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29U -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29U
KR20220001229U KR2020200004253U KR20200004253U KR20220001229U KR 20220001229 U KR20220001229 U KR 20220001229U KR 2020200004253 U KR2020200004253 U KR 2020200004253U KR 20200004253 U KR20200004253 U KR 20200004253U KR 20220001229 U KR20220001229 U KR 202200012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astening element
disposed
brush holder
recei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452Y1 (en
Inventor
장삼용
이희용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2020200004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52Y1/en
Publication of KR20220001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2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5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수납함에는 적어도 한 개의 체결요소가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 수납함 내에 수용되는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다.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drum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ried, and a brush hol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receive a brush, wherein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s formed in the brush holder. It is possible to hold the brush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Description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들은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의류 건조기는 의류 세탁 후 젖은 상태의 피건조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자연 건조보다 피건조물의 옷감을 보다 더 살려줄 수 있으며, 생활 먼지나 보푸라기를 제거할 수 있다. The clothes dryer shortens the drying time of an object to be dried in a wet state after washing clothes, can save the fabric of the object to be dried more than natural drying, and can remove household dust and lint.

일반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는 하우징 본체, 하우징 본체 내부에 회전하는 드럼,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 장치,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을 통과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습 장치, 지지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회전하는 드럼에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고 제습 장치를 통과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의류 건조기의 프레임들은 조립될 때 의류 건조기의 기능 향상성을 위해 프레임들 간의 결합 요소의 형상 등이 고려될 수 있다.In general, a clothes dryer for drying an object includes a housing body, a drum rotating inside the housing body,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drum, an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ir into the rotating drum, and It may include a dehumidifying device for condensing moisture, a support frame, and the like. In the clothes dryer, high-temperature dry air is supplied to a rotating drum and passes through a dehumidifying device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In this case, when the frames of the clothes dryer are assembled, the shape of a coupling element between the frames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clothes dryer.

이와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164884 B2호는 의류 건조기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 고안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 내에 온풍을 순환시키는 열교환 팬을 통한 건조 제어에 관한 것이다.In this regar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164884 B2 discloses a clothes dryer. The invention relates to drying control through a heat exchange fan that circulates warm air in a drum drying clothes.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designe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브러쉬와 브러쉬 수납함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brush holder capable of minimizing noise due to vibration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rush and the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닌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brush hold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수납함에는 적어도 한 개의 체결요소가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 수납함 내에 수용되는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다.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drum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ried, and a brush hol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receive a brush, wherein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s formed in the brush holder. It is possible to hold the brush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이 때, 상기 브러쉬 수납함은. 상기 브러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접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ush holder. It is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ush and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rush and an access part whic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allow a user's hand to enter, and the fastening element is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can be placed in

2개의 체결요소가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Two fastening elements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the first fastening element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part.

각각의 체결요소는 2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1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제1 체결요소와 상기 제2 체결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Each fastening element is formed of two hooks, a first hook is dispos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hook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an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access part is formed with the first fastening eleme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elements.

상기 브러쉬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중앙 부분이 외면의 양측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요소의 각각의 후크는 상기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릴 수 있다.The brush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as it progresses from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orms a concave portion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each hook of the fastening element has a concave shape of the brush. part can be engaged.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수용할 수 있는 브러쉬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납함은, 상기 브러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중앙 부분이 외면의 양측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릴 수 있다.In the brush housing that can accommodate 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ush holder is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ush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rush,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capable of holding the brush is included, and the brush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as it progresses from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s concave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fastening element may engage the concave portion of the brush.

