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84U - 마스크용 귀 보호대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귀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84U
KR20220000284U KR2020200002683U KR20200002683U KR20220000284U KR 20220000284 U KR20220000284 U KR 20220000284U KR 2020200002683 U KR2020200002683 U KR 2020200002683U KR 20200002683 U KR20200002683 U KR 20200002683U KR 20220000284 U KR20220000284 U KR 20220000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roove
ear
protector body
string
earr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크린
Priority to KR2020200002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284U/ko
Publication of KR20220000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 착용 시 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보호대 본체와, 상기 보호대 본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이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마스크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귀걸이 끈과 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귀걸이용 끈의 길이 조절 후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용 귀 보호대이다.

Description

마스크용 귀 보호대{EAR PROTECTING DEVICE FOR MASK}
본 고안은 마스크 착용 시 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보호대 본체와, 상기 보호대 본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이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마스크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귀걸이 끈과 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귀걸이용 끈의 길이 조절 후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용 귀 보호대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을 덮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 측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는 귀걸이 끈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스크에 의해 외부 공기의 세균이나 이물질이 사용자의 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마스크의 경우 사용 시간이 증가되면 마스크의 귀걸이 끈과 귀의 접촉 시간이 증가하여 사용자의 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종래의 마스크의 경우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마스크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40383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보호대 본체와, 상기 보호대 본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이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마스크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귀걸이 끈과 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귀걸이용 끈의 길이 조절 후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용 귀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과 사용자의 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보호대 본체(110)와,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귀걸이용 끈이 진입하는 도입부(150)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이 걸림되는 걸림홈(G)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G)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호대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G)의 크기는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된 상태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되지 않는 상태에는 상기 귀걸이용 끈이 상기 걸림홈(G)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된 경우 상기 귀걸이용 끈은 상기 걸림홈(G)에 걸림되지 않아 이동 가능하게 되는 마스크용 귀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걸림홈(G)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홈(120)과, 상기 제1걸림홈(120) 사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걸림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홈(130)의 크기는 상기 제1걸림홈(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 사이에는 이동 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140)는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통로(140)는 보호대 본체(1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상기 도입부(150)는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도입부(151)와, 보호대 본체(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하부 도입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입부(151)는 보호대 본체(110)의 상단부부터 특정 폭으로 개방되고 하향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걸림홈(S)의 제1걸림홈(120)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도입부(152)는 보호대 본체(110)의 하단부부터 특정 폭으로 개방되고 상향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걸림홈(S)의 제2걸림홈(130)과 연통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해 마스크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귀걸이 끈과 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귀걸이용 끈의 길이 조절 후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의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로서 귀걸이 끈을 당기지 않아 귀걸이 끈이 이동할 수 없음을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로서 귀걸이 끈을 당겨 귀걸이 끈이 이동 가능함을 보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대(100)는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과 사용자의 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 본체(110)와 상기 보호대 본체(110)에 형성되는 도입부(150) 및 걸림홈(G)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대 본체(110)는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보호대 본체(110)는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귀 뒤측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진다.
