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40U -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40U
KR20220000140U KR2020200002421U KR20200002421U KR20220000140U KR 20220000140 U KR20220000140 U KR 20220000140U KR 2020200002421 U KR2020200002421 U KR 2020200002421U KR 20200002421 U KR20200002421 U KR 20200002421U KR 20220000140 U KR20220000140 U KR 20220000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ring
pipe
fixed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355Y1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하이테크판매 filed Critical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to KR2020200002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5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8Pivoting clo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됨에 따라 드레인관이 집수통 내부로 밀려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드레인관과 보호배관의 이격 공간으로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드레인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되어 가이드링에 밀착됨에 따라 가이드링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드레인관이 누수발생없이 일정 깊이까지 삽입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링에 체크밸브판이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밸브링이 결합됨에 따라 집수통 내 물의 역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는,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을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된 보호배관을 통해 집수통에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집수 내로 삽입고정되고 타측에는 드레인관 삽입구와 보호배관 연결구가 동심배열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슬리브 본체와,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링부)의 단부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링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drain pipe of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관을 집수통에 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됨에 따라 드레인관이 집수통에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드레인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되어 가이드링에 밀착됨에 따라 가이드링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드레인관이 누수발생없이 일정 깊이까지 삽입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링에 체크밸브판이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밸브링이 결합됨에 따라 집수통 내 물의 역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 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나뉘어지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가 설치된다.
또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에어컨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분리형 에어컨 중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고 다수의 실내기가 공조를 위한 다수의 실내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멀티형 에어컨도 있다.
한편, 에어컨의 실내기에서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는 증발기 주변에는 온도차에 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에어컨의 실내기에는 응축수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이 구비되고, 드레인팬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펌프가 구비된다.
또한 드레인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드레인관을 통해 배수지점으로 연결되는데, 최근에는 베란다의 바닥 몰탈층 내에 미리 시공된 보호배관(난연 CD관 또는 주름호스)을 통해 드레인관이 집수통 내로 직접 연결되는 이중 배관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이중 배관 방식은 유지 보수시 드레인관만을 분리하여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드레인관이 보호배관을 관통하여 집수통 내부로 삽입되도록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보호배관이 집수통 내부까지 위치하게 되어 집수통 중앙에 위치하는 봉수구조이 안착을 방해하거나 또는 봉수구조로 인해 드레인관이 삽입 위치보다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역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연결슬리브 본체의 드레인관 삽입구 외주연에 패킹링이 장착되며, 이때 집수통에서 역류가 발생하게 되면 보호배관과 드레인관의 이격된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연결슬리브 본체의 삽입구 내로 드레인관이 삽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레인관이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고, 연결슬리브 본체의 삽입구에 드레인관의 삽입을 위한 공차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어 역류 또는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7245호(2011.07.20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27354호(2009.03.17.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테이퍼홈이 형성된 가이드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됨에 따라 드레인관이 집수통 내부로 과도하게 밀려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드레인관과 보호배관의 이격 공간으로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드레인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되어 가이드링에 밀착됨에 따라 가이드링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드레인관이 누수발생없이 일정 깊이까지 삽입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링에 체크밸브판이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밸브링이 결합됨에 따라 집수통 내 물의 역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을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된 보호배관을 통해 집수통에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집수 내로 삽입고정되고 타측에는 드레인관 삽입구와 보호배관 연결구가 동심배열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슬리브 본체와,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링부의 단부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링 내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링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체크밸브판은 자중에 의해 폐쇄상태로 편향되도록 상기 밸브링에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되 상단이 밸브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이드링의 관삽입공의 전방단부 측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최초 삽입을 안내하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이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가이드링에 밀착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링의 관삽입링부의 전방단부 측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제 2 링형 삽입가이드홈이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됨에 따라 드레인관이 집수통 내부로 밀려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드레인관이 집수통에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드레인관과 보호배관의 이격 공간으로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링이 연결슬리브 본체 내에 결합되어 가이드링에 밀착됨에 따라 가이드링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드레인관의 일정깊이의 삽입 여부가 드레인관의 단부와 지지턱과의 접촉여부에 의해 확인 가능하여 드레인관의 확실한 삽입고정을 통해 누수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에 체크밸브판이 상향경사지게 설치된 밸브링이 결합될 경우에는 체크밸브판에 의해 집수통 내로 응축수의 배수만 가능하고 집수통 내 물이 역류될 가능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의 설치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의 상세단면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의 설치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의 상세단면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는,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을 몰탈층에 의해 매립고정된 보호배관을 통해 집수통에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집수 내로 삽입고정되고 타측에는 드레인관 삽입구와 보호배관 연결구가 동심배열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슬리브 본체와,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링부의 단부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7)을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된 보호배관(6)을 통해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된 집수통(8)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게 집수통(8)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슬리브 본체(10)와, 연결슬리브 본체(10) 내에 결합되는 가이드링(20) 및 고정링(3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고정링(30)에 결합되는 밸브링(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슬리브 본체(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1)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은 바닥슬래브(3) 상에 위치되고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된 집수통(8) 내로 삽입고정된다.
