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991A -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991A
KR20210155991A KR1020200073599A KR20200073599A KR20210155991A KR 20210155991 A KR20210155991 A KR 20210155991A KR 1020200073599 A KR1020200073599 A KR 1020200073599A KR 20200073599 A KR20200073599 A KR 20200073599A KR 20210155991 A KR20210155991 A KR 2021015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hub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욱
고경근
송경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991A/ko
Publication of KR2021015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와,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허브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허브로 전송한다. 허브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는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Controlling system}
실시예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 감상이나 라디오 청취에 활용되던 스피커가 음성인식 기술과 만나 진화하고 있다. 즉, 기존의 스피커는 스마트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술과 클라우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활용해 단순하게 소리를 전달하는 도구에서 생각하고 관리하는 AI 스피커로 변신 중이다.
더 나아가, AI 스피커를 통해 가전 기기를 제어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AI 스피커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AI 스피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AI 스피커에 전달되지 않아 AI 스피커에 의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허브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허브로 전송한다. 상기 허브는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사이트에 구비된 전자 기기에 모듈이 구비되어, 해당 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거나 필요한 정보를 찾을 필요 없이,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해당 동작이 원격으로 수행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나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전자 기기는 단순히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음성을 변환하여 허브로 전달하고, 허브에서 해당 음성을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보내고, 이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각 전자기기가 구동되어, 각 전자 기기에 AP 등이 포함되지 않아도 되어, 각 전자 기기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아파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구비된 모듈의 제1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구비된 모듈의 제2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구비된 모듈의 제3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인덕션을 끄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날씨 예보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서로 떨어진 사이트 간의 소통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노래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B 및(와)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자 기기(111 내지 122) 및 허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은 주택, 사무실, 공장, 창고 등과 같이 다양한 건축물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택, 특히 아파트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복수의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복수의 사이트(도 2의 301 내지 31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컴퓨터, 가전 기기, 조명 기기,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컴퓨터는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예컨대,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전자 레인지,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기기는 각 사이트(301 내지 313)의 천장이나 내벽에 설치된 조명, 침대 주변에 위치된 무드 램프, 펜던트 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이트(301 내지 313)는 물리적 수단, 예컨대 벽으로 분리된 공간이나 장소일 수 있다. 예컨대, 아파트인 경우, 사이트(301 내지 313)는 거실, 주방, 침실, 발코니, 대피 공간, 창고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사이트(301 내지 313)는 물리적으로는 분리되지 않았지만 거리에 따라 분리된 공간이나 장소일 수 있다. 예컨대, 아파트인 경우, 거실과 주방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았지만, 거리가 멀어 거실과 주방 각각 별도의 사이트(301 내지 313)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IOT 기반으로 허브(15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IOT 기반으로 각종 정보를 취득하여 허브(15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IOT 기반으로 허브(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허브(15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예컨대,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 지 웨이브(Z wave), Wisun, EnOcean 등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111 내지 12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131 내지 142)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131 내지 142)은 마이크로폰(161)과 스피커(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1)은 음성을 수신하고,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듈(131 내지 142)은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모듈(131 내지 142)에 제어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기기(111 내지 122)의 마이컴이나 프로세서에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이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은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사이트(301 내지 313)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나 사용자의 이동이 파악될 수 있다. 아울러, 각 사이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131 내지 142)은 마이크로폰(161)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1)은 음성을 수신하고,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과 달리 각 사이트(301 내지 313)에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폰(161)이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폰(161)을 통해 입력된 음성의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사용자의 이동이 파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기기(111 내지 122)로서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이 사이트(301 내지 313)에 설치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모듈(131 내지 142)이 해당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나 사용자의 이동이 파악될 수 있고,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에 구비된 모듈(131 내지 142)에 의해 음성이 입력되고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131 내지 142)은 마이크로폰(161), 카메라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1)은 음성을 수신하고,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나 사용자의 이동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는 각 사이트(301 내지 313)에 구비된 전자 기기(111 내지 122)에 모듈(131 내지 142)이 구비되어, 해당 모듈(131 내지 142)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111 내지 122)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카메라나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아파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는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침실(303 내지 306), 거실(301), 주방(302), 욕실(307, 308), 발코니(309 내지 312) 및 현관(313)이 그것이다.
