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71U - 작업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작업용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71U
KR20220000171U KR2020200002472U KR20200002472U KR20220000171U KR 20220000171 U KR20220000171 U KR 20220000171U KR 2020200002472 U KR2020200002472 U KR 2020200002472U KR 20200002472 U KR20200002472 U KR 20200002472U KR 20220000171 U KR20220000171 U KR 20220000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work
leg
worker
nangs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321Y1 (ko
Inventor
남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스씨
Priority to KR2020200002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2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바지 형태로 착용되는 작업용 보호구로서,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 보호편과,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착용되는 다리 보호편을 포함하는 작업용 보호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보호구{Apron type body protector}
본 고안은 작업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옷을 오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작업 전에 작업복으로 환복한 후 작업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을 본 작업의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초 작업에 사용되는 예초기는 잡초 등과 같이 불필요하게 자란 풀이나 필요 이상의 높이로 자란 풀을 베어 잘라내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예초기는 대개, 작업자가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멜빵이 부착되어 있는 엔진이 구비되고, 엔진과 연결되는 손잡이의 선단부에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예초기의 손잡이를 잡고 커터를 지면 가까이 위치시켜 풀을 잘라내는 제초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예초기를 사용하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풀을 베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엔 예초기에 의해 잘려진 풀의 상당량이 작업자의 몸쪽으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함은 물론 작업자의 옷이 풀물에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옷에 물든 풀물은 세탁을 해도 잘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복을 구비해야만 예초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복은 입고 벗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작업복을 입고 예초 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작업복이 풀물에 오염되기 때문에, 예초 작업 후에는 작업복을 세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74호에서 '예초 작업용 앞치마'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74호에서는, 인체의 목 아래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예초 작업용 앞치마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까지 탄성 수축되는 허리착탈용 탄성체가 인체를 감싸는 천의 허리부위에 설치되고, 천의 상부측을 세워두는 다수의 지주용 막대가 탄성체의 상부에 세워져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예초 작업용 앞치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앞치마 착용은, 상부의 막대를 세운 상태로 탄성체를 벌려 허리를 넣은 후, 벌린 탄성체를 놓으면 탄성체가 허리를 조여 걸림된 상태로서 허리 위쪽을 앞치마의 천이 감싼 상태로 착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앞치마는 작업자의 몸에 치마 형태로 착용되어 예초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예초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가 계속 움직이면서 풀을 잘라내야 하므로 작업자의 이동시 작업자의 몸을 감싼 치마 폭이 좁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보폭이 제한되어 작업자의 이동이 불편하게 되고, 치마 폭이 넓은 경우에는 치마가 작업자의 발에 밟혀 작업자가 넘어지게 되면서 매우 위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앞치마를 착용한 작업자의 민첩성이 떨어져 예초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74호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보호구를 바지와 같이 착용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옷을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에 바지 형태로 착용되는 작업용 보호구로서,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 보호편과,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착용되는 다리 보호편을 포함하는 작업용 보호구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양 다리 보호편은 몸통 보호편에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고, 몸통 보호편과 연결된 양 다리 보호편에는 서로 포개져 졉쳐진 낭심커버부가 구비되어, 양 다리 보호편이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될 시 포개진 낭심커버부가 작업자의 낭심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낭심커버부를 구성하는 보호구의 내측에는 낭심을 보호하기 위한 낭심보호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양 다리 보호편의 내측에는 허벅지를 감싸 보호하는 허벅지보호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작업용 보호구에 따르면, 작업자가 신체 전면에서 보호구를 바지와 같이 착용함으로써 작업시 비산되는 파편 등과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복을 간편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으며, 보호구의 양 다리 보호편이 작업자의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구비되므로 작업자의 보폭이 보호구에 간섭되지 않아 민첩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보호구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보호구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구의 착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보호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보호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신체 전면에서 작업자의 몸을 감싸 바지 형태로 착용되는 통기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보호구이다.
이하에서는 작업용 보호구(100)를 설명함에 있어,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보호구(100)는 작업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 보호편(110)과,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착용되는 다리 보호편(140)(150)을 포함한다.
몸통 보호편(110)은 작업자의 가슴과 복부 부위를 감쌀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몸통 보호편(110)이 작업자의 복부 부위를 감싸는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몸통 보호편(110)의 상단부에는 작업자의 목에 걸림되어 구비되는 목걸이부(111)가 구비되되, 목걸이부(111)는 몸통 보호편(110)의 상단부 양측에서 각각 인출되는 2개의 줄로 구비되고, 양측의 줄은 하나의 고리로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목걸이부(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목걸이부(111)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보호구(100)를 작업자의 신장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몸통 보호편(110)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112)가 구비되되, 이 포켓부(112)는 몸통 보호편(110)의 후면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한편 몸통 보호편(110)과 연결된 상단부는 몸통 보호편(110)의 전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포켓부(112)의 개구부에는 포켓부(112)를 개폐시키는 지퍼(113)가 구비된다.
