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28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728A
KR20210157728A KR1020200075883A KR20200075883A KR20210157728A KR 20210157728 A KR20210157728 A KR 20210157728A KR 1020200075883 A KR1020200075883 A KR 1020200075883A KR 20200075883 A KR20200075883 A KR 20200075883A KR 20210157728 A KR20210157728 A KR 2021015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unit
lens
unit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3839B1 (en
Inventor
진민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839B1/en
Publication of KR2021015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first light source unit irradiating first light; a second light source unit irradiating second light; and a lens structure including a first lens unit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first light, a second lens unit form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a different feature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second light, and a non-step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and acquire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a design feature.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Lamp for vehicle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 및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capable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ing design characteristics.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헤드라이트 또는 전조등) 및 포그 램프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a headlamp (headlight or headlamp) and fog lamp mainly for the purpose of a lighting function, and a turn signal lamp, a tail lamp, a brake lamp, a side marker, etc. for the purpose of a signal func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fully demonstrate each function, these vehicle lamps are reg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standards.

차량용 램프 중에서,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vehicle lamps, a headlamp that forms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so as to secure a driver's front view when driving at nigh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한편, 최근에는 헤드램프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헤드램프 및 배광패턴의 외형적 디자인도 중요시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the performance of the headlamp is important, but the external design of the headlamp and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equally important.

그러나, 기존에는 단초점을 갖는 비구면 렌즈를 적용하여 배광패턴을 형성해야 하므로, 헤드램프 및 배광패턴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어려워 디자인의 한계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ast, since it is necessary to form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pplying an aspherical lens having a short foc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designs of the headlamp a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so that the design has limitations, and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consumers are satisfi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또한, 기존에는 원거리 배광패턴 및 근거리 배광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광학계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구조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different optical systems have to be used to form the long-dista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hort-dista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re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구조 및 제작 공정을 간소화하고, 램프 및 배광패턴의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impro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lamps and light distribution patterns, but their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 및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aims to provide a vehicle lamp capable of improving design characteristic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램프를 슬림하게 구현하면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design characteristics while implementing a slim lamp, and to improve opt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배광패턴의 사이에서 경계면 효과를 최소화하고,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inimize the interface effect between light distribution pattern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o create a soft and luxurious atmosphe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user satisfaction and aims to improve productability.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described below or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는, 제1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제2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및 제1광으로 제1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 제2광으로 제1배광패턴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렌즈부, 및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사이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비단차부(non-step portion)를 포함하는 렌즈 구조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lamp, a firs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first light; a secon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second light; and a first lens unit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first light, a second lens unit form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second light, and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a lens structure including a non-step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lens units.

이는, 구조 및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to improve design characteristics.

즉, 기존에는 단초점을 갖는 비구면 렌즈를 적용하여 배광패턴을 형성해야 하므로, 헤드램프 및 배광패턴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어려워 디자인의 한계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it is necessary to form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pplying an aspherical lens having a short focus in the pas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designs of the headlamp a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has limitations, and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consumers are satisfi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렌즈 구조체에 서로 다른 특성의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램프를 슬림하게 구현하면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학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form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one len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while implementing a slim lamp,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optical efficiency can be obtain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경계를 따라 비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배광패턴의 사이에서 경계면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배광배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bove a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non-step difference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the interface effect betwee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minimized, so that it is smooth and high quality.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zy light distribution baton atmosphere,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neficial effect of improving the commercial value.

비단차부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비단차부의 내면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non-step differenc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바람직하게, 비단차부의 내면은 3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비단차부의 내면의 곡률반경이 3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경계 영역에서의 광 간섭(빛 튐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어렵고, 비단차부의 내면의 곡률반경이 10mm보다 큰 경우에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경계 이미지는 완화될 수 있으나 눈부심(glare)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단차부의 내면의 곡률반경은 3mm 내지 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is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3 mm to 10 mm. That is,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part is less than 3 mm,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suppress optical interference (light splashing phenomenon) 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part is 10 mm. In a larger case, the boundary image of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may be alleviated, but glare may occu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광패턴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한 배광 특성을 갖고, 제2배광패턴은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하며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배광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s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paralle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configured to hav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paralle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Preferably,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제1렌즈부는 제1광이 입사되는 제1입사면 및 제1광이 출사되는 제1출사면을 포함하고, 제2렌즈부는 제2광이 입사되는 제2입사면 및 제2광이 출사되는 제2출사면을 포함하되, 제1출사면과 제2출사면은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lens unit includes a first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first light is incident and a first exit surface to which the first light is emitted, and the second lens unit includes a second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and the second It includes a second exit surface from which light is emitted, wherein the first exit surface and the second exit surfac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렌즈부는 제1렌즈부에 인접한 일단에서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렌즈부의 폭이 제1렌즈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2렌즈부는 제1렌즈부에서 멀어질수록(제1렌즈부에 인접한 일단에서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광의 수직 방향의 퍼짐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배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ens unit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width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lens unit to the other end. 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width of the second lens unit gradually decrease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lens unit, as the second lens unit moves away from the first lens unit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lens unit to the other end), the ) may have a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n which the light spread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adually increa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ens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focu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cus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 제2렌즈부의 수직 방향 초점은 미리 설정된 초점으로 형성되고, 제2렌즈부의 수평 방향 초점은 무한대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vertical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unit is formed as a preset focal point, and the horizontal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unit is formed to infinity.

