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99U -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99U
KR20220000699U KR2020200003399U KR20200003399U KR20220000699U KR 20220000699 U KR20220000699 U KR 20220000699U KR 2020200003399 U KR2020200003399 U KR 2020200003399U KR 20200003399 U KR20200003399 U KR 20200003399U KR 20220000699 U KR20220000699 U KR 20220000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earing
fixed
ea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은구
Original Assignee
방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은구 filed Critical 방은구
Priority to KR2020200003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699U/en
Publication of KR20220000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9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마개 또는 헤드폰과 같은 귀착용품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음악감상, 방음 또는 보온을 위하여 귀를 덮는 한쌍의 귀가림부; 상기 귀가림부를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머리고정부; 상기 귀가림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귀가림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스크에 연결될 수 있는 마스크연결끈; 및 상기 마스크연결끈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스크에 고정될 수 있는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which makes it possible to easily wear a mask even while wearing an earplug, such as earplugs or headphones. His composition is; A pair of earplugs that cover the ears for listening to music, soundproofing or keeping warm; a head fixing unit that allows the ear covering unit to be fixed to the head; a mask connecting string tha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ear coverings, one end being fixed to the ear covering unit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mask; and a holding mean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and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mask.

Description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Mask Wearing Aids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본 고안은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귀마개 또는 헤드폰과 같은 귀착용품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device for wearing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istive device for wearing a mask, enabling the mask to be easily worn even while wearing an earplug such as earplugs or headphones.

전염성이 높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미래에는 이러한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문제는 지속 내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기도 한다. Due to the highly contagious COVID-19 virus, the world, including Korea, is suffering greatly. In the future, it is predicted that the problems caused by these highly contagious viruses and bacteria will continue or intensify.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방어책 중 하나로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의 사용이 강력하게 권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근래 마스크와 관련된 많은 제안이 연속되고 있다. Social distancing and the use of masks are strongly recommend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defenses against viral infection. Accordingly, in recent years, many proposals related to the mask have been continued.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불편한 일이다. 그러나 마스크 이외에도 신체의 두부에 착용하는 물품이 있다. 예를 들어, 귀마개, 헤드폰, 안경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이러한 물품은 신체의 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마스크 착용하는 것이 좀 더 불편할 것임은 당연하다. Having to wear a mask is in itself inconvenient. However, there are articles that are worn on the head of the body other than masks. For example, earplugs, headphones, and glasses. These articles worn on the body often use the body's ears. It is natural that people who wear glasses will find it more inconvenient to wear a mask.

그리고 귀마개나 헤드폰(이하, '귀마개 등'이라 함)도 귀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스크의 귀걸이끈과 저촉될 수밖에 없다. And since earplugs and headpho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earplugs, etc.') are also used for the ears, they inevitably conflict with the earring straps of the mask.

따라서 귀마개 등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를 추가로 착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귀마개를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 마스크를 이미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 귀마개를 착용할 때는 귀마개가 귀걸이끈을 압박하게 되며, 귀마개 등이 귀에서 약간 이격되기도 하며 귀걸이끈이 신체를 더 압박함으로써 이물감을 주기도 한다. 이렇듯 귀마개 등과 마스크를 동시에 착용하는 것에는 여러 불편함이 있다. Therefore, when an additional mask needs to be worn while wearing earplugs, there is inevitably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off the earplugs. When wearing earplugs while already wearing a mask, the earplugs press on the earring string, and the earplugs may be slightly separated from the ear, and the earring string may press the body more, giving a sense of foreign body. As such, wearing earplugs and a mask at the same time is inconvenien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09104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6-000910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54738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54738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귀마개 또는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스크를 쉽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귀마개 또는 헤드폰을 벗지 않은 상태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귀마개 또는 헤드폰을 착용하더라도 귀걸이끈과 귀마개 등이 서로 저촉되지 않도록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that makes it easy to wear a mask even while wearing earplugs or headphones. More specifically, the provision of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that allows the mask to be worn without taking off the earplugs or headphones and prevents the earring straps and the earplugs from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earplugs or headphones are worn with the mask on. The purpose.