이로써, 몸통 보호편(110)의 전면에서 지퍼(113)를 열고 닫음에 따라 몸통 보호편(110)의 후면으로 연장된 포켓부(112)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통 보호편(110)의 후면으로 연장된 포켓부(112)는 작업자의 낭심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포켓부(112)의 전,후면에는 상단부가 개구된 주머니 형태의 수납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양면의 수납부(114)에는 낭심보호대(120)가 각각 수납되어 구비된다.
이때, 수납부(114)의 개구부에도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퍼나 벨크로 등과 같은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낭심보호대(12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전술한 수납부(114)의 구성이 없이, 포켓부(112)의 전,후면에 각각의 낭심보호대(120)를 벨크로로서 탈.부착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낭심보호대(120)는 3∼7㎜ 두께의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형성되는 바, 낭심보호대(120)의 두께가 7㎜를 초과하면 두꺼운 두께로 인한 이물감으로 인해 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이 둔화될 수 있고, 3㎜ 미만이면 얇은 두께로 인해 낭심 보호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낭심보호대(120)는 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몸통 보호편(110)의 하단부에는 몸통 보호편(110)을 마감하는 한편 다리 보호편(140)(150)과의 경계를 이루도록 재봉된 경계부(130)가 형성된다.
즉, 경계부(1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몸통 보호편(11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다리 보호편(140)(150)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 보호편(140)(150)은 작업자의 양 다리에 대응한 복수개로서, 각각 독립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양 다리 보호편(140)(150)은 그 상단부가 몸통 보호편(110)의 경계부(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외측 테두리(141)(151)는 나란하게 형성되지만, 내측 테두리(142)(152)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상단부는 서로 반대쪽 다리 보호편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측 테두리(142)(152)가 서로 포개져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이 포개진 중첩부는 작업자의 낭심을 덮어 커버하는 낭심커버부(160)로 형성된다.
즉, 양 다리 보호편(140)(150)을 각각 작업자의 양 다리에 착용하면, 다리 보호편(140)(150)의 상단부는 작업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구비되고, 하단부는 작업자의 발목 부위를 감싼 상태로 구비되며, 중간부는 다리의 허벅지와 종아리부를 각각 감싼 상태로 구비되면서 낭심커버부(160)가 작업자의 낭심 부위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낭심커버부(160)의 후면에는 전술한 포켓부(112)가 위치됨으로써, 포켓부(112)의 수납부(114)에 수납된 낭심보호대(120)가 낭심커버부(160) 후방에 위치되어, 작업자의 낭심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낭심보호대(120)와 더불어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측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허벅지를 감싸 보호하는 허벅지보호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허벅지보호대는 낭심보호대(12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허벅지보호대는 허벅지에 있는 대동맥을 날카로운 파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보호구(100)를 착용한 작업자는 낭심보호대(120)와 허벅지보호대(미도시)에 의해 낭심과 허벅지가 각각 보호됨으로써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파편이 날라오더라도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측 테두리(142)(152)와 외측 테두리(141)(151)에는 각 다리 보호편(140)(150)이 작업자의 다리를 감싼 상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한 한쌍의 버클이 구비되고, 버클은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외측 테두리(141)(151)(142)(152)에 각각 구비되어 체결되는 잠금편(170)과 후크편(1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편(170)과 후크편(171)은 다리 보호편(140)(150)에 각각 연결줄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잠금편(170) 또는 후크편(171) 중 어느 한쪽의 연결줄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잠금편(170) 또는 후크편(171)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 다른 예로는, 다리 보호편(140)(150)에 잠금편(170)과 후크편(171)을 연결하는 연결줄을 탄성을 갖는 고무밴드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마다 다른 체형 즉 다리의 굵기가 제각기 달라도 다리 보호편(140)(150)에 구비된 잠금편(170) 및 후크편(17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리 보호편(140)(150)이 작업자의 허리와 허벅지, 종아리를 감싼 상태로 구비되므로 다리 보호편(140)(150)을 작업자의 체형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잠금편(170)과 후크편(171)은 다리 보호편(140)(150)의 상단부와, 중앙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위치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 보호편(140)(150)의 외측 테두리에 잠금편(170)을 구비하고, 내측 테두리(142)(152)에는 후크편(171)을 구비하여, 후크편(171)을 잠금편(170)에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후크편(171)이 잠금편(17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호구(100)는 다리 보호편(140)(150)이 작업자의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착용되어 이동이 편리하게 됨으로써 고정 작업이 아닌 이동 작업인 예초 작업의 특성에 매우 적합한 장비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구의 착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예초 작업을 준비하는 작업자가 자신의 신장에 맞게 목걸이부(111)의 길이를 조절한 후, 목걸이부(111)를 목에 걸어 보호구(100)가 작업자의 신체 전면에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양 다리 보호편(140)(150)을 차례로 작업자의 각 다리에 덮어 감싸면서 다리 후방으로 위치되는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외측 테두리(141)(151)(142)(152)에 구비된 후크편(171)을 대응되는 잠금편(170)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다리 보호편(140)(150)도 작업자의 다른 다리에 착용하여 구비한다.