이는,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수평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2렌즈부에 비구면 렌즈를 형성하면, 제2렌즈부의 폭이 두꺼워져 제작이 어렵고, 광학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hen an aspherical lens is formed in the second lens unit having a low height and a long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second lens unit i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optical efficiency is lowered.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렌즈부의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제2렌즈부의 수직 방향 초점은 미리 설정된 초점으로 형성하면서, 제2렌즈부의 수평 방향 초점을 무한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2렌즈부는 수평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면서 좁은 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horizontal focus and the vertic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differently, that is, the vertic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is formed as a preset focus, while the second lens unit By forming the horizontal focus to infinity, it is possible for the second lens unit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narrow width.

더욱 바람직하게, 제1입사면은 제1광원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입사면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렌즈부에 입사되는 제1광이 차량의 전방측으로 거의 평행하게 출사되도록 제1렌즈부를 광학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부에서 출사되는 제1광이 차량의 최대 원거리 도달 성능과 근거리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incident surface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first light source por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first incident surface to be convex, the first lens unit can be optically designed so that the firs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unit is emit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unit may sufficiently secure the vehicle's maximum distance reaching performance and near-field illumination.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로서는 제1광 및 제2광을 발광 가능한 다양한 물체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various objects or devices capable of emitting the first light and the second light may be used.

일 예로, 제1광원부는 제1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1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광원부는 제2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2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irradiating the first ligh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irradiating the second ligh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구조체는, 제1광원부에서 조사된 제1광을 제1렌즈부로 반사하는 제1리플렉터부, 및 제2광원부에서 조사된 제2광을 제2렌즈부로 반사하는 제2리플렉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structure includes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first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the first lens unit, and reflecting the second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to the second lens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reflector unit.

바람직하게, 제1리플렉터부는 제1광을 제1초점에 집광시키고, 제2리플렉터부는 제2광을 복수개의 제2초점에 집광시키도록 마련된다.Preferably, the first reflector unit is provided to condense the first light to a first focus,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is provided to condense the second light to a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제1리플렉터부 및 제2리플렉터부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리플렉터부는 제1초점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1반사면을 포함하고, 제2리플렉터부는 제2초점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2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s of the first reflector unit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reflector unit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forming a first focus,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forming a second focu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구조체는,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렌즈 구조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렌즈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structure may be formed to have a lens central ax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lens structure in a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렌즈 구조체는, 렌즈 중심축의 상부에 정의되는 상부 구간, 및 렌즈 중심축의 하부에 정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구간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하부 구간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lens structure includes an upper section defined above the lens central axis, and a lower section defined below the lens central axis and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s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이는, 제1리플렉터부의 제1반사면(또는 제2리플렉터부의 제2반사면)을 통해 제1렌즈부에 투사되는 제1광이,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렌즈 중심의 상부 영역보다 하부 영역에 더 많이 입사된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렌즈 중심축의 하부 구간의 길이를 상부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렌즈 구조체의 효율 및 최대 광도(Max cd)를 개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first light projected to the first lens unit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or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is in an area lower than the upper area of the center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ns. Due to the fact that it is more incident,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lower section of the lens central axis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the maximum luminous intensity (Max cd) of the lens structur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 및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desig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를 슬림하게 구현하면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학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hile implementing a slim lamp, and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optical efficiency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배광패턴의 사이에서 경계면 효과를 최소화하고,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the interface effect between light distribution pattern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reating a soft and luxurious atmosphe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commerci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1렌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비단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1렌즈부에 의한 제1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2렌즈부에 의한 제2배광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1광원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2리플렉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렌즈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렌즈구조체의 렌즈 중심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lens unit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non-step difference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 first lens unit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a second lens unit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ns structure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ns central axis of a lens structure a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ed It can be combined and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개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by the terms.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a case of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op (above) or under (below) is one as well as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above another component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제1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10); 제2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40); 및 제1광으로 제1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70), 제2광으로 제1배광패턴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렌즈부(80), 및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비단차부(non-step portion)(90)를 포함하는 렌즈 구조체(LS);를 포함한다.1 to 10 , a vehicle lam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10 irradiating a first light; a second light source unit 40 for irradiating a second light; and a first lens unit 70 for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first light, a second lens unit 80 for form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second light, and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a lens structure LS including a non-step portion 90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주로 조명 기능(예를 들어, 헤드 램프, 포그 램프)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신호 기능(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the vehicle lamp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for a lighting function (eg, a head lamp, a fog lamp) or a signal function (eg, a turn signal lamp, a tail lamp, a brake). lamp, side mark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use of the vehicle lamp 100 .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에 마련되어 차량의 헤드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lamp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left and front right sides of the vehicle to be used as a vehicle head lamp.

제1광원부(10)로서는 제1광을 발광 가능한 다양한 물체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광원부(1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objects or devices capable of emitting the first light may be used a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

일 예로, 제1광원부(10)는 제1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1광원(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광원(11)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 irradiating the first ligh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light source 11 . it is not going to be

예를 들어, 제1광원(11)으로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LED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광원(11)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벌브, 할로겐, 제논(HI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which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used as the first light source 11 , and a plurality of LEDs emitting light of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re used. It is poss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aser diode, a bulb, a halogen, a xenon (HID), etc. as the first light source 11 .

제2광원부(40)로서는 제2광을 발광 가능한 다양한 물체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광원부(4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objects or devices capable of emitting second light may be used as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

일 예로, 제2광원부(40)는 제2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2광원(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광원(41)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41 irradiating the second ligh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light source 41 . it is not going to be

예를 들어, 제2광원(41)으로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LED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광원(41)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벌브, 할로겐, 제논(HI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which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used as the second light source 41 , and a plurality of LEDs emitting light of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re used. It is poss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laser diode, a bulb, a halogen, a xenon (HID), etc. as the second light source 41 .

