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20U -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20U
KR20220000320U KR2020200002756U KR20200002756U KR20220000320U KR 20220000320 U KR20220000320 U KR 20220000320U KR 2020200002756 U KR2020200002756 U KR 2020200002756U KR 20200002756 U KR20200002756 U KR 20200002756U KR 20220000320 U KR20220000320 U KR 202200003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
stag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도
박효권
Original Assignee
박영도
박효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도, 박효권 filed Critical 박영도
Priority to KR2020200002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320U/ko
Publication of KR20220000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45C13/007Hing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화장용 콤팩트가 탈착식으로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에 설치되는 프레임인 콤팩트 수용부(20)와, 콤팩트 수용부(20)에 설치되며,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되는 콤팩트(5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로 작동되는 탈착부(30)와,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된 콤팩트(50)를 콤팩트 수용부(2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젝트부(40)와, 탈착부(30)에 결합되는 콤팩트(50)로 구성되되, 탄성부재는 콤팩트(50)의 측면에서 콤팩트(50)에 탄성력으로 압박하고, 콤팩트(50)는 측면이 돌출형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가 콤팩트 수용부(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측면으로 후퇴하면서 콤팩트(50)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콤팩트 수용부(20)에 콤팩트(50)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상부로 돌출되면서 콤팩트(50)의 이탈이 방지되어, 언제든지 콤팩트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 한 손가락의 동작으로 콤팩트의 탈착이 가능하여, 화장연출 와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사용이 가능하며, 화장하는 동안 가벼운 콤팩트만 파지하면 되어 가벼운 콤팩트의 장점이 고스란히 남을 수 있는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that combines comp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용 콤팩트가 탈착식으로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콤팩트는 언제든지 필요할 때 화장 연출이 가능하거나 기동성 있게 화장 연출을 변경할 수 있도록 극히 작은 두께로 제작되어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된다.
화장용 콤팩트는 이와 같이 휴대성이 뛰어나도록 명칭과 같이 콤팩트 하게 제작되는 점에서 스마트폰과 결합된 기술이 종래에도 개발된 바가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762335호에서는 스마트폰에 화장용 콤팩트가 결합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화장용 콤팩트는 자체 내부에 거울이 내장되고, 화장에 필요한 모든 도구와 물질이 탑재되면서 가벼우므로, 화장을 수행할 때 굳이 스마트폰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어야 할 이유가 없음에도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콤팩트의 사용 역시 스마트폰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화장용 콤팩트가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긴 했지만, 이러한 탈착 기능은 콤팩트 자체를 교체하거나 콤팩트가 아예 필요 없어 분리하여 휴대하고자 할 때를 전제로 한 탈착기술이어서, 탈착을 위해 스마트폰 케이스를 벗겨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따르며, 잠깐의 사용을 위해 간단하게 탈착시키는 기술은 현재로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2335호(공고일자: 2017.08.08)
이에 본 고안은 콤팩트와 스마트폰 케이스의 탈착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언제든지 콤팩트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 한 손가락의 동작으로 콤팩트의 탈착이 가능하여, 화장연출 와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사용이 가능하며, 화장하는 동안 가벼운 콤팩트만 파지하면 되어 가벼운 콤팩트의 장점이 고스란히 남을 수 있는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통상의 스마트폰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케이스부(10)와, 상기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화장용 콤팩트(50)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인 콤팩트 수용부(20)와, 콤팩트 수용부(20)에 설치되며,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되는 콤팩트(5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로 작동되는 탈착부(30)와, 콤팩트 수용부(20)에 설치되며,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된 콤팩트(50)를 콤팩트 수용부(2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젝트부(40)와, 탈착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콤팩트(50)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콤팩트(50)의 측면에서 콤팩트(50)에 탄성력으로 압박하고, 콤팩트(50)는 측면이 돌출형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가 콤팩트 수용부(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측면으로 후퇴하면서 콤팩트(50)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콤팩트 수용부(20)에 콤팩트(50)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상부로 돌출되면서 콤팩트(50)의 이탈이 방지되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콤팩트 수용부(20)에는 콤팩트(50)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 스테이지(2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안착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에서 적어도 마주보는 두 지점에 설치되며,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33)과,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주면 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주면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바(3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바(31)에서 콤팩트(50)에 접촉되는 지점인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구름 볼(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가 서로 접촉될 때 구름 볼(32)로 인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특히 상기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일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상기 삽입홈의 대향되는 측의 면에는 슬라이딩 바(31)가 설치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삽입될 때는 삽입홈에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됨으로써 콤팩트(50)의 이탈이 더욱 철저하게 방지되며, 콤팩트(50)의 사용을 위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로부터 이탈될 때는 콤팩트(50)가 삽입홈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콤팩트(50)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젝트부(40)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을 삽입홈 측과 삽입홈의 대향면 측으로 양분시키는 지점에 설치되는 힌지축(42) 및,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25)으로 구성되어, 콤팩트(50)가 삽입 홈(22)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된 후에 콤팩트(50) 상면 중 일정 지점이 압박되면 콤팩트(50)가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함께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25)이 힌지축(42)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벽으로 양분될 때, 삽입 홈(22)의 반대 측 하부 공간(25)에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43)이 삽입되고, 삽입 홈(22) 측 하부 공간(25)에는 스테이지(24)가 수평일 경우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저면과 하부 공간(25)의 바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44)이 마련됨으로써,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된 경우에 압축 스프링(43)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의 저면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더라도 스토퍼 블록(44)으로 인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아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콤팩트와 스마트폰 케이스의 탈착이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언제든지 콤팩트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 한 손가락의 동작으로 콤팩트의 탈착이 가능하여, 화장연출 와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사용이 가능하며, 화장하는 동안 가벼운 콤팩트만 파지하면 되어 가벼운 콤팩트의 장점이 고스란히 남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콤팩트가 제거된 상태의 투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투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투시 측면도,
도 6은 콤팩트의 안착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와, 콤팩트 수용부(20)와, 탈착부(30)와, 이젝트부(40) 및, 콤팩트(50)로 구성된다.
