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33A -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33A
KR20220000133A KR1020200077715A KR20200077715A KR20220000133A KR 20220000133 A KR20220000133 A KR 20220000133A KR 1020200077715 A KR1020200077715 A KR 1020200077715A KR 20200077715 A KR20200077715 A KR 20200077715A KR 20220000133 A KR20220000133 A KR 2022000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bulb temperature
water
wind tunnel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439B1 (ko
Inventor
심국진
Original Assignee
심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국진 filed Critical 심국진
Priority to KR102020007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4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01N25/6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by psychrometric means, e.g. wet-and-dry bulb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측정오차를 방지하도록 함체 내부에 유로형성 풍동을 구성하여 습구온도센서에서 수분증발이 원활해지도록 조절하여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A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by using wind tunnel}
본 발명은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전자식 습도계의 측정오차 발생이라는 문제점과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 내부에 유로형성 풍동을 구성하여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폭염으로 인한 일사병과 열사병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사망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기상청,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과 같은 정부 유관기관들은 기후 변화에 따라 수시로 폭염주의보, 폭염경보 등을 발령하여 국민들이 이상 기상현상에 대비하도록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어류들의 생장에 있어서도 외부 환경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농장과 축사, 양식장 등에서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농장, 축사, 양식장 등의 온, 습도 관리가 절대적인데, 부정확한 온, 습도 관리에 의해 많은 농수산물과 가축들이 폐사하여 많은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농장, 축사, 양식장 등에서의 부정확한 온, 습도 관리의 주된 원인은 주로 사용되는 전자식 습도 센서의 오동작에서 기인한다.
종래의 농장, 축사, 양식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자식 습도 센서는 센서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 실제와는 달리 포화상태의 습도로 오인 감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농장, 축사, 양식장 등의 부정확한 온, 습도 관리를 유발 시킨다.
또한, 전자식 습도 센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경우에 따라 건습구 방식의 전통적인 습도계를 사용하게 되는데, 건습구 방식의 전통적인 습도계는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사용상 불편함을 개선하고 종래의 전자식 습도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4189호 복합환경제어 디지털 온습도계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879호 습도계 및 노점계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1685호 다용도 디지털 온습도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식 습도계의 측정오차 발생이라는 문제점과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 내부에 유로형성 풍동을 구성하여 습구 온도센서에서 수분증발이 원활해지도록 조절하여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는,
외부 표면 일측에 투명패널(120)이 형성되는 표시장치본체(1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건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건구온도측정부(2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습구온도측정부(3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부(50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전자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 정보와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공하는 습구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습도와 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와 습도가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식 습도계의 측정오차 발생이라는 문제점과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 내부에 유로형성 풍동을 구성하여 습구 온도센서에서 수분증발이 원활해지도록 조절하여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온, 습도 관리가 절대적인 농장, 축사, 양식장 등에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 습도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본체가 개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본체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구온도측정부, 습구온도측정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물 보충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습구온도측정부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 보충부 세부 구성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이하 ‘표시장치’)는 종래의 전자식 습도계의 측정오차 발생이라는 문제점과 종래의 건습구 방식 습도계의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110) 내부에 유로형성 풍동(350)을 구성하여 습구온도센서(310)에서 수분증발이 원활해지도록 조절하여 건습구 방식으로 정확한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와 온도를 전자식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는 기본적으로 표시장치본체(100), 건구온도측정부(200), 습구온도측정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물 보충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 일측에 투명패널(120)이 형성되는 표시장치본체(1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건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건구온도측정부(2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습구온도측정부(3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부(50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전자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 정보와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공하는 습구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습도와 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와 습도가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본체(100)는 본 발명인 표시장치(10)의 본체로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설치된 구성들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함체(110), 투명패널(120), 공기유입구(130), 공기유출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필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110)는 내부에 건구온도측정부(200), 습구온도측정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에는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거나 내부를 개방하도록 회동되는 도어(111)가 형성된다.
상기 투명패널(120)은 디스플레이부(400)의 대응 위치에 해당하는 도어(11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널(120)은 일종의 디스플레이 창으로서 함체(110)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00)에서 표시되는 온도와 습도를 함체(110) 외부에서 투명패널(12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입구(130)는 외부공기가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체(110)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구성이다.
