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775A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775A
KR20210156775A KR1020210077696A KR20210077696A KR20210156775A KR 20210156775 A KR20210156775 A KR 20210156775A KR 1020210077696 A KR1020210077696 A KR 1020210077696A KR 20210077696 A KR20210077696 A KR 20210077696A KR 20210156775 A KR20210156775 A KR 2021015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abnormal
abnormal transaction
cond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679B1 (ko
Inventor
김지윤
전정호
김종광
최형규
권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알브이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알브이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알브이랩스
Publication of KR2021015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가 저장된 조건저장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트랜잭션 수신부; 상기 트랜?Ъ? 수신부에 수신된 트랜잭션과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조건비교부; 및 상기 조건비교부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이상거래 알림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이상거래 조건들과 비교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TRANSACTION ON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가 저장된 조건저장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트랜잭션 수신부; 상기 트랜?Ъ? 수신부에 수신된 트랜잭션과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조건비교부; 및 상기 조건비교부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이상거래 알림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으로 대표되는 분산원장에서 의심되는 거래를 조기에 탐지하는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의 거래는 동등계층간 통신망(P2P: peer-to-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개 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결제방식을 갖는 암호화폐는 신용카드 결제 시에 필요한 카드번호나 유효기간 및 CCV 번호 등의 정보 없이도 이용이 가능하여 도용의 위험성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수료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암호화폐는 지갑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고, 이 지갑에는 각각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부여되며, 그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라는 주소를 기반으로 암호화폐를 이용한 사용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암호화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이 수집 보관되는 블록체인(block chain)에 저장되어지기 때문에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을 통칭하여 암호화폐라 지칭한다.
이러한 암호화폐는 현재, 해킹, 피싱 등 사기, 내부자 부정 등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암호화폐를 대중화하는데 크나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암호화폐를 보다 안전하게 만드는 기술이 현재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73693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한국 등록특허 제10-2069002호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이상거래 조건들과 비교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트랜잭션 발생 시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가 저장된 조건저장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트랜잭션 수신부; 상기 트랜?Ъ? 수신부에 수신된 트랜잭션과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조건비교부; 및 상기 조건비교부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이상거래 알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건저장부는,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를 설정하는 거래한도설정부; 거래가능시간을 설정하는 거래 가능시간설정부; 이상거래주소와 정상거래주소를 설정하는 이상거래주소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건비교부는,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암호화정보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정보검출부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트랜잭션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상거래 조건정보는, 미리 저장된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 미리 저장된 거래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미리 저장된 이상거래주소에 해당하거나 미리 저장된 정상거래주소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이상거래조건정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1)단계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이상거래 조건들과 비교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트랜잭션 발생 시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화키를 통해 암호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블록체인은, 거래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써, 거래데이터를 블록에 담은 후 네트워크(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분산 저장하며, 이러한 블록들을 규칙에 따라 결합시켜 체인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암호화폐 거래요청이 발생할 경우, 해당 거래에 이용되는 블록에 대한 승인을 거쳐 거래를 완료시키는데, 하나 이상의 단말기(200)로부터 승인을 통해야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가 인증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발명으로서,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이상거래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은, 조건저장부(110), 트랜잭션수신부(120), 조건비교부(130) 및 이상거래알림부(140)를 포함한다.
조건저장부(110)는,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조건저장부(110)는, 거래한도설정부(112), 거래가능시간설정부(114), 및 이상거래주소설정부(116)를 포함한다.
거래한도설정부(112)는,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를 설정한다.
거래한도설정부(112)는,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시스템 운영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1회거래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거래한도를 통해 미리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범위가 아닌 암호화폐 금액을 송금하는 경우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기 위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거래가능시간설정부(114)는, 거래가능시간을 설정한다.
거래가능시간설정부(114)는, 미리 저장된 거래가능시간범위, 시스템 운영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거래가능시간범위 또는 의심거래 탐지 서버(100)가 일괄적으로 설정한 거래가능시간범위를 벗어난 시간에 신규 트랜잭션이 탐지된다면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기 위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거래주소설정부(116)는, 이상거래주소와 정상거래주소를 설정한다.
즉, 이상거래주소설정부(116)는,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주소 및 정상거래주소를 미리 저장하거나, 시스템 운영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하거나 의심거래 탐지 서버(100)가 일괄적으로 설정케 함으로써 이상거래주소로 미리 등록된 주소에 암호화폐를 송금하거나 정상거래주소로 암호화폐를 송금하지 않는 경우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기 위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정상거래주소로 미리 등록된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금하지 않는 경우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할 수 있다.
트랜잭션 수신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 상의 각 노드(11)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한다.
즉, 트랜잭션 수신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 상의 각 노드(11)들로부터 신규 거래가 발생되어 신규 트랜잭션이 생성될 경우 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비교부(130)는, 상기 트랜잭션 수신부(120)에 수신된 트랜잭션과 상기 조건저장부(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상거래조건정보는, 미리 저장된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 미리 저장된 거래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미리 저장된 이상거래주소에 해당하거나 미리 저장된 정상거래주소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이상거래조건정보로 판단한다.
즉, 이상거래조건정보에 어느 하나라도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이상거래조건정보에 어느 하나라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호화정보검출부는,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한다.