케이스부(10)는 통상의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에 해당된다. 따라서 일측에는 스마트폰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최소한의 강성 또는 탄성을 위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콤팩트 수용부(20)는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화장용 콤팩트(50)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이다.
탈착부(30)는 수용부에 설치되는 어셈블리로서, 수용부에 안착되는 콤팩트(5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탄성 부재로 작동된다. 탈착부(30)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가 콤팩트 수용부(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측면으로 후퇴하면서 콤팩트(50)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콤팩트 수용부(20)에 콤팩트(50)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상부로 돌출되면서 콤팩트(5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젝트부(40)는 콤팩트(50)가 수용부에 삽입되고 탈착부(30)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도 콤팩트(50)가 단 한번의 동작으로 쉽게 수용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조합된 어셈블리이다. 이젝트부(40)의 동작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콤팩트(50)는 통상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콤팩트(50)와 동일하게 개폐 가능한 콤팩트 케이스(51)와, 콤팩트 케이스(51)의 커버 배면에 장착된 거울(53)과, 콤팩트 케이스(51)에 내장되는 파운데이션(54) 또는 기타 화장재료 및, 콤팩트 케이스(51)에 내장되는 메이크업 브러시(55)로 이루어진다.
콤팩트(50)는 특히 본 고안에서는 측면이 모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콤팩트(50)가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탈착부(30)가 콤팩트(50)의 측면 벽에 접촉되면서 후퇴하고, 안착이 완료되면 탈착부(30)가 수용부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동작이 콤팩트(50)의 측면 곡선에 추종하면서 발생되므로 안착과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콤팩트 수용부(20)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50)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 스테이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탈착부(3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에서 적어도 마주보는 두 지점에 설치되며, 탄성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33)과,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주면 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주면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바(31)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바(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50)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프링은 슬라이딩 바(31)가 콤팩?? 측면과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인축될 수 있게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바(31)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31)에서 콤팩트(50)에 접촉되는 지점인 단부에는 구름 볼(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가 서로 접촉될 때 구름 볼(32)로 인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구름 볼(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특히 슬라이딩 바(31)에서 콤팩트(50) 측면과 접촉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바(31)가 도 6과 같이 콤팩트(50) 안착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콤팩트(50) 측면이 구름 볼(32)과 먼저 접촉되어 콤팩트(50)가 하강될 때 구름볼이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콤팩트(50)와 탈착부(30) 간의 마찰력이 극소화 된다.
이때 구름 볼(32)이 슬라이딩 바(31) 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름 볼(32)이 슬라이딩 바(31)에 매립 설치될 때 구름 볼(32)의 돌출 폭(W)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 볼(32)의 직경(R)보다 작도록 설치된다. 만일 구름 볼(32)의 돌출 폭(W)이 구름 볼(32)의 직경(R)이라면 구름 볼(32)은 슬라이딩 바(31)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구름 볼(32)이 매립되는 부위에는 흑연이 도포되어 구름 볼(32)의 자유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콤팩트(50)는 일단 한번 스테이지(24)에 안착되면 이제 슬라이딩 바(31)와 구름 볼(32)은 콤팩트(50)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도 6의 하부 도면과 같이 탄성 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인해 슬라이딩 바(31)와 구름 볼(32)은 콤팩트(50) 상부를 더 타고 오르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콤팩트(50)가 콤팩트 수용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더욱 안정적으로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되어, 외부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케이스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일부에는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삽입홈의 대향되는 측의 면에는 슬라이딩 바(31)가 설치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삽입될 때는 삽입홈에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됨으로써 콤팩트(50)의 이탈이 더욱 철저하게 방지된다.
