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581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581A
KR20210156581A KR1020200074318A KR20200074318A KR20210156581A KR 20210156581 A KR20210156581 A KR 20210156581A KR 1020200074318 A KR1020200074318 A KR 1020200074318A KR 20200074318 A KR20200074318 A KR 20200074318A KR 20210156581 A KR20210156581 A KR 2021015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sertion hole
cooking
socke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581A/en
Publication of KR2021015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4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An invention for a cooking applianc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a cover is installed on a socket disposed outside a cooking room. The cover cover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ocket a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room. 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includes a probe and a cov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Cooking equipment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트 프로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meat probe.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which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and cooks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그리들 등이 있다.When cooking applian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they can be classified into open-type and closed-type cooking appliances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pace in which food is placed.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and microwaves, and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hops, griddles, and the like.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The seal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hields a space in which food is located and heats the shielded space to cook food. In the sealed cooking appliance, a cooking chamber is provided,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food is placed and food is cooke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in which food is substantially cooked.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The sealed cooking applianc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gas oven and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a type of a heat source. Gas ovens use gas as fuel, and by supplying gas to a plurality of burners and igniting them, food is cooked by the flame generated when the supplied gas is burned. While a plurality of heaters are operated using the heat source, food is cook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s.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오븐이 출시되고 있다. 스팀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량에 의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오븐으로서,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대량의 다단계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주는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Recently, a steam oven for cooking food using high-temperature steam has been released. A steam oven is an oven with a function of spraying steam into a cooking chamber using high-temperature steam and controlling humidity by the amount of steam, preventing food from drying out, and being able to cook a large amount of multi-level food as well as taste. It provides a complex function of maintaining the taste and aroma of food by blocking the evaporation of the flavor and aroma.

일반적으로 상기 스팀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조리실을 가열하는 열원, 및 조리실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In general, the steam oven is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avity forming a cooking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front opening of the cooking compartment,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cooking compartment,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한편,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부가적으로 미트 프로브(Meat probe)가 구비될 수 있다. 미트 프로브는, 육류 조리시 육류 내부에 삽입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열원의 출력 제어 및 자동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aled cooking appliance may additionally include a meat probe. The meat probe may be inserted into the meat during cooking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reby contributing to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eat source and enabling automatic cooking.

미트 프로브는, 니들과 케이블 및 잭(Ja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은 육류 등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니들의 일측에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케이블에는 잭이 연결되며, 커넥터는 조리실 외부에 설치되는 잭 수신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meat probe may include a needle, a cable, and a jack. The needle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meat, etc., and a cab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needle. A jack is connected to the cable, and the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a jack receiver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잭과 잭 수신기 간의 연결은, 조리실 외부에 설치되는 잭 수신기에 잭이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미트 프로브가 조리실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잭이 조리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조리실 외부의 잭 수신기에 삽입됨으로써, 잭과 잭 수신기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jack and the jack receiver is generally made in the form of a jack being inserted into a jack receiver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meat probe is disposed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the jack penetrates the side wall of the cooking compartment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ooking compartment and is inserted into the jack receiver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whereby a connection between the jack and the jack receiver can be made.

이 경우, 미트 프로브가 사용되지 않을 때, 조리실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삽입홀을 통해 잭 수신기 측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다. 잭 수신기 측으로 침투한 습기나 이물질은, 잭 수신기를 오염시키고, 미트 프로브의 접속 상태 인식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eat probe is not us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penetrate into the jack receiv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penetrated into the jack receiver may contaminate the jack receiver and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the mitt probe's connection state.

본 발명은 습기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기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이로 인해 프로브 연결 및 사용에 불편함이 가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block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and to prevent aggravating inconvenience in connection and use of the prob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되는 소켓에 커버가 설치되고, 이 커버는 소켓에 형성되어 조리실 내부로 노출되는 삽입홀을 조리실의 외부에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ver is installed in a socket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and the cover is formed in the socket to cover the insertion hol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characterized.

이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접속부재가 위치한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into the space where the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또한 커버에는, 잭이 커버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커버에 형성하는 통로부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assage portion for forming a passage through the cover for the jack to pass through the cover.

바람직하게는, 통로부는 삽입홀과 마주보는 커버의 일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ssage portion may include a slit formed by cutting one surface of the cover facing the insertion hole.