렌즈 구조체(LS)는, 제1광으로 제1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70), 제2광으로 제1배광패턴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렌즈부(80), 및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비단차부(non-step portion)(90)를 일체로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unitary)로 마련된다.The lens structure LS includes a first lens unit 70 that forms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first light, and a second lens unit that forms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a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second light. 80, and a non-step portion 90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is provided as a unitary structure integrally including do.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배광패턴이 제2배광패턴과 다른 특성을 가진다 함은, 제1배광패턴과 제2배광패턴의 배광 특성 및 이미지가 서로 다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배광패턴은 원거리 전방(hot zone)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원거리 배광패턴일 수 있고, 제2배광패턴은 근거리 전방(wide zone)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근거리 배광패턴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 that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defined as that th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long-dista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securing a long-distance hot zone field of view, and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short-dista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securing a wide-zone field of vie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는, 제1광원부(10)에서 조사된 제1광을 제1렌즈부(70)로 반사하는 제1리플렉터부(20), 및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제2광을 제2렌즈부(80)로 반사하는 제2리플렉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amp includes a first reflector unit 20 that reflects the first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to the first lens unit 70 ,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40 . ) may include a second reflector unit 50 that reflects the second light irradiated to the second lens unit 80 .

바람직하게, 제1리플렉터부(20)는 제1광을 제1초점에 집광시키고, 제2리플렉터부(50)는 제2광을 복수개의 제2초점에 집광시키도록 마련된다.Preferably, the first reflector unit 20 condenses the first light to a first focus,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is provided to condense the second light to a plurality of second focus points.

제1리플렉터부(20) 및 제2리플렉터부(50)는 제1광원부(10) 및 제2광원부(40)로부터 발생된 광(제1광 및 제2광)을 전방(렌즈 구조체(LS)를 향해)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리플렉터부(20) 및 제2리플렉터부(50)의 형태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reflector unit 20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transmit the light (first light and second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forward (the lens structure LS). towar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refle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reflector unit 20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

일 예로, 제1리플렉터부(20) 및 제2리플렉터부(50)는 제1광원부(10) 및 제2광원부(40)로부터 발생된 광(제1광 및 제2광)을 차량용 램프(100)의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반사층(반사면)이 형성된 타원 곡면 형태나 자유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초점 또는 다초점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flector unit 20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transmit the light (first light and second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to the vehicle lamp 100 . ) may be formed to form an elliptical curved surface or a free curved surface with a reflective layer (reflecting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o as to be refl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having a single focal point or a multifocal structure.

또한, 제1광원부(10)와 제1렌즈부(70)의 사이에는 제1쉴드부(30)가 마련될 수 있고, 제2광원부(4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에는 제2쉴드부(6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shield unit 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first lens unit 70 , and a second shield unit 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Two shield units 60 may be provid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광원부(10)는 제1초점(F1)에 집광되도록 광을 조사한다.1 to 3 ,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irradiates light to be focused on the first focus point F1 .

제1리플렉터부(20)는 제1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제1광을 제1초점(F1)에 집광시킨다. 이때, 제1리플렉터부(20)는 제1쉴드부(30)에 하나의 제1초점(F1)을 형성하는 하나의 제1반사면(21)을 포함하고, 제1광원부(10)는 제1반사면(21)에 배치되는 하나의 제1광원(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unit 20 condenses the first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to the first focus point F1 . At this time, the first reflector unit 20 includes a singl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forming a single first focus F1 on the first shield unit 30 ,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includes a second One first light source 11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may be included.

제1쉴드부(30)는 제1초점(F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쉴드부(30)는 제1광원부(10)와 제1렌즈부(70) 사이에 배치되고, 제1쉴드부(30)의 단부에는 제1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제한하도록 컷오프라인(CL)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 unit 30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focus point F1 . The first shield unit 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and the first lens unit 70 , and an end of the first shield unit 30 li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 A cut-off line CL may be formed.

제2광원부(40)는 복수개의 제2초점(F2)에 집광되도록 제2광을 조사한다. 제2광원부(40)는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광원(41)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초점(F2)은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irradiates the second light to be focus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41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are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can

제2리플렉터부(50)는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되는 제2광을 복수개의 제2초점(F2)에 집광시킨다. 일 예로, 제2리플렉터부(50)는 수평 방향(Z축)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flector unit 50 condenses the secon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to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 For example,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제2쉴드부(60)는 복수개의 제2초점(F2)에 배치되도록 제2광원부(40)와 제2렌즈부(80) 사이에 마련된다. 일 예로, 제2쉴드부(60)는 복수개의 제2초점(F2)이 배열되도록 수평 방향(Z축)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2쉴드부(60)는 제2리플렉터부(5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unit 60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to be disposed at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 For example, the second shield unit 60 may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are arranged, and the second shield unit 60 may include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 ) can be placed side by side.

바람직하게, 제1쉴드부(30)와 제2쉴드부(60)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연결되는 하나의 컷오프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hield part 30 and the second shield part 60 may form one cut-off line CL connect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제1렌즈부(70)는 제1쉴드부(30)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제1쉴드부(30)에서 출사되는 제1광이 투과됨에 따라 수평 방향(Z축)과 수직 방향(Y축)을 따라 나란한 배광 특성을 갖는 제1배광패턴이 형성되게 한다.The first lens unit 70 is disposed on the emission side of the first shield unit 30 , and as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hield unit 30 is transmitted,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direction) axis) to form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parallel to each other.

제1렌즈부(70)는 차량의 전방측으로 제1광을 모아 원거리로 조사하도록 수평 방향(Z축)과 수직 방향(Y축) 초점이 동일한 단일초점을 형성한다.The first lens unit 70 forms a single focal point having the same horizontal (Z-axis) and vertical (Y-axis) focal points so as to collect the first ligh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irradiate it to a long distance.