이 때, 2개의 체결요소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우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체결요소는 2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1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wo fasten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each fastening element has two hooks. formed, the first hook may be dispos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hook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상기 브러쉬 수납함은, 상기 수용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접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제1 체결요소와 상기 제2 체결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ush holder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portion formed in a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allow a user's hand to enter, and the access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element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는 브러쉬와 브러쉬 수납함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minimize noise due to vibration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rush and the brush holder.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는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에 수용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다.
1 and 2 show 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etailed view of a brush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shows in detail a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나타내며,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납함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상세히 나타내며,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에 수용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다.1 and 2 show a brush hold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3 shows a brush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detail. 4 is a detailed view of a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하우징(100),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200) 및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수납함(300)을 포함하고, 브러쉬 수납함에는 적어도 한 개의 체결요소가 형성되어 브러쉬 수납함 내에 수용되는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다.1 and 2,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a drum 200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an object to be dried, and a brush housing 3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accommodate the brushes. ), and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s formed in the brush holder to hold the brush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구체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브러쉬 수납함(300)은. 브러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브러쉬(310)를 수용하는 수용부(320) 및 수용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접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 3, the brush holder 300 is. It is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ush to include a receiving portion 320 for accommodating a brush 31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access portion 330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allow the user's hand to enter. can

이 때, 복수 개의 체결요소(341, 342)는 수용부(3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2개의 체결요소가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체결요소(341)는 수용부(32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체결요소(342)는 수용부(4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astening elements 341 and 342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320 . As an example, two fasten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the first fastening element 34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part 320 ,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342 is the receiving part 420 . It may be placed on the right.

각각의 체결요소는 2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1 후크는 수용부의 내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후크는 수용부의 내측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근부(330)는 제1 체결요소(341)와 제2 체결요소(3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Each fastening element may be formed of two hooks, a first hook may be dispos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hook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an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lso, the access portion 33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element 341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342 .

이와 같은 구조를 지니는 브러쉬 수납함을 통하여, 브러쉬를 건조기의 내측에 보관함으로써 미사용시 브러쉬를 분실할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 내에서 탈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후크로 구성된 체결요소가 브러쉬를 홀딩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Through the brush holder having such a structure, by storing the brush inside the dryer, the fear of losing the brush when not in use can be eliminated, and the brus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In addition, the fastening element composed of two hooks holds the brush, thereby minimizing noise caused by vibration.

아울러, 2개의 체결요소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접근할 수 있는 접근부(330)를 배치시킴으써, 브러쉬를 브러쉬 수납함으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브러쉬 수납합의 외측을 향하는 힘은 브러쉬의 가운데 부분에 작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쉬의 좌우측에서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키고 있는 체결요소로부터 상기 브러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access part 330 that the user's hand can access between the two fastening elements, when the brush is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the outward force of the brush housing applied by the user is It can be applied to the middle part of the brush. Accordingly, the brus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elements holding the brus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ush.

도4를 참조하면, 브러쉬(310)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중앙 부분이 외면의 양측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3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에 수용된 경우, 브러쉬 수납함의 체결요소의 각각의 후크는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rush 310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as it progresses from left to right to the cente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as a concave portion 311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 Accordingly, when the brush is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each hook of the fastening element of the brush holder may engage the concave portion of the brush.

상기와 같은 브러쉬 수납함 상에 형성된 후크와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맞물리는 체결 구조를 통하여, 건조기 자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이 브러쉬 및 브러쉬 수납함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Through the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of the brush and the hook formed on the brush holder as described above engage with each other,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dryer itself is minimiz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rush and the brush holder, and furthermore, the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is minimized can do it

도5를 참조하면, 도5의 (a)와 같이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체결요소의 후크들 사이의 거리는 기 설정된 거리(D1)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5도의 (b)와 같이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에 수용되어 체결요소가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린 경우, 체결요소의 후크들 사이의 거리는 기 설정된 거리(D1) 보다 일정량이 증가한 거리(D2)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서, 상부의 후크는 상측으로 1mm 정도 이동되고 하부의 후크는 하측으로 1mm 정도 이동하게 되어 증가된 거리(D2)는 기 설정된 거리(D1) 보다 2mm가 증가된 거리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brush is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as shown in FIG. 5A ,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s of the fastening element may be maintained at a preset distance D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brush is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and the fastening element is engaged with the concave part of the brush, as shown in (b) of FIG. can be maintained At this time, as an example, the upper hook moves upward by about 1 mm and the lower hook moves downward by about 1 mm, so that the increased distance D2 may be a distance increased by 2 mm from the preset distance D1. .

