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16U -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16U
KR20220000516U KR2020200003100U KR20200003100U KR20220000516U KR 20220000516 U KR20220000516 U KR 20220000516U KR 2020200003100 U KR2020200003100 U KR 2020200003100U KR 20200003100 U KR20200003100 U KR 20200003100U KR 20220000516 U KR20220000516 U KR 202200005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d
hanging strap
incision
mask assembly
disposabl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896Y1 (ko
Inventor
류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이테크
Priority to KR2020200003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9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는 본체 패드;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본체 패드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삽입되어 본체 패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말단부가 걸리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시작단부를 가지는 걸림부; 및 걸림부를 포함한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을 고정시킬 고정부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 양단부의 걸림부를 걸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DISPOSABLE MASK ASSEMBLY}
본 고안은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을 고정시킬 고정부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 양단부의 걸림부를 걸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극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봄철에 접어들면 중국측에서 발생한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하여 대기의 질이 극도로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해가 거듭될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호흡기 계통의 질환은 물론, 각종 알레르기성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의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울러, 최근 국제보건기구(WHO)에서 팬데믹(pademic)을 선언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19(COVID-19)의 경우, 감염자의 호흡이나 재채기 등으로 인하여 공기중에 비산되는 비말(飛沫)로 인하여 감염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하고, 감염자의 비말로부터 비감염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고안된 공개특허 제10-2017-0065480호의 "일회용 의료 라운드 마스크"와 공개특허 제10-2019-0097388호의 "두 개의 와이어가 삽입된 일회용 마스크" 등과 같은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들은 도 3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1)와 본체 패드(1)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이용 스트랩(2)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걸이용 스트랩(2) 각각의 양단부는 본체 패드(1)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열융착부(3)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일회용 마스크의 구조는, 제조 설비를 단순화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오염 발생시 또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본체 패드(1)의 여과 기능이 떨어지면, 걸이용 스트랩(2)을 포함한 일회용 마스크 전부를 버려야 하는 낭비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체 패드(1)에 걸이용 스트랩(2)의 양단부가 열융착부(3)로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고정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 패드(1)를 제조한 후 걸이용 스트랩(2)을 다시 열융착 장치로 이송하여 융착시키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된 구조'는 최근 팬데믹이 선언된 신종코로나바이러스19나 예전의 메르스나 사스 등과 같은 감염병이 유행하는 상황에서 생산설비를 비상 체제로 가동하여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추가적인 공정에 따른 생산량 및 납기일 맞춤에 지대한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점에 봉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추가적이며 번거로운 걸이용 스트랩의 융착 또는 고정 등을 생략하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토록 한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065480호 공개특허 제10-2019-009738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을 고정시킬 고정부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 양단부의 걸림부를 걸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는 본체 패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에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패드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말단부가 걸리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시작단부를 가지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포함한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메인 슬릿과, 상기 메인 슬릿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메인 슬릿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병목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용 스트랩 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 안내 슬릿과, 상기 메인 슬릿으로부터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절개선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용 스트랩 또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개선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 안내 슬릿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1 융착 보강선과, 상기 절개선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 융착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내경을 가지는 고정말단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 융착 보강선과,
상기 고정말단 홀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융착 보강선과 연결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 융착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중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중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은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을 고정시킬 고정부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 양단부의 걸림부를 걸기만 하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19나 예전의 메르스나 사스와 같은 팬데믹 상황을 초래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황에서, 마스크 제품의 신속한 대량생산을 통한 비상 수급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직관적인 구조로 착용자가 직접 걸이용 스트랩의 걸림부를 본체 패드의 고정부를 통하여 끼워넣어 걸림 고정시켜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비상시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특장점이 있다.