이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미트 프로브의 접속 및 분리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while effectively blocking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meat prob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노출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개방되어 상기 조리실의 외부와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홀을 갖는 소켓과; 상기 소켓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프로브; 및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홀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avit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 socket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asses through the cavity and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and is opened into the cooking compartment to form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with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A socket having an insertion hole class; a probe connected to the socket to measure a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the probe passing through the cavity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티와 결합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로부터 상기 삽입홀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의 위치를 규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cket includes a boss having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passing through the cavity and coupled to the cavity; a support portion forming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oss in a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ver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보스부의 일측에서 상기 삽입홀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ver may include a cover part covering the insertion hole from one side of the boss part; and a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over par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삽입홀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the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im of the cover portion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kirt shape to cover the coupling protrusion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며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잭이 커버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커버에 형성하는 통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obe further includes a jack tha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passage portion for forming a passage through the cover through which the jack passes through the cover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cover.

또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일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ssag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slit formed by cutting one surface of the cover facing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소켓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접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접속부재와 상기 조리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며 상기 소켓 및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는 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socket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wherein the socket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oking compartment, and the probe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passes through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jack in contact with the member.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소켓과 상기 접속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삽입홀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덮개부에 마련되는 컨텍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ver may include a cov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a coupling part that surrounds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contactor provided on the cover part.

또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잭이 상기 컨텍터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cover, and a passage for the jack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move toward the contactor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결합부는, 길이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텍터가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거나 상기 접속부재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and th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or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잭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컨텍터와 접촉되고 상기 컨텍터가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소캣과 상기 접속부재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jack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or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to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조리실의 외부에서 삽입홀을 막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접속부재가 위치한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ver for blocking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없이 삽입홀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미트 프로브의 접속 및 분리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실 내부로부터 침투한 습기나 이물질에 의해 프로브 접속 모듈이 오염되거나 미트 프로브의 접속 상태 인식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ve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so that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meat probe can be made easily and conveniently, while the probe connection module is contaminated by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penetrating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This can effectively prevent an error in recogniz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eat pro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실 내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프로브 접속 모듈이 설치된 캐비티의 측면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브 접속 모듈의 구성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조리실 내부를 통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조리실 외부를 통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접속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emo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hown in FIG. 2 .
4 is a view illustrating a side portion of a cavity in which a probe connection module is install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shown in FIG. 4 in an exploded view;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cover shown in FIG. 5 .
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probe and a probe connection modul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shown in FIG. 11 .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upper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C to D” is u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specific opposit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that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and less than or equal to D.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cook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emo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1 and 2 , the cooking appliance 1 may have an exterior formed by the main body 10 . The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clud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in order to protect a plurality of par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되며, 전면패널(13)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avity 11 forming a skeleton of the main body 10, and a front panel 13 disposed in front of the cavity 1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ve. A cooking compartment 15 is formed inside the cavity 11 , and an opening for opening the cooking compartment 15 to the front may be formed inside the front panel 13 .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 조리실(15)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에서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A cooking chamber 15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cooking chamber 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Whe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5 is heated while the cooking chamber 15 is shielded,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may be cooked. That is, in the cooking appliance 1 ,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5 is a space in which food is substantially cooked.

조리기기(1)에는, 조리실(15)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히터(Broil heater; 30)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hamber 15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1 . As an example of such a heating unit, a broil heater 30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5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unit.

또한 조리실(15)의 하측에도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크 히터(Bake heater; 40)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 장치(50)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Also, a bake heater 40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5 from the lower side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unit at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In addition, a convection device 50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by convection of hot air may be provided as the heating unit at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16)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A door 16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15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The door 16 may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5 in a pull-down manner in which the upper end rotates up and down around the lower end.

이러한 도어(1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7)이 설치될 수 있다.The door 16 is generally made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handle 17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6 to grip the door 16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it.

조리기기(1)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21)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1 , that is,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 . The control panel 20 may form a part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control panel 20 may include a knob 21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 display 22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리기기(1)에는 스팀공급장치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스팀공급장치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5)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oking appliance 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eam supply device. The steam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supply steam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에는 미트 프로브(Meat probe)가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트 프로브는, 육류 조리시 육류 내부에 삽입되어 가열 온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미트 프로브 에서 측정된 결과는, 가열부의 출력제어 및 자동조리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 a meat prob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1 . A meat probe is a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meat while cooking and measures a heating temperature. The results measured by the meat probe can be used as data required for output control and automatic cooking of the heating unit.

