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76A - 물류 보안 단말기 - Google Patents

물류 보안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76A
KR20210157076A KR1020200074915A KR20200074915A KR20210157076A KR 20210157076 A KR20210157076 A KR 20210157076A KR 1020200074915 A KR1020200074915 A KR 1020200074915A KR 20200074915 A KR20200074915 A KR 20200074915A KR 20210157076 A KR20210157076 A KR 2021015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cargo
unit
securi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427B1 (ko
Inventor
박병강
Original Assignee
(주)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성 filed Critical (주)현성
Priority to KR102020007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과 함께 배송되어 화물의 위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강화한 물류 보안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면이 화물에 부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위치 등의 상기 화물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센싱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해킹을 방지하는 보안부와, 상기 화물과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 센싱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부 상기 보안부 및 상기 탈부착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류 보안 단말기{Logistics security device}
본 발명은 화물과 함께 배송되어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물류 보안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인류가 경제 활동을 시작할 때부터 이루어져 왔지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 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기업은 원자재 공급에서부터 완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 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물류활동은 수송, 보관, 하역, 포장 등 단순히 화물을 취급하는 경제활동의 파생 수요에서 글로벌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기법이 발달하면서 산업 전반의 효율을 제고시키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물류 분야에서는 화주들과 물류기업이 물류비 절감이라는 공통 목표를 지향하기에 새로운 물류기술의 개발에는 더욱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더 높은 성과를 내고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물류기술은 물류비 절감 이외에도 물류보안, 안전 문제와 친환경 문제가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응용기술 분야이다.
물류시스템 및 물류 프로세스의 핵심은 물류 전체 과정상의 화물과 정보, 그리고 자금흐름을 유연하게 연계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운송, 보관 및 하역, 포장 등 과정별로 기술 개발의 세 가지 목표인 효율·효과성, 보안·안전성, 지속가능·환경성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물류시설, 장비 및 소프트웨어 기술 등이 물류기술이라 하겠다.
현재는 물류의 합리화를 위한 물류의 기반 인프라·장비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물류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산업 환경은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새로운 경영기법 도입 등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제조업의 경쟁력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물류산업도 과거의 개념과는 다른 기술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물류기술은 기업기반의 물류기술과 공공분야의 물류기술로 나눌 수 있는데 기업물류 기술 분야는 물류 운영·솔루션 분야 및 물류인프라·설비 분야로 구분할 수 있고, 공공분야는 철도·도로·항만·항공 등 물류수송의 주요 수단이 해당된다.
최근의 물류환경은 다양한 고객의 요구로 인해 소량·경박·다빈도화 되었고, 인력부족·육체노동 기피·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야 할 상황이다.
이런 변화는 물류산업에 있어 서비스의 다양성과 신속성, 그리고 관리운영의 효율성을 요구하고 있다.
물류산업이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류시스템 및 프로세스의 전체 과정 속에서 정보와 자금의 흐름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어야 하고 수단과 기능들을 실시간으로 연계하고 통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전체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물류 프로세스를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 운영 및 솔루션 영역이 발달하고 있다
한편 물류 산업에서의 보안은 매우 중요하다. 물류 회사 및 그 고객은 정당한 발송인인지 또는 정당한 인수인인지 여부를 염려하며, 배송 과정에서 화물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에 대하여 끊임없이 염려한다.
본 발명은 화물과 함께 배송되어 화물의 위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강화한 물류 보안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일면이 화물에 부착될 수 있는 하우징과, 위치 등의 상기 화물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센싱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해킹을 방지하는 보안부와, 상기 화물과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 센싱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부 상기 보안부 및 상기 탈부착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화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접촉 센서와 상기 화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화물에서 제거할 시 유출되는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메인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센신부는, 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화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아닌 부분에 구비되는 서브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광 센서와 상기 서브 광 센서에서 검출되는 광량의 차이가 없거나 미세하다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화물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상기 보안부 및 통신부는 통합된 보안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는 함께 이동되어 물류 보안 시스템에서 생체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는 배송 중 화물에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화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는 화물에 탈부착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의 물류 보안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의 물류 보안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의 물류 보안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의 물류 보안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카드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발신인과 인수인을 포함한다. 또한, 물류 보안 시스템은 배송물의 배송 상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배송물의 상태를 파악한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사용자가 배송물을 발송하거나 인수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물류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카드(100), 물류 보안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카드(100), 물류 보안 단말기(200), 서버(300)는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여기에 사용자의 단말기(410, 420)가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410, 42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발신인의 개인 단말기(410), 인수인의 개인 단말기(420)라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PC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410, 420)는 스마트폰으로 설명한다.
물류 보안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통신망은 NFC, Sigfox IoT Network, 인터넷 망 등 다양한 방법일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 간에 적절하게 통신망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드(100)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와 사용자의 단말기(410, 420)과 NFC,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연결되어 지문 인증 정보를 비롯한 여러가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스마트폰(410, 420)과 NFC,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서버(300)와 WiFi, 인터넷 망, Sigfox IoT Network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와 스마트폰(410, 420)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카드(100), 물류 보안 단말기(200), 서버(300) 및 스마트폰(410, 420)가 상호 주고받는 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증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체 인증 정보는 지문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홍채 정보, 페이스 정보 등 다양한 생체 인증 정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지문 정보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100)에 손가락을 대어 지문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카드(100)는 지문을 인식하고,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지문 정보가 저장된 지문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100)는 인증 결과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일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카드(100)는 지문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물류 보안 단말기(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며, 사용하기 편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100)는 신용카드와 유사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카드(100)는 원형 토큰이나 칩 형태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스마트 카드(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100)가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한 경우,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스마트 카드(100)의 고유 아이디를 수신하거나, 인증 결과인 TRUE/FALSE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스마트 