제1초점(F1)에 집광된 제1광은 제1렌즈부(70)를 투과함에 의해 수평 방향(Z축)과 수직 방향(Y축)을 따라 나란한 배광 특성을 갖는 제1배광패턴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1렌즈부(70)에서 출사되는 제1광이 원거리로 조사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focused on the first focus F1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unit 70 to form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parallel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and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Therefore,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unit 70 can be irradiated to a long distance.

또한, 제1초점(F1)을 벗어난 제1광은 제1렌즈부(70)를 투과함에 의해 수평 방향(Z축)과 수직 방향(Y축)으로 경사지게 퍼지면서 출사될 수 있다.Also, the first light deviating from the first focus F1 may be emitted while being obliquely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and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70 .

제2렌즈부(80)는 제2쉴드부(60)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제2쉴드부(60)에서 출사되는 제2광이 투과됨에 따라 수평 방향(Z축)으로 퍼지는 배광패턴이 형성되게 한다.The second lens unit 80 is disposed on the emission side of the second shield unit 60, and as the secon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shield unit 60 is transmitte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at sprea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is formed. to be formed

제2렌즈부(80)는 복수개의 제2초점(F2)에 집광되는 광이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나란한 직선형을 이루는 제2배광패턴을 형성한다.The second lens unit 80 forms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which the light focus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forms a straight line in parallel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이때, 제2리플렉터부(50)에서 제2초점(F2)에 모이는 제2광은 제2렌즈부(80)를 투과하면서 수직 방향(Y축)으로 나란한 제2배광패턴을 형성하고, 제2리플렉터부(50)에서 제2초점(F2)을 벗어난 제2광은 제2렌즈부(80)를 투과하면서 수평 방향(Z축)으로 경사지게 퍼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제2렌즈부(80)에서는 제2광이 수평 방향(Z축)으로 자연스럽게 퍼져나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ight collected at the second focal point F2 in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s unit 80 to form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Y axis), and The second light deviating from the second focus F2 in the reflector unit 50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s unit 80 and spreads obliqu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Accordingly, in the second lens unit 80, the second light may naturally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길이 비율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길이 비율은 3:7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길이 비율은 2:8-8:2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3: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2:8-8:2.

참고로, 제1렌즈부(70)의 길이가 증가(제2렌즈부에 비해 증가)할수록 제1광의 최대 원거리 성능과 근거리 조도가 증가하지만, 최대 광폭과 선회 시인성은 저하될 수 있다.For reference, as the length of the first lens unit 70 increases (compared to the second lens unit), the maximum far-field performance and near-illuminance of the first light increase, but the maximum width and turning visibility may decrease.

반면, 제2렌즈부(80)의 길이가 증가(제1렌즈부에 비해 증가)될수록 제2광의 최대 원거리 성능과 근거리 조도가 저하되지만, 최대 광폭과 선회 시인성은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ength of the second lens unit 80 increases (compared to the first lens unit), the maximum far-field performance and near-field illuminance of the second light decrease, but the maximum width and turning visibility may be improved.

따라서, 차량에 따라 요구되는 최대 원거리 성능, 근거리 조도, 광폭 및 선회 시인성을 고려하여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길이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distance performance, near-field illumination, wide width, and turning visibility required for each vehicle.

여기서, 최대 원거리 성능은 차량에서 전방측으로 90-100m 정도의 거리에서 요구되는 조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근거리 조도는 차량에서 전방측으로 10-30m 정도에서 요구되는 조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maximum long-distance performance is defined as satisfying the illuminance required at a distance of about 90-100 m from the vehicle to the front side, and the near-field illuminance is defined as satisfying the illuminance required at about 10-30 m from the vehicle to the front side. .

또한, 최대 광폭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광(제1광 및 제2광)이 퍼지는 최대 폭을 의미하고, 선회 시인성은 차량이 선회(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할 때에 운전자가 차량의 선회측을 시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선회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aximum width means the maximum width in which the light (first light and second light) sprea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urning visibility means that when the vehicle is turning (turning left or right), the driver sees the turning side of the vehicle. It means to irradiate light to the turning side of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최대 원거리 성능, 근거리 조도, 최대 광폭 및 선회 시인성은 차량의 요구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aximum long-distance performance, near-illuminance, maximum width, and turning visibility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vehicle requirements and design specifications.

바람직하게,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는 일체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ar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특성의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를 단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램프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램프의 사이즈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렌즈부(70,80)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amp parts can be reduced by forming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as a single body to form light distribution pattern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lamp,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lens unit (70, 80).

더욱 바람직하게,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는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대략 일렬로 배치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are approximately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이와 같이,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는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할 시, 제2렌즈부(8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최대 광폭과 선회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램프에서 슬림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disposing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when the vehicle turns left or right, the second lens unit 80 The maximum width and turning visibility may be improved by the irradiated ligh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slim image in the lam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렌즈부(70)의 제1출사면(71)과 제2렌즈부(80)의 제2출사면(81)은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it surface 71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exit surface 81 of the second lens unit 80 are the sam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It is formed to achieve a curvature.

이와 같이, 제1출사면(71)과 제2출사면(81)이 수평 방향(Z축)을 따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렌즈부(70,80)에 광학적으로 동일한 코닉값(conic), 곡률(radius)과 비구면 계수값을 적용하여 단절감이 없고 하나의 곡면으로 설계가 가능하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first emitting surface 71 and the second emitting surface 81 to have the same curvatur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the optically identical conic values ( conic), curvature (radius) and aspheric coefficient values are applied, so there is no sense of disconnection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single curved surface.