미트 프로브는, 육류에 삽입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 본체(미도시)와, 브로프 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61), 및 케이블(61)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잭(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at probe includes a probe body (not shown) that is inserted into meat to measure temperature, a cable 61 connected to the probe body, and a jack 63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able 61 , can be done

이러한 미트 프로브는, 조리기기(1)와 별도로 마련되며, 필요시 조리기기(1)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트 프로브와 조리기기(1) 간의 연결은, 미트 프로브의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에 연결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meat prob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oking appliance 1 , and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ooking appliance 1 if necessary.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t probe and the cooking appliance 1 may be made by connecting the jack 63 of the meat probe 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프로브 접속 모듈의 구조][Probe connection module structure]

도 4는 프로브 접속 모듈이 설치된 캐비티의 측면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브 접속 모듈의 구성 일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ide surface of a cavity in which the probe connection module is installed,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shown in FIG. 4 in an exploded view.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로브 접속 모듈(100)은 조리실(1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브 접속 모듈(100)은 캐비티(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 접속 모듈(100)은, 캐비티(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티(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조리실(15)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3 and 4 ,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Preferably,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vity 10 .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be coupled to the cavity 10 , more specifically, to a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프로브 접속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0)를 관통하여 조리실(15)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실(15) 내부로 노출된 프로브 접속 모듈(100)의 일부분을 통해, 조리실(15) 내부에 배치된 미트 프로브(이하, "프로브"라 한다)의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과 접속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be exposed into the cooking chamber 15 through the cavity 10 . Through a portion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exposed into the cooking chamber 15 as described above, the jack 63 of the meat pro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be”) dispos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is connected 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 100) can be connected.

상기 프로브 접속 모듈(100)은, 소켓(110)과 접속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socket 110 and a connection member 120 .

소켓(110)은, 조리실(15)의 외부에 배치되며, 캐비티(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캐비티(1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조리실(15)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110)에는, 삽입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10a)은, 소켓(110)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조리실(15) 내부로 개방되어 조리실(15)의 외부와 조리실(15)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socket 110 is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and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and fixed to the cavity 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socket 110 may be exposed into the cooking chamber 15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 An insertion hole 110a may be formed in the socket 110 . The insertion hole 110a may laterally pass through the socket 110 , and may be opened into the cooking compartment 15 to form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and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

소켓(110)은, 보스부(111)와 지지부(113) 및 결합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111)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스부(111)의 내부에는 삽입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11)는, 캐비티(10)의 측면을 관통하며 캐비티(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스부(111)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110a)은, 조리실(15)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socket 110 may include a boss part 111 , a support part 113 , and a coupling protrusion 115 . The boss part 1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ying down, and an insertion hole 110a may be formed in the boss part 111 . The boss part 111 may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and be coupled to the cavity 10 . The insertion hole 110a formed in the boss part 111 may form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지지부(113)는, 보스부(111)로부터 삽입홀(110a)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13)는 캐비티(10)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3)는, 캐비티(10)의 측면과 밀착되며 소켓(110)을 캐비티(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3 may form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oss part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110a. Preferably, the support 113 may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 The support part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and may serve to stably support the socket 110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

결합돌기(115)는, 지지부(11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15)는, 삽입홀(110a)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115)는, 후술할 커버(130)와 결합되어 커버(130)의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15)는, 소켓(110)과 커버(130)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을 소켓(1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art 113 .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protrude in a form to surround the insertion hole 110a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serve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cover 130 by being coupled to the cover 1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provide a coupling surface for coupling between the socket 110 and the cover 130 to the socket 110 .

접속부재(120)는, 조리실(15)의 외부에 배치되며, 소켓(110)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재(120)는, 소켓(110)에 비해 캐비티(10)의 측면에서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속부재(120)와 소켓(110)이 조리실(15)의 외부에 배치되되, 캐비티(11)의 측면과 접속부재(120) 사이에 소켓(1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120 is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ocket 110 . The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side of the cavity 10 compared to the socket 110 .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120 and the socket 110 are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and the socket 1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

소켓(110)과 접속부재(120)는 물리적으로는 결합되어 있지만, 소켓(110)과 접속부재(120)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소켓(110)과 접속부재(120)는, 절연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소켓(110)과 접속부재(120)는, 소켓(110) 및 접속부재(120)와 각각 접속되는 잭(6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are physically coupled, but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hat is,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insulated state.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ack 63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

소켓(110)과 접속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조리기기(1)는 조리기기(1)에 프로브(6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프로브(60)에 의해 측정된 온도 관련 정보가 조리기기(1)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oking appliance 1 may recognize that the probe 60 is connected to the cooking appliance 1 ,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probe 60 . 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oking appliance 1 .

