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83A - 고체 클렌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체 클렌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83A
KR20220000783A KR1020200129128A KR20200129128A KR20220000783A KR 20220000783 A KR20220000783 A KR 20220000783A KR 1020200129128 A KR1020200129128 A KR 1020200129128A KR 20200129128 A KR20200129128 A KR 20200129128A KR 20220000783 A KR20220000783 A KR 2022000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arch
weight
solid
solid clea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885B1 (ko
Inventor
심연정
Original Assignee
심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연정 filed Critical 심연정
Priority to PCT/KR2021/0078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61895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885B1/ko
Priority to US18/058,831 priority patent/US2023010808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체 클렌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아 피부 가려움증 및 탈모 등 피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고,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쉽게 무르지 않고, 부스러지지 않아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거품 형성력 및 세정 효능을 갖는 고체 클렌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체 클렌저 조성물{Solid Cleanser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체 클렌저 조성물 및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가려움증 및 탈모를 유발하는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화학 방부제 및 보존제가 함유되지 않는, 식물 유래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고체 형태 클렌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거품 능력을 가지면서도 쉽게 무르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두피에 적용 시 탈모 방지 및 가려움증 개선 기능이 있는 고체 클렌저 조성물 및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체 클렌저 조성물 및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렌저는 일반적으로 액체로 판매되어, 대부분 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 최대 80 중량%의 물로 구성된다. 액체 클렌저는 여행 시 소지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환경에 위험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포장에 필요한 플라스틱의 사용과 폐기물의 발생, 제조 지역에서 담수의 사용, 제조와 운송에 필요한 연료와 에너지의 과도한 사용으로 액체 클렌저의 생산은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클렌저 조성물의 주원료는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피부, 두피가 민감한 사용자들로 하여금 피부, 두피 트러블을 유발하거나,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클렌저 조성물의 원료 중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가장 큰 요인인데, 계면활성제는 피부, 모발 및 두피 표면의 유지 성분에 작용하여 세척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종래 사용되는 대부분의 계면활성제는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자극은 물론 모발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은 클렌저 조성물이 단순한 세척효과만 갖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피부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성분을 이용한 클렌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특허문헌 : 국내 등록특허 제10-123984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 유래 소재를 사용하면서 보관 용기, 보존제 등이 필요하지 않은 고체 형태의 클렌저로서 쉽게 무르지 않고 소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세정능력을 갖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ISC), 글리세린 및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쉽게 무르지 않고, 부스러지지 않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거품력 및 세정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S1)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을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에서 수득한 혼합물에 컨디셔닝제를 혼합 반죽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 및 S4)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클렌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클렌저"는 샴푸, 컨디셔너, 컨디셔닝 샴푸, 샤워 젤, 액체 핸드 클렌저, 페이셜 클렌저, 페이셜 바디 워시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간, 동물에 사용되는 세척 용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또는 쌀 전분, 바나나 전분 및 고구마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옥수수 전분을 사용하였으며, 옥수수 전분은 우수한 점성을 가져 고체 클렌저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고체 형태를 유지하는 데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화학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일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암모늄 라우일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Ammonium Laureth Sulfate, ALES)는 세정 및 거품을 내기 위한 용도로 클렌저에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피부, 두피에 잔류할 경우 자극원이 되어 피부, 두피를 민감하게 만드는 주 원인이 되고 있다. 소듐 라우일 설페이트는 피부염을 유발시키며,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는 소듐 라우일 설페이트에 1급 발암 물질인 에틸렌 옥사이드를 더해 만든 합성계면활성제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대체하는 물질을 찾던 중 천연에서 유래한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가 합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 침투 및 피부에의 잔류성이 낮아 피부 자극성이 낮으면서도 세정력 및 거품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체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전분은 1 ~ 20 중량%,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40 ~ 80 중량%, 글리세린은 1 ~ 20 중량%, 컨디셔닝제는 1 ~ 50 중량%이다.