바람직하게, 제1렌즈부(70)의 제1입사면(72)은 제1쉴드부(3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입사면(72)이 제1쉴드부(3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제1초점(F1)으로부터 제1렌즈부(70)에 입사되는 제1광이 차량의 전방측으로 거의 평행하게 출사되도록 제1렌즈부(70)를 광학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부(70)에서 출사되는 제1광이 차량의 최대 원거리 도달 성능과 근거리 조도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first incident surface 72 of the first lens unit 70 is convex toward the first shield unit 3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incident surface 72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first shield unit 30 , the firs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unit 70 from the first focus F1 is almos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lens unit 70 may be optically designed to be emitted in parallel. Accordingly,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unit 70 can sufficiently realize the vehicle's maximum long-distance reach performance and near-field illumin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렌즈부(80)는 제1렌즈부(70)에 인접한 일단에서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폭(W)을 갖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width W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lens unit 70 to the other end.

다시 말해서, 제2렌즈부(80)의 폭(W)은 제1렌즈부(7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2렌즈부(80)의 폭(W)이 제1렌즈부(7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2렌즈부(80)는 제1렌즈부(70)에서 멀어질수록(제1렌즈부에 인접한 일단에서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광의 수직 방향(Y축)의 퍼짐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배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렌즈부(80)의 제2입사면(82)은 수평 방향(Z축)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idth W of the second lens unit 80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unit 70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W of the second lens unit 80 is gradually decreased as it gets away from the first lens unit 70 , so that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by the first lens unit 70 . A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n which a spreading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of light gradually in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lens unit to the other end). Preferably, the second incident surface 82 of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리플렉터부(20)는 제1쉴드부(30)에 하나의 제1초점(F1)을 형성하는 하나의 제1반사면(21)을 포함하고, 제1광원부(10)는 제1반사면(21)에 배치되는 하나의 제1광원(11)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unit 20 includes a singl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forming a single first focus F1 on the first shield unit 30,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may include one first light source 11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

이때, 제1렌즈부(70)의 성능을 고려하여 제1렌즈부(70)의 좌우 사이드 및 제1반사면(21)의 초점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lens unit 70 , the focal length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may be changed.

제1리플렉터부(20)에서 제1초점(F1)에 집광된 제1광은 제1렌즈부(70)를 투과함에 따라 수평광(X축에 평행한 광)으로 출사되고, 제1초점(F1)을 벗어나는 제1광은 제1렌즈부(70)를 투과함에 따라 수직 방향(Y축)과 수평 방향(Z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퍼져나갈 수 있다. 제1렌즈부(70)에서는 제1렌즈부(70)의 수평 방향(Z축)의 사이즈에 따라 제1배광패턴의 퍼짐각이 한정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focused on the first focus F1 by the first reflector 20 is emitted as horizontal light (light parallel to the X-axis) as it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first focus ( The first light that escapes F1) may sprea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as it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unit 70 . In the first lens unit 70 , the spreading angle of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may be limi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lens unit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 axi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플렉터부(50)는 제2쉴드부(60)에 복수개의 제2초점(F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반사면(51)을 포함하고, 제2광원부(40)는 제2반사면(51)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광원(41)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51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on the second shield unit 6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41 installed one for each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

제2반사면(51)의 회전 각도, 제2반사면(51)의 초점 거리는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제2반사면(51)의 회전 각도, 제2반사면(51)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광학 성능 및 배광패턴의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and the focal length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and the focal length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are By adjusting, the optical performance and the uniformity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be adjusted.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제2반사면(51)은 제2쉴드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반사면(51)에서 반사되는 제2광은 제2쉴드부(60)에 복수개의 제2초점(F2)을 일렬로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51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hield unit 60 . Accordingly, the second light ref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51 may form a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in a line on the second shield unit 60 .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비단차부(non-step portion)(90)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 경계에 형성된다.4 to 7 , a non-step portion 90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in the Y-axis direction.

비단차부(90)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의 경계 이미지를 완화시키고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다.The non-step difference part 90 is provided to relieve a boundary image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ens part 70 and the second lens part 80 and to improve design characteristics.

즉, 하나의 렌즈 구조체(LS)에 서로 다른 광학 특성(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를 일체로 형성하면,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나,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가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 경계 효과(경계 이미지 및 광 간섭)가 발생하여 램프의 배광 특성 및 디자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f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having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refractive power)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lens structure LS,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Since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have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a boundary effect (boundary ima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lamp are deteriorated due to the occurrence of light interference).

특히,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에 함몰된 단차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의 광 간섭(빛 튐 현상)(PB1,PB2)에 의해 경계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a recessed step port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undary effect occurs more clearly due to the optical interference (light splashing phenomenon) (PB1, PB2) in the boundary region.

또한,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 별도의 차단막(미도시)을 마련하고, 차단막을 통해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의 광 간섭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히려 차단막에 의해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이미지가 더욱 도드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blocking film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and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are formed through the blocking film. Although it is possible to block optical interference in the boundary region of have.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 경계를 따라 비단차부(9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 6 및 도 7과 같이, 별도의 차단막을 마련하지 않고도,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 경계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배광패턴에서 경계면 필링 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단일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렌즈 구조체(LS)의 외면(제1출사면 및 제2출사면)의 디자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non-stepped portion 90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as shown in FIGS. 6 and 7 , a separate blocking film Since the boundary effect can be minimiz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without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maximizing the design effect of the outer surface (the first emission surface and the second emission surface) of the structure LS can be obtained.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단차부(90)라 함은,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사이 경계의 단차를 삭제(채움)하고 완만하게 연결해주는 필렛(fillet) 형상의 구조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비단차부(9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tep difference part 90 is a fillet (fillet) that gently connects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ens part 70 and the second lens part 80 by deleting (filling) the step. fillet) shape,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non-stepped portion 9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비단차부(90)의 내면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면의 곡률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inner surface curvatur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바람직하게, 비단차부(90)의 내면은 3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R)을 갖도록 형성된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is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R of 3 mm to 10 mm.