프로브(60)는, 소켓(110) 및 접속부재(120)와 연결되어 조리실(15) 내부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60)의 잭(63)은, 조리실(15) 내부로부터 삽입홀(110a)을 통해 캐비티(10)를 관통하여 소켓(110) 및 접속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probe 60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 The jack 63 of the probe 60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120 by penetrating the cavity 10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커버의 구조][Structure of the cover]

커버(130)는, 조리실(15)의 외부에서 삽입홀(110a)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30)가 대략 원판 또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30)의 형상은 타원 형상의 판 또는 타원 기둥,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판 또는 다각 기둥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30)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커버(1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ver 130 is provided to cover the insertion hole 110a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130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n approximately circular plate or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cover 13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such as an elliptical plate or an elliptical pole, a polygonal plate or a polygonal pole, such as a square or pentagon.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cover 13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cover 130 .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cover shown in FIG. 5 .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30)는 덮개부(131) 및 결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5 to 7 , the cover 130 may include a cover part 131 and a coupling part 133 .

덮개부(131)는, 소켓(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스부(111)의 일측에서 삽입홀(110a)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프로브 접속 모듈(100)이 조리실(15)의 좌측에 배치된다고 한다면, 덮개부(131)는 보스부(11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31 is provided to cover the insertion hole 110a from one side of the socket 110 , more specifically, the boss part 111 . For example, i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 the cover part 131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boss part 111 .

이러한 덮개부(13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삽입홀(110a)보다 더 긴 직경, 바람직하게는 보스부(111) 이상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3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hole 110a, and preferably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boss part 111 .

결합부(133)는, 덮개부(131)로부터 돌출되어 결합돌기(1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3)는, 덮개부(13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Skir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부(133)는, 결합돌기(115)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덮으며, 결합돌기(1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33)와 결합돌기(115) 간의 결합은, 결합부(133)의 내주면과 결합돌기(115)의 외주면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33 may protrude from the cover part 131 and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The coupling part 133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skirt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cover part 131 . The coupling portion 133 formed in this way covers the coupling protrusion 115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In this case,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art 13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3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예컨대, 결합돌기(115)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15)의 일측은 덮개부(131)에 의해 덮이며, 결합돌기(115)의 타측은 소켓(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커버(130)의 내부에는, 결합부(133)와 덮개부(131)와 보스부(111) 및 지지부(113)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On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131 ,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covered by the socket 110 . That is,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oupling part 133 , the cover part 131 , the boss part 111 , and the support part 113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130 .

상기 커버(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질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연질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33)가 결합돌기(115)에 밀착되면서 커버(130)가 소켓(11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커버(130)와 소켓(110) 간의 결합 부위의 실링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cover 1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soft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soft plastic. Accordingly, the cover 13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ocket 110 while the coupling portion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as well as sealing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over 130 and the socket 110 . can also be done together.

아울러 커버(130)에는 통로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통로부(135)는, 삽입홀(110a)을 통해 소켓(110)을 관통한 잭(63)이 커버(130)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커버(130)에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ssage portion 135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130 . The passage 135 may form a passage in the cover 130 through which the jack 63 passing through the socket 1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passes through the cover 130 .

통로부(135)는, 삽입홀(110a)과 마주보는 커버(130)의 일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통로부(135)는 덮개부(13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131)에 "+"자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이 통로부(135)가 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passage portion 135 may include a slit formed by cutting one surface of the cover 130 facing the insertion hole 110a. More specifically, the passage portion 135 may include a slit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31 .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slit formed in a “+” shape in the cover part 131 becomes the passage part 135 .

[커버의 작용, 효과][Action, effect of the cover]

도 8은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조리실 내부를 통해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조리실 외부를 통해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and FIG. 10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

도 3을 참조하면, 소켓(110)의 내부는 삽입홀(110a)을 통해 조리실(15)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홀(110a)은 프로브(60)의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지만, 이를 통해 조리실(15)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 측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프로브 접속 모듈(100) 측으로 침투한 습기나 이물질은, 프로브 접속 모듈(100)를 오염시키고, 프로브(60)의 접속 상태 인식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inside of the socke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The insertion hole 110a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jack 63 of the probe 60 can be connected 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bu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through this provides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there is a possibility of infiltration.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penetrating in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may contaminate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and cause an error in recogniz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robe 60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브 접속 모듈(100)에 커버(130)가 마련된다. 커버(130)는, 조리실(15)의 외부에서 삽입홀(110a)을 막음으로써, 조리실(15)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접속부재(120)가 위치한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130 is provided on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The cover 130 blocks the insertion hole 110a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reby preventing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where the connection member 120 is located.