상기의 구성들을 포함하는 브러쉬 수납함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는 브러쉬와 브러쉬 수납함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브러쉬가 브러쉬 수납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A brush holder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can minimize noise caused by vibrations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rush and the brush holder,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rush holder. .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하우징
200 : 드럼
300 : 브러쉬 수납함
100: housing
200: drum
300: brush holder

Claims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브러쉬를 수용하는 브러쉬 수납함;
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수납함에는 적어도 한 개의 체결요소가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 수납함 내에 수용되는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는, 건조기.
housing;
a drum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ried; and
a brush hol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accommodate the brush;
including,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s formed in the brush holder to hold the brush accommodated in the brush holder, the dr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납함은.
상기 브러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접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rush holder.
a receiving part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ush and accommodating the brush; and
an access unit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to allow a user's hand to enter;
including,
The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dryer.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체결요소가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건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wo fasten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The first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결요소는 2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1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제1 체결요소와 상기 제2 체결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건조기.
4. The method of claim 3,
Each fastening element is formed of two hooks,
The first hook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hook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access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element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중앙 부분이 외면의 양측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요소의 각각의 후크는 상기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릴 수 있는, 건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ush is
As it progresses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orms a concave portion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each hook of the fastening element is engageable in a recessed portion of the brush.
브러쉬를 수용할 수 있는 브러쉬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를 홀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중앙 부분이 외면의 양측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요소는 상기 브러쉬의 오목한 부분에 맞물릴 수 있는,
브러쉬 수납함.
In the brush holder that can accommodate the brush,
a receiving part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rush and accommodating the brush; and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hold the brush;
including,
The brush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as it progresses from the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orms a concave portion compar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fastening element is engageable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brush;
Brush holder.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체결요소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체결요소는 수용부의 우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체결요소는 2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제1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하면에 배치되는,
브러쉬 수납함.
7. The method of claim 6,
Two fasten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The first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part,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part,
Each fastening element is formed of two hooks,
The first hook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hook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Brush hol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진입될 수 있는 접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제1 체결요소와 상기 제2 체결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브러쉬 수납함.
8. The method of claim 7,
an access unit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to allow a user's hand to enter;
further comprising,
the access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element and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Brush holder.
KR2020200004253U 2020-11-24 2020-11-24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KR2004964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3U KR200496452Y1 (en) 2020-11-24 2020-11-24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3U KR200496452Y1 (en) 2020-11-24 2020-11-24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29U true KR20220001229U (en) 2022-05-31
KR200496452Y1 KR200496452Y1 (en) 2023-02-06

Family

ID=8176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53U KR200496452Y1 (en) 2020-11-24 2020-11-24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52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9Y1 (en) * 1999-01-29 2000-02-15 나진석 A compact
KR20190000893U (en) * 2019-03-29 2019-04-08 주식회사 삼양 Makeup tool
JP2019098010A (en) * 2017-12-06 2019-06-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Lint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KR20190104826A (en) * 2018-03-02 2019-09-11 이철재 Toothbrush With a Interdental 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39Y1 (en) * 1999-01-29 2000-02-15 나진석 A compact
JP2019098010A (en) * 2017-12-06 2019-06-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Lint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KR20190104826A (en) * 2018-03-02 2019-09-11 이철재 Toothbrush With a Interdental Brush
KR20190000893U (en) * 2019-03-29 2019-04-08 주식회사 삼양 Makeup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52Y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6280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KR101053631B1 (en) Clothing processing device
US20050126035A1 (en) Laundry dryer
JP2007143736A (en) Clothes drying machine
KR2011009991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TE256214T1 (en) Tumble dryer with heat pump
JP2010523195A (en) Drum washing machine
EP1229160B1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JP2007082831A (en)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EP2843114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20220001229U (en) A brush stage box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EP2592184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AU2017205824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JP2007082833A (en)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KR20120019209A (en) Dryer
PL1726711T3 (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wet articles in a dryer drum and a dryer drum
KR102426815B1 (en) A drying rack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KR102485964B1 (en)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431246B1 (en) A controller and a dryer including the same
US20150059201A1 (en) System to reduce moisture within a clothes dryer
KR101024915B1 (en) dry duct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382499B1 (en) Structure for mounting heater of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10162929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ing in washing machine
ES2348233T3 (en) CONTROL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KR100898929B1 (en) Condensing tank supporting apparatus of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