건구온도측정부(200)와 습구온도측정부(300)는 함체(110)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함체(1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데, 실제적으로 필요한 온도와 습도는 함체 외부의 온도와 습도이다. 따라서 함체(110) 내부를 외부와 동일한 환경 조건으로 만들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해, 함체 외부 공기가 함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함체(110) 내부가 외부와 동일한 환경 조건이 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유입구(1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출구(140)는 함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습구온도측정부(300)의 팬(3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체(110) 타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한편, 공기유입구(130)를 통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표시장치본체(100)는 공기유입구(130) 상에 형성되는 필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구온도측정부(200)는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건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습도 산출은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습도를 산출하는 건습구 방식으로 산출한다. 따라서 습구 온도와 건구 온도가 반드시 측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건구온도측정부(200)를 통해 건구 온도를 측정하고, 후술할 습구온도측정부(300)를 통해 습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기 습구온도측정부(300)도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습구온도센서(310), 습구포(320), 수조(330), 팬(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유로형성 풍동(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구온도측정부(300)는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와,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 둘레에 삽입 끼워지고, 일측이 수조(330)에 담겨져 물이 흡수되는 습구포(320)와,
물이 저장되는 수조(330)와,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용 풍속을 생성하기 위해 표시장치본체(100)의 공기유출구(140)에 형성되는 팬(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기 습구온도센서(310)는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바(bar) 형태의 구성으로서, 습구포(320)가 결합되고 측정된 습구온도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바(bar) 형태의 센서(311)와 상기 센서(311)를 제어부(500)가 형성되는 제어 패널에 설치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습구포(320)는 일종의 직물로서, 습구포(320)의 일측은 바(bar) 형태로 형성된 습구온도센서(310)의 센서(311) 둘레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습구포(320)의 타측은 수조(330)에 침수되어 물을 흡수한다.
따라서 습구온도센서(310)의 센서(311)에 끼워진 습구포(320)는 수조(330)의 물이 흡수된 상태가 되고, 물이 흡수된 습구포(320)가 끼워진 습구온도센서(310)는 습구온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조(330)는 일정 수위의 물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함체(110)의 내부 공간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수조(330)에는 도 8과 같이, 습구포 투입구가 형성되어 습구포(320)의 일측이 물에 침수될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할 물 보충부(600)의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한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기 팬(340)은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용 바람을 생성하는 풍력 발생장치로서, 팬(340)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본체(10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40) 상에 형성된다.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용 바람을 생성하는 이유는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이 신속히 증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이 신속히 증발되어야 정확한 습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수분 증발을 위해 팬(340)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증발용 바람이 젖은 습구포(320)에 집중되도록 하면 더욱 신속한 수분 증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습구온도측정부(300)는 팬(340)에 의해 생성된 증발용 바람이 습구포(320)에 집중되도록 하는 유로형성 풍동(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증발용 바람이 습구포(320)에 집중되도록 하는 상기 유로형성 풍동(350)은 일종의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의 구성으로서, 공기유출구(140)상에 형성되는 팬(340)이 유로형성 풍동(350) 내측에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팬(340)이 작동하면 함체(110) 내부의 공기가 유로형성 풍동(350)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되고, 유로형성 풍동(350) 입구(제2 개방구(353))측에 설치된 습구온도센서(310)에 끼워진 젖은 습구포(320)에 빨려 들어오는 공기가 집중되어 젖은 습구포(320)의 수분 증발 효과가 더욱 촉진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형성 풍동(350)은,
양측이 개방된 벤츄리관 형태의 풍동 몸체(351)와,
풍동 몸체(351) 일측에 형성되어 팬(340)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개방구(352)와,
팬(340) 동작 시, 공기가 풍동 몸체(351) 내부로 신속히 유입되도록 제1 개방구(352) 반대측 풍동 몸체(351)에 형성되는 제2 개방구(353)와,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가 풍동 몸체(351) 내측으로 삽입 되도록 제2 개방구(353) 측면 주변에 형성되는 센서 설치홀(354)과,
일측이 수조(330)에 담겨지는 습구포(320)의 안정적 하방 처짐을 안내하기 위해 제2 개방구(353) 하측 주변에 형성되는 습구포 안내홈(3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풍동 몸체(351)는 양측이 개방된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되되,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의 센서(311)가 설치되도록 풍동 몸체(351)의 일측 측면에는 센서 설치홀(354)이 형성된다.