여기서 콤팩트(50)의 이탈 방지 정도는 탄성 스프링(33)의 규격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참고로 슬라이딩 바(31)는 슬라이딩 홈(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형태로 전진 또는 후진 동작하며, 슬라이딩 홈(21)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바(31)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스프링(33)이 내장된다. 이때 슬라이딩 바(31)의 인출에 제동이 걸리지 않으면 콤팩트(50)가 이탈될 경우 슬라이딩 바(31)는 스테이지(24)로 튕겨져 나올 수 있다.
이런 현상의 방지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홈(21)의 출구 측에는 바닥이 돌기 형태로 솟아오른 이탈방지 턱(23)이 마련되며, 슬라이딩 바(31)에는 이탈방지 턱(23)에 걸릴 수 있도록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다.
그런데 일단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된 후에, 콤팩트(50)를 사용하여 화장 연출을 하기 위해 다시 콤팩트(50)를 케이스부(10)로부터 이탈시켜야 할 경우에도 간단하게 분리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콤팩트(50)는 평소에는 안정적으로 부착되다가 필요할 때에만 간단하게 콤팩트 수용부(20)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모순된 요청이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이젝트부(40)가 설치된다.
이젝트부(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을 삽입홈 측과 삽입홈의 대향면 측으로 양분시키는 지점에 설치되는 힌지축(42) 및,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25)으로 구성되어, 콤팩트(50)가 삽입 홈(22)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된 후에 콤팩트(50) 상면 중 일정 지점이 압박되면 콤팩트(50)가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함께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콤팩트(50)를 케이스부(10)로부터 이탈시킬 때 손가락으로 일단 콤팩트(50)를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왼쪽으로 밀어서 콤팩트(50)를 삽입홈에서 이탈시킨다. 그 다음에 콤팩트(50)를 왼쪽으로 밀었던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로 그 손가락으로 콤팩트(50)를 누르면 힌지축(42)으로 인해 콤팩트(50)와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이 회전되어, 도 1을 기준으로 콤팩트(50)의 오른쪽 부위가 상승되므로, 상승된 콤팩트(50)의 오른쪽 부위를 잡고 빼면 간단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이 콤팩트(5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콤팩트(50)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요철(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하부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인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의 저면이 압박을 받으면 힌지축(42)으로 인해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음에도 콤팩트(50)의 왼쪽 부위가 치켜들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힌지축(42)의 시계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스토퍼 블록(44)이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 블록(44)의 설치로 인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콤팩트(50)는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완전 차단되고 오로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여, 사용자의 콤팩트(50) 사용을 위한 탈거 동작이 있기 전에는 콤팩트(50)는 안정적으로 스테이지(24)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삽입 홈(22)의 수평 깊이(D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 측면의 이격 거리(D1) 보다 작아야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콤팩트(50)를 왼쪽으로 밀었을 경우 콤팩트(50)의 오른쪽이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서는 화장용 콤팩트(50)가 별도의 커버나 뚜껑에 의한 고정 없이도 극히 안정적으로 케이스부(10)에 결합되고, 또한 언제든지 메이크업이 필요할 경우 콤팩트(50)를 극히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콤팩트(50)가 스마트 폰과 결합된 상태에서만 메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었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1 : 슬라이딩 바와 콤팩트 측면의 이격 거리 D2: 삽입홈의 수평 깊이
R : 구름 볼의 직경 W : 구름 볼의 돌출 폭
10 : 케이스부 20 : 콤팩트 수용부
21 : 슬라이딩 홈 22 : 삽입 홈
23 : 이탈방지 턱 24 : 스테이지
25 : 하부 공간 30 : 탈착부
31 : 슬라이딩 바 32 : 구름 볼
33 : 탄성 스프링 40 : 이젝트부
41 : 스테이지 바닥 패널 42 : 힌지축
43 : 압축 스프링 44 : 스토퍼 블록
50 : 콤팩트 51 : 콤팩트 케이스
52 : 미끄럼 방지 요철 53 : 거울
54 : 파운데이션 55 : 메이크업 브러시
311 : 이탈방지 돌기

Claims (6)

  1. 통상의 스마트폰 형상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케이스부(10)와;
    상기 케이스부(10)에 설치되며, 화장용 콤팩트(50)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인 콤팩트 수용부(20)와;
    상기 콤팩트 수용부(20)에 설치되며,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되는 콤팩트(5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로 작동되는 탈착부(30)와;
    상기 콤팩트 수용부(20)에 설치되며, 콤팩트 수용부(20)에 안착된 콤팩트(50)를 콤팩트 수용부(2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젝트부(40)와;
    상기 탈착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콤팩트(50);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콤팩트(50)의 측면에서 콤팩트(50)에 탄성력으로 압박하고,
    상기 콤팩트(50)는 측면이 돌출형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가 콤팩트 수용부(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측면으로 후퇴하면서 콤팩트(50)의 삽입이 이루어지고, 콤팩트 수용부(20)에 콤팩트(50)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부재는 콤팩트(50) 상부로 돌출되면서 콤팩트(5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 수용부(20)에는 콤팩트(50)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 스테이지(2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안착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에서 적어도 마주보는 두 지점에 설치되며,