예컨대, 거실(301)에는 복수의 전자 기기(111 내지 113)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기기(111)는 텔레비전이고, 제2 전자 기기(112)는 에어컨이며, 제3 전자 기기(113)는 거실 조명일 수 있다.
예컨대, 침실(303 내지 306)에는 제4 내지 제7 전자 기기(114 내지 117)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내지 제7 전자 기기(114 내지 117)는 조명이나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욕실(307, 308)에는 제8 및 제9 전자 기기(118, 119)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8 및 제9 전자 기기(118, 119)는 욕실 조명일 수 있다.
예컨대, 주방(302)에는 제10 및 제11 전자 기기(120, 121)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0 전자 기기(120)는 냉장고이고, 제11 전자 기기(121)는 쿡탑일 수 있다.
예컨대, 발코니(312)에는 제12 전자 기기(1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2 전자 기기(122)는 세탁기일 수 있다.
허브(150)는 AI 스피커 및 이동 단말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에 설치된 영상 획득 수단,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도 3의 170) 또는 카메라(도 5의 163)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복수의 사이트(도 2의 301 내지 313)에 설치된 영상 획득 수단,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도 3의 170) 또는 카메라(도 5의 163)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발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상대방의 위치 및 상대방에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111 내지 122)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에 따라 특정 전자 기기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정보는 전자 기기(111 내지 122)에 인접한 사용자로부터의 발화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정보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명령이나 요청일 수 있다.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111 내지 122)가 설치되고, 이들 전자 기기(111 내지 122)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듈(131 내지 142)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기기(111 내지 122) 중에서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거실(301)에서 발화하면,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전자 기기는 거실(301)에 설치된 TV(111), 에어컨(112) 및 거실 조명(113) 그리고 주방(302)에 설치된 냉장고(120) 및 쿡탑(121)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이 거실(301) 및/주방(302)에 설치된 경우,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가 획득되어 허브(150)로 전송되고, 허브(150)가 폐쇄회로 텔레비전(17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사용자에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로 에어컨(112)으로 결정하고, 해당 에어컨(112)에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12)은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131 내지 142)에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TV(111), 에어컨(112), 거실 조명(113), 냉장고(120) 및 쿡탑(121) 각각이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음성 세기 정보와 함께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50)는 음성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 예컨대 에어컨(112)을 식별하고, 해당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131 내지 142)에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즉 카메라(163)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TV(111), 에어컨(112), 거실 조명(113), 냉장고(120) 및 쿡탑(121) 각각이 영상 정보를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 허버는 각각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 예컨대 에어컨(112)을 식별하고, 에어컨(112)에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12)은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201)가 발화하면(S211), 사용자와 인접한 전자 기기(202)가 해당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주변에 2개 이상의 전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발화가 2개 이상의 전자 기기 모두에 의해 인식되어, 이 중 어느 전자 기기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가 제어를 위한 정보로 사용될지가 결정되어야 한다.
도 6에서는 특정 전자 기기, 즉 사용자에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시되지 않고 있지만, 이하와 같이 해당 전자 기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화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의 발화는 사용자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거실(301)에서 사용자가 크게 발화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화는 거실(301)뿐만 아니라 주방이나 다른 사이트(302 내지 31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와 함께 음성 세기 정보를 허브(150)로 전송하고, 허브(150)가 각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 예컨대 에어컨(112)을 결정하고, 에어컨(112)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사용자와 인접한 전자 기기는 사용자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 예컨대 에어컨(112)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거실(301)에 설치된 에어컨이 사용자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202)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202)은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2).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202)은 음성 정보를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S213).