프로브(60)를 조리기기(1)와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60)의 잭(63; 도 5 참조)을 캐비티(10)의 측면에 배치된 삽입홀(110a; 도 5 참조)에 삽입시켜 준다. 삽입홀(110a)을 통해 캐비티(10)의 측면을 관통한 잭(6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0) 및 커버(130)를 관통하며 소켓(110) 및 접속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probe 60 is to be connected to the cooking appliance 1 , as shown in FIG. 8 , a jack 63 (refer to FIG. 5 ) of the probe 60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cavity 10 .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110a (refer to FIG. 5). The jack 63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as shown in FIGS. 9 and 10, penetrates the socket 110 and the cover 130, and the socket 110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20 .

이때 잭(63)은, 커버(130)에 형성된 통로부(135)를 통해 커버(130)를 관통할 수 있다. 소켓(110)을 관통한 후 접속부재(120)를 향해 이동하는 잭(63)은 슬릿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커버(130)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때 잭(63)과 접촉한 커버(130)의 일부분은 잭(63)의 이동방향을 따라 변형되며 잭(63)이 커버(130)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jack 63 may pass through the cover 130 through the passage 135 formed in the cover 130 . After penetrating the socket 110, the jack 63 moving toward the connection member 120 may pass through the cover 130 through the slit-formed portion, in which case the cover 130 in contact with the jack 63. A part of the is deform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jack 63 and may provide a passage for the jack 63 to pass through the cover 130 .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커버(130)의 변형되었던 부분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130)는 삽입홀(110a)을 막아 습기와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After the jack 63 is separated from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the deformed portion of the cover 13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and accordingly, the cover 130 blocks the insertion hole 110a to prevent moisture and moisture. It returns to a state that can block foreign substances.

여기서 주목할 점은, 커버(130)가 조리실(15) 외부에 설치된다는 점, 그리고 별도의 조작 없이 커버(13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cove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and that the cover 130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커버(130)가 조리실(15) 내부에 설치될 경우, 조리실(15) 내부의 음식물 등으로 인해 커버(130)가 오염되기 쉽다. 커버(130)의 오염이 심해질 경우, 슬릿에 낀 오염물로 인해 커버(130)가 삽입홀(110a)을 제대로 막지 못하거나, 프로브(60) 연결시 커버(130)의 오염물이 잭(63)에 묻어 잭(63)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잭(63)에 묻은 오염물은, 잭(63)과 프로브 접속 모듈(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When the cove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 cover 130 is easily contaminated due to food or the like in the cooking compartment 15 . When the contamination of the cover 130 is severe, the cover 130 does not properly block the insertion hole 110a due to the contamination caught in the slit, or the contamination of the cover 130 is transferred to the jack 63 when the probe 60 is connected. A phenomenon of burying and contaminating the jack 63 may occur.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jack 63 may act as a cause of failure to properly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jack 63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또한 커버(130)가 조리실(15) 내부에 설치될 경우, 조리실(15) 내부의 열기로 인해 커버(130)의 변형이 발생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물론, 커버(130)가 조리실(15)의 외부에 설치된 경우에도 삽입홀(110a)을 통해 조리실(15) 내부에서 흘러나간 열기의 영향이 커버(130)에 어느 정도 가해지겠지만, 커버(130)가 조리실(15)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커버(130)가 받게 되는 열기의 영향은 그보다 훨씬 크다고 할 것이다.Also, when the cove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 risk of deformation of the cover 130 due to the heat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increases. Of course, even when the cove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the influence of the heat leaking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5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will be applied to the cover 130 to some extent, but the cover 130 It will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heat received by the cover 130 when it is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is much greater than that.

즉 커버(130)가 조리실 내부에 설치될 경우, 커버(130)는 오염과 열 변형에 취약한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cove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the cover 130 is vulnerable to contamination and thermal deformation.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커버(130)는 조리실(15) 외부에 설치되므로, 조리실(15) 내부의 음식물 등으로 인해 오염될 우려가 적으며, 열에 의한 변형 우려도 적은 이점이 있게 된다.In contrast, since the cove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due to food or the lik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 and there is also a small risk of deformation due to heat.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130)는, 별도의 조작 없이 삽입홀(110a)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커버(130)는, 삽입홀(110a)을 폐쇄한 상태에서, 삽입홀(110a)을 통과하며 이동하는 잭(63)이 가하는 힘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잭(63)이 커버(130)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0)는,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로부터 분리되면, 커버(130) 자체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며 삽입홀(110a)을 다시 폐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hat is, the cover 130 of this embodiment is open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jack 63 mov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10a is closed, so that the jack 63 is the cover ( 130) may be provided. Also, when the jack 63 is separated from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the cover 130 may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ver 130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again.