위와 같은 목적은, 음악감상, 방음 또는 보온을 위하여 귀를 덮는 한쌍의 귀가림부; 상기 귀가림부를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머리고정부; 상기 귀가림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귀가림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스크에 연결될 수 있는 마스크연결끈; 상기 마스크연결끈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스크에 고정될 수 있는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For the above purpose, a pair of earplugs covering the ears for listening to music, soundproofing or keeping warm; a head fixing unit that allows the ear covering unit to be fixed to the head; a mask connecting string tha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ear coverings, one end being fixed to the ear covering unit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mask; It is achieved by a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hold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mask as being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스크연결끈은 권취기구에 의해 상기 귀가림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취기구는,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connection string is installed in the ear cover by a winding mechanism; The winding mechanism is

상기 마스크연결끈이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으며 힘을 주어 당길 때 길게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연결끈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마스크연결끈이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최대한 당긴 상태에서는 다시금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게 하는 래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a casing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mask connection string to be elastically wound and to be stretched out when pulled by applying force, 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to which one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is fixed; a torsion spring allowing the rotating body to rotate elastically; It may include a; latch means to be fix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ask connection string is drawn out and to be elastically wound again in the state in which it is pulled as much as possibl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권취기구는 상기 귀가림부의 외표면에 접착테잎,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mechanism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rim part by an adhesive tape, an adhesive, or a screw.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귀마개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를 벗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귀마개 등과 마스크를 동시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서로 물리적으로 저촉하지 않음으로써 동시사용에 따른 각종 불편함이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that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wear the mask without taking off the earplugs or the like while wearing the earplugs. Even when wearing earplugs and a mask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physically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eliminating various inconveniences due to simultaneous use.

본 고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는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목에 걸어놓을 수 있게 하는 마스크 걸이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The mask w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mask hanger that allows it to be hung on the neck in a state in which the mask is taken off.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embodie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사용상태 측부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권취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onfiguration view of the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e state of the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inding tool of the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basically. The rest of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while citing where necessary.

본 고안에 의한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는 귀마개 또는 헤드폰과 같은 귀착용품(10), 마스크연결끈(23), 및 홀딩수단을 포함하며, 좌우대칭 형태로 구성된다. 귀착용품(10)은 귀가림부(12)와 머리고정부(11)를 포함한다. 좌우대칭 형태이므로 이하에서는 어느 한쪽에만 주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한다. The mask w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lug 10 such as earplugs or headphones, a mask connection string 23, and a holding means, and is configured in a symmetrical form. The earpiece 10 includes an ear covering part 12 and a head fixing part 11 . Since it is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reference numerals are mainly assigned to only one side and described below.

귀가림부(12)는 음악감상, 방음 또는 보온을 위하여 귀를 덮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귀가림부(12)는 한쌍으로 제공되며 기능과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귀가림부(12)에는 그의 용도에 따라서 스피커가 내장될 수도 있고 보온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방음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e ear cover 12 is a component that covers the ears for listening to music, soundproofing or keeping warm. Therefore, the ear shield 12 is provided as a pair, and functions and forms are very diverse. The ear shield 12 may have a built-in speaker,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or a sound insulation material, depending on its use.

머리고정부(11)는 귀가림부(12)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고정부(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와 같이 "∩" 형태로 되어 있다. 머리고정부(1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머리고정부(11)의 형태로 실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고정부(11)는 후두부를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정수리를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head fixing unit 11 is to enable the ear covering unit 12 to be fixed to the user's head. In general, the head fixing part 11 has a "∩" shape like a headband as shown. The head fixing part 11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having elasticity. The shape of the head fixing part 11 may be varied in fact. For example, the head fixing unit 11 may be to use the back of the head or to use the crown.

본 고안의 핵심은 마스크연결끈(23)이 귀가림부(12)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마스크연결끈(23)은 일단이 귀가림부(12)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스크(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스크(30)는 일반적인 위생마스크로서 안면을 가릴 수 있는 필터패드(31)와, 필터패드(31)의 양측에 설치되는 귀걸이끈(32)을 포함한다.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is installed on the ear cover 12 . One end of the mask connecting string 23 is fixed to the ear covering part 12 and the other end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ask 30 . The mask 30 includes a filter pad 31 that can cover the face as a general sanitary mask, and earring straps 3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ad 31 .

마스크연결끈(23)의 타단에 설치되는 홀딩수단(24)은 마스크연결끈(23)과 마스크(3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홀딩수단(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끈 등에 널리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연결고리(24')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홀딩수단(24)은 집게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마스크연결끈(23)은 본 실시예에서 비탄성소재로 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탄성소재, 즉 고무줄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후술되는 권취기구(20)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무줄이 적합할 것이다. The holding means 24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and the mask 30 . As shown, the holding means 24 may be a small-sized connecting ring 24' widely used for bag straps and the like. In some cases, the holding means 2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ongs. Although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is made of a non-elastic material in this embodiment, in some cases, it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a rubber band. In particular, when not using the winding mechanism 20 to be described later, a rubber band will be suitable.

