절제의 진행의 추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401491A1 (ko)
EP (1) EP3932353A1 (ko)
JP (1) JP2022013663A (ko)
KR (1) KR20220001438A (ko)
CN (1) CN113925597A (ko)
IL (1) IL2818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3235A1 (en) * 2021-01-22 2022-07-28 CRC EP, Inc. Ablation Catheter for Pulsed-Field Ablation and Method for Electrode Position Assessment for Such Catheter
US20230371836A1 (en) * 2022-05-18 2023-11-23 Biosense Webster (Israel) Ltd. Impedance-based ablation index for ire
US20240108402A1 (en) * 2022-10-03 2024-04-0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eamless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tissue ab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1199A (en) 1993-07-20 1995-02-21 Biosens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diac arrhythmias
ES2210662T3 (es) 1994-08-19 2004-07-01 Biosense, Inc. Sistemas medicos de diagnosis, de tratamiento y de imagen.
US6690963B2 (en) 1995-01-24 2004-02-10 Biosense,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an invasive medical instrument
IL125757A (en) 1996-02-15 2003-09-17 Biosense Inc Medical procedures and apparatus using intrabody probes
US6618612B1 (en) 1996-02-15 2003-09-09 Biosense, Inc. Independently positionable transducers for location system
US6239724B1 (en) 1997-12-30 2001-05-29 Remon Medical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elemetrically providing intrabody spatial position
US6484118B1 (en) 2000-07-20 2002-11-19 Biosense, Inc. Electromagnetic position single axis system
JP2004520865A (ja) * 2000-07-25 2004-07-15 リタ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局在化インピーダンス測定を使用する腫瘍の検出および処置のための装置
US7729742B2 (en) 2001-12-21 2010-06-01 Biosense, Inc. Wireless position sensor
US20040068178A1 (en) 2002-09-17 2004-04-08 Assaf Govari High-gradient recursive locating system
EP2632012B1 (de) * 2012-02-22 2016-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ynchronisieren einer Einspeisespannung mit einer Netzspannung
CA2865168A1 (en) * 2012-03-04 2013-09-12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Generator assemblies for neuromodulation therap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639098B2 (en) 2014-05-06 2020-05-05 Cosman Instruments, Llc Electrosurgical generator
EP3115011A1 (en) * 2015-07-10 2017-01-11 AFreeze GmbH Ablation catheter device with electrodes for detecting an electric response of biological material
US10575892B2 (en) * 2015-12-31 2020-03-03 Ethicon Llc Adapter for electrical surgical instruments
US20210267710A1 (en) * 2018-08-16 2021-09-02 Cartosense Private Limited Visual guidance for aligning a physical object with a reference location
WO2020072749A1 (en) * 2018-10-05 2020-04-09 Epix Therapeutics, Inc. Lesion formation assessment and display
US11707320B2 (en) * 2019-12-24 2023-07-25 Biosense Webster (Israel) Ltd.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based on field, contact force and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5597A (zh) 2022-01-14
JP2022013663A (ja) 2022-01-18
EP3932353A1 (en) 2022-01-05
IL281859A (en) 2022-01-01
US20210401491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2210A1 (en) Using reversible electroporation on cardiac tissue
EP3932353A1 (en) Estimating progress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based on amplitude of measured bipolar signals
EP3944831A1 (en) Automatically perform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during heart refractory period
EP3944830A1 (en) Controll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using a focal catheter having contact-force and temperature sensors
US20230346467A1 (en) Bipolar tissue abla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fined periodic set of time slots
EP4166106A1 (en) High frequency unipolar electroporation ablation
US20220387100A1 (en) Bipolar electrode pair selection
RU2771638C1 (ru) Оценивание развития абляции методом необратимой электропорации на основании амплитуды измеренных биополярных сигналов.
EP4157122A1 (en) Overlay of dynamic spatial data on user interface for ablation by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JP2022024985A (ja) 気泡の発生を回避するための慎重な不可逆電気穿孔(ire)プロトコル
US20220183748A1 (en) Accurate tissue proximity
EP4137079A1 (en) Phrenic nerve warning
US20240122639A1 (en) Displaying a transition zone between heart chambers
US20230310072A1 (en) Directed pulsed electric field ablation
EP4279002A1 (en) Impedance-based ablation index for ire
EP4101375A1 (en) Automatic anatomical feature identification and map segmentation
CN115363741A (zh) 通过将应力信号施加到目标组织来改善ire消融程序的效率
WO2023192863A1 (en) Directed pulsed electric field ab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