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15U -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15U
KR20220000815U KR2020200003584U KR20200003584U KR20220000815U KR 20220000815 U KR20220000815 U KR 20220000815U KR 2020200003584 U KR2020200003584 U KR 2020200003584U KR 20200003584 U KR20200003584 U KR 20200003584U KR 20220000815 U KR20220000815 U KR 202200008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et
pad part
harness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327Y1 (ko
Inventor
박동운
Original Assignee
박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운 filed Critical 박동운
Priority to KR202020000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2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8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pockets or similar for carrying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가슴둘레를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슴줄;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어깨줄; 상기 애완동물의 목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목줄; 및 상기 목줄과 상기 패드부를 연결하는 체결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스트랩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단을 이루는 제1단과 제2단을 포함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스냅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패드부에 구비된 스냅 버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목줄의 일부 둘레를 감아서 상기 체결 스트랩의 다수의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하네스{PET HARNESS}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족생활의 핵가족화와 서구문명화에 따라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인간과 함께 거주하면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의 수와 종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다양한 종류의 강아지나 고양이, 심지어 돼지에 이르기까지 주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대부분 실내에서 자라게 되므로 일정한 주기마다 운동을 시켜주거나 주인의 산책시에 동반하며 외부 활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애완동물의 외부 활동시에는, 애완동물의 목이나 가슴에 스트랩(또는 하네스)을 착용시킨 후 상기 스트랩에 견인줄을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상기 스트랩은 애완동물의 목을 두르는 목줄이나 애완동물의 어깨를 둘러싸는 어깨줄 등이 있는데, 목줄은 애완동물의 목을 강하게 졸라 고통을 유발하게 되는바, 근래 들어서는 어깨줄 형태의 스트랩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037호(등록일: 2017년07월18일)에는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제시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애완동물에 스트랩을 안정적으로 착용시키고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의 목둘레에 채워지는 목줄이 하네스와 손쉽게 착탈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목줄과 하네스 간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목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구속력이 향상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가슴둘레를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슴줄;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어깨줄; 상기 애완동물의 목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목줄; 및 상기 목줄과 상기 패드부를 연결하는 체결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스트랩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단을 이루는 제1단과 제2단을 포함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스냅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패드부에 구비된 스냅 버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목줄의 일부 둘레를 감아서 상기 체결 스트랩의 다수의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는, 전후 방향의 폭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과 상기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가 통과되는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슴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깨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어깨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슴줄의 제1단과 상기 어깨줄의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1부분에 함께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의 제2단과 상기 어깨줄의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2부분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과 결합되기 위한 패드 스냅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패드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 및 상기 어깨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견인줄이 연결되기 위한 D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물품이 보관되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에는 상기 포켓을 개폐하기 위한 지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애완동물의 가슴둘레를 감싸는 가슴줄과, 어깨 또는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는 어깨줄이 패드부에 함께 고정되므로, 하네스를 안정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고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애완동물의 목둘레에 채워지는 목줄이 패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훈련 시에는 목줄과 하네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평상 시에는 목줄을 하네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체결 스트랩은 목줄과 패드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스냅 버튼을 포함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패드부와 목줄 간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상방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하방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패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키울 수 있는 네발 동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강아지, 고양이, 말 또는 돼지 등 네발 보행 동물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일 예로서 강아지에 적용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상방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하방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애완동물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스트랩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스트랩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애완동물(P)에 장착되는 패드부(110)와,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P)의 가슴둘레를 감싸서 상기 패드부(110)에 연결되는 가슴줄(120)과,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P)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서 상기 패드부(110)에 연결되는 어깨줄(13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패드부(110)는 전후 방향의 폭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110)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는 상기 애완동물(P)의 몸통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는 푹신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애완동물(P)의 등 부분을 라운드지게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과, 상기 애완동물(P)의 등에 접촉되는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의 상면에는 견인줄(300)이 연결되기 위한 결합링(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111)은 상기 견인줄(300)에 구비된 고리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111)은 "D"자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줄(300)의 고리 부분이 상기 결합링(111)의 내에 채워진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드부(110)의 저면 일부는 공기가 통과하는 메쉬(mesh)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부(110)와 상기 애완동물(P)이 밀착되는 부위(등)에 통풍을 원활히 하고 땀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의 내부에는 물품이 보관되기 위한 포켓(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113)의 일측에는 상기 포켓(113)을 개폐하기 위한 지퍼(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지퍼(114)를 이용하여 상기 포켓(113)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소지품 또는 배변 봉투 등을 상기 포켓(113)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슴줄(120) 및 상기 어깨줄(130)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가슴줄(120)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120)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줄(130)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어깨줄(130)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슴줄(120)의 제1단과 상기 어깨줄(130)의 제1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1부분에 함께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120)의 제2단과 상기 어깨줄(130)의 제2단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2부분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슴줄(120)과 상기 어깨줄(130)은 상기 패드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지점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가슴줄(120) 및 상기 어깨줄(130)의 양단부가 상기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꿰매 붙여 고정되는 천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상기 패드부(11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기 패드부(110)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패드부(11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40)를 잡아서 애완동물(P)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애완동물(P)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의 사이 지점에는, 후술될 체결 스트랩(15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냅 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슴줄(120)은, 상기 패드부(11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애완동물(P)의 가슴둘레를 감싸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슴줄(120)에는 상기 가슴줄(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121)는 프레임에 상기 가슴줄(120)의 일부가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가슴줄(1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P)의 가슴둘레에 맞춰서 상기 가슴줄(120)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슴줄(120)에는 버클(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클(123)은 상기 가슴줄(120)의 단부에 형성된 버클 삽입부(갈고리)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클(123)은 상기 패드부(1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슴줄(120)의 단부에 형성된 버클 삽입부가 상기 버클(123)의 내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슴줄(120)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상기 어깨줄(130)은, 상기 패드부(11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애완동물(P)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둘레를 감싸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줄(130)에는 인식표 또는 견인줄(400)이 연결되기 위한 결합링(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131)은 상기 견인줄(400)에 구비된 고리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131)은 "D"자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줄(400)의 고리가 상기 결합링(131)의 내에 체결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링(131)은 상기 어깨줄(130)에 꿰매 고정되는 천편(1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깨줄(130)에는 상기 어깨줄(13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길이 조절부(133, 134, 135, 1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길이 조절부(133, 134, 135, 136)는 상기 어깨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애완동물(P)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둘레에 맞춰서 상기 어깨줄(130)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상기 애완동물(P)의 목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목줄(200)과, 상기 목줄(200)과 상기 패드부(110)를 연결하는 체결 스트랩(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목줄(200)은 상기 애완동물(P)의 목 부분에 채워지는 부분으로 초크용 줄 또는 초크 체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목줄(200)은 애완동물(P)을 훈련시킬 때 사용하는 훈련용 초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줄(200)은 평상 시에는 사용하지 않고 훈련 시에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훈련 시에는 상기 목줄(200)을 상기 패드부(110)에 연결하여 일체로 사용하고, 평상 시에는 상기 목줄(200)을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줄(200)은 줄 또는 끈으로 길게 형성되는 줄부(210)와, 상기 줄부(210)의 일단부가 접혀서 마감 처리되는 제1단부(211)와, 상기 줄부(210)의 타단부가 접혀서 마감 처리되는 제2단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줄(200)은 상기 제1단부(211)에 끼워지는 제1링(220)과, 상기 제2단부(212)에 끼워지는 제2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220) 또는 제2링(23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줄부(210)를 통과하여 상기 줄부(210)의 외주면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부(211) 및 제2단부(212)는 상기 줄부(210)의 외측(또는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줄부(210)에 채워진 제1링(220) 또는 제2링(230)은, 상기 줄부(2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링(230)이 상기 제1단부(211)에 가까운 줄부(210)에 위치되면, 애완동물(P)의 목둘레에 채워지는 줄부(210)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2링(230)이 상기 제1단부(211)로부터 멀어질수록 애완동물(P)의 목둘레에 채워지는 줄부(210)의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애완동물(P)의 목에 채워지는 목줄(200)의 길이(지름)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체결 스트랩(150)은, 상기 목줄(200)과 상기 패드부(110)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 스트랩(150)은 상기 목줄(200)과 상기 패드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히, 상기 체결 스트랩(150)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는 스트랩부와,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스냅 버튼(151,152,153,154,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는 양단을 이루는 제1단과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냅 버튼(151,152,153,154,155)은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서 제2단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냅 버튼"은 요면(凹面)과 철면(凸面)이 쌍을 이룬 금속성 단추를 의미하며 "똑딱 단추" 또는 "프레스 버튼"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때, 수단추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을 암단추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에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1)은 제1스냅 버튼(151)으로 정의하고, 상기 스트랩부의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5)은 제2스냅 버튼(155)으로 정의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나머지 스냅 버튼들(152,153,154)은 제2스냅 버튼(152) 내지 제4스냅 버튼(15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1)과,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5)은 수단추(151a,155a)로 구성되고, 나머지 스냅 