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038U -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 Google Patents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038U
KR20220001038U KR2020200003945U KR20200003945U KR20220001038U KR 20220001038 U KR20220001038 U KR 20220001038U KR 2020200003945 U KR2020200003945 U KR 2020200003945U KR 20200003945 U KR20200003945 U KR 20200003945U KR 20220001038 U KR20220001038 U KR 202200010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egular
pedestal
glass container
glass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문
Original Assignee
이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문 filed Critical 이덕문
Priority to KR2020200003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038U/ko
Publication of KR20220001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glass, pottery, or other ceram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2Giving special shapes to parts of hollow glass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생산되는 유리용기와 함께 나뿌뿌리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하도록 하되 나무와 유리에 의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유리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나무의 뿌리의 일부 중 장식성을 가진 부분을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가지고 상면에는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지는 받침대와;
유리 제조공정에서 블로잉과정에서 블로우 파이프에 원하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외력에 유동성을 가지는 유리의 끝단을 상기 받침대의 부정형 안착면에 가압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 부정형 안착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정형 밀착면을 형성되도록 한 후 입구형성을 위한 절단과 서냉과정을 거쳐 형성된 유리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The glass container equipped with a wooden root pedestal with an irregular mounting surface}
본 고안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작업으로 생산되는 유리용기와 함께 나뿌뿌리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하도록 하되 나무와 유리에 의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유리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고대 메소포타미나와 이집트에서 사용되면서 점차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갔으며 오늘날에는 대량생산되어 주로 창호로 사용되는 판유리와 함께 용기 및 식기류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중 유리용기의 경우 유리가 가지는 취성 즉 충격에 쉽게 깨지는 성질 때문에 안정적이고 넓은 바닥면이 필수적이며 유리가 올리지는 부분도 안정적인 평면이러야 한다.
이에 자동화공정 또는 수공업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용기는 다양한 색감으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형상은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목재는 줄기 부분은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으나 나무뿌리의 경우 임목폐기물로 분류하며 방치하여 자연상태에서 썩거나 일부 톱밥이나 펠릿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나무뿌리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방향을 바꾸거나 굵기가 달라지고 또 분기되는 방식으로 자라나는 것이나 그 형상이 상당히 일반적인 관점에서 볼때 상상히 독특한 미적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077333-0000호 (1994년09월09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90600-0000호 (2000년05월17일)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괴한 모습을 가진 나무뿌리를 유리용기의 받침대로 사용하도록 하되 별도의 유리용기 안착을 위한 평면이나 홈을 가공하지 않고 유리용기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나무의 뿌리의 일부 중 장식성을 가진 부분을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가지고 상면에는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지는 받침대와;
유리 제조공정에서 블로잉과정에서 블로우 파이프에 원하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외력에 유동성을 가지는 유리의 끝단을 상기 받침대의 부정형 안착면에 가압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 부정형 안착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정형 밀착면을 형성되도록 한 후 입구형성을 위한 절단과 서냉과정을 거쳐 형성된 유리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에는 두 개 이상의 부정형 안착면이 형성되어 각각 유리용기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무뿌리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가지도록 하고 블로우 파이프에 유리용기가 연결된 단계에서 가압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 부정형 안착면에 대응하는 부정형 밀착면을 형성되도록 하여 완성된 유리용기를 받침대에 올렸을 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면서 투명한 유리와 목재의 결합에 의한 새로운 심미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상부의 시점에서 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형상의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상부의 시점에서 본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형상의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나무의 뿌리의 일부 중 장식성을 가진 부분을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가지고 상면에는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지는 받침대(1)와;
유리 제조공정에서 블로잉과정에서 블로우 파이프에 원하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외력에 유동성을 가지는 유리의 끝단을 상기 받침대(1)의 부정형 안착면에 가압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 부정형 안착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정형 밀착면을 형성되도록 한 후 입구형성을 위한 절단과 서냉과정을 거쳐 형성된 유리용기(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를 나타내었다.
보통 괴목이라고 부르는 나무뿌리는 그 형상이 특이하여 장식물로도 사용하고 있으며 본원은 비교적 작은 나무뿌리 조각을 활용하여 바닥에 놓았을 때 뒤뚱거리지 않도록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여기에 유리용기(2)를 올려놓았을 때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목질과 유리재질의 조합은 새로운 심미감을 주어 장식용으로 손색없게 된다.
이를 위하여 받침대(1)는 최소한의 가공으로 있는 그대로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유리용기(2)가 안착되는 부분은 다양한 굴곡을 가진 부정형 안착면이라 지정하는 것이다.
여기에 유리의 블로잉 기법에 의하여 블로잉 파이프에 의하여 유리용기(2)의 기본 형상을 가지게 되면 설정된 부정형 안착면에 가압하면서 적당히 공기를 불어넣어주면 부정형 안착면의 굴곡에 따라 성형되는 부정형 밀착면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유리용기(2)가 받침대(1)와 결합하게 되면 보는 이에 따라 산이나 계곡 등을 연상케 하는 바닥면에 의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주는 요소가 되며 어항과 수반 또는 화병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받침대(1)인 나무뿌리는 기본적으로 쉽게 썩지 않는 것으로 약간의 그을림 처리와 샌딩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은 상기 받침대(1)에는 두 개 이상의 부정형 안착면이 형성되어 각각 유리용기(2)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좀더 큰 괴목에 여러 개의 유리용기(2)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경재배 가능한 식물을 키우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1 : 받침대
2 : 유리용기