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보호구(100)의 몸통 보호편(110)은 작업자의 복부 부위를 덮어 감싼 상태로 구비되고, 다리 보호편(140)(150)은 작업자의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구비되어 바지와 같이 착용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양 다리가 보호구(100)의 다른 다리 보호편(140)(150)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움직임이 자유로워 이동이 편리하고, 이동시 보호구(100)에 의한 넘어짐이 해소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예초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착용된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중첩된 낭심커버부(160)는 양 다리 보호편(140)(150)의 내측 테두리(142)(152)가 각 다리의 허벅지 안쪽을 감싸게 되면서 낭심을 커버하게 되고, 낭심커버부(160) 후방의 포켓부(112)에 구비된 낭심보호대(120)는 작업자의 낭심과 낭심커버부(160) 사이에 위치되어 낭심을 보호하게 되며, 다리 보호편(140)(150) 후면의 허벅지보호대는 허벅지를 감싸 보호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보호구 110 : 몸통 보호편
111 : 목걸이부 112 : 포켓부
113 : 지퍼 114 : 수납부
120 : 낭심보호대 130 : 경계부
140,150 : 다리 보호편 141,151 : 외측 테두리
142,152 : 내측 테두리 160 : 낭심커버부
170 : 잠금편 171 : 후크편

Claims (4)

  1. 작업자의 몸에 바지 형태로 착용되는 작업용 보호구로서,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 보호편과, 양 다리를 각각 감싼 상태로 착용되는 다리 보호편을 포함하는 작업용 보호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다리 보호편은 몸통 보호편에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고, 몸통 보호편과 연결된 양 다리 보호편에는 서로 포개져 졉쳐진 낭심커버부가 구비되어, 양 다리 보호편이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될 시 포개진 낭심커버부가 작업자의 낭심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작업용 보호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낭심커버부를 구성하는 보호구의 내측에는 낭심을 보호하기 위한 낭심보호대가 구비되는 작업용 보호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양 다리 보호편의 내측에는 허벅지를 감싸 보호하는 허벅지보호대가 구비되는 작업용 보호구.
KR2020200002472U 2020-07-10 2020-07-10 작업용 보호구 KR200496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72U KR200496321Y1 (ko) 2020-07-10 2020-07-10 작업용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72U KR200496321Y1 (ko) 2020-07-10 2020-07-10 작업용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71U true KR20220000171U (ko) 2022-01-18
KR200496321Y1 KR200496321Y1 (ko) 2023-01-02

Family

ID=8004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72U KR200496321Y1 (ko) 2020-07-10 2020-07-10 작업용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2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61U (ko) * 1999-05-04 1999-08-16 정승구 기계톱작업용안전보호복
JP2009052169A (ja) * 2007-08-27 2009-03-12 Wako Co Ltd 作業用エプロン
KR200455574Y1 (ko) 2008-12-24 2011-09-15 구기현 예초 작업용 앞치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61U (ko) * 1999-05-04 1999-08-16 정승구 기계톱작업용안전보호복
JP2009052169A (ja) * 2007-08-27 2009-03-12 Wako Co Ltd 作業用エプロン
KR200455574Y1 (ko) 2008-12-24 2011-09-15 구기현 예초 작업용 앞치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21Y1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968Y1 (ko) 활동이 용이한 상하 일체형 작업복
US5113526A (en) Protective clothing incorporating coil springs
US4503566A (en) Leg protector
US5031247A (en) Leg protector
US5101511A (en) Protective jacket
EP3062891B1 (en) Protective garment having an improved hood
US20120124722A1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doffing and neck closure
CA2174489A1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US6202215B1 (en) Protective chaps for construction work
US20160044978A1 (en) Lower leg covering for lawn care professionals
EP3352600B1 (en) Improved saw protection
US20170119068A1 (en) Integrated leg guards
US20150250633A1 (en) Roll-up knee brace liner
KR20220000171U (ko) 작업용 보호구
EP2062498A2 (en) Haircut Apron
US9433248B2 (en) Protective clothing to keep a user clean when using yard care power tools
US20060107435A1 (en) General purpose unisex protective garment
KR20090011013U (ko) 상하 분리식 일체형 작업복
US20140068831A1 (en) Shin Protection Device
EP2409585A2 (en) Chainsaw Protective Trousers Or Chaps
KR101902817B1 (ko) 앞치마
KR200353715Y1 (ko) 그라인딩 작업복
KR102665829B1 (ko) 임업용 바지
EP2757913B1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