이러한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도입부(1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귀걸이 끈은 상기 도입부(150)를 통해 상기 걸림홈(G)을 진입하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상기 걸림홈(G)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G)은 보호대 본체(110)의 상하 방향 기준으로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G)을 통해 귀걸이용 끈이 통과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G)에는 귀걸이용 끈이 통과된 후 걸림되며 이를 위해, 상기 걸림홈(G)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호대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귀걸이용 끈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탄성 재질로서 상기 귀걸이용 끈을 사용자가 당겨서 인장상태가 되면 직경이 감소하고, 이후 인장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귀걸이용 끈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여 직경이 증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귀걸이용 끈의 직경은 인장 상태 혹은 인장 해제 상태에 따라 변동되고 이를 이용하여 귀걸이용 끈의 길이를 조절하며, 이에 대해서 따로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G)의 크기는 상기 귀걸이용 끈(S)이 인장된 상태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G)의 크기(GD1)는 내부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G)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내향 돌출되고 상호 대향되는 지점의 최소 직선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G)의 크기는 귀걸이용 끈(S)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의 직경(D1)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귀걸이용 끈(S)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귀걸이용 끈(S)은 상기 걸림홈(G) 내부에 내향 돌출되는 부분에 걸림되므로 상기 귀걸이용 끝(S)은 이동하지 못한다. 만약, 상기 귀걸이용 끈(S)을 당겨 인장 상태가 되면 상기 귀걸이용 끈(S)의 직경(D2)이 감소하여 걸림홈(G)의 크기(GD1)보다 작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귀걸이용 끈(S)은 상기 걸림홈(G)에 걸림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상기 귀걸이용 끈(S)의 이동이 허용되어 사용자는 귀걸이용 끈(S)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G)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120)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홈(130)은 상기 제1걸림홈(120) 사이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도입부(150)는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도입부(150) 사이에 제1걸림홈(120)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걸림홈(120)은 보호대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보호대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홈(130)은 한 쌍의 제1걸림홈(120)사이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홈(130)의 크기는 상기 제1걸림홈(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의 크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내향 돌출되고 상호 대향되는 지점 사이의 최소 직선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포함하는 이유는 마스크에 따라 귀걸이용 끈(S)의 직경이 변동될 수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상술된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구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귀걸이용 끈(S1)은 상기 제1걸림홈(120)에 삽입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귀걸이용 끈(S2)은 제2걸림홈(130)에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도 3은 귀걸이 끈(S)을 당기지 않아 원래 직경을 유지하여 걸림홈(G)에 걸림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4는 사용자가 귀걸이 끈(S)을 당겨 직경이 감소된 관계로 걸림홈(G)에 걸림되지 않아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 사이에는 이동 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140)는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 통로(140)는 보호대 본체(1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귀걸이용 끈을 제2걸림홈(130)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도입부(150)와 제1걸림홈(120)을 통과한 후 상기 이동 통로(140)를 거쳐 제2걸림홈(130)으로 진입한다. 상기 제2걸림홈(130)에 진입한 귀걸이용 끈이 제1걸림홈(120)으로 역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된 형상을 가지는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입부(150)는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도입부(151)와, 보호대 본체(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하부 도입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도입부(151)는 보호대 본체(110)의 상단부부터 특정 폭으로 개방되고 하향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걸림홈(S)의 제1걸림홈(120)과 연통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도입부(151)는 보호대 본체(110)의 상단부에서 L1의 특정 폭을 가지고 개방되며 하향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개방된 폭은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L2로 된다. 이러한 상부 도입부(151)는 제1걸림홈(120)과 연통되어 상기 상부 도입부(151)를 통해 진입한 귀걸이용 끈이 제1걸림홈(120)으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입부(152)는 상부 보입부(151)와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보호대 본체(110)의 하단부부터 특정 폭(L1)으로 개방되고 상향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어 L2가 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하부 도입부(152) 역시 제2걸림홈(13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입부(152)를 통해 진입한 귀걸이용 끈이 제2걸림홈(130)으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양 측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사용자와 접촉될 때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대 본체(11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또는 pp(polypropylene)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귀 보호대(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끈(S)을 상부 도입부(151) 및 하부 도입부(152) 내부로 진입하여 걸림홈(G) 내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귀걸이 끈(S)은 걸림홈(G) 중 제1걸림홈(120)에 배치할 수 있다. 물론 귀걸이 끈(S)의 직경이 작은 경우 제2걸림홈(130)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는 보호대(110)의 외측에 배치된 귀걸이 끈(S)을 귀(ear) 반대 방향(방향1)으로 당겨 귀걸이 끈(S)의 직경을 축소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마스크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끈(S)을 당기면 직경이 D1에서 D2로 축소된다. 즉, 상기 귀걸이 끈(S)의 직경이 제1걸림홈(120) 크기보다 작게 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귀걸이 끈(S)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여 귀걸이 끈(S)의 직경이 원래 직경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된 상태의 직경인 D2에서 파지 상태를 해제하여 직경이 D1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복귀된 직경인 D1은 제1걸림홈(120) 크기(GD)보다 크므로 상기 귀걸이 끈(S)은 상기 제1걸림홈(120) 내부 돌출부에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귀걸이 끈(S)은 이동이 금지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귀걸이 끈(S)을 당겨서 적절한 길이로 조절한 후 파지 상태를 해제하면 귀걸이 끈(S)이 걸림홈 내부에 걸림되어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귀걸이 끈(S)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보호대 120 : 제1걸림홈
130 : 제2걸림홈 140 : 이동 통로
150 : 도입부 151 : 상부 도입부
152 : 하부 도입부