상기 풍동 몸체(351)의 일측에는 제1 개방구(35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개방구(353)가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된 벤츄리관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팬(340)이 동작하면, 함체(110) 내부의 공기가 제2 개방구(353)를 통해 풍동 몸체(351) 내부로 흡입되고, 함체(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개방구(352)를 통해 함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함체(11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40)를 통해 함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 개방구(353) 면적을 제1 개방구(352) 면적의 20 ~ 50 %로 형성 하면, 효과적인 벤츄리 효과가 발생하여 증발용 바람이 습구포(320)에 집중되도록 하여 젖은 습구포(320)의 수분 증발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 설치홀(354)은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가 풍동 몸체(351) 내측으로 삽입 되도록 제2 개방구(353) 측면 주변(풍동 몸체(351)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 개방구(353)가 형성된 풍동 몸체(351)의 하측 주변에는 습구포 안내홈(355)이 형성되는데, 센서 설치홀(354)에 삽입된 습구온도센서(310)의 센서(311) 둘레에 삽입된 습구포(320)는 상기 습구포 안내홈(355)을 통해 안정적 하방 처짐이 안내되면서 수조(330)에 침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표시장치본체(100) 내부(구체적으로 제어부가 형성되는 제어 패널)에 형성되고, 제어부(50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전자식(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표시장치본체(100)의 함체(110)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와 차단되지만, 표시장치본체(100)의 투명패널(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도 4와 같이, 제어부(500)가 Co2(ppm), 이슬점 온도(℃), VPD 환경조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온습도 정보 이외에 Co2(ppm), 이슬점 온도(℃), VPD 환경조건에 관한 정보도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제어 패널(일종의 메인보드)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 정보와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공하는 습구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습도를 산출하고,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와 산출된 습도가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어부(500)가 형성되는 제어 패널(일종의 메인보드)에는 제1 소켓(510), 제2 소켓(520), 제3 소켓(5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소켓은 디스플레이부(400), 건구온도측정부(200),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어 패널(일종의 메인보드)에 연결(설치)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00)가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 정보와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공하는 습구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습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측정한 건구온도를 온도1(℃), 습구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한 습구온도를 온도2(℃)로 가정하는 경우, 실제 습도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500)가 산출한다.
먼저, 온도1(℃)과 온도2(℃)의 차이를 산출한 후, 산출된 온도차와 온도2(℃)를 사전 저장된 습도표 정보에 대입해 현재의 습도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1(℃)과 온도2(℃)의 차이가 4℃이고 습도표 상에서 온도차 4℃와 온도2(℃)가 만나는 지점의 습도가 71%이면 현재 습도를 71%로 산출하는 것이다.
제어부(500)는 산출된 습도와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를 각각 습도 정보와 온도 정보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온습도 이외에 Co2(ppm) 농도, 이슬점 온도(℃), VPD 환경조건 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Co2(ppm) 농도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도면 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센싱 하고, 센싱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Co2(ppm) 농도를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10)를 농작물 재배시설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식물의 성장환경을 분석할 때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슬점 온도(℃)와 VPD 환경조건도 식물의 성장환경 분석에 필요한 항목으로서, 이슬점 온도(℃)와 VPD(Vapour Pressure Deficit : 수증기 부족) 환경조건은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측정한 건구온도인 온도1(℃)과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이용해 산출한 습도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슬점 온도(℃)와 VPD(Vapour Pressure Deficit : 수증기 부족) 환경조건을 산출하는 방식은 기존 종래 방식과 동일한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10)는 수조(33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습구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수조(330)에 저장된 물이 부족해지게 되므로, 수조(330)에 저장된 물이 부족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채우는 물 보충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물 보충부(600)는,
수조(330)에 설치되어 수조(330)의 상한 수위를 감지하면 제1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거나, 수조(330)의 하한 수위를 감지하면 제2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수위센서(610)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330)로 공급하는 물 공급관(620)과,
물 공급관(620)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밸브(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610)는 수조(330)에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한접점(611), 하한접점(612), 플로트(6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한접점(611)은 수위센서(610)의 상단에 위치한 일종의 리미트 스위치이고, 상기 하한접점(612)도 수위센서(610)의 하단에 위치한 일종의 리미트 스위치로서, 상기 상한접점(611)과 하한접점(612) 사이에는 플로트(613)가 형성되어 수조(330)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조(330)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부유중인 플로트(613)가 상한접점(611)에 접촉하면, 수위센서(610)는 수조(330)에 채워진 물이 상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고 제1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330)의 수위가 하강하면서 플로트(613)가 하한접점(612)에 접촉하면, 수위센서(610)는 수조(330)에 채워진 물이 하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고 제2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물 공급관(62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330)로 공급하는 일종의 관로이다.