Claims (2)

  1. 나무의 뿌리의 일부 중 장식성을 가진 부분을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세개 이상의 받침점을 가지고 상면에는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 안착면을 가지는 받침대(1)와;
    유리 제조공정에서 블로잉과정에서 블로우 파이프에 원하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외력에 유동성을 가지는 유리의 끝단을 상기 받침대(1)의 부정형 안착면에 가압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 부정형 안착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정형 밀착면을 형성되도록 한 후 입구형성을 위한 절단과 서냉과정을 거쳐 형성된 유리용기(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에는 두 개 이상의 부정형 안착면이 형성되어 각각 유리용기(2)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KR2020200003945U 2020-11-03 2020-11-03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KR202200010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45U KR20220001038U (ko) 2020-11-03 2020-11-03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45U KR20220001038U (ko) 2020-11-03 2020-11-03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38U true KR20220001038U (ko) 2022-05-10

Family

ID=8158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45U KR20220001038U (ko) 2020-11-03 2020-11-03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03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600Y1 (ko) 2000-02-18 2000-08-01 신경희 유리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600Y1 (ko) 2000-02-18 2000-08-01 신경희 유리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1876A (zh) 一种木镶玉饰品的制造工艺
KR20220001038U (ko) 부정형 안착면을 가진 나무뿌리 받침대를 구비하는 유리용기
CN212938391U (zh) 一种艺洋车花片镶嵌的首饰
CN102941776A (zh) 一种野生山核桃工艺品的制作方法
CN110154617A (zh) 一种桃木掐丝彩砂生产工艺
CN208228421U (zh) 仿真景观植物
CN105835194A (zh) 一种仿古木雕制作工艺
CN204845321U (zh) 一种残古瓷镶嵌饰品
Yu Bamboo: Structure and culture: Utilizing bamboo in the industrial context with reference to its structural and cultural dimensions
CN2552419Y (zh) 木制花瓶
CN205597329U (zh) 内部呈现十二心十二箭效果的钻石
CN205848909U (zh) 内部呈八心八箭的八边形钻石结构
CN107965115A (zh) 一种自由拼接的条型拼花地板
CN1112285C (zh) 巨大型竹材制作的工艺性产品
Harden The Glass of the Greeks and Romans
JP3039144U (ja) 多面カットした合成透明石
CN2498242Y (zh) 板岩文化石墙构件
CN201574559U (zh) 雕刻地板
CN208359003U (zh) 一种加工木质面板成形线条的刀具
JP3153892U (ja) 竹根で作った器
CN2436185Y (zh) 一种新型剑鞘
KR20220002260U (ko) 조립식 타워형 화분
CN2329533Y (zh) 镶嵌粘贴木制工艺品
CN1593952A (zh) 用松果制作原木工艺品的方法
CN201157206Y (zh) 天然石制造的石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