즉, 비단차부(90)의 내면의 곡률반경(R)이 3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의 광 간섭(빛 튐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어렵고, 비단차부(90)의 내면의 곡률반경(R)이 10mm보다 큰 경우에는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이미지는 완화될 수 있으나 눈부심(glare)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단차부(90)의 내면의 곡률반경(R)은 3mm 내지 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is smaller than 3 mm, optical interference (light splashing phenomen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is effectively prevented. It is difficult to suppress, 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is greater than 10 mm, the boundary imag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alleviated, but glare Since this may occur,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of 3 mm to 10 mm.

더욱 바람직하게, 비단차부(90)의 내면의 곡률반경(R)을 7mm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렌즈부(70)와 제2렌즈부(80)의 경계 영역에서의 광 간섭을 억제하면서 눈부심을 억제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 preferably, by forming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90 to be 7 mm, while suppressing optical interference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ens unit 70 and the second lens unit 80 , An advantageous effect of suppressing glare can be obtained.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리플렉터부(20)가 단 하나의 제1반사면(21)을 포함하고, 제1광원부(10)가 단 하나의 제1광원(11)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리플렉터부(20)가 복수개의 제1반사면(21)을 포함하고, 제1광원부(10)가 복수개의 제1광원(1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unit 20 includes only on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includes only one first light source 11 . ),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21 ,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flectors.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e light source 11 .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리플렉터부(20)는 제1쉴드부(30)에 하나의 제1초점(F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반사면(21)을 포함하고, 제1광원부(10)는 제1반사면(21)마다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광원(11)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9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flectors forming one first focus point F1 on the first shield unit 30 . The reflective surface 21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 arranged one for each first reflective surface 21 .

이때, 제1리플렉터부(20)와 제1렌즈부(70)의 사이즈에 따라 제1리플렉터부(20)의 초점거리 및 확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cal length and diffusion area of the first reflector unit 2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first reflector unit 20 and the first lens unit 70 .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반사면(21) 및 복수개의 제1광원(1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제1렌즈부(70)에서 제1광의 중심 광도와 퍼짐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반사면(21)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광의 퍼짐각을 조절하기 위해 퍼짐각용 반사면을 적용하고 제1초점(F1)에서 일정거리 벗어나도록 반사면의 초점을 지정할 수 있으며, 핫스팟용 반사면과 퍼짐각 증가용 반사면을 조절하여 복수개의 광 뭉침이 발생되지 않도록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21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 , the first half of the first half in order to increase the central luminous intensity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first light in the first lens unit 70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lope 21 . 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spread angle of the first light, a reflective surface for the spread angle can be applied, and the focus of the reflective surface can be designated to deviat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focus (F1), and a reflective surface for hot spots and a reflective surface for increasing the spread angle can be set.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cal length so that a plurality of light aggregation does not occur.

한편, 제1리플렉터부(20)에는 복수개의 제1반사면(21)이 좁은 영역에 적용(배치)되므로, 각 제1반사면(21)의 개별 고유의 특성이 손실됨에 따라 광도 저하, 퍼짐각 저하 및 광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21 are applied (arranged) to a narrow area in the first reflector unit 20, the luminous intensity decreases and spreads as individual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first reflective surface 21 are lost. Angle degradation and light efficiency may be reduced.

하지만, 복수개의 제1반사면(21)이 제1광원부(10)를 기준으로 광학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광 효율과 광의 뭉침을 개선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반사면(21)의 초점거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최대 광도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by optically rotating the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21 with respect to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 , light efficiency and light aggreg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ss of maximum luminous intensity by shifting the focal length.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플렉터부(50)가 복수개의 제2반사면(51)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플렉터부(50)가 단 하나의 제2반사면(5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51,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reflector unit 50 to include only on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플렉터부(50)는 제2쉴드부(60)에 복수개의 제2초점(F2)을 형성하는 단 하나의 제2반사면(51)을 포함하고, 제2광원부(40)는 제2반사면(51)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광원(4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flector unit 50 has only one second reflective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F2 on the second shield unit 60 . 51 ,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41 arranged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

이와 같이, 단 하나의 제2반사면(51)에 복수개의 제2광원(41)이 배열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증착액을 증착하여 제2반사면(51)을 제작할 때 증착액의 고임을 방지하여 광의 튐 현상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광의 튐 현상은 증착액의 고임 부위에서 광이 현저히 밝게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41 on only on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 accumulation of the deposition liquid is prevented when the deposition liquid is deposited to manufacture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problems such as light splashing. Here, the light splashing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light appears remarkably bright in the stagnant portion of the deposition solution.

또한, 제2반사면(51)의 수직 방향(Y축)의 기준라인을 타원 형태로 형성하고, 제2반사면(51)의 수평 방향(Z축)의 기준라인을 다중초점 리플렉터(multi focal reflector) 형태로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광 경로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광의 노면 균일도와 광학 성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the reference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Z-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51 is formed by a multi-focal reflector. By designing the reflector in the form of a reflector,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light path,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more easily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the road surface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ight.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렌즈부(80)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ens unit 80 may have a horizontal focus and a vertical focus different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 제2렌즈부(80)의 수직 방향 초점은 미리 설정된 초점으로 형성되고, 제2렌즈부(80)의 수평 방향 초점은 무한대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vertic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as a preset focus, and the horizont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to infinity.

이는, 낮은 높이(슬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평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2렌즈부(80)에 비구면 렌즈를 형성하면, 제2렌즈부(80)의 폭(W)(광이 투과하는 방향을 따른 두께, X축 방향 두께)이 두꺼워져 제작이 어렵고, 광학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This is, when an aspherical lens is formed on the second lens unit 80 having a low height (slim height) and a long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th W of the second lens unit 80 (light transmits through it). This is because the thickness along the direction and the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becomes thick,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optical efficiency is lowered.