    탄성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33)과,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내주면 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주면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바(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31)에서 콤팩트(50)에 접촉되는 지점인 단부에는 구름 볼(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가 서로 접촉될 때 구름 볼(32)로 인해 슬라이딩 바(31)와 콤팩트(5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일부에는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지(24)의 측면 내주면 중 상기 삽입홈의 대향되는 측의 면에는 슬라이딩 바(31)가 설치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삽입될 때는 삽입홈에 콤팩트(50)의 측면 테두리가 삽입됨으로써 콤팩트(50)의 이탈이 더욱 철저하게 방지되며,
    콤팩트(50)의 사용을 위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로부터 이탈될 때는 콤팩트(50)가 삽입홈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콤팩트(50)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부(40)는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을 삽입홈 측과 삽입홈의 대향면 측으로 양분시키는 지점에 설치되는 힌지축(42) 및,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25)으로 구성되어,
    콤팩트(50)가 삽입 홈(22)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된 후에 콤팩트(50) 상면 중 일정 지점이 압박되면 콤팩트(50)가 스테이지 바닥 패널(41)과 함께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25)이 힌지축(42)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벽으로 양분될 때, 삽입 홈(22)의 반대 측 하부 공간(25)에는 압축 스프링(43)이 삽입되고, 삽입 홈(22) 측 하부 공간(25)에는 스테이지(24)가 수평일 경우 스테이지 바닥 패널(41) 저면과 하부 공간(25)의 바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44)이 마련됨으로써,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된 경우에 압축 스프링(43)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의 저면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더라도 스토퍼 블록(44)으로 인해 스테이지 바닥 패널(41)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아 콤팩트(50)가 스테이지(24)에 안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50)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200002756U 2020-07-28 2020-07-28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200003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56U KR20220000320U (ko) 2020-07-28 2020-07-28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56U KR20220000320U (ko) 2020-07-28 2020-07-28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20U true KR20220000320U (ko) 2022-02-04

Family

ID=8025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56U KR20220000320U (ko) 2020-07-28 2020-07-28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3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805A (zh) * 2022-04-11 2022-07-22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替换化妆粉的新型磁力开合的吸附式化妆粉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35B1 (ko) 2017-02-23 2017-08-08 (주)케이앤피코스메틱 화장품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35B1 (ko) 2017-02-23 2017-08-08 (주)케이앤피코스메틱 화장품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805A (zh) * 2022-04-11 2022-07-22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替换化妆粉的新型磁力开合的吸附式化妆粉盒
CN114766805B (zh) * 2022-04-11 2024-02-27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替换化妆粉的新型磁力开合的吸附式化妆粉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2430B (zh) 充電裝置
JP2018512828A (ja) 端末スタンド、端末ケース及び端末組立体
CN101841581B (zh) 手写笔弹出机构
KR20220000320U (ko) 콤팩트가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
US9508965B1 (en) Housing structure with battery cover
KR101615328B1 (ko) 독서대
CN105811173A (zh) 用于移动终端的卡座及移动终端
WO2018113483A1 (zh) 摇杆结构及遥控器
US20150092339A1 (en) Push button assembly, chassis, and operating method of chassis
CN101636052B (zh) 电子设备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1932Y1 (ko) 무선 이어폰 케이스용 비접착 커버 유닛
KR20170111404A (ko) 스마트폰 거치대
JP2018521577A (ja) カードトレイ、カード接続装置及び移動端末
JP6714792B1 (ja) 押圧取替式ドローペン
CN102999114B (zh) 容置装置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200475799Y1 (ko) 스마트키
CN114096087B (zh) 置物组件和电子设备
EP3016079A1 (fr) Boitier de terminal équipé d'une trappe amovible à profil curviligne
KR20050033097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US20180261258A1 (en) Optical disk drive and locking module
JP2011055889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90008886U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트레이
KR101632906B1 (ko) 스마트기기의 가구용 충전 거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