다시말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는 본체 패드에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고자 열융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융착기 등과 같은 부피가 크고 고가인 장비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경우 숙련도에 상관없이도 작업자들을 단시간 교육후 현장에 바로 투입하여 노동교육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본 출원인이 시뮬레이션한 결과, 장치 1대당 본체 패드를 하루 10 내지 20만개까지 생산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렇듯,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경우에는 이동 및 운반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점검과 유지 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에서 걸이용 스트랩을 본체 패드에 고정하기 위하여 실시해야 하는 열융착 등과 같은 불필요한 생산 공정을 생략하고, 해당 공정에 필요한 원자재나 생산 설비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불필요한 생산 공정에 투입되어야 할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에 본체 패드를 제작 가공하는 설비를 추가 투입함으로써, 더욱더 생산량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본체 패드에 대응하여 걸이용 스트랩을 걸림 고정시켜 사용하다가 본체 패드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본체 패드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a 및 II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걸림부와 걸이용 스트랩의 결합 순서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 개념도
도 3은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IIa 및 II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걸림부(20)와 걸이용 스트랩(40)의 결합 순서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는 본체 패드(10)에 형성된 고정부(30)에 걸이용 스트랩(40) 양단부에 구비된 걸림부(20)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걸림부(20)는 본체 패드(10)의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20)는, 본체 패드(10)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삽입되어 본체 패드(10)의 이면 또는 표면에 말단부가 걸리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시작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30)는 걸림부(20)를 포함한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가 본체 패드(10)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본체 패드(10)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걸림부(20)는, 도 1(a)와 같이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부(30)에 걸이용 스트랩(40)과 함께 고정되는 제1 편(21)과, 제1 편(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편(21)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본체 패드(10)의 이면 또는 표면에 걸리는 말단부를 가지는 제2 편(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편(21)과 제2 편(22)이 전체적으로 미늘(barb)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고정부(30)로부터 걸림부(20)가 쉽게 빠져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걸림부(20)는, 도 1(b)와 같이 제1 편(21)과 함께, 제3, 4 편(23, 24)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 편(23)은 제1 편(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편(21)의 말단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편(21)에 대하여 직교하는 것이다.
제4 편(24)은 제1 편(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편(21)의 말단부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편(21)에 대하여 직교함과 동시에 제3 편(23)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3 편(23) 또는 제4 편(24)의 말단부가 본체 패드(10)의 이면 또는 표면에 걸리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20)는 고정부(3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편(21)에 대하여 연장된 제3 편(23)과 제4 편(24)이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고정부(30)로부터 걸림부(20)가 쉽게 빠져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20)는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30)는, 본체 패드(10)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절개 형성되어 고정부(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 안내 슬릿(32)과 절개선(31)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삽입 안내 슬릿(32)은, 본체 패드(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어 본체 패드(10)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메인 슬릿(3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안내 슬릿(32)은, 메인 슬릿(32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메인 슬릿(32a)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병목 슬릿(32b)을 포함하며, 걸이용 스트랩(40) 또는 걸림부(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 안내 슬릿(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개선(31)은 메인 슬릿(32a)으로부터 본체 패드(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일정 길이로 직선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용 스트랩(40) 또는 걸림부(20)는 절개선(31)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병목 슬릿(32b) 각각의 말단부 상호간의 거리는 걸림부(20)의 삽입은 허용하되, 전술한 바와 같은 미늘 형상 또는 T자 형상의 걸림부(20)가 걸림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20)가 형성되는 크기, 즉 제2 편(22)의 길이나 제3 편(23) 및 제4 편(24)의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메인 슬릿(32a)의 직경 또한 걸림부(20)의 삽입은 허용하되 미늘 형상 또는 T자 형상의 걸림부(20)가 걸림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20)가 형성되는 크기, 즉 제2 편(22)의 길이나 제3 편(23) 및 제4 편(24)의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30)는, 보강 구조의 마련을 위하여 도 1(a)와 같이 삽입 안내 슬릿(32)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1 융착 보강선(33a)과, 절개선(31)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 융착 보강선(33b)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융착 보강선(33a)은 걸이용 스트랩(4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삽입 안내 슬릿(32) 중 병목 슬릿(32b)과 메인 슬릿(32a)의 가장자리에 부작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삽입 안내 슬릿(32)의 가장자리가 허물어지고 뜯어지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제2 융착 보강선(33b)은 걸이용 스트랩(4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절개선(31)의 말단부 주변에 부작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절개선(31)의 말단부가 허물어지고 뜯어지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는, 