허브(150)는 음성 정보를 AI에 기반하여 분석하여(S214),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5). 예컨대, STT(Speech to Text)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가 텍스트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자구나 단어가 해석되어 의미가 파악되고, 그 파악된 의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정보는 특정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정보가 난방기의 전원을 켜고 23도로 설정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이러한 명령에 따라 난방기의 전원이 켜진 후 23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답변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예컨대, 제어 정보는 제주도 맛집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제주도 맛집 정보가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주도 맛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허브(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레비전(170) 각각을 통해 수시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허브(1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이트(301 내지 313)에 설치된 전자 기기의 모듈(131 내지 142)의 카메라 각각을 통해 수시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150)는 실시간으로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토대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허브(150)는 제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203)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6).
제어 정보는 하나의 전자 기기나 2개 이상의 전자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3개의 사이트(301 내지 303) 각각의 조명(113, 114)이 켜져 있고 제어 정보가 현재 켜져 있는 조명(113, 114)을 끄라는 명령인 경우, 해당 제어 정보가 3개의 사이트(301 내지 303) 각각의 조명(113, 114)으로 전송되어, 해당 제어 정보에 따라 3개의 사이트(301 내지 303) 각각의 조명113, 114)이 꺼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203)는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17). 예컨대, 제어 정보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인 경우, 특정 동장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정보가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것인 경우, 특정 정보가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허브(150)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의해 특정 전자 기기만 동작되거나 동시에 복수의 전자 기기가 동작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서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인덕션을 끄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거실(301)에 설치된 TV(111)를 향해 “인덕션 좀 꺼줘”라고 발화하면, TV(111)가 해당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S411).
사용자가 현재 발코니(312)에서 빨래를 널고 있어, 주방(302)에 설치된 쿡탑(121)의 인덕션을 끌기가 어렵다고 가정한다.
허브(150)는 TV(111)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S41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음성 정보의 분석을 통해 '인덕션'이 주방(302)에 설치된 쿡탑(121)이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정보를 쿡탑(121)로 전송할 수 있다.
쿡탑(121)은 허브(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인덕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S413).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히 발화로서 주방(302)에 설치된 쿡탑(121)의 인덕션을 꺼, 거실(301)에서 주방(302)로 가서 직접 인덕션을 끄는 수고로움을 덜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날씨 예보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방(302)에 설치된 냉장고(120)를 향해 “내일 날씨 좀 알려줘”라고 발화하면, 냉장고(120)가 해당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S421).
허브(150)는 냉장고(120)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S42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음성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날씨 정보를 알고 싶은 것으로 판단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날씨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날씨 정보, 즉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된 곳에 설치된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할 때부터 계속하여 냉장고(120) 주변에 있는 경우, 허브(150)는 날씨 정보를 냉장고(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할 때에는 냉장고(120) 주변에 있었는데, 현재는 침실1(303)에 있는 경우, 허브(150)는 날씨 정보를 침실1(303)에 설치된 조명(11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브(150)는 영상 획득 수단,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도 3의 170) 또는 카메라(도 5의 163)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사용자가 어느 사이트 또는 어느 전자 기기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냉장고(12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경우, 냉장고(120)는 허브(150)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도 3 내지 도 5의 스피커(16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냉장고(120)는 사용자에게 “내일은 비가 올 예정이므로 우산을 챙기세요”라는 날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히 발화로서 자신에게 인접한 전자 기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서로 떨어진 사이트 간의 소통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엄마)가 주방(302)에서 “길동(아들)아 밥 먹어”라고 발화하면, 사용자와 인접한 주방 조명(미도시)이 해당 발화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허브(150)로 전송할 수 있다(S431).
사용자가 주방(302)에서 저녁을 준비 중이라 침실1(303)에 있는 아들에게 직접 가서 저녁 먹으라고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허브(150)는 주방 조명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S432)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허브(150)는 음성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길동”이에게 해당 발화를 그대로 전달하고 싶은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발화에 대한 제어 정보, 즉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길동”이가 현재 위치된 곳에 설치된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50)는 영상 획득 수단,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도 3의 170) 또는 카메라(도 5의 163)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통해 현재 '길동'이가 위치된 사이트와 해당 사이트에서 '길동'이와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길동'이가 현재 침실1(303)에서 컴퓨터(114)를 사용 중에 있을 수 있다.