즉, 암호화정보검출부는, 수신된 신규 트랜잭션 상에 암호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호화정보검출부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한다.
즉,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된 정보가 시스템 운영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되지 않는다면 이를 이상거래로 판단한다.
여기서, 암호화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시스템 운영자가 일괄적으로 암호화키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거래 알림부(140)는, 상기 조건비교부(130)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이상거래 알림부(140)는, 시스템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의심거래 방지 서버(30)에 알림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스템 운영자 단말기(20)는 알림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화면에 출력하고 알림을 울려 시스템 운영자가 이상거래 발생 및 이상거래 조건을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의심거래 방지 서버(30)는, 알림정보를 수신받으면 해당 거래를 중지시키게 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10)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우선, 블록체인 네트워크(10) 상의 각 노드(11)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한다(s110).
그 다음, 상기 (s110)단계에서 수신된 트랜잭션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정보와 비교(s120)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한다(s122).
여기서, 이상거래 조건정보는, 미리 저장된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 미리 저장된 거래가능시간 및 미리 저장된 이상거래주소이다.
그리고, (s120)단계는,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한다(s124).
여기서, (s124)단계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s120)단계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한다(s13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블록체인 네트워크 11: 블록체인 노드
20: 시스템 운영자 단말기 30: 이상거래 방지 서버
100: 의심거래탐지서버 110: 조건 저장부
112: 거래한도 설정부 114: 거래가능시간설정부
116: 이상거래주소설정부 120: 트랜잭션수신부
130: 조건비교부 140: 이상거래알림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가 저장된 조건저장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트랜잭션 수신부;
    상기 트랜?Ъ? 수신부에 수신된 트랜잭션과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조건비교부; 및
    상기 조건비교부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이상거래 알림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저장부는,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를 설정하는 거래한도설정부;
    거래가능시간을 설정하는 거래 가능시간설정부;
    이상거래주소와 정상거래주소를 설정하는 이상거래주소설정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비교부는,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암호화정보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정보검출부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s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5. (a)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신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트랜잭션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거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거래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이상거래로 판단될 경우 해당 이상거래조건을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조건정보는,
    미리 저장된 1회 거래 한도 또는 기간별 누적 거래한도, 미리 저장된 거래가능시간을 초과하거나 미리 저장된 이상거래주소에 해당하거나 미리 저장된 정상거래주소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이상거래조건정보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트랜잭션에서 거래내역을 암호화한 정보를 검출하되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암호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Hach)하되 미리 설정한 암호화키를 통해 해시되지 않는 경우 이상거래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방법.
KR1020210077696A 2020-06-18 2021-06-15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5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66 2020-06-18
KR20200074066 202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75A true KR20210156775A (ko) 2021-12-27
KR102656679B1 KR102656679B1 (ko) 2024-04-19

Family

ID=7917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96A KR102656679B1 (ko) 2020-06-18 2021-06-15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908B1 (ko) * 2022-09-05 2023-06-13 주식회사 악시오홀딩스 블록체인 백오피스를 이용한 디지털화폐 청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55A (ko) * 2017-11-20 2019-05-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이중지불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2159A (ko)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00004528A (ko) * 2018-07-04 2020-01-14 이동기 거래 추적 기능을 갖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069002B1 (ko) 2019-11-13 2020-01-22 주식회사 유니허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55A (ko) * 2017-11-20 2019-05-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이중지불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2159A (ko)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00004528A (ko) * 2018-07-04 2020-01-14 이동기 거래 추적 기능을 갖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069002B1 (ko) 2019-11-13 2020-01-22 주식회사 유니허브랩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908B1 (ko) * 2022-09-05 2023-06-13 주식회사 악시오홀딩스 블록체인 백오피스를 이용한 디지털화폐 청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679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66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henticate users and/or control access made by users based on enhanced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KR101814989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이상 금융 거래 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050129B1 (ko) 블록 검증을 위한 복수의 일방향 함수를 지원하는 블록 체인
US9978094B2 (en) Tokenization revocation list
US1023071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ing authentication procedures in an anti-fraud environment
JP6514218B2 (ja) 社会関係データを用いたクライアント認証
US86668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authenticating credit card transactions
EP3983979A1 (en) Dynamic off-chain digital currency transaction processing
KR102332226B1 (ko) 블록체인 원장에 대한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블록체인 원장 검증 방법
US20180068280A1 (en) Verifying electronic transactions
CN11144427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授权方法以及装置
CN111222841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分配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
CN110222085B (zh) 一种存证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701308B (zh) 用于基于区块链发布公共证书的系统、及使用该系统的用于基于区块链发布公共证书的方法
CN112738121B (zh) 密码安全态势感知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1570168B2 (en) Techniques for repeat authentication
CN102667799A (zh) 访问控制系统、认证服务器系统及访问控制程序
CN11093308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去中心化可验证隐匿代表方法及系统
KR20210156775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6720839B (zh) 基于区块链技术的金融信息管理方法及其监管系统
CA3184856A1 (en) Method, participatant unit, transaction register, and payment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 data sets
CN112765588B (zh) 一种身份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049567A1 (en) Universal payment channels
KR101195027B1 (ko) 서비스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465516A (zh) 基于区块链网络的设备管理方法,相关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