가령, 15㎜의 높이(Y축 방향 높이)를 갖고 100㎜의 길이(Z축 방향 길이)를 가지며, 초점 거리(X축 방향 초점 거리)가 30㎜인 제2렌즈부(80)를 일반 비구면 렌즈로 설계하면, 제2렌즈부(80)의 폭은 47㎜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렌즈부(80)의 두께가 두껍게(예를 들어, 47㎜) 형성된 경우에는, 초점 기준 8도 이상의 각도로 입사되는 입사광에서는 전반사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2렌즈부(80)의 광학 효율이 20% 이하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lens unit 80 having a height of 15 mm (height in the Y-axis direction), a length of 100 mm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focal length (focal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30 mm is applied to a general aspherical surface. When designed as a lens, the width of the second lens unit 80 may be 47 mm. In this wa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to be thick (eg, 47 mm), total reflection occurs in the incident light incident at an angle of 8 degrees or more based on the focal point, so that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tical efficiency is lowered to 20% or less.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모픽 렌즈(Anamorphic Lens)와 같은 방식으로, 제2렌즈부(80)의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제2렌즈부(80)의 수직 방향 초점은 미리 설정된 초점으로 형성하면서, 제2렌즈부(80)의 수평 방향 초점을 무한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100㎜의 길이를 갖는 제2렌즈부(80)의 폭(W)을 1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horizontal focus and the vertic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8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anamorphic lens, that is, the second lens The width of the second lens unit 80 having a length of 100 mm by forming the horizont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80 to infinity while forming the vertical focal point of the unit 80 as a preset focal point It is possible to form (W) to 10 mm or less.

참고로, 제2렌즈부(80)의 수평 방향 초점을 무한대로 형성하게 되면, 제2렌즈부(80)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출사광의 각도가 정해질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horizontal focus of the second lens unit 80 is formed to infinity, the angle of the emitted light may be set to the same angle as the angle of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ens unit 80 .

반면, 렌즈 구조체(LS)는, 수직 방향으로 초점을 가지기 때문에, 비구면 렌즈와 동일한 광학 특성으로 출사광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s structure LS has a focu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mitted light may be formed with the same optical characteristics as that of the aspherical lens.

한편, 에너모픽 렌즈 특성을 갖는 제2렌즈부(80)는, 수직 방향으로만 초점이 형성되므로 수직 방향을 따른 컷-오프(cut-off)는 가능하지만, 수평 방향으로는 초점이 없으므로(무한대이므로) 광의 입사 방향 대로 출사 각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제2렌즈부(80)에 의한 제2배광패턴에 킹크(kink)(수평 방향을 따른 컷 오프)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lens unit 80 having an enermorphic lens characteristic, since the focus is form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cut-off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sible, but since there is no foc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finity) Therefore), since the emission ang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light, it is difficult to form a kink (cut-off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second lens unit 80 .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광이 점초점(제1초점)을 갖고, 제1광이 볼록한 제1입사면(Back Focal)을 갖는 제1렌즈부(70)를 투과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1렌즈부(70)에 의한 제1배광패턴에 킹크(kink)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has a point focus (first focus), and the first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unit 70 having a convex first incident surface (Back Foc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a kink in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the first lens unit 70 .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구조체(LS)는,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렌즈 구조체(LS)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렌즈 중심축(LS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structure LS may be formed to have a lens central axis LSC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lens structure LS in a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렌즈 구조체(LS)는, 렌즈 중심축(LSC)의 상부에 정의되는 상부 구간(LS2), 및 렌즈 중심축(LSC)의 하부에 정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상부 구간(LS2)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하부 구간(LS1)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lens structure LS has an upper section LS2 defined above the lens central axis LSC, and a lower section of the lens central axis LSC that is longer than the upper section LS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lower section LS1 having a length.

여기서, 하부 구간(LS1)이 상부 구간(LS2)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함은, 렌즈 구조체(LS)의 렌즈 중심축(LSC)이 렌즈 구조체(LS)의 중심(LC)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the lower section LS1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section LS2 means that the lens central axis LSC of the lens structure LS is located above the center LC of the lens structure LS. is defined

이는, 제1리플렉터부(20)의 제1반사면(21)(또는 제2리플렉터부의 제2반사면)을 통해 제1렌즈부(70)에 투사되는 제1광이, 렌즈 구조체(LS)의 중심을 기준으로 렌즈 중심(LC)의 상부 영역보다 하부 영역에 더 많이 입사된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렌즈 중심축(LSC)의 하부 구간(LS1)의 길이를 상부 구간(LS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렌즈 구조체(LS)의 효율 및 최대 광도(Max cd)를 개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ight projected to the first lens unit 70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1 of the first reflector unit 20 (or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is the lens structure L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ore incidents occur on the lower region than the upper region of the lens center L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By forming it to be lo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the maximum luminous intensity (Max cd) of the lens structure (LS).

