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015A -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015A
KR20200058015A KR1020180142456A KR20180142456A KR20200058015A KR 20200058015 A KR20200058015 A KR 20200058015A KR 1020180142456 A KR1020180142456 A KR 1020180142456A KR 20180142456 A KR20180142456 A KR 20180142456A KR 20200058015 A KR20200058015 A KR 20200058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dule
devices
user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631B1 (ko
Inventor
이장원
류민우
안지용
이재동
홍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4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015A/ko
Priority to KR1020220125567A priority patent/KR2022014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6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객실을 공간의 객관적 용도를 고려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되는 전용 공간(private space) 및 공동의 용도로 사용되는 공용 공간(common space)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을 결합하여 그룹화하는 그룹화 모듈, 상기 그룹화 된 그룹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외견상 공간 식별이 모호한 명령에 대해 해당 공간 내의 기기를 정확히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SYSTEM FOR REOMTE CONTROL OF DEVICE}
본 발명은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여행 또는 비즈니스 상으로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숙박시설들은 투숙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하나의 건물내 복수의 사용자 그룹이 공간을 분리하여 해당 공간을 점유 및 사용하는 형태를 가지는 숙박시설은 호텔, 모텔과 같은 단기형, 레지던스와 같은 중기형, 오피스텔과 같은 장기형 숙박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숙박시설들은 투숙객에게 호텔이나 모텔 등의 객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기(예를 들어, 조명, 에어컨, 텔레비전 등)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각종 시설물의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최근 일부 숙박시설에서는 객실 또는 호실내 기 설치된 기기, 즉 빌트인(built-in) 기기를 스마트폰 또는 인공지능스피커 탑재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숙박시설이 제공하는 객실은 구분가능한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구분가능한 각 공간마다 투숙객이 머무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ex) 203호)이 침실1, 침실2, 거실, 부엌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투숙객 A, B로 이루어진 그룹 1이 침실 1에 숙박하고, 투숙객 C, D로 이루어진 그룹 2가 침실 2에 숙박하는 경우이다.
상기 각 사용자 그룹은 자신이 투숙한 공간을 배타적/독립적으로 점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기 때문에, 자신이 투숙하지 않는, 즉 점유하지 않는 공간은 원격제어가 배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서로 구별되는 완전한 독립공간, 예를 들어 호텔, 모텔,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내 객실 또는 호실 단위로 구분되는 공간인 독립공간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계정이 발급되어 서로 독립적 및 배타적인 사용이 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인증시 해당 계정에 매핑된 객실번호로 관리하게 되며, 기기들도 여기에 의존되어 제어를 받게 된다.
나아가 객실 내 각 공간(즉, 방(room))간의 배타적 원격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와 같이 '침실1'에 투숙객 A, B가 숙박하고, '침실2'에 투숙객 C, D가 숙박하는 경우, 침실1에 있는 고정형 단말(ex) 인공지능스피커)에서 '침실1'에 대한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조명 켜줘" 또는 공간을 부가하여 "내방 조명 켜줘" 발화 시에 원하지 않는 '침실2' 조명이 동시에 켜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투숙객 입장에서는 숙박하는 객실의 객실번호는 인지할 수 있으나, 객실 내 숙박하는 방이 '침실1'인지 '침실2'인지 여부를 알기 사실상 어려운 관계로 "침실1 조명 켜줘" 라는 발화로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호한 명령에 대해서도 원하는 기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객실을 공간의 객관적 용도를 고려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되는 전용 공간(private space) 및 공동의 용도로 사용되는 공용 공간(common space)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을 결합하여 그룹화하는 그룹화 모듈, 상기 그룹화 된 그룹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는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 인입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장으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의 의미를 해석하는 의미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룹화 모듈은 공용 공간과 서로 다른 각 전용 공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릅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기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실의 각 공간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각 공간의 공간명칭으로 등록하는 입력 모듈, 상기 각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각 공간명칭으로 등록된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기기들을 상기 기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다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의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정보를 저장하는 신호세기 수집 모듈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집한 신호세기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신호세기에 대응되는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전달 받은 신호세기 정보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를 기준으로 측정한 각 공간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또 다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제어하고자하는 기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기기가 위치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핑 모듈은 사용자가에게 팝업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기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받아 상기 제어하고자 선택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통해 숙박시설 내 객실과 같은 독립공간을 분할 사용하고자 할 경우, 분할된 공간에 위치한 기기를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투숙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견상 공간 식별이 모호한 명령에 대해 해당 공간 내의 기기를 정확히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 구현부(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의 (a)는 독립공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독립공간이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B)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C)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D)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 구현부(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인공지능 구현부(100), 액세스 포인트(AP)(200), 서버(300) 및 기기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10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것으로, 인공지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능동적인 반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100)가 인공지능 스피커인 경우, 사용자의 언어, 지시 등을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 인식한 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조명을 켜는 등의 능동적 반응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 구현부(100)는 인공지능 구현부(100)로 인입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장으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모듈(110) 및 상기 음성의 의미를 해석하는 의미 인식 모듈(120)을 포함한다.