절개선(31)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걸이용 스트랩(40)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내경을 가지는 고정말단 홀(3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고정말단 홀(34)은, 걸이용 스트랩(4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절개선(31)의 말단부 주변에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절개선(31)의 말단부가 연장되어 찢어져 벌어지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절개선(31)이 더 이상 찢어져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열 방지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는, 보강 구조의 마련을 위하여 도 1(b)와 같이 제2 융착 보강선(33b)과 함께, 제3 융착 보강선(33c)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3 융착 보강선(33c)은 고정말단 홀(34)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며 제2 융착 보강선(33b)과 연결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제3 융착 보강선(33c)은, 전순할 고정말단 홀(34)의 기능과 함께, 걸이용 스트랩(4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절개선(31)의 말단부 주변에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절개선(31)이 더 이상 찢어져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융착 보강선(33b)과 함께 고정말단 홀(34)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3 융착 보강선(33c)은, 걸이용 스트랩(40) 및 걸림부(20)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걸이용 스트랩(40) 또는 걸림부(20)의 제1 편(21) 외주면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보강 구조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고정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31)의 가장자리 양측 또는 일측에 열융착점(3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융착점(35)은 절개선(31)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절개선(31)의 가장자리 양측 중 절개선(31)의 가장자리 상측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절개선(31)의 가장자리 양측 중 절개선(31)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열융착점(35)은 절개선(31)을 따라 취성이 발생하여 찢어지거나 닳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절개선(31)의 형성 방향 양측 또는 일측에 일정 정도의 구조적 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안정적인 마스크의 사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열융착점(35)과 함께 고정말단 홀(34)의 직경은 걸이용 스트랩(40) 또는 걸림부(20)가 본체 패드(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1mm 이하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걸림부(20)는 도 2(a)와 같이 보강 구조 및 걸이용 스트랩(40)과의 결합 구조를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편(21)에는 금속재의 제1 핀(21p)이 내장되어 골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핀(21p)의 단부로부터 금속재의 제2 핀(22p)이 연장되어 제2 편(22)에 내장되고 골조 역할을 수행하며 제1 핀(21p)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1 편(21)에 내장된 금속재의 클램프(21c)가 좁혀지거나 벌려지는 한 쌍의 말단부를 가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클램프(21c)의 한 쌍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21s)들이 연장되어 걸이 스트랩(40)을 도 1(a)의 우측 및 좌측과 같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걸림부(20)는 도 2(b)와 같은 보강 구조 및 걸이용 스트랩(40)과의 결합 구조를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편(21)에는 금속재의 제1 핀(21p)이 내장되어 골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핀(21p)의 단부 일측으로부터 금속재의 제3 핀(23p)이 연장되어 제3 편(23)에 내장되고 골조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제1 핀(21p)의 단부 타측으로부터 금속재의 제4 핀(24p)이 연장되어 제4 편(24)에 내장되고 골조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1 편(21)에 내장된 금속재의 클램프(21c)가 좁혀지거나 벌려지는 한 쌍의 말단부를 가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클램프(21c)의 한 쌍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21s)들이 각각 연장되어 걸이용 스트랩(40)을 도 2(b)의 우측 및 좌측과 같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고안은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10)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40)을 고정시킬 고정부(30)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40) 양단부의 걸림부(20)를 걸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19나 예전의 메르스나 사스와 같은 팬데믹 상황을 초래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황에서, 마스크 제품의 신속한 대량생산을 통한 비상 수급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직관적인 구조로 착용자가 직접 걸이용 스트랩(40)의 걸림부(20)를 본체 패드(10)의 고정부(30)를 통하여 끼워넣어 걸림 고정시켜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비상시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특장점이 있다.
다시말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는 본체 패드(10)에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고자 열융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융착기 등과 같은 부피가 크고 고가인 장비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경우 숙련도에 상관없이도 작업자들을 단시간 교육후 현장에 바로 투입하여 노동교육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본 출원인이 시뮬레이션한 결과, 장치 1대당 본체 패드(10)를 하루 10 내지 20만개까지 생산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렇듯,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경우에는 이동 및 운반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점검과 유지 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기존의 일회용 마스크에서 걸이용 스트랩(40)을 본체 패드(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실시해야 하는 열융착 등과 같은 불필요한 생산 공정을 생략하고, 해당 공정에 필요한 원자재나 생산 설비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불필요한 생산 공정에 투입되어야 할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에 본체 패드(10)를 제작 가공하는 설비를 추가 투입함으로써, 더욱더 생산량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걸이용 스트랩(40)의 양단부에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0)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본체 패드(10)에 대응하여 걸이용 스트랩(40)을 걸림 고정시켜 사용하다가 본체 패드(1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본체 패드(10)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코와 입을 덮는 본체 패드에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용 스트랩을 고정시킬 고정부만 형성하고, 걸이용 스트랩 양단부의 걸림부를 걸면 바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전염병 확산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극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 패드