즉 커버(130)는, 프로브 접속 모듈(100)과 잭(63)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 삽입홀(110a)을 개폐할 수 있다. 만약 커버(130)가 삽입홀(110a)을 개폐하는데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다면, 커버(130)는 조리실(15)의 외부에 설치되기 어려울 것이다.That is, the cover 130 may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and the jack 63 are connected. If a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for the cover 130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cover 130 to be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조리실(15)의 외부에 위치한 캐비티(10)의 측부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커버(130)가 삽입홀(110a)을 개폐하는데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다면, 커버(130)는 사용자의 손이 닿기 쉬운 조리실(15)의 내부에 설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The side space of the cavity 10 locat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is an area difficult to reach by a user's hand. Therefore, if a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for the cover 130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the cover 130 is inevitably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that is easy to reach by the user.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130)가 조리실(15)의 외부에 설치된다면, 커버(130)의 조작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트 프로브의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음을 감안하면, 조리기기(1)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조리기기(1)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이러한 별도 장치 추가의 필요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할 것이다.Nevertheless, if the cove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5 , a separate device for manipulating the cover 130 must be add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eat probe is not very high, the necessity of adding such a separate device that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not so high.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130)는 조리실(15) 외부에 설치된 상태로 삽입홀(110a)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조리실(15) 내부의 음식물 등으로 인해 오염될 우려가 적으며, 열에 의한 변형 우려도 적은 이점이 있다.In summary, since the cover 130 of this embodiment can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hole 110a while install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re is little risk of contamination due to food or the like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5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little risk of deformation.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130)는, 별도의 조작 없이 삽입홀(110a)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미트 프로브의 접속 및 분리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실(15) 내부로부터 침투한 습기나 이물질에 의해 프로브 접속 모듈(100)이 오염되거나 미트 프로브의 접속 상태 인식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13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insertion hole 110a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so that the meat probe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easily and conveniently, while penetrating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5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from being contaminated by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or an error in recogniz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eat probe.

[커버 구조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cover structur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접속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프로브와 프로브 접속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obe and the probe connection module shown in FIG. 11 .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130)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cover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230)는 덮개부(231)와 결합부(233) 및 컨텍터(23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ver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portion 231 , a coupling portion 233 , and a contactor 237 .

덮개부(23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덮개부(131)와 유사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덮개부(231)와 전술한 실시예의 덮개부(131) 간의 차이점은, 덮개부(231)에 중공이 형성된다는 점이다.The cover part 231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over part 131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ver part 231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cover part 13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at a hollow is formed in the cover part 231 .

결합부(233)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결합부(133)와 유사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결합부(233)와 전술한 실시예의 결합부(133) 간의 차이점은, 결합부(233)가 길이 변화 가능하게 마련된다는 것이다.The coupling part 233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similar to the coupling part 133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233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coupling part 13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at the coupling part 233 is provid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이러한 결합부(233)는 좌우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233)는 좌우방향으로 길이 변화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33)는, 수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주름이 펴지면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고,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주름지며 수축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33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23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whose length can be ch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contracted state, the coupling portion 233 may be stretc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wrinkles are unfold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it may be wrinkled and contracted again.

이때 결합부(233)는, 컨텍터(237)가 접속부재(12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33)가 원래 상태로 수축되면, 컨텍터(237)는 접속부재(120)와 접촉되지 않는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233 may be extended to a length that can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contactor 237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20 . And when the coupling portion 233 is contracted to its original state, the contactor 237 is preferab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20 .

컨텍터(237)는, 덮개부(131)에 마련될 수 있다. 컨텍터(237)는, 덮개부(131)의 중공에 삽입되며 덮개부(131)와 결합됨으로써, 덮개부(1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텍터(237)는, 소켓(110) 또는 접속부재(220)와 유사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or 237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part 131 . The contactor 237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ver part 131 and coupled to the cover part 131 to be fixed to the cover part 131 . The contactor 237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imilar to the socket 110 or the connection member 220 .