상기 밸브(630)는 물 공급관(620)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동작하여 수조(330)로 물을 공급되게 하거나 중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수위센서(610)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물부족) 현재 수조(330)의 저수된 물이 하한 상태이므로 밸브(630)를 개방시켜 수조(330) 내부로 외부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수위센서(610)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공급된 물이 수조(330)의 상한까지 공급된 것이므로 밸브(630)를 폐쇄시켜 수조(330)로 외부의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수위센서(610)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물 부족 알람을 제공하고, 수위센서(610)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물 부족 알람이 더 이상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물 부족 알람은 부저(도면 미도시)를 통한 청각적 알람,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한 시각적 알람,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알람이란 물 부족 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예: 스마트폰, PC, 전용단말기 등)로 물 부족을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100 : 표시장치본체
200 : 건구온도측정부
300 : 습구온도측정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제어부
600 : 물 보충부

Claims (7)

  1.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외부 표면 일측에 투명패널(120)이 형성되는 표시장치본체(1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건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건구온도측정부(2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의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 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습구온도측정부(3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제어부(500)가 제공하는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전자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상기 표시장치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 정보와 습구온도측정부(300)가 제공하는 습구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습도를 산출하고, 건구온도측정부(200)가 제공하는 건구온도를 온도 정보로, 산출된 습도를 습도 정보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본체(100)는,
    도어(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건구온도측정부(200), 습구온도측정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110)와,
    디스플레이부(400)의 대응 위치에 해당하는 도어(111)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패널(120)과,
    외부공기가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체(110)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30)와,
    상기 함체(110) 내부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습구온도측정부(300)의 팬(3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체(110)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본체(100)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공기유입구(130) 상에 형성되는 필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구온도측정부(300)는,
    습구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구온도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와,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 둘레에 삽입 끼워지고, 일측이 수조(330)에 담겨져 물이 흡수되는 습구포(320)와,
    물이 저장되는 수조(330)와,
    젖은 습구포(320)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용 풍속을 생성하기 위해 표시장치본체(100)의 공기유출구(140)에 형성되는 팬(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습구온도측정부(300)는,
    팬(340)에 의해 생성된 증발용 바람을 습구포(320)에 집중시키는 유로형성 풍동(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 풍동(350)은,
    양측이 개방된 벤츄리관 형태의 풍동 몸체(351)와,
    풍동 몸체(351) 일측에 형성되어 팬(340)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개방구(352)와,
    팬(340) 동작 시, 공기가 풍동 몸체(351) 내부로 신속히 유입되도록 제1 개방구(352) 반대측 풍동 몸체(351)에 형성되는 제2 개방구(353)와,
    바(bar) 형태의 습구온도센서(310)가 풍동 몸체(351) 내측으로 삽입 되도록 제2 개방구(353) 측면 주변에 형성되는 센서 설치홀(354)과,
    일측이 수조(330)에 담겨지는 습구포(320)의 안정적 하방 처짐을 안내하기 위해 제2 개방구(353) 하측 주변에 형성되는 습구포 안내홈(35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개방구(353) 면적은 제1 개방구(352) 면적의 2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조(330)에 저장되는 물 부족 시, 부족한 물을 수조(330)에 채우는 물 보충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보충부(600)는,
    수조(330)에 설치되어 수조(330)의 상한 수위를 감지하면 제1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거나, 수조(330)의 하한 수위를 감지하면 제2 감지신호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는 수위센서(610)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330)로 공급하는 물 공급관(620)과,