Claims (4)

  1.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과 사용자의 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귀 뒤측에 배치되어 접하는 것으로서, 특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이고 특정 곡률로 만곡된 보호대 본체(110)와,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귀걸이용 끈이 진입하는 도입부(150)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귀걸이용 끈이 걸림되는 걸림홈(G)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G)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호대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G)의 크기는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된 상태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되지 않는 상태에는 상기 귀걸이용 끈이 상기 걸림홈(G)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귀걸이용 끈이 인장된 경우 상기 귀걸이용 끈은 상기 걸림홈(G)에 걸림되지 않아 이동 가능하게 되는 마스크용 귀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G)은 상기 도입부(150)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홈(120)과, 상기 제1걸림홈(120) 사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걸림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홈(130)의 크기는 상기 제1걸림홈(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마스크용 귀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 사이에는 이동 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140)는 상기 제1걸림홈(120)과 제2걸림홈(130)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통로(140)는 보호대 본체(1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용 귀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150)는 상기 보호대 본체(1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도입부(151)와, 보호대 본체(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하부 도입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입부(151)는 보호대 본체(110)의 상단부부터 특정 폭으로 개방되고 하향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걸림홈(S)의 제1걸림홈(120)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도입부(152)는 보호대 본체(110)의 하단부부터 특정 폭으로 개방되고 상향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걸림홈(S)의 제2걸림홈(130)과 연통되는 마스크용 귀 보호대.
KR2020200002683U 2020-07-23 2020-07-23 마스크용 귀 보호대 KR202200002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83U KR20220000284U (ko) 2020-07-23 2020-07-23 마스크용 귀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83U KR20220000284U (ko) 2020-07-23 2020-07-23 마스크용 귀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84U true KR20220000284U (ko) 2022-02-04

Family

ID=8025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83U KR20220000284U (ko) 2020-07-23 2020-07-23 마스크용 귀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28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83B1 (ko) 2015-12-29 2019-01-18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83B1 (ko) 2015-12-29 2019-01-18 한가현 턱 움직임이 용이한 보건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US10638802B2 (en) Mask provided with latch
EP1326031B1 (en) Locking device
KR200487185Y1 (ko) 안면 마스크
KR20100001474U (ko) 마스크
JP2017193802A5 (ko)
KR200411067Y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KR200493756Y1 (ko) 조절형 마스크 귀걸이
KR20220000284U (ko) 마스크용 귀 보호대
US2981994A (en) One-piece lingerie buckle
US20030159707A1 (en) Cap for treating locks of hair,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thereof
KR100361317B1 (ko) 휴대폰케이스
JP2986777B1 (ja) 衣類用ベルトセットとそれに使用されるバックル及びベルト
EP1267655A1 (en) Strap fastener
KR102602010B1 (ko) 탈부착식 끈을 구비한 마스크
KR102426661B1 (ko) 마스크
KR20220036159A (ko) 마스크 착용 보조구
US2772559A (en) Key hanger for key cases
KR20210017451A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220049384A (ko) 걸이용 밴드 및 걸이용 밴드의 연결방법
CA2417447C (en) An easily carried eye rinsing device
KR200337520Y1 (ko) 넥타이 매듭부재
JP4768228B2 (ja) 絞り機構付き製品
JP6481075B1 (ja) リュックサック
US2869206A (en) Safety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