허브(150)는 이러한 획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음성 정보)를 컴퓨터(114)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114)는 허브(150)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도 3 내지 도 5의 스피커(16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엄마의 음성, 즉 “길동아 밥 먹어”라는 음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과 멀리 떨어진 사람에게 음성을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간단히 발화로서 자신과 멀리 떨어진 사람에게 마치 전화 통화하듯이 음성을 전달하여 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노래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코니(312)에서 빨래를 하고 있 중에 세탁기(122)를 통해 노래가 출력될 수 있다(S441). 사용자가 “노래 틀어줘”라는 발화에 응답하여 허브(150)의 제어 하에 세탁기(122)를 통해 노래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래를 듣던 중 거실(301)로 이동할 수 있다(S442).
허브(150)는 거실(301)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 예컨대 에어컨(112)을 통해 노래를 출력할 수 있다(S443).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된 영상 획득 수단,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도 3의 170) 또는 카메라(도 5의 163)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이동하여 현재 위치된 사이트 및 해당 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가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허브(150)는 기존에 노래 정보, 예컨대 음원을 제공하였던 세탁기(122) 대신에 현재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에어컨(112)에게 음원을 제공하여 에어컨(112)의 모듈(132)의 스피커를 통해 음원에 상응하는 노래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사이트 또는 각 사이트 내를 이동하더라도, 항상 사용자에게 가장 인접한 전자 기기를 통해 노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노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전화 통화와 같은 다양한 정보의 지속적인 제공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어 시스템
111 내지 122: 전자 기기
131 내지 142: 모듈
150: 허브
170: 폐쇄회로 텔레비전

Claims (8)

  1. 복수의 사이트에 설치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허브로 전송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는 복수의 사이트에 배치되는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각각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을 더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각각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각각은,
    마이크로폰, 카메라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AI 스피커 및 이동 단말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200073599A 2020-06-17 2020-06-17 제어 시스템 KR20210155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99A KR20210155991A (ko) 2020-06-17 2020-06-17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99A KR20210155991A (ko) 2020-06-17 2020-06-17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91A true KR20210155991A (ko) 2021-12-24

Family

ID=7917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599A KR20210155991A (ko) 2020-06-17 2020-06-17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9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589A1 (fr) * 2022-02-09 2023-08-11 Orange Mise en œuvre contextualisée d’un assistant vocal
EP4243012A1 (fr) * 2022-03-10 2023-09-13 Tuito Systeme et procede d'avertissement et de commande par reconnaissance voca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589A1 (fr) * 2022-02-09 2023-08-11 Orange Mise en œuvre contextualisée d’un assistant vocal
WO2023151875A1 (fr) * 2022-02-09 2023-08-17 Orange Mise en œuvre contextualisée d'un assistant vocal
EP4243012A1 (fr) * 2022-03-10 2023-09-13 Tuito Systeme et procede d'avertissement et de commande par reconnaissance voca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706B2 (en) Voice-based user interface with dynamically switchable endpoints
US8340975B1 (en) Interactiv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ystem for hands-free building control
Mtshali et al. A smart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US10985936B2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KR102254021B1 (ko) 결합된 어쿠스틱 도파관 및 방열판을 갖는 콤팩트 홈 어시스턴트에 대한 설계
JP710435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972545B1 (ko) 음성 명령을 통한 위치 기반 음성 인식 시스템
US11929844B2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US20190199545A1 (en) Wireless enabled load control device with voice controller
CN108476351A (zh) 照明和声音系统
JPWO2016157662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36397A (ja) 応答システムおよび機器
CN105068722A (zh) 一种面向智能家居环境的人机交互控制方法
KR20210155991A (ko) 제어 시스템
US20160253884A1 (en) Home autom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CN109599100B (zh) 交互式电子设备控制系统、交互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00058015A (ko)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US20210208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0136695A (ja) 設備制御装置、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設備制御方法
US20230062790A1 (en) Voice assistance system
US20240187276A1 (en) Multi-Source Smart-Home Device Control
JP2024050336A (ja) 制御システム
KR20220001903A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CN117811862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智能家电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