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58A -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58A
KR20220000558A KR1020200078342A KR20200078342A KR20220000558A KR 20220000558 A KR20220000558 A KR 20220000558A KR 1020200078342 A KR1020200078342 A KR 1020200078342A KR 20200078342 A KR20200078342 A KR 20200078342A KR 20220000558 A KR20220000558 A KR 2022000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re
covering
tube
tub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춘식
박영기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58A/ko
Publication of KR2022000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5Sheaths comprising internal cavitie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6Rigid-tub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피복부와, 상기 피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복부의 내경을 확대하도록 마련되고, 라인부재가 원통 형상으로 감겨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피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코어부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라인부재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복부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TUBE APPARATUS FOR CABLE COATING}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선로용 가공케이블은 전기적인 절연 및 전압의 균등분포와 차폐를 목적으로 절연재 및 외피튜브 피복되어 제조된다. 1상에 사용되는 외피튜브는 약 7개 정도가 직선부분에 겹쳐서 수축,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외피튜브를 연결할 때 서로 겹쳐서 접속되게 시공한 후, 접속부에 방수테이핑 처리를 하는데, 이 부분에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겹치는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외피튜브의 길이가 짧을수록 겹침 시공 개소가 많아지므로 수분의 유입과 연결부분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외피튜브는 절연고무(EPDM rubber) 재질로 이루어지나, 시공 후 자외선 차단을 위해 PVC 재질로 테이핑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피튜브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20305호(2016. 05. 04. 등록, 발명의 명칭: 동축 케이블 및 그 동축 케이블의 절연체 피복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어부가 피복부의 양 단부에서 풀리도록 마련되어 코어의 단선을 예방하고 작업성을 개선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장치의 단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시키고, 겹침 개소가 감소시켜서 수분이 침투되는 개연성을 감소시키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품질이 향상되고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시공비가 절감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는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피복부와, 상기 피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복부의 내경을 확대하도록 마련되고, 라인부재가 원통 형상으로 감겨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피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코어부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라인부재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복부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부는 상기 피복부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피복부의 일측 단부로 연장되는 제1 라인부재를 포함하는 제1 코어부재와, 상기 피복부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타측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피복부의 타측 단부로 연장되는 제2 라인부재를 포함하는 제2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가 풀려서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는 외피층을 형성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튜브몸체의 가운데 영역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수축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튜브돌기가 구비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튜브돌기는 상기 케이블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를 두 개의 파트로 분리하고, 피복부의 양 단부에서 풀리도록 마련됨으로써, 코어의 단선을 예방하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는 단위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장치의 단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튜브장치의 설치를 위한 작업량이 축소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튜브장치가 서로 겹침 시공되는 겹침 개소가 감소되므로, 겹치는 부분에서 들뜸 현상 등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는 개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자재비와 인건비가 절감되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에서 코어부가 풀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에서 코어부가 풀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10)는 피복부(20)와 코어부(30)를 포함한다.