카드(100)로부터 데이터화한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배송물과 함께 배송되어, 배송 중의 이벤트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GPS모듈,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300)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으로부터 지문 정보 인증에 관련된 데이터와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배송물의 상태, 위치 등에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물류회사의 관리자에게도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로부터 생체 정보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스마트 카드의 고유 아이디, 인증 성공, 실패, 불분명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스마트 카드(100) 및 물류 보안 단말기(200)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복수의 스마트 카드(100) 및/또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에 각각 고유 아이디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에와는 다르게 물류 보안 단말기와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물류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카드(10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와 물류 보안 단말기를 통해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하우징(280), 제어부(210), 보안부(230), 통신부(220), 이벤트 감지부 및 탈부착 센싱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배터리부(242) 및 전원 관리부(241)(BM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인증 결과를 안내하거나,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부는 스피커, LED램프, 디스플레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람부는 스피크부(271)와 LED램프부(272)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80)은 물류 보안 단말기(200)의 외형을 이루며,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80)은 납작한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80)은 일면이 소포 등 화물(1)에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우징(280)의 내부에 위치하며, 후술할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MCU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작동 시나리오에 따라 전원 관리부(241)를 제어하여, 필요한 모듈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1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물류 보안 단말기(20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가 제어하는 것은 구성요소(예, 이벤트 감지부, 탈부착 센싱부(26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안부(230)는 외부로부터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부(230)는 메머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보안부(230)는 후술할 통신부(220)로부터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운영체계(OS)의 펌웨어 위변조를 탐지할 수 있다. 특히, 보안부(230)는 위변조나 해킹을 탐지할 경우, 물류 보안 단말기(2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셧다운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스마트카드(100) 및 서버(300)과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와도 통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스마트카드(100)가 부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NFC 통신 모듈, NFC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IOT 통신 칩셋(BLE, Sigfox, WiFi 등)을 포함하여 장거리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220)는 스마트카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데이터를 스마트카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인증정보, 데이터, 이벤트 정보 등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보안부(23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보안부(230)는 인쇄회로기판을 변조하여 데이터를 탈취하거나, 변조하는 등 해킹의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합된 보안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통합된 보안 모듈은 데이터의 위변조나 탈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는 부착된 화물(1)과 관련된 이벤트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80)은 화물(1)에 부착되어 함께 배송된다. 따라서 이벤트 감지무는 배송물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배송물이 존재하는 환경의 정보, 충격여부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감지부는 GPS모듈을 갖는 GPS부(251)를 포함하여, 배송물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감지부는 가속도센서를 갖는 가속도 센싱부(252)를 포함하여, 화물(1)에 가해지는 충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감지부는 충격, 위치, 온도, 습도, 기압, 속도, 위치 등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는 주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이벤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부는 위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이벤트 감지부는 충격이 가해질 때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들은 통신부(220)를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탈부착 센싱부(260)는 화물(1)과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물류 보안 단말기(200)가 화물(1)과 함께 배송될 시, 탈부착 센싱부(260)는 화물(1)에 접촉되어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고, 접촉 여부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탈부착 센싱부(260)는 화물(1)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26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센서(261)는 스위치 센서, 마이크로 스위치 센서, Miniature snap-action switc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접촉 센서(261)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 센서(261)는 하우징(280)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하우징(280)은 접촉 센서(261)의 핀(262)(pin)이 관통하는 홀(281)을 포함한다. 즉 접촉 센서(261)는 하우징(28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핀(262)이 하우징(280)의 홀(28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접촉 센서(261)는 핀(262)을 통해 물체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보안 단말기(200)가 화물(1)에 부착되면, 핀(262)은 하우징(280)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접촉 센서(261)는 이 상태를 화물(1)과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만약, 충격이나 인위적으로 물류 보안 단말기(200)가 화물(1)에서 떨어진다면, 핀(262)은 하우징(28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접촉 센서(261)는 이 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탈부착 센싱부(260)는 접촉 센서(261)와 화물(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분말(2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말(263)은 하우징(280)의 홀(281)에 위치한다. 하우징(280)의 홀(281)은 접촉 센서(261)와 화물(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물류 보안 단말기(200)가 화물(1)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말(263)은 하우징(280)의 홀(281)에서 누설되지 않고, 접촉 센서(261)를 가압하게 된다.
만약 화물(1) 배송 시 임의로 제거하게 된다면, 접촉 센서(261)는 분말(263)이 누출되어 접촉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누출이 용이하여 접촉 센서(261)의 상태를 민감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분말(263)을 포함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분말(263)은 유체 또는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싱세히, 탈부착 센싱부(260)는 하우징(280)의 일면에 구비되어 화물(1)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메인 광 센서(26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광 센서(266)는 화물(1)과 접촉하는 하우징(280)의 일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280)이 화물(1)에 접촉 후 임의로 탈거되면, 메인 광 센서(266)는 주변 밝기에 따라 광을 인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탈부착 센싱부(260)는 하우징(280)에 구비되되 화물(1)과 접촉하는 부분이 아닌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광 센서(267)는 메인 광 센서(266)에 대향하는 하우징(280)의 다른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브 광 센서(267)는 메인 광 센서(266)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서브 광 센서(267)의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제어부(210)는 메인 광 센서(266)와 서브 광 센서(267)에서 감지하는 광량의 차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물류 보안 단말기(2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광 센서(266)와 서브 광 센서(267)에서 검출되는 광량의 차이가 없거나 미세하다면, 제어부(210)는 물류 보안 단말기(200)가 화물(1)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탈부착 센싱부(260)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탈부착여부를 판단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술한 접촉 센서(261)과 메인 광 센서(266)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광 센서(266)은 하우징(28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접촉 센서(261)이 메인 광 센서(266)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함께 이동되어 물류 보안 시스템에서 생체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200)는 배송 중 화물(1)에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화물(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보안 단말기는 화물에 탈부착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물류 보안 단말기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보안부
251: GPS부
252: 가속도 센싱부
260: 탈부착 센싱부
261: 접촉 센서
263: 분말
266: 메인 광 센서
267: 서브 광 센서
280: 하우징