20...걸림부
21...제1 편
21c...클램프
21p...제1 핀
21s...스파이크
22...제2 편
22p...제2 핀
23...제3 편
23p...제3 핀
24...제4 편
24p...제4 핀
30...고정부
31...절개선
32...삽입 안내 슬릿
32a...메인 슬릿
32b...병목 슬릿
33a...제1 융착 보강선
33b...제2 융착 보강선
33c...제3 융착 보강선
34...고정말단 홀
35...열융착점
40...걸이용 스트랩

Claims (9)

  1.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는 본체 패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에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패드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본체 패드의 이면 또는 표면에 말단부가 걸리는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시작단부를 가지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포함한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패드 좌우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메인 슬릿과, 상기 메인 슬릿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메인 슬릿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병목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용 스트랩 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 안내 슬릿과,
    상기 메인 슬릿으로부터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절개선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용 스트랩 또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개선의 말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 안내 슬릿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1 융착 보강선과,
    상기 절개선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 융착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용 스트랩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내경을 가지는 고정말단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 융착 보강선과,
    상기 고정말단 홀의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융착 보강선과 연결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 융착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중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양측 중 상기 절개선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열융착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20200003100U 2020-08-25 2020-08-25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0496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00U KR200496896Y1 (ko) 2020-08-25 2020-08-25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00U KR200496896Y1 (ko) 2020-08-25 2020-08-25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16U true KR20220000516U (ko) 2022-03-04
KR200496896Y1 KR200496896Y1 (ko) 2023-05-26

Family

ID=8081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00U KR200496896Y1 (ko) 2020-08-25 2020-08-25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96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181U (ja) * 2005-06-29 2005-09-29 勇 谷山 衛生マスク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KR20100010029A (ko) * 2009-12-24 2010-01-29 이기영 일회용 황사 마스크
KR20170065480A (ko) 2017-06-01 2017-06-13 디스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의료 라운드 마스크
JP2017537235A (ja) * 2014-10-16 2017-12-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平坦折り畳み式レスピレータ及びその作製方法
KR20180029313A (ko) * 2016-09-12 2018-03-21 박상협 방진 마스크
KR20190097388A (ko) 2018-02-12 2019-08-21 김병철 두 개의 와이어가 삽입된 일회용 마스크
KR102095695B1 (ko) * 2019-10-23 2020-04-01 (주)피앤티디 끈 조절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181B2 (ja) 1990-03-27 2000-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異言語交信用翻訳方法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181U (ja) * 2005-06-29 2005-09-29 勇 谷山 衛生マスク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KR20100010029A (ko) * 2009-12-24 2010-01-29 이기영 일회용 황사 마스크
JP2017537235A (ja) * 2014-10-16 2017-12-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平坦折り畳み式レスピレータ及びその作製方法
KR20180029313A (ko) * 2016-09-12 2018-03-21 박상협 방진 마스크
KR20170065480A (ko) 2017-06-01 2017-06-13 디스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의료 라운드 마스크
KR20190097388A (ko) 2018-02-12 2019-08-21 김병철 두 개의 와이어가 삽입된 일회용 마스크
KR102095695B1 (ko) * 2019-10-23 2020-04-01 (주)피앤티디 끈 조절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96Y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495B2 (en) Medical mask with loupe light-compatible eye shield
US20100306908A1 (en) Lacrosse shirt and protective pad assembly
US8533871B2 (en) Lacrosse shirt and protective pad assembly
US20210401083A1 (en) Safety Face Mask
KR20150133477A (ko)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US20210321726A1 (en) Method for protecting skin from abrasion during prolonged wearing of a face mask
CN110996702A (zh) 包含可调节耳套环的口罩
US9700125B2 (en) Retainer assembly having a rotatable, releasable snap button engagement
KR20220000516U (ko) 일회용 마스크 어셈블리
US11064745B1 (en)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US6755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t and bite protection from dangerous persons
JP5074746B2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KR20220025761A (ko) 마스크
KR20220030667A (ko) 끈 길이 조절 마스크
SE508688C2 (sv) Andningsskydd med huva och bandsystem samt därtill anslutet filter
KR20170003124U (ko) 일회용 마스크
KR102382618B1 (ko) 플라스틱수지의 코지지대를 사용하는 마스크
KR102428600B1 (ko) 자성을 이용한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KR102447391B1 (ko) 마스크
JP5454889B2 (ja) ジャケット
JP3227579U (ja) マスク
CN212728916U (zh) 一种预防压力性损伤的护具
KR200347005Y1 (ko) 마스크
KR102332614B1 (ko) 마스크
KR20220097845A (ko) 식음 시에도 필터링 가능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