고체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를 4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클렌저의 거품 및 세정력이 현저히 낮아지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클렌저의 고체 형태가 유지되기 어려우며, 쉽게 부스러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전분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 물에 접촉하여 쉽게 물러지며, 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고체 클렌저는 쉽게 부스러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글리세린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 클렌저의 고체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 클렌저의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범위에서 구성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고체 클렌저는 쉽게 부스러지지 않으며, 오랜 시간 물에 접촉해도 쉽게 물러지지 않는 성질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거품력, 세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는 액체 상태가 아니므로, 액체 클렌저에 사용되는 클렌징 기능을 위한 성분 외에,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점도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점도 안정제(viscosity stabilizer), 보관 용기로부터 액체가 과도하게 빠져 나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증점제(thickener)가 불필요하다. 또한, 액체 클렌저에는 물의 함량이 높아, 쉽게 변결되기 쉬운 특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라벤(paraben) 및 벤조산(benzoic acid)과 같은 방부제 또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합성 계면 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액체이기 때문에 저장 용기가 필요하고, 소각될 수 없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체 클렌저는 포장에 필요한 플라스틱의 사용과 이에 따른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점도 안정제, 증점제, 방부제, 합성 계면 활성제, 인공 색소, 인공 향료, 실리콘, 프탈레이트 등 화학 합성 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며 동물 실험을 거친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건 제품이다. 따라서, 피부자극은 물론 모발건강에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 성분만으로 이루어져 배출 시 생분해되어 수질 및 해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컨디셔닝제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또는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어성초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녹차 추출물 120 ~ 180 중량부, 국화꽃 추출물 120 ~ 180 중량부, 감초뿌리 추출물 120 ~ 180 중량부, 창포뿌리 추출물 70 ~ 130 중량부, 당귀 추출물 70 ~ 130 중량부, 고삼 추출물 70 ~ 130 중량부, 애엽 추출물 120 ~ 180 중량부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 120 ~ 180 중량부를 포함한다(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성초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녹차 추출물 150 중량부, 국화꽃 추출물 150 중량부, 감초뿌리 추출물 150 중량부, 창포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0 중량부, 고삼 추출물 100 중량부, 애엽 추출물 150 중량부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 15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탈모 예방 효과, 두피 및 피부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범위에서 구성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고체 클렌저는 쉽게 부스러지지 않으며, 오랜 시간 물에 접촉해도 쉽게 물러지지 않는 성질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탈모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어성초는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의 지상부로서, 어성초 추출물에는 쿠에르치트린(quercitrin)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어성초 추출물은 두피와 피부의 노폐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세포 증식에 도움을 주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세혈관의 확장 및 피부의 독소 제거 효과가 있으며 피부 염증 질환의 개선 작용을 가져 만성 두피 질환에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은 모발 및 피부에 적용시 녹차잎에 들어 있는 탄닌이 모공을 조여주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모발을 깨끗하게 씻어주며, 지루성 비듬, 가려움증, 모발 건조에 효과가 있다. 또, 모발에 윤기와 영양을 공급하고, 비듬을 예방하며, 녹차의 카데킨 성분이 독성을 제거하며, 여드름을 진정하고, 피부보습에 좋으며, 피지조절, 항균, 피부 수렴, 모공수축 등의 효과가 있고, 폴리페놀 성분이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피부를 탄력있고 깨끗하게 만든다.
국화꽃 추출물은 눈과 머리를 시원하게 하 고 가슴속에 열이 있어 답답한 증상, 폐렴, 기관지염, 두통, 어깨결림, 고혈압에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과 충혈, 생리불순과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에도 효과가 있으며, 비듬, 두피가려움증 등에 효과가 있다.
감초뿌리 추출물의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은 사포닌 화합물로 뿌리에 3~7%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분해되어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과 해독, 소염작용을 가지는 글리 시레틴산(glycyrrhetic acid)을 생성한다.
창포뿌리 추출물은 두피 진정 효과가 있고, 특히 발모 촉진, 탈모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당귀 추출물은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진통, 배농, 지혈, 보혈, 강장작용이 있으며, 특히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두피와 모근을 건강하게 한다.
고삼 추출물은 알카로이드인 마트린(matrin), 옥시마트린(oxymatrin), 소포카르핀, 메틸치티진, 소폴라놀, 아나기린, 플라보노이드 당 등을 포함하고, 비타민 C와 탄닌 성분 등이 많아 수렴작용, 소염, 진정효과, 알레르기성 탁월한 효과, 해독작용, 세포재생, 피부진정작용과 건조한 피부에 보습작용, 두피에 영양공급을 해주는 효과가 있다.
애엽 추출물은 면역력을 높이고, 황산화 성분 함유하고 있으며, 머리를 맑게 하고,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설사를 멋게 하며, 수족과 몸을 따뜻하게 한다.