일 예로, 렌즈 구조체(LS)의 하부 구간(LS1)의 길이를 상부 구간(LS2)의 길이보다 2㎜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렌즈 구조체(LS)의 효율을 대략 5%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lower section LS1 of the lens structure LS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ection LS2 by 2 mm, the efficiency of the lens structure LS can be increased by about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구조체(LS)의 하부 구간(LS1)의 길이를 상부 구간(LS2)의 길이보다 5㎜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부 구간(LS1)과 상부 구간(LS2) 간의 길이차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length of the lower section LS1 of the lens structure LS to be 5 mm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ection LS2, and the lower section LS1 and the upper section LS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m.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illustra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제1광원부
11: 제1광원
20: 제1리플렉터부
21: 제1반사면
30: 제1쉴드부
40: 제2광원부
41: 제2광원
50: 제2리플렉터부
51: 제2반사면
60: 제2쉴드부
70: 제1렌즈부
71: 제1출사면
72: 제1입사면
80: 제2렌즈부
81: 제2출사면
82: 제2입사면
90 : 비단차부
LS : 렌즈 구조체
10: first light source unit
11: First light source
20: first reflector unit
21: first reflective surface
30: first shield unit
40: second light source unit
41: second light source
50: second reflector unit
51: second reflective surface
60: second shield unit
70: first lens unit
71: first exit surface
72: first incident surface
80: second lens unit
81: second exit surface
82: 2nd entrance plane
90: non-step difference
LS : lens structure

Claims (15)

제1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제2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제1광으로 제1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1렌즈부, 상기 제2광으로 상기 제1배광패턴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제2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비단차부(non-step portion)를 포함하는 렌즈 구조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 firs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first light;
a secon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second light; and
A first lens unit forming a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first light, a second lens unit forming a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second light, and the first lens unit and a lens structure including a non-step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 vehicle lamp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차부의 내면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차부의 상기 내면은 3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surface of the non-step difference is a vehicle lamp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3mm to 1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광패턴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한 배광 특성을 갖고,
상기 제2배광패턴은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하며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배광 특성을 갖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ght distribution pattern has parallel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a vehicle lamp having a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that 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rea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r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a vehicle lam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광이 입사되는 제1입사면 및 상기 제1광이 출사되는 제1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2광이 입사되는 제2입사면 및 상기 제2광이 출사되는 제2출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출사면과 상기 제2출사면은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lens unit includes a first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first light is incident and a first exit surface to which the first light is emitted,
The second lens unit includes a second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and a second exit surface to which the second light is emitted,
The first exit surface and the second exit surface are formed to achieve the same curvature for a vehicle lam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는 수평 방향 초점과 수직 방향 초점이 서로 다르게 정의되는 차량용 램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lens unit is a vehicle lamp in which a horizontal focus and a vertical focus are defi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사면은 상기 제1광원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incident surface is a vehicle lamp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first light sour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에 인접한 일단에서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lens unit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width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lens unit to the oth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에서 조사된 상기 제1광을 상기 제1렌즈부로 반사하는 제1리플렉터부; 및
상기 제2광원부에서 조사된 상기 제2광을 상기 제2렌즈부로 반사하는 제2리플렉터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reflector unit reflecting the first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to the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reflector unit reflecting the second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o the second lens unit;
A vehicle lamp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플렉터부는 상기 제1광을 제1초점에 집광시키고,
상기 제2리플렉터부는 상기 제2광을 복수개의 제2초점에 집광시키는 차량용 램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reflector unit condenses the first light to a first focus,
The second reflector unit is a vehicle lamp for condensing the second light to a plurality of second focal poin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플렉터부는 상기 제1초점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1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리플렉터부는 상기 제2초점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2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reflector unit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rst reflective surfaces forming the first focus,
The second reflector unit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forming the second focal poi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제1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제2광을 조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2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irradiating the first ligh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a vehicle lamp includ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the second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체는,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렌즈 구조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렌즈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structure is a vehicle lamp formed to have a lens central ax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lens structure in a vertical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체는,
상기 렌즈 중심축의 상부에 정의되는 상부 구간; 및
상기 렌즈 중심축의 하부에 정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구간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하부 구간;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ens structure,
an upper section defined above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and
a lower section defined below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and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upper s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 vehicle lamp comprising a.
KR1020200075883A 2020-06-22 2020-06-22 Lamp for vehicle KR102663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83A KR102663839B1 (en) 2020-06-22 2020-06-22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83A KR102663839B1 (en) 2020-06-22 2020-06-22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28A true KR20210157728A (en) 2021-12-29
KR102663839B1 KR102663839B1 (en) 2024-05-08

Family

ID=7917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83A KR102663839B1 (en) 2020-06-22 2020-06-22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8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8792B2 (en) * 2011-05-11 2015-03-04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le lighting
KR20150112549A (en) * 2014-03-28 2015-10-07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lamp
JP2015179576A (en) * 2014-03-18 2015-10-08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190111798A (en) * 2018-03-23 2019-10-02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8792B2 (en) * 2011-05-11 2015-03-04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le lighting
JP2015179576A (en) * 2014-03-18 2015-10-08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150112549A (en) * 2014-03-28 2015-10-07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lamp
KR20190111798A (en) * 2018-03-23 2019-10-02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839B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8958B (en) Vehicle lamp
US10746370B2 (en) Lamp for vehicle having first and second lens portions each with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in horizontal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JP5445923B2 (en) Vehicle lighting
CN110131664B (en) Vehicle lamp
US20060126353A1 (en) Vehicular illumination lamp
JP2009059700A (en) Light-projecting module for vehicular headlight
KR20210034243A (en) Optical module of head lamp
CN111271679B (en) Vehicle lamp
KR101794065B1 (en) Optical lens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101461550B1 (en) Lamp for vehicles
KR20190009524A (en) Lamp for vehicle
KR20160026420A (en) Head lamp for car
KR20150051672A (en) Lamp for vehicle
KR101979571B1 (en) Head lamp for vehicles
KR20210157728A (en) Lamp for vehicle
KR20190078814A (en) Lamp for vehicle
KR20230024140A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43782A (en) Lamp for vehicle
KR102178817B1 (en) Lamp for vehicle
JP2021111446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CN217928591U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421079B1 (en) A lamp for vehicle
KR20230036354A (en) Lamp modu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20230029346A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6951351A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