버튼들(152,153,154)은 암단추(152a,153a,154a)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1), 즉 상기 제1스냅 버튼(151)은 상기 패드부(110)에 구비된 스냅 버튼(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의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155), 즉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은, 나머지 스냅 버튼들(152,153,15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냅 버튼(151)이 상기 패드부(110)의 스냅 버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은 상기 목줄(200)의 일부 둘레를 감아서 상기 나머지 스냅 버튼들(152,153,154) 중 어느 하나에 결함됨으로써, 상기 목줄(200)과 상기 패드부(110)를 연결해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은, 애완동물(P)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2스냅 버튼(152), 제3스냅 버튼(153) 및 제4스냅 버튼(15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을 상기 제2스냅 버튼(152)에 결합할 경우, 상기 목줄(200)은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비교적 가깝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을 상기 제4스냅 버튼(154)에 결합할 경우, 상기 목줄(200)은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비교적 멀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스냅 버튼(155)의 결합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목줄(200)과 상기 패드부(110)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목줄을 패드부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서 목줄을 하네스에 고정시켜 일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목줄을 패드부로부터 손쉽게 착탈시켜 하네스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목줄과 하네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목줄과 하네스 간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애완동물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0)

  1.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가슴둘레를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슴줄;
    상기 패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어깨 또는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서 상기 패드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어깨줄;
    상기 애완동물의 목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목줄; 및
    상기 목줄과 상기 패드부를 연결하는 체결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스트랩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단을 이루는 제1단과 제2단을 포함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스냅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패드부에 구비된 스냅 버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은, 상기 목줄의 일부 둘레를 감아서 상기 체결 스트랩의 다수의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전후 방향의 폭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과 상기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 접촉되는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가 통과되는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어깨줄의 양단을 이루는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고정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줄의 제1단과 상기 어깨줄의 제1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1부분에 함께 고정되고,
    상기 가슴줄의 제2단과 상기 어깨줄의 제2단은, 상기 패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2부분에 함께 고정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스트랩부의 제1단에 해당하는 스냅 버튼과 결합되기 위한 패드 스냅 버튼이 구비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패드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 및 상기 어깨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견인줄이 연결되기 위한 D링이 구비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물품이 보관되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에는 상기 포켓을 개폐하기 위한 지퍼가 구비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20200003584U 2020-10-06 2020-10-06 애완동물용 하네스 KR20049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84U KR200496327Y1 (ko) 2020-10-06 2020-10-06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84U KR200496327Y1 (ko) 2020-10-06 2020-10-06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15U true KR20220000815U (ko) 2022-04-13
KR200496327Y1 KR200496327Y1 (ko) 2023-01-04

Family

ID=8118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84U KR200496327Y1 (ko) 2020-10-06 2020-10-06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73B1 (ko) * 2024-01-16 2024-05-10 고수지 목줄 압박 문제를 해소한 애견 하네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586A (ja) * 1999-11-02 2001-05-15 Tonami Denki Kogyo Kk ペット用胴輪
KR200298526Y1 (ko) * 2002-09-26 2002-12-16 최경철 애완동물용 의류
KR200316450Y1 (ko) * 2003-03-27 2003-06-18 김화용 애완동물 어깨끈 및 목줄
KR20050024297A (ko) * 2002-05-31 2005-03-10 씨우포 가또 에스.알.엘. 가축용 재킷
KR20110009674U (ko) * 2010-04-06 2011-10-12 박병일 포켓이 구비된 애완견용 의류
KR102162659B1 (ko) * 2020-01-17 2020-10-07 진현숙 애완동물용 의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586A (ja) * 1999-11-02 2001-05-15 Tonami Denki Kogyo Kk ペット用胴輪
KR20050024297A (ko) * 2002-05-31 2005-03-10 씨우포 가또 에스.알.엘. 가축용 재킷
KR200298526Y1 (ko) * 2002-09-26 2002-12-16 최경철 애완동물용 의류
KR200316450Y1 (ko) * 2003-03-27 2003-06-18 김화용 애완동물 어깨끈 및 목줄
KR20110009674U (ko) * 2010-04-06 2011-10-12 박병일 포켓이 구비된 애완견용 의류
KR102162659B1 (ko) * 2020-01-17 2020-10-07 진현숙 애완동물용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273B1 (ko) * 2024-01-16 2024-05-10 고수지 목줄 압박 문제를 해소한 애견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27Y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699B2 (en) Non-choking harness for pet
US8807091B2 (en) Dog harness
US7757641B1 (en) Animal harness with operable/closed position handle
US8015947B2 (en) Animal harness
US9578857B2 (en) Harness for pets
KR200398002Y1 (ko)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US20150013619A1 (en) Pet leash belt device
US20200245592A1 (en) Animal Harness
US4841915A (en) Space age dog and cat collar
US20180249673A1 (en) Animal Harness
KR102162659B1 (ko) 애완동물용 의류
US8381688B1 (en) Animal harness
US20150257369A1 (en) Multi-Activity Dog Leash Connector
US7637087B1 (en) Body blanket for hoofed and domesticated animals
US11350606B2 (en) Animal protective harness and collar
KR20220000815U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9615544B2 (en) Animal restraint
EP2946659A1 (en) A protective flexible garment for an animal, a method of fitting the protective flexible garment on the animal, and use of the protective flexible garment
US20020073936A1 (en) Comfort trainer
KR200436378Y1 (ko)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US20050039702A1 (en) Animal care garment
EP3694312A1 (en) An improved equine blanket and adjustable blanket system
KR20200000116U (ko) 반려동물 이송용 가방
KR200492559Y1 (ko) 애완 동물용 리드 줄
KR20220000020U (ko)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기반한 캐어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