로즈마리 잎 추출물은 살균작용, 소독작용, 방충작용, 산화방지 작용이 있어 식품보존을 돕는다. 감기, 신경통에 잘 듣고, 활력을 증진하며 노화를 방지하고 상큼하고 강력한 로즈마리 향은 뇌의 활동을 높이고 기억력, 집중력을 높여 준다.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성분에 추가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및 오트밀 추출물을 포함(에리제론 어성초그린TM)한다. 이는 피부 완화, 진정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성분에 추가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오트밀, 핑크클레이를 포함(에리제론 핑크클레이TM)한다. 이는 민감한 두피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성분에 추가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오트밀을 포함(에리제론 스노우모찌TM)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성분에 추가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병풀추출물, 자소엽추출물, 쌀겨추출물, 대나무숯분말을 포함(에리제론 블랙TM)한다. 이는 지성 두피의 피지 제거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 성분에 추가적으로 어성초 추출물, 삼씨오일, 쑥추출물, 병풀추출물,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을 포함(에리제론 햄프씨드TM)한다. 이는 피부 두피 염증 개선 및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대마(Cannabis sativa) 잎 추출물, 대마(Cannabis sativa) 오일, 퀼라야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마 잎 추출물, 대마 오일에 함유되는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성분은 통증 완화, 염증 감소, 불안 진정, 수면 개선을 포함하는 효과가 있으며, 대마 성분 중 THC(Tetrahydrocannabinol) 함량이 거의 없는(0.3% 미만) CBD 성분의 사용은 합법적으로 미국에서 사용할 수 있다. 대마 잎 추출물은 피부 진정, 피부 관리, 근육통 완화, 흉터 제거, 두피 관리, 탈모증 예방, 모발 관리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 오일은 노화 방지, 피부 진정 효과를 위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퀼라야 추출물은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위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적한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질로부터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추출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C1-C4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증류한 후 분획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 조성물은 약 산성으로 피부와 비슷한 pH를 가져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고체 클렌저 조성물은 약 2 내지 약 10, 약 4 내지 약 8, 약 5 내지 약 7, 및/또는 약 6의 pH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의 pH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S1)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을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에서 수득한 혼합물에 컨디셔닝제를 혼합 반죽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 및 S4)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체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은 1 ~ 20 중량%,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40 ~ 80 중량%, 글리세린은 1 ~ 20 중량%, 천연 식물 추출물은 1 ~ 50 중량% 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또는 쌀 전분, 바나나 전분 및 고구마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화학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에, 녹차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Erigeron Reducing Heat 8-complexT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S3)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는 25℃ ~ 35℃에서 수행된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성형하는 경우 반죽이 잘 뭉쳐지며, 제조되는 클렌저의 고체 상태가 잘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S3)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는 0.7 ~ 1.2 bar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상기 압력 범위에서 성형하는 경우 반죽이 잘 뭉쳐지며, 제조되는 클렌저의 고체 상태가 잘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클렌저를 공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체 클렌저는 쉽게 부스러지지 않으며, 오랜 시간 물에 접촉해도 쉽게 물러지지 않는 성질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탈모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고체 클렌저의 거품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고체 클렌저는 거품을 향상시키는 포장재, 예를 들어, 생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잘삼으로 이루어진 티백 또는 그물망 형태의 포장재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 클렌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아 피부 가려움증 및 탈모 등 피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고,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쉽게 무르지 않고, 부스러지지 않아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거품 형성력 및 세정 효능을 갖는 고체 클렌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조예 1 :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고체 클렌저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본 발명의 클렌저 조성물(실시예 1) 및 클렌저 조성물 구성성분의 중량비에 따르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 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을 혼합한 후, 혼합물에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반죽하였으며,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서 성형하였다. 이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건조하여 고체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어성초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녹차 추출물 150 중량부, 국화꽃 추출물 150 중량부, 감초뿌리 추출물 150 중량부, 창포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0 중량부, 고삼 추출물 100 중량부, 애엽 추출물 150 중량부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 150 중량부로 포함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SCI 50 39 81 50 50 50