덮개부(231)와 결합부(233) 및 컨텍터(237)를 포함하는 커버(230)의 내부에는, 결합부(133)와 덮개부(131)와 보스부(111) 및 지지부(113)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에는, 삽입홀(110a)을 통과한 잭(63)이 컨텍터(237)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cover 230 including the cover part 231 , the coupling part 233 , and the contactor 237 , the coupling part 133 , the cover part 131 , the boss part 111 , and the support part 113 .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can be formed. In this inner space, a passage for the jack 63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to move toward the contactor 237 may be formed.

컨텍터(237)는, 접속부재(220)와 잭(63) 사이에서 접속부재(220)와 잭(6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커버(230)의 내부공간에서 잭(63)과 컨텍터(237)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컨텍터(237)와 접속부재(2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속부재(220)와 잭(6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ctor 237 may function to medi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220 and the jack 63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220 and the jack 63 . That is,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or 237 and the connecting member 220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jack 63 and the contactor 237 are in contac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230,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 the jack ( 63)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컨텍터(237)와 잭(63)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23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컨텍터(237)의 일면에는 삽입홈(238)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238)은, 컨텍터(237)와 마주보는 잭(63)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contact between the contactor 237 and the jack 63 , an insertion groove 238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or 237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230 . The insertion groove 238 may be conca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jack 63 facing the contactor 237 .

또한 접속부재(220)는, 컨텍터(237)와 안정적으로 접촉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접속부재(220)는 컨텍터(237)와 유사한 원판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컨텍터(237)의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a form suitable for stably contacting the contactor 237 .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disk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ontactor 237 ,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or 237 .

접속부재(220) 중에서 컨텍터(237)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형상이 컨텍터(237)와 유사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접속부재(220)와 컨텍터(237) 간의 접촉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속부재(220)가 컨텍터(237)의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면, 접속부재(220)와 컨텍터(237) 간의 접촉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shape of th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or 237 is formed in a disk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ontactor 237 ,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 the contactor 237 is smoother and more stable. can be made with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220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or 237 ,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 the contactor 237 may be more stably maintain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230)가 마련된 프로브 접속 모듈(200)과 프로브(60) 간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robe connection module 200 provided with the cover 230 and the prob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프로브(60)를 조리기기(1)와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60)의 잭(63)을 캐비티(10)의 측면에 배치된 삽입홀(110a)에 삽입시켜 준다. 삽입홀(110a)을 통해 캐비티(10)의 측면을 관통한 잭(63)은, 소켓(110)을 관통하며 커버(13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When the probe 60 is to be connected to the cooking appliance 1 , as shown in FIG. 12 , the jack 63 of the probe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a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vity 10 . insert it into The jack 63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a penetrates the socket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130 .

커버(13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후 계속해서 이동되는 잭(63)은, 커버(130)의 내부공간에서 컨텍터(237)와 접촉되며 컨텍터(237)를 접속부재(22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133)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컨텍터(237)가 접속부재(220) 측으로 이동하고, 컨텍터(237)와 접속부재(2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jack 63, which is continuously 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or 237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130 and presses the contactor 237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220. will do Accordingly, as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33 is increased, the contactor 237 moves toward the connection member 220 , and a contact between the contactor 237 and the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made.

바람직하게는, 잭(63)이 소켓(110)을 관통하면서 잭(63)과 소켓(110) 간에 억지 끼움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의 잭(63)과 소켓(110) 간의 결합력은 결합부(133)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잭(63)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과 접속된 상태에서는, 컨텍터(237)와 접속부재(220)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jack 63 penetrates the socket 110, a coupling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can be made between the jack 63 and the socket 110,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jack 63 and the socket 110 at this time is It may act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coupling part 133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jack 63 is connected 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 a state in which the contactor 237 and the connection member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stably maintained.

상기와 같이 컨텍터(237)와 접속부재(22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컨텍터(237)를 매개로 한 잭(63)과 접속부재(2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잭(63)은 소켓(11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소켓(110)과 접속부재(2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or 237 and the connecting member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jack 63 and the connecting member 220 via the contactor 237 may be maintained. At this time, since the jack 63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110 , as a resul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110 and the connection member 220 can be made.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접속 모듈(200)의 특징은, 커버(230)의 어느 부분에도 슬릿과 같은 틈새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 잭(63)과 접속부재(2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커버(230)의 어느 부분도 개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The characteristic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at a gap such as a slit is not formed in any part of the cover 230 ,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jack 63 and the connection member 220 is made. Also, the point is that no part of the cover 230 is opened.