홀딩수단(24)은 마스크(30), 특히 귀걸이끈(32)에 걸 수 있게끔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홀딩수단(24)은 필터패드(31)의 양측면(33)에 마스크연결끈(23)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holding means 2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hung on the mask 30 , in particular the earring strap 32 . In some cases, the holding means 24 may allow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to be fixed to both sides 33 of the filter pad 31 .

또한 홀딩수단(24)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귀걸이끈이 없는 마스크(30')의 측단 상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집게(24")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24")는 "〈"와 같은 형태로 마스크연결끈(23)에서 분기 연장된 연장끈(28)의 끝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ing means 24 may include tongs 24"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ends of the mask 30' without an earring strap,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6. The forceps 24" are "< "It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28 branched from the mask connecting string 23 in a form such as ".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마스크연결끈(23)은 권취기구(20)에 의해 상기 귀가림부(12)에 설치된다. 권취기구(20)는 마스크연결끈(23)이 릴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is installed on the ear shield 12 by the winding mechanism 20 . The winding mechanism 20 allows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to be wound in a reel shape.

권취기구(20)는 마스크연결끈(23)이 도 2의 화살표(K)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마스크연결끈(23)이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으며 힘을 주어 당겨야만 길게 펼쳐질 수 있게끔 되어 있다. The winding mechanism 20 is for the mask connecting string 23 to receiv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of FIG. 2 . According to this,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can be elastically wound, and it can be extended long only by applying force and pulling it.

권취기구(20)는 귀가림부의 외표면(13)에 고정되는 케이싱(21)과, 케이싱(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스크연결끈(23)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체와, 회전체가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길이 또는 거리를 계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줄자와 유사하다. The winding mechanism 20 includes a casing 21 fixed to the outer surface 13 of the ear shield, and a rotating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is fixed as being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21, It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that allows the rotating body to rotate elastically. Such a configuration is similar to a tape measure widely used to measure length or distance at home or industrial sites.

케이싱(21)은 마스크연결끈(23)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싱(21)의 측면에는 마스크연결끈(23)이 출입하는 출입구(22)가 마련되어 있다. 권취기구(20)는 마스크연결끈(23)의 인출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래치수단이다. The casing 21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can be accommodated in a rolled state. The side of the casing 21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22 through which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enters and exits. The winding mechanism 20 may include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withdrawal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 However, more preferable are the following latch means.

권취기구(20)는 스토퍼를 대신하여 래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연결끈(23)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잡아당긴 경우에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음식을 먹을 때 마스크(30)를 벗어서 목걸이처럼 목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수단은 사용자가 마스크연결끈(23)을 최대한 당기면 래치작용이 해제되도록(그 결과, 마스크연결끈(23)이 다시금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위한 구성은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사항이다. 그러므로 권취기구(20)의 내부 구조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winding mechanism 20 may further include a latch means in place of the stopper. This is to allow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to maintain the pulled out state when the user pulls it. This is for taking off the mask 30 when eating food so that it can be hung around the neck like a necklace. The latch means may include a function of releasing the latching action when the user pulls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mask connection string 23 can be wound elastically again). The configuration is a notice used in various fields of the industry. Therefore,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nding mechanism 20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권취기구(20)는 귀가림부의 외표면(13)에 접착테잎(27),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ing mechanism 20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13 of the ear rim part by an adhesive tape 27, an adhesive, or a screw.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21)은 귀가림부의 외표면(13)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21)은 귀가림부의 외표면(13)에 접착테잎(27)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판(25) 위에 설치된다. 베이스판(25)의 상면 중앙에는 케이싱(21)과의 결합 및 회전을 위한 도브테일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인 수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착구(26)가 설치되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21 may be rotatably installed about an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13 of the ear cover portion.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5, the casing 21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5 fixed by the adhesive tape 27 to the outer surface 13 of the ear shiel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5, a coupling hole 26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dovetail for coupling and rotation with the casing 21 and elastically contractible in the radial direction.