음성을 통한 인식된 정보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입력으로부터 STT(Speech To Text),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LU(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통해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해석하기 위한 인공지능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의 의미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00)는 상기 사용자 인공지능 구현부(100)가 접속하는 곳으로,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100)가 와이-파이 연결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AP)(200)를 탐지하는 경우, 인공지능 구현부(100)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인공지능 구현부(10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정보, 사용자 음성의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00)는 호텔, 모텔, 오피스텔과 같은 수익형 부동산 빌딩내 객실 내 설치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00)에 접속한 인공지능 구현부(100)의 MAC주소 및 수신된 사용자 음성으로부터의 신호세기(RSSI)값을 수집한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AP)(200)와 연동하여 액세스 포인트(AP)(2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 및 저장한다. 상기 서버(300)는 인공지능 구현부(1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기정보, 공간정보로부터 기기를 식별하고, 기기 제어부(400)로 기기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상기 서버(3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기기 제어부(400)는 객실 내 설치된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실내온도기, 커튼, TV, 도어락 등에 대한 기기정보 및 부속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기기 제어부(400)는 서버(300)로부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A)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A)는 하나의 독립공간(예: 객실)을 분할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독립공간의 특성을 전용 공간과 공용 공간으로 구분하고, 독립공간을 공간특성에 따라 분할한 다음, 분할된 공간정보에 기기정보를 매핑 관리하여, 분할 공간별 위치하는 사용자의 모호한 명령에 대해 적절한 공간을 식별하여 원하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A)는 인공지능 구현부(100)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10A), 상기 객실을 공간의 객관적 용도를 고려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되는 전용 공간(private space) 및 공동의 용도로 사용되는 공용 공간(common space)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을 결합하여 그룹화하는 그룹화 모듈(320A), 상기 그룹화 된 그룹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330A)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340A)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서버(300A)는 하기 표 1과 같이 기기들의 속성(예를 들어, ID) 정보를 공간정보 및 기기유형으로 분류하여 설정 및 관리한 다음, 해당 객실에 매핑되는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공간별 기기제어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신 모듈(310A)은 인공지능 구현부(100)로부터의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명령 정보를 수신하며, 명령 모듈(340A)은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기기 제어부(400)으로 전달한다. 그룹화 모듈(320A)은 객실을 구성하는 여러 공간을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으로 분류하고 이를 그룹화하며, 매핑 모듈(330A)은 분류된 각 공간(그룹화된 공간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기기들(예를 들어, 조명, 커튼)을 매핑한다. 그룹화 및 매핑 과정은 도 5의 예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는 독립공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독립공간이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2개의 침실(침실 1, 침실 2)과 각 침실별 부속 욕실 2개, 거실, 부엌으로 구성된 독립공간(객실)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독립공간에서 2개의 인공지능 구현부(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를 각 침실에 설치하고 "내방 조명 켜줘" 또는 "욕실 조명 꺼줘"와 같은 음성명령을 각각에 설치된 공간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그룹화 모듈(320A)은 객실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을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전용 공간(private space)은 개인적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이며, 공용 공간(common space)은 공동의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전용 공간 인지 공용 공간인지 여부는 공간의 객관적 용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침실1'에 투숙하는 사용자가 야간 취침 중에 욕실을 이용하고자 "욕실 조명 켜줘" 음성명령 시에 '침실2욕실'의 조명이 불필요하게 켜짐으로써 '침실2' 투숙객 소그룹의 숙면을 방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공간은 전용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공간의 예로는 침실, 침실부속욕실, 침실부속드레스룸 등이 될 수 있다.
반면, 침실이 여러 개 존재하는 객실 내 공간 중에서 소그룹 간 공동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는 공간은 공용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공용 공간의 예로는 거실, 부엌 등이 될 수 있다.
가령 도 5의 독립공간을 이용하는 투숙객 그룹을 '침실1'과 '침실2'를 이용하는 소그룹으로 가정하는 경우, '침실1'과 '침실2'는 각각의 부속 욕실을 포함하여 소그룹별 전용 공간이며, 반면에 거실 및 부엌은 공용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룹화 모듈(320A)은 객실의 복수의 공간을 전용 공간 또는 공용 공간으로 분류한 후, 상기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을 결합하여 하나의 중공간으로 그룹화 한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독립공간을 2개의 중공간으로 그룹화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그룹화는 공용 공간과 서로 다른 각 전용 공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릅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와 같이 거실, 부엌을 포함하는 공용 공간에 침실 1 및 침실 1의 욕실을 포함하는 전용 공간을 결합하여 이를 제1 그룹으로, 거실, 부엌을 포함하는 공용 공간에 침실 2 및 침실 2의 욕실을 포함하는 전용 공간을 결합하여 이를 제2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어 매핑 모듈(330A)은 그룹화 된 그룹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기기들을 매핑한다. 하기 표 2는 기기(조명 기기)들이 그룹화된 각 공간에 매핑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매핑 모듈(330A)은 상기 기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상기 기기들이 매핑되도록 한다. 즉, 침실 1에 있는 조명은 침실 1로, 침실 2에 있는 조명은 침실 2로 매핑된다.