피복부(20)는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케이블(1)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케이블(1)은 일반적인 케이블(1)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심 도체(2)와, 중심 도체(2)를 둘러싼 절연층(3)과, 절연층(3)을 둘러싼 차폐층(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10)는 차폐층(4)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외피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부(30)의 탈거에 의해 피복부(20)가 케이블(1)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외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부(30)는 피복부(20)의 내부에 삽입되어 피복부(20)의 내경을 확대하도록 마련되고, 라인부재가 원통 형상으로 감겨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코어부(30)는 라인부재를 나선 형으로 감아서 원통 형상으로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라인부재는 감긴 상태에서 형태가 유지되도록 접착, 융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되, 라인부재의 일단부를 당겼을 때 해체가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어부(30)는, 라인부재가 코어부(30)의 축 방향을 따라 감긴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통 형상으로 이룰 수 있고, 라인부재의 일단부는 감기지 않은 상태로 피복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피복부(20)를 케이블(1)에 설치 시에, 코어부(30)의 중공에 케이블(1)을 삽입한 상태로, 감기지 않은 라인부재의 일단부를 당김으로써, 라인부재가 풀리게 할 수 있다. 이때 라인부재가 풀린 부분에서 피복부(20)가 케이블(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부(3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코어부(30)는 폴리에틸렌, 포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피복부(20)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복부(20)는 내부에 코어부(30)가 삽입됨으로써 내경이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1)에 설치 시에,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10)의 내부에 케이블(1)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코어부(30)와 피복부(2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코어부(30)가 피복부(20)에 비해 경질로 마련되어 피복부(20)를 확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코어부(30)는 피복부(20)의 중심(C, 도 3 및 도 4 참조)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부(30)는 한 쌍의 코어부(30)에 구비된 각각의 라인부재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풀리면서 피복부(20)의 내경이 축소되어 케이블(1)의 외면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즉 코어부(30)는 피복부(20)의 양 끝단에서 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부(30)는 제1 코어부재(31)와 제2 코어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재(31)는 피복부(20)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라인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부재(32)는 일단부(32a)가 피복부(20)의 일측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코어부재(33)는 피복부(20)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라인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라인부재(34)는 일단부(34a)가 피복부(20)의 타측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코어부재(31)와 제2 코어부재(33)가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태에서, 제1 라인부재(32)를 피복부(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당기고, 제2 라인부재(34)를 피복부(20)의 타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당기면, 코어부(30)가 풀리면서 피복부(20)의 가운데 영역부터 케이블(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어부(30)는 피복부(20)의 양 단부에서 풀리도록 마련됨으로써 코어부(30)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고,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코어부(30)는 단 방향으로 풀리도록 마련되어 하나의 코어부(30)에 구비된 라인부재의 길이가 길어져서, 해체를 위한 풀림 작업 시에 라인부재가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튜브장치(1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단선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장치(10)의 길이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코어부(30)를 두 개의 파트로 분리하고, 피복부(20)의 양 단부에서 풀리도록 마련됨으로써, 코어의 단선을 예방하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10)의 단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장치(10)의 단위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튜브장치(10)의 설치를 위한 작업량이 축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튜브장치(10)가 서로 겹침 시공되는 겹침 개소가 감소되므로, 겹치는 부분에서 들뜸 현상 등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는 개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복부(20)는 튜브몸체(21)와 수축단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피복부(20)에 코어부(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피복부(20)가 케이블(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튜브몸체(2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어부(30)가 풀려서 제거된 상태에서 케이블(1)에 밀착되는 외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축단부(22)는 튜브몸체(2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케이블(1)의 외면에 압착되도록 튜브몸체(21)의 가운데 영역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몸체(21)는 양 단부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축단부(22)는 테이퍼부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축단부(22)는 튜브몸체(21)의 가운데 영역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튜브몸체(2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테이퍼부없이 단차진 형태로 수축단부(2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수축단부(22)는 튜브몸체(21)의 양 끝단에서 소정 길이 이상(일례로 50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축단부(22)는 자기 수축 시에 튜브몸체(21)의 다른 부분보다 케이블(1)에 밀착됨으로써 케이블(1)에 대한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코어부(30)를 두 개의 파트로 분리함으로써, 튜브몸체(21)의 중앙 부분에 코어부(30)가 미설치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시하지 않았지만 튜브몸체(21)는 코어부(30)가 미설치되는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가 미설치되는 부분에서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절연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20)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는 튜브몸체(2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케이블(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튜브돌기(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에 의해 튜브몸체(21)의 내부와 케이블(1)의 외주면 