이로써 본 실시예의 프로브 접속 모듈(200)은, 조리실(15)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프로브 접속 모듈(100)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이를 통해 프로브 접속 모듈(100)의 오염 및 미트 프로브의 접속 상태 인식 오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be connection module 200 of this embodiment more effectively blocks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15 from penetrating into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side, and through this, contamination of the probe connection module 100 and the meat prob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connection state recognition erro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조리기기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전면패널
15 : 조리실
16 : 도어
17 : 핸들
20 : 컨트롤패널
30 : 브로일 히터
40 : 베이크 히터
50 : 컨벡션 장치
60 : 프로브
61 : 케이블
63 : 잭
100,200 : 프로브 접속 모듈
110 : 소켓
110a : 삽입홀
111 : 보스부
113 : 지지부
115 : 결합돌기
120,220 : 접속부재
130,230 : 커버
131,231 : 덮개부
133,233 : 결합부
135 : 통로부
237 : 컨텍터
238 : 삽입홈
1: Cooking equipment
10: body
11: cavity
13: front panel
15 : galley
16 : door
17 : handle
20: control panel
30: broil heater
40: bake heater
50: convection device
60: probe
61: cable
63 : Jack
100,200: probe connection module
110: socket
110a: insertion hole
111: boss
113: support
115: coupling protrusion
120,220: connection member
130,230: cover
131,231: cover part
133,233: coupling part
135: passage
237: contactor
238: insertion groove

Claims (1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노출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개방되어 상기 조리실의 외부와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홀을 갖는 소켓;
상기 소켓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프로브; 및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홀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avity in which a cooking chamber is formed;
A socket disposed outside the cooking compartmen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asses through the cavity and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and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to form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with the in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A socket having an insertion hole ;
a probe connected to the socket to measure a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the probe passing through the cavity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티와 결합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로부터 상기 삽입홀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의 위치를 규제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ket,
a boss having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passing through the cavity and coupled to the cavity;
a support portion forming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oss in a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cover to regulate a position of the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보스부의 일측에서 상기 삽입홀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ver,
a cover part covering the insertion hole from one side of the boss part;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a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over par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삽입홀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삽입홀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skirt shape extending from the rim of the cover portion to cover the coupling protrusion from the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며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잭이 커버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커버에 형성하는 통로부가 마련되는 조리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be further includes a jack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ocket,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passage portion for forming a passage through the cover for the jack to pass through the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삽입홀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일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ssage portion includes a slit formed by cutting one surface of the cover facing the insertion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서 상기 소켓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접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접속부재와 상기 조리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며 상기 소켓 및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는 잭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socket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The socket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oking chamber,
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jack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n contact with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소켓과 상기 접속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부;
상기 삽입홀을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덮개부에 마련되는 컨텍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ver,
a cov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a coupling part that surrounds the insertion hole from the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ontactor provided on the cover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잭이 상기 컨텍터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part, the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side the cover,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for the jack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move toward the contac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길이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텍터가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거나 상기 접속부재와 이격되는 조리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or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컨텍터와 접촉되고 상기 컨텍터가 상기 접속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소캣과 상기 접속부재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jack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or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to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member.
KR1020200074318A 2020-06-18 2020-06-18 Cooking appliance KR202101565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18A KR20210156581A (en) 2020-06-18 2020-06-18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18A KR20210156581A (en) 2020-06-18 2020-06-18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81A true KR20210156581A (en) 2021-12-27

Family

ID=7917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18A KR20210156581A (en) 2020-06-18 2020-06-18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5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20B1 (en) 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US7049550B2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1697898B1 (en) A wireless electric pressure cooker
US20070257020A1 (en) Cooking apparatus
US11193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ake and broil elements in an electric oven
JP2005090942A (en) Door assembly of microwave oven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20210156581A (en) Cooking appliance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US20220128240A1 (en) Cooking appliance
US10753621B2 (en) Oven appliance with a sensor shield
US11747023B2 (en) Adaptable port for an oven appliance
KR20200012309A (en) Pump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080002116A (en) Microwave range having food warm function
KR101985527B1 (en) Doo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US20160265791A1 (en) Cooking device
CN215738380U (en) Cooking box
KR100826713B1 (en) Gas oven range
KR100499482B1 (en) microwave oven range with toaster
KR102513447B1 (en) Electric stove
KR20230139745A (en) Cooking apparatus
KR102224915B1 (en) Switch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WO2018036798A1 (en) Oven and oven tray for smoking or aromatic vapour treatment applications
US20220154940A1 (en) Oven appliance with insulated heating element
KR20200095142A (en) Electronic cooking device possible of preventing fire and over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