    물 공급관(620)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밸브(6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수위센서(610)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밸브(630)를 개방시켜 수조(330)로 외부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수위센서(610)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밸브(630)를 폐쇄시켜 수조(330)로 외부의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수위센서(610)로부터 제2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물 부족 알람을 제공하고,
    수위센서(610)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공되던 물 부족 알람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물 부족 알람은 부저를 통한 청각적 알람,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한 시각적 알람,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알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KR1020200077715A 2020-06-25 2020-06-25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KR10234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15A KR102347439B1 (ko) 2020-06-25 2020-06-25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15A KR102347439B1 (ko) 2020-06-25 2020-06-25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33A true KR20220000133A (ko) 2022-01-03
KR102347439B1 KR102347439B1 (ko) 2022-01-04

Family

ID=7934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715A KR102347439B1 (ko) 2020-06-25 2020-06-25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43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0U (ko) * 1985-06-19 1987-01-07
JPH1130600A (ja) * 1997-07-10 1999-02-02 Tabai Espec Corp 湿度調整用の水回路
JPH1142277A (ja) * 1997-07-25 1999-02-16 Zexel Corp オゾン殺菌装置における湿度センサへの水の補給構造
KR19990085809A (ko) * 1998-05-22 1999-12-15 최수현 습구온도 연속 측정장치
KR20000002606A (ko) * 1998-06-22 2000-01-15 최수현 습구온도 연속측정에 의한 습도 및 온도조절 장치
KR20020088930A (ko) * 2001-05-22 2002-11-29 냉열 주식회사 항온항습기 또는 항온항습조용 제어기
KR200384189Y1 (ko) 2005-03-02 2005-05-11 (주)한국과기산업 복합환경제어 디지털 온습도계
KR20070118207A (ko) * 2007-10-18 2007-12-14 이용인 온·습도(溫·濕度) 제어장치
KR101365879B1 (ko) 2007-04-04 2014-02-21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습도계 및 노점계
KR101621685B1 (ko) 2014-03-11 2016-05-17 박현 다용도 디지털 온습도계
KR101792215B1 (ko) * 2017-04-14 2017-11-01 주식회사 다온알에스 시설원예 및 농업용 온도,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챔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0U (ko) * 1985-06-19 1987-01-07
JPH1130600A (ja) * 1997-07-10 1999-02-02 Tabai Espec Corp 湿度調整用の水回路
JPH1142277A (ja) * 1997-07-25 1999-02-16 Zexel Corp オゾン殺菌装置における湿度センサへの水の補給構造
KR19990085809A (ko) * 1998-05-22 1999-12-15 최수현 습구온도 연속 측정장치
KR20000002606A (ko) * 1998-06-22 2000-01-15 최수현 습구온도 연속측정에 의한 습도 및 온도조절 장치
KR20020088930A (ko) * 2001-05-22 2002-11-29 냉열 주식회사 항온항습기 또는 항온항습조용 제어기
KR200384189Y1 (ko) 2005-03-02 2005-05-11 (주)한국과기산업 복합환경제어 디지털 온습도계
KR101365879B1 (ko) 2007-04-04 2014-02-21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습도계 및 노점계
KR20070118207A (ko) * 2007-10-18 2007-12-14 이용인 온·습도(溫·濕度) 제어장치
KR101621685B1 (ko) 2014-03-11 2016-05-17 박현 다용도 디지털 온습도계
KR101792215B1 (ko) * 2017-04-14 2017-11-01 주식회사 다온알에스 시설원예 및 농업용 온도,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439B1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1203B (zh) Cloud monitoring device
KR102347443B1 (ko) 습구포 건조에 대응 가능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장치
CN106198117B (zh) 气体参数的原位测定装置及测定方法
CN204944683U (zh) 一种传感器防护套
EP1921449A1 (en) Device for determining soil moisture content
CN103472035B (zh) 一种大气气溶胶吸湿特性与体角散射系数测量仪
KR102347439B1 (ko) 풍동을 이용한 건습구 방식의 전자식 온습도 측정 장치
CN103412097B (zh) 一种voc和甲醛释放量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09027968U (zh) 一种紫外老化试验箱
CN208937563U (zh) 一种原位无扰动土壤气体测量装置
Buwalda et al. Measurement of canopy gas exchange of kiwifruit vines using a suite of whole-canopy cuvettes
CN208420785U (zh) 一种环境空气氟化物浓度连续在线监测设备
CN208338478U (zh) 一种智能大棚监测系统
KR20210071667A (ko) 필터가 구비된 통합형 환경 감지 단말기
CN203587568U (zh) 一种voc和甲醛释放量的检测装置
US3477282A (en) Ground moisture measuring apparatus
CN214252182U (zh) 一种在线监测空气中tvoc含量的装置
CN209513705U (zh) 一种户外用环境中的危害气体检测装置
CN207798795U (zh) 一种空气检测仪
CN205898716U (zh) 一种智能静态蒸发率测试仪
CN207502395U (zh) 一种基于气体分压动态平衡原理的深海气体检测装置
CN208255740U (zh) 一种环境空气采样器用恒温装置及环境空气采样器
CN206311587U (zh) 一种温室气体排放监测设备
CN207667036U (zh) 一种消防设备检查装置
Schönenberger et al. A water-level proportional water sampler for remote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