Claims (7)

  1. 일면이 화물에 부착될 수 있는 하우징;
    위치 등의 상기 화물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센싱하는 이벤트 감지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해킹을 방지하는 보안부;
    상기 화물과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 센싱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로부터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부, 상기 보안부 및 상기 탈부착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화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접촉 센서와 상기 화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화물에서 제거할 시 유출되는 분말을 더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메인 광 센서를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센신부는, 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화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아닌 부분에 구비되는 서브 광 센서를 포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광 센서와 상기 서브 광 센서에서 검출되는 광량의 차이가 없거나 미세하다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화물에서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는, 물류 보안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기 보안부 및 통신부는 통합된 보안 모듈에 포함되는, 물류 보안 단말기.
KR1020200074915A 2020-06-19 2020-06-19 물류 보안 단말기 KR10244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15A KR102445427B1 (ko) 2020-06-19 2020-06-19 물류 보안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15A KR102445427B1 (ko) 2020-06-19 2020-06-19 물류 보안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76A true KR20210157076A (ko) 2021-12-28
KR102445427B1 KR102445427B1 (ko) 2022-09-20

Family

ID=7917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15A KR102445427B1 (ko) 2020-06-19 2020-06-19 물류 보안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4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29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KR101732304B1 (ko) * 2016-02-17 2017-05-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보호관리체계를 활용한 항만물류정보보안방법
KR2019003675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운송 데이터 로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29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KR101732304B1 (ko) * 2016-02-17 2017-05-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보호관리체계를 활용한 항만물류정보보안방법
KR2019003675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운송 데이터 로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27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208B2 (en) Issuing an alert based on mobile user device location
US8710961B2 (en) Anti-fake battery pack and identification system thereof
US9858523B2 (en) Pallet mesh network
US10991189B2 (en) Establishing control based on location of a mobile device
Want An introduction to RFID technology
EP3017580B1 (en) Signature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US11803904B2 (en) Smart device and tracking system
CN107231231B (zh) 一种终端设备安全接入物联网的方法及系统
Chen et al. NFC attacks analysis and survey
WO2016115088A1 (en) Identification tag with magnet attachment and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GB2437347A (en) Privacy-friendly RFID system prevents unauthorised interrogation of RFID tags
CN102498680A (zh) 借助于选择性轮询的功率高效的对象检测
CN108573296A (zh) 防伪装置、防伪系统和防伪方法
US8947109B2 (en) Protection device,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KR102445427B1 (ko) 물류 보안 단말기
US20170053292A1 (en) Method of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an object
CN208314828U (zh) 防伪装置和防伪系统
Kortvedt Secur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05064923A (ja) Icカードを用いたサービスシステム
US20180018654A1 (en) Portable electronic payment secur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210126370A (ko) 물류 보안 시스템 및 물류 보안 방법
US11696138B2 (en) Security appliance for protecting power-saving wireless devices against attack
CN219016989U (zh) 终端信息读写系统和目标终端
US20230276240A1 (en) Security Appliance for Protecting Power-Saving Wireless Devices Against Attack
EP4044646A1 (en) Security appliance for protecting power saving wireless devices against at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