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411U - 이동식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411U
KR20220001411U KR2020200004530U KR20200004530U KR20220001411U KR 20220001411 U KR20220001411 U KR 20220001411U KR 2020200004530 U KR2020200004530 U KR 2020200004530U KR 20200004530 U KR20200004530 U KR 20200004530U KR 20220001411 U KR20220001411 U KR 20220001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mory module
memory
connector
conn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허강
최하늘
Original Assignee
김동근
허강
최하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근, 허강, 최하늘 filed Critical 김동근
Priority to KR2020200004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411U/ko
Publication of KR2022000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이동식 기억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이동식 기억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마련되는 커넥터 모듈과, 그리고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과 상기 메모리 모듈은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과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을 자력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모듈과 메모리 모듈 간의 연결에 따른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기존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화된 이동식 기억장치를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기억장치{UNIVERSAL SERIAL BUS}
본 고안은 이동식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과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을 자력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이동식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는 유니버셜 직렬 버스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직렬 포트를 대체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의 규약이며, 컴퓨터 시스템과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모뎀, 프린터 등의 변기기를 연결하는 외부 버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USB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USB 커넥터는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되는 A-타입 플러그와,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미니타입 플러그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인 것으로, 컴퓨터와 주변기기와의 접속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과 컴퓨터 시스템과의 상호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상기한 USB의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22112호(2006.07.14 등록)는 사용자 인식용 카드, MP3플레이어, 디지탈 카메라 등과 같은 매개체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에 이동시키는 수단인 USB 커넥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상단 중앙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스토퍼면이 형성되고 일측 하단면에 노출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내측에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함침되고 몸체의 일측 하단면에 형성된 노출부에 의해 노출되는 접지단자와, 접지단자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에 위치되는 결합단자를 갖는 단자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단자부가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몸체의 내부에 함침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몸체가 슬림형의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하게 연출될 뿐만 아니라, 단자부의 상단에 볼록진 엠보싱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 단자부의 견고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USB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6-0082020호(2016.07.08 공개)는 기존의 한쪽만 인식하는 USB의 인식을 전환시켜 양면의 단자를 달아서, 어는 부분으로 꽂아도 인식이 가능한 양면 USB 커넥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양면으로 제작 배열방식은 앞뒤로 반대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위쪽에 캡을 다는 방식으로 내부에 칩을 삽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작하며, 기존에 연결하는 부분을 flexible 형식의 연결 부분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USB 장치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전기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USB 커넥터를 삽입하여 연결하기에, 삽입 시에 USB 메모리가 상하 또는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USB 단자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접점 불량이 발생하여 사용시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USB 장치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전기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USB 커넥터를 외부의 힘을 가하여 삽입할 경우에, USB 단자의 연결 방향과 어긋나는 다른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이 들어가 USB 커넥터 또는 USB 포트의 일부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빈번하게 USB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112호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2020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과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을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커넥터 모듈과 메모리 모듈 간의 연결에 따른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기존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화된 이동식 기억장치를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인한 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마련되는 커넥터 모듈; 및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과 상기 메모리 모듈은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USB 포트에 결합되되, 상기 메모리 모듈과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 제1 연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과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내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자석부가 형성되며, 상기 자석부의 표면에 제2 연결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이 연결되는 표면 양측에 한쌍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위치결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핀과 제2 연결핀은, 4핀 또는 5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노트북, 태블릿 및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과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을 자력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모듈과 메모리 모듈 간의 연결에 따른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기존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화된 이동식 기억장치를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커넥터 모듈과 메모리 모듈이 연결된 후, 메모리 모듈은 임의의 물리적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커넥터 모듈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손상 또는 파손이 방지되어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의 커넥터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의 메모리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는, 커넥터 모듈(10)과, 그리고 메모리 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기억장치(USB: Universal Serial Bus)는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커넥터 모듈(10)을 설치한 후,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을 자력에 의해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는 노트북, 태블릿 및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10)은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커넥터 모듈(10)은 메모리 모듈(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로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1)의 데이터를 메모리 모듈(20)에 입력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커넥터 모듈(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결합된다. 커넥터 모듈(10)은 메모리 모듈(20)과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12)는 표면에 제1 연결핀(14)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핀(14)은 4핀 또는 5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도면에 도시된 제1 연결핀(14)은 4핀으로 형성되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연결핀(14)은 5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 모듈(10)은 메모리 모듈(20)과 연결되는 표면 양측에 한쌍의 위치결정홈(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결정홈(16)에는 후술하는 메모리 모듈(20)의 위치결정돌기(28)가 결합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모듈(20)은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메모리 모듈(20)은 커넥터 모듈(10)과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홈(22)이 형성된다. 결합홈(22)은 커넥터 모듈(10)의 결합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리 모듈(20)은 결합홈(22) 내에 결합부(12)와 대응되는 자석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자석부(24)는 결합부(12)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모듈(20)은 자석부(24)의 표면에 제2 연결핀(26)이 형성된다. 제2 연결핀(26)은 제1 연결핀(14)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메모리 모듈(20)은 커넥터 모듈(10)과 제1 연결핀(14)과 제2 연결핀(2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모듈(20)은 커넥터 모듈(10)의 위치결정홈(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돌기(28)가 형성된다. 위치결정돌기(28)는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의 연결시 위치결정홈(16)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은 위치결정홈(16)과 위치결정돌기(28)에 의해 항상 정위치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 간의 단자 불일치로 인한 신호전달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커넥터 모듈(10)의 결합부(12)와 메모리 모듈(20)의 자석부(24)는 서로 바뀌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2)가 자성체로 형성되고, 자석부(24)는 결합부(12)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10)은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설치된다. 즉, 커넥터 모듈(10)은 이동식 기억장치의 사용을 위해 USB 포트(2)에 일정기간 또는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20)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해 커넥터 모듈(10)과 자력에 의해 연결된다. 즉, 메모리 모듈(20)은 커넥터 모듈(10)과 연결시 결합부(12)가 결합홈(22) 내로 삽입되어 자석부(24)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제1 연결핀(14)과 제2 연결핀(26)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 모듈(10)의 결합부(12)가 메모리 모듈(20)의 결합홈(22) 내로 삽입되어 자석부(24)와 부착되는 연결구조에 의해,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 간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화된 이동식 기억장치를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와된 이동식 기억장치는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USB 포트에 이동식 기억장치를 삽입시 상하 또는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접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USB 포트에 이동식 기억장치를 외부의 힘을 가하여 삽입할 경우 USB 단자의 연결 방향과 어긋나는 다른 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이 들어가 USB 포트 또는 이동식 기억장치의 커넥터에 손상을 줄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 간의 상호 유기적인 연결구조에 의해 기존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메모리 모듈(20)은 커넥터 모듈(10)과 자력에 의해 연결된 후, 임의의 물리적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커넥터 모듈(1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손상 또는 파손이 방지되어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는, 각종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10)과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20)을 자력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 간의 연결에 따른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기존 커넥터와 메모리가 일체화된 이동식 기억장치를 사용자 단말기(1)의 USB 포트(2)에 삽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기억장치는, 커넥터 모듈(10)과 메모리 모듈(20)이 연결된 후, 메모리 모듈(20)은 임의의 물리적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커넥터 모듈(1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손상 또는 파손이 방지되면서도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10: 커넥터 모듈
12: 결합부
14: 제1 연결핀
16: 위치결정홈
20: 메모리 모듈
22: 결합홈
24: 자석부
26: 제2 연결핀
28: 위치결정돌기