이와 같이 기기 속성(ID)별 공간정보 및 기기유형을 설정 및 관리한 다음,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중공간에 매핑되는 계정으로 로그인 시 기기 제어부(400)를 통하여 서버(300A)가 해당 기기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서버(300A)는 사용자로부터 공간별 기기제어 요청에 대한 명확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기기별 속성(ID)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위 객실번호를 구분하는 중공간번호로 그룹핑 및 매핑 과정이 수행되어, 인공지능 구현부(인공지능 스피커)(100)의 전원이 ON 되어, 해당 중공간에 대한 계정 로그인되고, 서버(300A)에서 인공지능 구현부(인공지능 스피커)(100)에 대한 해당 중공간 단위 계정에 대한 기 등록된 중공간식별자, 예를 들어 중공간번호를 식별한다. 서버(300A)에서는 식별된 중공간번호로 하위 공간별 기기정보 전체 내역을 등록하고, 기기 제어부(400)로 기기 제어 명령을 요청한다.
이와 같이, 독립공간을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으로 분류하고, 이를 중공간으로 그룹화하하고, 해당 기기들을 매핑하여 계정을 중공간 단위로 할당함으로써 원격제어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예는 좀더 복잡한 독립공간에 대해 중공간이 3개 이상 그룹핑되는경우에도 공간 별 계정 할당과 인공지능 구현부의 개별 설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B)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B)는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10B),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실의 각 공간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각 공간의 공간명칭으로 등록하는 입력 모듈(320B), 상기 각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330B)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34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객실의 공간을 그룹화 하지 않고, 실사용자가 특정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기가 설치된 위치 구분을 본인관점에서 처리하여, 모호한 공간정보를 포함한 음성명령에 대해서 정확하게 기기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실의 각 공간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각 공간의 공간명칭으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투숙객 그룹이 2개의 그룹 A(부모님 그룹), 그룹 B(아들 그룹)로 구성되고, 이 중 대표자는 A 그룹에 속한다고 할 때, 호텔 이용 프로세스 중 최초 체크인 프로세스에서 대표자로부터 정보를 받아 호텔체크인시스템을 통해 서버(300B)로 각 침실공간에 대한 모호한 공간명칭을 '침실1'은 '내방', '침실2'는 '아들네방'과 같이 등록할 수 있다.
즉, 객실번호로 객실번호 하위 공간별 기기정보를 전체 내역을 조회하여 등록하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된 식별정보를 각 공간에 등록하고 상기 기기들을 매핑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기기가 정확히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0B)는 상기 각 공간명칭으로 등록된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모듈(350B)을 더 포함하여 언제든지 사용자가 식별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의 모호한 공간명칭을 명확하게 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는 경우, 기본 설정에 의한 자동 등록 방식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본 설정은 인공지능 구현부(인공지능 스피커)가 설치된 침실공간을 '내방'으로 설정하고 그외의 침실공간을 '다른방'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침실1'에 인공지능 구현부가 설치된 경우, 침실1이 '내방'으로, 그 외의 침실공간 '다른방' 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기본 설정 방식의 경우 투숙객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타 나머지 모듈이 수행하는 역할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C)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C)는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10C), 신호세기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신호세기에 대응되는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330C)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34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객실 내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인공지능 구현부(인공지능 스피커)의 MAC 주소와 사용자 음성 명령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식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구현부(인공지능 스피커)를 기준으로 침실 1 및 침실 2에서 측정한 기존 측정 데이터와, 현재 액세스 포인트(AP)에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명령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침실 1과 침실 2 둘 중 어디에 위치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되는 공간에 위치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매핑 모듈(330C)은 상기 전달 받은 신호세기 정보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를 기준으로 측정한 각 공간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기들을 매핑할 수 있다.