이 실시예는 케이싱(21)이 도 2의 화살표(R)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출입구(22)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30)의 착용 높이에 따라 마스크연결끈(23)의 각도가 자연스럽게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ing 21 rotates along the arrow (R) direction in FIG. 2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oorway 22. According to the wearing height of the mask 30, the mask connection strap 23 is This is to allow the angle to be adjusted naturally.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described above are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using the illustrated bar without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pressed through the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freely combin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귀착용부 11 : 머리고정부
12 : 귀가림부 13 : 귀가림부의 외표면
20 : 권취기구 21 : 케이싱
22 : 출입구 23 : 마스크연결끈
24 : 홀딩수단 24' : 연결고리
24" : 집게 25 : 베이스판
26 : 결착구 27 : 접착테잎
28 : 연장끈 30,30 : 마스크
31 : 필터패드 32 : 귀걸이끈
10: ear wearing part 11: head fixing part
12: ear rim portion 13: outer surface of the ear rim portion
20: winding mechanism 21: casing
22: doorway 23: mask connection string
24: holding means 24': linkage
24": clamp 25: base plate
26: fastener 27: adhesive tape
28: extension cord 30,30: mask
31: filter pad 32: earring string

Claims (6)

음악감상, 방음 또는 보온을 위하여 귀를 덮는 한쌍의 귀가림부;
상기 귀가림부를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머리고정부;
상기 귀가림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귀가림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스크에 연결될 수 있는 마스크연결끈; 및
상기 마스크연결끈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스크에 고정될 수 있는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A pair of earplugs to cover the ears for listening to music, soundproofing or keeping warm;
a head fixing unit that allows the ear covering unit to be fixed to the head;
a mask connecting string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ear coverings, one end being fixed to the ear covering unit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mask; and
A mask wearing aid comprising a; holding means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and can be fixed to the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연결끈은 권취기구에 의해 상기 귀가림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취기구는,
상기 마스크연결끈이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으며 힘을 주어 당길 때 길게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연결끈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마스크연결끈이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최대한 당긴 상태에서는 다시금 탄성적으로 감길 수 있게 하는 래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ask connection string is installed in the ear cover by a winding mechanism;
The winding mechanism is
a casing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mask connection string to be elastically wound and to be extended long when pulled by applying force;
a rotating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mask connection string is fixed as being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 torsion spring allowing the rotating body to rotate elastically; and
a latch means for allowing the mask connection string to be fixed in a drawn out state and to be elastically wound again in a pulled state;
A mask wearing ai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구의 케이싱은 상기 귀가림부의 외표면에 접착테잎,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asing of the winding mechanism is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shield by an adhesive tape, an adhesive or a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연결고리(24') 또는 집게(24")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means is a mask wearing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onnecting ring (24') or the tongs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연결끈에서 "〈"와 같은 형태로 분기 연장된 연장끈(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끈(28)의 끝에는 상기 홀딩수단으로서 집게(24")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string 28 branched off in the form of "<" from the mask connecting string; At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28), a mask w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lamps (24") are installed as the hold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귀가림부의 외표면(13)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용 보조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ing is an auxiliary device for wearing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about an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13) of the ear covering part.
KR2020200003399U 2020-09-18 2020-09-18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KR202200006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9U KR20220000699U (en) 2020-09-18 2020-09-18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9U KR20220000699U (en) 2020-09-18 2020-09-18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99U true KR20220000699U (en) 2022-03-25

Family

ID=809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99U KR20220000699U (en) 2020-09-18 2020-09-18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699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738A (en) 2018-11-12 2020-05-20 한국전기연구원 Method for measuring entropy through cooling of battery and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temperature change using the entrop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738A (en) 2018-11-12 2020-05-20 한국전기연구원 Method for measuring entropy through cooling of battery and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temperature change using the entrop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615B2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5164987A (en) Personal stereo speaker assembly
US7076077B2 (en) Bone conduction headset
US20120057740A1 (en) Security and protection device for an ear-mounted audio amplifier or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JP2000354288A (en) Head band for headset and headset support
SE0101276L (en) Earmuff with speakers
US6902029B2 (en) Retractable ear protection device
WO2016206029A1 (en) Bone conduction earphone in form of hair band
KR20160121964A (en) Mask
AU2007226096A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bone conduction device on eyeglasses
JPH0521593U (en) Head set
KR102276972B1 (en) Ear covers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KR20220000699U (en) Supporting Device For Wearing Mask
KR102152342B1 (en) Headset
CN108322843B (en) Headset
CN207802306U (en) A kind of half In-Ear sports type silica gel bluetooth headset
JP7307258B1 (en) headwear and masks
CN212367509U (en) Protection device of bone conduction bluetooth headset
KR102515042B1 (en) Mask strap
KR101801015B1 (en) Noise Reduction adjustment Hearing Protector
KR102620979B1 (en) Ear pain relief type mask strap connector
CA2758399A1 (en) Security and protection device for an ear-mounted audio amplifier or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KR200319618Y1 (en) A Control Device of Backphone headband
US20230247342A1 (en) A balancing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fall out of a wireless earbud
US20240080606A1 (en) Headphone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