전분 10 11 4 0.5 10 10
글리세린 10 10 5 10 10 10
식물 추출물 30 50 10 39.5 301) 302)
1) 어성초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녹차 추출물 110 중량부, 국화꽃 추출물 110 중량부, 감초뿌리 추출물 150 중량부, 창포 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0 중량부, 고삼 추출물 100 중량부, 애엽 추출물 150 중량부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 150 중량부로 포함
2) 어성초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녹차 추출물 150 중량부, 국화꽃 추출물 150 중량부, 감초뿌리 추출물 150 중량부, 창포 뿌리 추출물 6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0 중량부, 고삼 추출물 100 중량부, 애엽 추출물 150 중량부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 150 중량부로 포함
1) 실험예 1: 무름성 테스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클렌저(실시예) 및 비교예 1 ~ 3의 클렌저를 수돗물에 담근 후 지남에 따른 클렌저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무름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 3의 클렌저 무게(Wi)를 측정하고, 상단에 핀을 꽂고 실에 매달아 25℃ 수돗물에 담근 후, 2시간 후 꺼내어 실온에서 약 15분간 건조시킨 후 무게(Wf)를 측정한다. 측정된 무게 차이로 무름성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구분 무름성
실시예 7.5
비교예 1 14.5
비교예 2 9.5
비교예 3 12.3
그 결과,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를 40 중량% 미만으로 함유(비교예 1)하거나 전분을 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비교예 3), 쉽게 물러지는 성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를 80 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비교예 2)에는 약한 힘에도 쉽게 으스러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실험예 2: 거품 능력 테스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클렌저(실시예) 및 비교예 1 ~ 3의 클렌저의 거품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거품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의 클렌저를 15 리터 대야에 넣어둔 후 일정 시간 물을 흘려준 후 발생하는 거품의 부피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 3
15초 39 20 40 25
30초 75 53 75 62
45초 140 70 145 90
60초 210 88 220 110
75초 320 150 350 210
90초 480 189 490 321
그 결과,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를 높은 비율로 포함하여 제조된 본 발명 고체 클렌저(실시예)에서 거품 성능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최대 거품 부피(480mL)는 동일 시간(90초)에 측겅한 비교예 1의 것(189mL)보다 약 250%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를 높은 비율로 포함하더라도 전분이 1% 미만인 경우(비교예 3)에는 오히려 거품성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실험예 3: 탈모 완화 및 가려움증 완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클렌저(실시예) 및 비교예 4, 5에 대하여 탈모 완화 및 가려움증 완화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두피 가려움증이 있는 환자 10명, 탈모 발생환자 10명에게 1일 1회씩 사용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항목
탈모 완화 가려움증 완화
실시예 좋다 9 9
보통 1 1
나쁘다 0 0
비교예 4 좋다 8 6
보통 2 3
나쁘다 0 1
비교예 5 좋다 6 8
보통 2 2
나쁘다 2 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천연 성분이 함유된 고체 삼푸 조성물은 두피 가려움증 및 탈모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천연 식물 추출물 중 녹차 추출물, 국화 추출물을 낮은 비율로 함유하는 경우(비교예 4) 가려움증 개선효과가 본원 발명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창포 추출물을 낮은 비율로 함유하는 경우(비교예 5) 탈모 개선 효과가 실시예에 비해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4) 실험예 4: 두피열 감소 효과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 조성물(실시예) 및 비교예 4, 5의 조성물에 대하여 두피열 감소 효과를 시험하였다. 각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후 두피 온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40대 남녀 5명의 두피에 조성물을 10 분간 처리한 뒤, 씻어내고 20 분간 자연 건조 후, 이마 부분의 두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두피의 온도는 BOMTEC 사의 A-ONE SMART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5에 그 결과를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4 비교예 5
온도 감소(평균) 1.9 1.0 0.3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두피에 처리하였을 시, 조성물 처리 전에 비하여 평균 1.9℃의 두피열 감소 효과를 보였다.
5) 실험예 5 : 단백질 변성 실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클렌저(실시예) 및 시중에서 구입한 L사 고체 샴푸(비교예 6)를 모발과 비슷한 단백질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계란 흰자에 적용하여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는 지 확인하였다. 계란 흰자에 고체 클렌저를 넣은 후 5분이 경과한 후 색이 뿌옇게 변성된 경우 단백질 변성이 있는 것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6
단백질 변성 없음 있음
6 ) 실험예 6: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인체 첩포 시험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실시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인체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성인 남녀 33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실시예) 10배 희석액을 20μL 만큼 패치에 로딩한 후 24시간 동안 폐쇄 첩포 검사하였다. 첩포 제거 30분 후, 24시간 후 및 48시간 후의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시험 부위 육안 평가는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 판정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2인 이상의 시험자가 진행하여 두 시험자간의 판정 결과가 상이할 경우 더 높은 등급을 선택하였다. 육안 판정 후 아래의 공식을 이용하여 각 시험 부위에 대한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였으며, 표 7과 같이 피부 반응도를 바탕으로 인체첩포시험 결과를 판정하였다.