이는 객실 내 인공지능 구현부가 침실별 2대 설치되어 있거나, 인공지능 구현부가 한 침실에서 다른 침실로 이동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D)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D)는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310D),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기기가 위치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매핑 모듈(330D)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340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가 위치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과정은 제어 대상이 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표시한 후, 사용자가 해당 기기들 중 자신이 제어할 기기를 선택하고 제어할 기기가 선택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을 지칭하는 장소에 관한 일반적인 명칭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내방', '여기', '이곳' 등과 같은 명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공지능 구현부로 "내방 조명 켜줘"와 같은 음성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서버(300D)는 사용자에게 제어가능한 모든 기기들을 보여준다. 이는 서버(300B)가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팝업을 단말 UI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침실 1의 조명을 선택한 경우, 조명이 위치하는 침실 1이 사용자 식별정보(예를 들어,'내방', '여기')에 매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내방 온도 올려" 혹은 "여기 에어컨 강풍으로 동작" 과 같은 발화에 대해 '내방' 및 '여기'를 모두 침실 1로 판단하여 해당 기기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300D)는 상기 각 공간명칭으로 등록된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모듈(350D)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 모듈(350D)은 단말의 재부팅, 단말의 재로그인, 화자인식에 따라 매핑 관계가 변경 또는 초기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100 : 인공지능 구현부
110 : 음성 인식 모듈 120 : 의미 인식 모듈
200 : 액세스 포인트(AP)
210 : MAC 주소 수집 모듈 220 : 신호세기 수집 모듈
300 : 서버
300A : 서버
310A : 수신 모듈 320A : 그룹화 모듈
330A : 매핑 모듈 340A : 명령 모듈
300B : 서버
310B : 수신 모듈 320B : 입력 모듈
330B : 매핑 모듈 340B : 명령 모듈
350B : 변역 모듈
300C : 서버
310C : 수신 모듈 330C : 매핑 모듈
340C : 명령 모듈
300D : 서버
310D : 수신 모듈 330D : 매핑 모듈
340D : 명령 모듈 350D : 변경 모듈
400 : 기기 제어부

Claims (11)

  1.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객실을 공간의 객관적 용도를 고려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되는 전용 공간(private space) 및 공동의 용도로 사용되는 공용 공간(common space)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을 결합하여 그룹화하는 그룹화 모듈, 상기 그룹화 된 그룹의 전용 공간 및 공용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는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 인입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장으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의 의미를 해석하는 의미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모듈은 공용 공간과 서로 다른 각 전용 공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릅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기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5.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실의 각 공간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각 공간의 공간명칭으로 등록하는 입력 모듈, 상기 각 공간에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각 공간명칭으로 등록된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기기들을 상기 기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8.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의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정보를 저장하는 신호세기 수집 모듈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집한 신호세기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신호세기에 대응되는 기기들을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전달 받은 신호세기 정보와 상기 인공지능 구현부를 기준으로 측정한 각 공간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기들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10. 복수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객실 내에 존재하는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인공지능 구현부;
    인공지능 구현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제어하고자하는 기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기기가 위치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기기들의 기기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사용자가에게 팝업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기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받아 상기 제어하고자 선택한 공간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80142456A 2018-11-19 2018-11-19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47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56A KR102478631B1 (ko) 2018-11-19 2018-11-19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20125567A KR20220142401A (ko) 2018-11-19 2022-09-30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56A KR102478631B1 (ko) 2018-11-19 2018-11-19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67A Division KR20220142401A (ko) 2018-11-19 2022-09-30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015A true KR20200058015A (ko) 2020-05-27
KR102478631B1 KR102478631B1 (ko) 2022-12-19

Family

ID=709110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456A KR102478631B1 (ko) 2018-11-19 2018-11-19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20125567A KR20220142401A (ko) 2018-11-19 2022-09-30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67A KR20220142401A (ko) 2018-11-19 2022-09-30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8586A (zh) * 2021-08-17 2021-12-17 广东省安心加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电器设备系统及存储介质
WO2022108075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808B1 (ko) 2024-02-14 2024-04-19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Stt 기반 디스플레이 화면 원격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654A (ko) * 2012-10-09 2014-04-21 주식회사 포스코 조명 기기 제어 장치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654A (ko) * 2012-10-09 2014-04-21 주식회사 포스코 조명 기기 제어 장치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075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CN113808586A (zh) * 2021-08-17 2021-12-17 广东省安心加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电器设备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401A (ko) 2022-10-21
KR102478631B1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6915A1 (en) Processing voice commands based on device topology
US10755706B2 (en) Voice-based user interface with dynamically switchable endpoints
US11100929B2 (en) Voice assistant devices
KR20220142401A (ko)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US10985936B2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US11929844B2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EP3754650A1 (en) Location-based voice recognition system through voice command
JP7190446B2 (ja) 音声制御
CN110415694A (zh) 一种多台智能音箱协同工作的方法
CN109754795A (zh) 接近感知语音代理
CN110164436A (zh) 便携式多点智能语音控制家居的系统及方法
WO2020175293A1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67067A (en) Processing voice commands based on device topology
KR102668731B1 (ko) 디바이스 토폴로지에 기초한 음성 명령 프로세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