Claims (5)

  1. 사용자 단말기의 USB 포트에 마련되는 커넥터 모듈; 및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과 상기 메모리 모듈은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USB 포트에 결합되되, 상기 메모리 모듈과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표면에 제1 연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과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내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자석부가 형성되며, 상기 자석부의 표면에 제2 연결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메모리 모듈이 연결되는 표면 양측에 한쌍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기 위치결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핀과 제2 연결핀은, 4핀 또는 5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억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노트북, 태블릿 및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억장치.
KR2020200004530U 2020-12-10 2020-12-10 이동식 기억장치 KR202200014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30U KR20220001411U (ko) 2020-12-10 2020-12-10 이동식 기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30U KR20220001411U (ko) 2020-12-10 2020-12-10 이동식 기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11U true KR20220001411U (ko) 2022-06-17

Family

ID=822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530U KR20220001411U (ko) 2020-12-10 2020-12-10 이동식 기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41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112Y1 (ko) 2006-04-24 2006-07-24 주식회사 린텍 Usb 커넥터
KR20160082020A (ko) 2014-12-30 2016-07-08 권소정 양면 usb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112Y1 (ko) 2006-04-24 2006-07-24 주식회사 린텍 Usb 커넥터
KR20160082020A (ko) 2014-12-30 2016-07-08 권소정 양면 usb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717B1 (en) User-friendly USB connector
JP3158420U (ja) カードリーダー
EP164955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771238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712526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various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s
US8070067B2 (en) Receptacles for removable electrical interface devices
US20060161716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portable memory unit to a host,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adapter
CN201956490U (zh) 一种可双面插接的usb插座与插头
US20040033727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70145154A1 (en) Interface for a removable electrical card
US20090088024A1 (en) High speed connector and receptacle with backward compatibility to usb 2.0
KR100439405B1 (ko) 유에스비 결합구조
JP4817271B2 (ja) カードリーダー
TWI543480B (zh) 多平台連接器之技術
US8746990B2 (en) Universal modular connector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US6957983B1 (en) Monitoring module of multi-card connector
TWI703771B (zh) 用於互連之裝置及方法以及電子系統
KR20220001411U (ko) 이동식 기억장치
TWM249143U (en) Signal adaptor of embedded memory card
US20100125692A1 (en) Computer interface kit and computer interface device thereof
JP3158244U (ja) カードリーダー機能を備えたusbケーブル
JP3167768U (ja) 収納構造を具有するストラップ装置
JP3149967U (ja) Usbプラグのカードリーダー
CN2935518Y (zh) 电子讯号连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