연결슬리브 본체(10)의 타측에는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7)이 삽입되는 드레인관 삽입구(11)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연결슬리브 본체(10)의 타측에는 드레인관 삽입구(11)의 외측에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되고 내부로 삽입되는 드레인관(7)을 보호하는 난연 CD관과 같은 보호배관(6)의 단부가 결합나사링(6a)에 의해 삽입결합되는 보호배관 연결구(12)가 드레인관 삽입구(11)에 동심으로 돌출형성된다.
전술한 연결슬리브 본체(10)는 종래의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연결슬리브 본체(10)의 일측 내에는 가이드링(20)이 삽입고정된다. 가이드링(20)은 드레인관(7)이 집수통(8)에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10)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는 드레인관(7)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공(21)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링(20)의 관삽입공(21)의 전방단부 측에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22)은 드레인관(7)의 최초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레인관(7)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링(20)의 관삽입공(21)의 전방단부는 드레인관(7)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지만 점차 테이퍼지게 축소되다가 드레인관(7)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전술한 연결슬리브 본체(10)의 일측 내에는 고정링(30)이 삽입고정된다. 고정링(30)은 드레인관(7)의 일정깊이의 삽입 여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드레인관(7)의 확실한 삽입고정을 통해 누수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링(30)은 가이드링(20)의 후방밀림이 방지되게 지지고정하도록 가이드링(20)에 밀착되게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30)의 내측에는 가이드링(20)을 관통한 드레인관(7)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링부(31)가 형성되고, 이 관삽입링부(31)의 단부에는 드레인관(7)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32)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지지턱(32)은 관삽입링부(31) 내로 삽입된 드레인관(7)의 삽입단부가 지지되어 더 이상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드레인관(7)의 일정깊이의 삽입 여부가 지지턱(32)과의 접촉 여부를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링(30)의 관삽입링부(31)의 전방단부 측에는 제 2 링형 삽입가이드홈(33)이 형성된다. 제 2 링형 삽입가이드홈(33)은 드레인관(7)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레인관(7)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링(30)의 관삽입링부(31)의 전방단부는 드레인관(7)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지만 점차 테이퍼지게 축소되다가 드레인관(7)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전술한 고정링(30) 내에는 밸브링(40)이 결합될 수 있다. 밸브링(40)은 집수통(8) 내로 응축수의 배수만 가능하고 집수통(8) 내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판(4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체크밸브판(41)은 자중에 의해 폐쇄상태로 편향되도록 상기 밸브링(40)에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되 상단이 밸브링(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22)이 형성된 가이드링(20)이 연결슬리브 본체(10) 내에 결합됨에 따라 드레인관(7)이 집수통(8)에 연결된 연결슬리브 본체(10)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응축수의 역류 및 누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드레인관(7)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32)이 형성된 고정링(30)이 연결슬리브 본체(10) 내에 결합되어 가이드링(20)에 밀착됨에 따라 가이드링(20)이 지지고정됨과 동시에 드레인관(7)의 일정깊이의 삽입 여부가 드레인관(7)의 삽입단부와 지지턱(32)과의 접촉여부에 의해 확인 가능하여 드레인관(7)의 확실한 삽입고정을 통해 누수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링(30)에 체크밸브판(41)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밸브링(40)이 결합될 경우에는 체크밸브판(41)에 의해 집수통(8) 내로 응축수의 배수만 가능하고 집수통(8) 내 물이 역류될 가능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3 : 바닥슬래브
4 : 몰탈층
5 : 타일층
6 : 보호배관
6a : 결합나사링
7 : 드레인관
8 : 집수통
10 : 연결슬리브 본체
11 : 드레인관 삽입구
12 : 보호배관 연결구
20 : 가이드링
21 : 관삽입공
22 :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
30 : 고정링
31 : 관삽입링부
32 : 지지턱
33 : 제 2 링형 삽입가이드홈
40 : 밸브릴
41 : 체크밸브판

Claims (6)