Figure pat00002
피부 반응도 판정결과
0.00 ~ 0.75 무자극
0.76 ~ 1.50 미자극
1.51 ~ 2.50 경자극
2.51 ~ 4.00 중자극
4.01 ~ 5.00 강자극
그 결과,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에 대한 피부 반응도는 0.00으로, 0.00 내지 0.75를 무자극으로 판정하는 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13)

  1.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 클렌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은 1 ~ 20 중량%,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40 ~ 80 중량%, 글리세린은 1 ~ 20 중량%, 컨디셔닝제는 1 ~ 50 중량%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또는 쌀 전분, 바나나 전분 및 고구마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화학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 및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S1) 전분,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글리세린을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에서 수득한 혼합물에 컨디셔닝제를 혼합 반죽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 및
    S4)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고체 클렌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전분은 1 ~ 20 중량%,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40 ~ 80 중량%, 글리세린 1 ~ 20 중량%, 컨디셔닝제는 1 ~ 50 중량%인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또는 쌀 전분, 바나나 전분 및 고구마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저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화학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로즈마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의 반죽을 손으로 또는 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는 25 ~ 35℃에서 수행되는 것인 고체 클렌저 제조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고체 클렌저.
KR1020200129128A 2020-06-26 2020-10-07 고체 클렌저 조성물 KR102397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7844 WO2021261895A1 (ko) 2020-06-26 2021-06-22 고체 클렌저 조성물
US18/058,831 US20230108084A1 (en) 2020-06-26 2022-11-25 Solid cleans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38 2020-06-26
KR20200078238 2020-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83A true KR20220000783A (ko) 2022-01-04
KR102397885B1 KR102397885B1 (ko) 2022-05-13

Family

ID=7934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128A KR102397885B1 (ko) 2020-06-26 2020-10-07 고체 클렌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8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905B1 (ko) * 2023-06-12 2023-09-11 주식회사 코스앤리빙 클레이 점토형 입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9266B1 (ko) * 2023-06-16 2023-09-19 (주)에스엠에코랩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1964B1 (ko) * 2022-11-28 2024-03-27 심연정 두피 스케일링을 위한 고체 샴푸바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1287A (en) * 1995-12-21 1997-11-25 S. C. Johnson & Son, Inc. Low irritation cleansing bar
KR101239840B1 (ko) 2010-09-17 2013-03-06 강미숙 고형 샴푸 조성물
KR20150133956A (ko) * 2014-05-21 2015-12-01 송상민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 세정제의 제조방법
KR20160112865A (ko) * 2015-03-20 2016-09-28 전금옥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1287A (en) * 1995-12-21 1997-11-25 S. C. Johnson & Son, Inc. Low irritation cleansing bar
KR101239840B1 (ko) 2010-09-17 2013-03-06 강미숙 고형 샴푸 조성물
KR20150133956A (ko) * 2014-05-21 2015-12-01 송상민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 세정제의 제조방법
KR20160112865A (ko) * 2015-03-20 2016-09-28 전금옥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웹페이지, ‘에리제론 올인원 약산성 비건 샴푸볼 어성초 그린’, 2020.06.15, 페이지 1-8, <https://blog.naver.com/erigeron59/222001684944>* *
인터넷 웹페이지,‘약산성 어성초 약산성 비누 만들기’, 2020.01.16, 페이지 1-11, <https://greigebrick.tistory.com/23>*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964B1 (ko) * 2022-11-28 2024-03-27 심연정 두피 스케일링을 위한 고체 샴푸바 조성물
KR102576905B1 (ko) * 2023-06-12 2023-09-11 주식회사 코스앤리빙 클레이 점토형 입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9266B1 (ko) * 2023-06-16 2023-09-19 (주)에스엠에코랩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885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885B1 (ko) 고체 클렌저 조성물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6880551B (zh) 一种紧致滋润柔滑肌肤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CN103520053B (zh) 洗发沐浴粉
KR101037415B1 (ko) 아토피 피부 개선을 위한 클린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CN107468563A (zh) 一种去屑丝质润滑无硅油洗发水
CN107213096A (zh) 一种植物型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7083B1 (ko) 싸리나무오일이 첨가된 천연비누 제조 방법
CN112870133A (zh) 一种中药润肤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7955756B (zh) 一种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5963240A (zh) 一种鳄梨果应用于婴幼儿洗发沐浴乳
KR101200920B1 (ko) 고미네랄 물을 이용한 사포닌계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KR102150787B1 (ko) 한방 여성청결제
CN105640836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护肤水及其制备方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CN113201421A (zh) 一种石墨烯抑菌润肤香皂及其制备方法
CN112656739A (zh) 一种含有天然植物的洗发乳及其制备方法
WO2021261895A1 (ko) 고체 클렌저 조성물
KR102673065B1 (ko) 입욕제 조성물
CN104873438A (zh) 一种爽肤润肌霜及其制备方法
KR100851407B1 (ko) 생약 미용팩 조성물
KR101057017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