사이의 밀착력이 강화될 수 있고, 슬라이딩 삽입 시에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튜브돌기(23)가 케이블(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는 튜브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튜브돌기(23)는 케이블(1)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어 120도)를 이루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튜브돌기(23)로 구성된 돌기부는, 튜브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튜브돌기(23)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치 환경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피복부(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복부(20)의 재질이 실리콘 재질로 단일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부(20)는, 다른 재질이 병용된 경우에 비해 내열성, 내후성, 내염성 등이 우수해질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케이블(1)의 외피층을 절연고무재질(EPDM rubber, 이하, EPDM 이라 함)와 실리콘 재질을 복합하여 사용하거나 EPDM 재질로만 제작하였으나, 이 경우 외피층을 시공한 후 자외선(UV) 차단을 위해 PVC 테이핑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테이핑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피복부(20)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를 두 개의 파트로 분리하고, 피복부의 양 단부에서 풀리도록 마련됨으로써, 코어의 단선을 예방하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는 단위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장치의 단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튜브장치의 설치를 위한 작업량이 축소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튜브장치가 서로 겹침 시공되는 겹침 개소가 감소되므로, 겹치는 부분에서 들뜸 현상 등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는 개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자재비와 노부비가 절감되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케이블 2: 중심 도체
3: 절연층 4: 차폐층
10: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20: 피복부 21: 튜브몸체
22: 수축단부 23: 튜브돌기
30: 코어부 31: 제1 코어부재
32: 제1 라인부재 32a: 일단부
33: 제2 코어부재 34: 제2 라인부재
34a: 일단부

Claims (6)

  1.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피복부; 및
    상기 피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복부의 내경을 확대하도록 마련되고, 라인부재가 원통 형상으로 감겨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피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코어부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라인부재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복부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피복부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피복부의 일측 단부로 연장되는 제1 라인부재를 포함하는 제1 코어부재; 및
    상기 피복부의 중심의 길이 방향의 타측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피복부의 타측 단부로 연장되는 제2 라인부재를 포함하는 제2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가 풀려서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는 외피층을 형성하는 튜브몸체; 및
    상기 튜브몸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튜브몸체의 가운데 영역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수축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튜브돌기가 구비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튜브돌기는 상기 케이블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튜브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KR1020200078342A 2020-06-26 2020-06-26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KR20220000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42A KR20220000558A (ko) 2020-06-26 2020-06-26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42A KR20220000558A (ko) 2020-06-26 2020-06-26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58A true KR20220000558A (ko) 2022-01-04

Family

ID=7934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42A KR20220000558A (ko) 2020-06-26 2020-06-26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5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4936C (en) Enclosure assembly for elongate cylindrical objects, such as electric cable splices
JP6177460B2 (ja) 電力ケーブル構成装置及び構成装置により構成される電力ケーブル
JP5101065B2 (ja) 電力ケーブル
US9270031B2 (en) Processes for manufacturing jointing assemblies for medium or high voltage electrical cables and jointing assemblies obtainable by the processes
TWI731316B (zh)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KR102457873B1 (ko)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EP3298670B1 (en) A system comprising a cable and a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a cable
US2386185A (en) High voltage electric cable termination and joint
WO2015034800A1 (en) Cover processing tool, power cable connection structure, power cable connection structure assembly method and terminal processing method
KR20220000558A (ko) 케이블 피복용 튜브장치
JP5087662B2 (ja) 筒状保護被覆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23941B2 (ja) ケーブルの分岐構造、及び被覆処理具
US4667063A (en) Electrical cable having at least its leading end partially prepared for jointing prior to laying
JP2011150166A (ja) ケーブル接続部、電力・光ファイバ複合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接続方法
KR102304368B1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RU2558669C2 (ru) Соединитель экран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борка, содержащая упомянутый соединитель экрана
JP5832035B2 (ja) 電力ケーブルのテープ巻き絶縁接続部
US4828634A (en) Method of re-establishing semi-conducting layers around a cable splice, and a sleeve for use in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KR102291421B1 (ko) 종단접속함
JP5100245B2 (ja) 電力用直流同軸ケーブル接続部
RU2730240C1 (ru) Замок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й брон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EP4376029A1 (en) A profile wire conductor and a power cable
US4446331A (en) Power cable joint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ement insulator containing electrode spherical bodies
CN213584216U (zh) 一种预置式熔接电缆接头
US20230133613A1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