  1.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관(7)을 바닥슬래브(3) 상에 설치되어 몰탈층(4)에 의해 매립고정된 보호배관(6)을 통해 집수통(8)에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관 연결장치(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집수통(8) 내로 삽입고정되고 타측에는 드레인관 삽입구(11)와 보호배관 연결구(12)가 동심배열되게 돌출형성되는 연결슬리브 본체(10);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10)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드레인관(7)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공(21)이 형성되는 가이드링(20); 및
    상기 연결슬리브 본체(10)의 일측 내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는 상기 드레인관(7)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관삽입링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링부(31)의 단부에는 상기 드레인관(7)의 삽입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32)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링(30)을 포함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0) 내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판(4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링(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판(41)은 자중에 의해 폐쇄상태로 편향되도록 상기 밸브링(40)에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되 상단이 밸브링(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20)의 관삽입공(21)의 전방단부 측에는 상기 드레인관(7)의 최초 삽입을 안내하는 제 1 링형 삽입가이드홈(22)이 상기 드레인관(7)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0)은 상기 가이드링(2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0)의 관삽입링부(31)의 전방단부 측에는 상기 드레인관(7)의 삽입을 안내하는 제 2 링형 삽입가이드홈(33)이 상기 드레인관(7)의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KR2020200002421U 2020-07-07 2020-07-07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KR200495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21U KR200495355Y1 (ko) 2020-07-07 2020-07-07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21U KR200495355Y1 (ko) 2020-07-07 2020-07-07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40U true KR20220000140U (ko) 2022-01-14
KR200495355Y1 KR200495355Y1 (ko) 2022-05-13

Family

ID=7934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21U KR200495355Y1 (ko) 2020-07-07 2020-07-07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5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54A (ko) 2007-09-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20110007245U (ko) 2010-01-14 2011-07-20 신창수 탈착 가능한 역류방지부를 갖는 드레인 호스의 연결구
KR20130007113U (ko) * 2012-06-01 2013-12-11 김병석 에어컨용 드레인호스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54A (ko) 2007-09-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20110007245U (ko) 2010-01-14 2011-07-20 신창수 탈착 가능한 역류방지부를 갖는 드레인 호스의 연결구
KR20130007113U (ko) * 2012-06-01 2013-12-11 김병석 에어컨용 드레인호스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355Y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25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US20190390873A1 (en) Heat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WO2021023057A1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9212852B2 (en) Support mechanism for a heat exchanger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495355Y1 (ko) 에어컨 드레인관용 연결장치
US11774136B2 (en) Air conditioner drain pan platform
JP2015224837A (ja) 空気調和機
KR20130007113U (ko) 에어컨용 드레인호스 연결구
JPH1089723A (ja) 空気調和装置
CN206291444U (zh) 空调的冷凝水排出装置
CN204063347U (zh) 一种新型分体空调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CN218495149U (zh) 空调室内机和空调系统
CN212612931U (zh) 防臭系统及建筑物
KR100830404B1 (ko) 난방기
US11604006B2 (en) Makeup air parallel 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KR200240231Y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0395784Y1 (ko) 수냉식 냉.난방 시스템
CN104154595A (zh) 新型分体空调
KR101303209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관 결합구조
CN109945368A (zh) 一种地冷式空调器系统及安装方法
KR102432566B1 (ko) 공동주택 통합배관 제어시스템
KR20110055775A (ko)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CN214841340U (zh) 厨房空气调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