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461A -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461A
KR20210155461A KR1020200072712A KR20200072712A KR20210155461A KR 20210155461 A KR20210155461 A KR 20210155461A KR 1020200072712 A KR1020200072712 A KR 1020200072712A KR 20200072712 A KR20200072712 A KR 20200072712A KR 20210155461 A KR20210155461 A KR 2021015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string
string
connecting means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358B1 (ko
Inventor
차경숙
한시현
유소연
Original Assignee
차경숙
한시현
유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숙, 한시현, 유소연 filed Critical 차경숙
Priority to KR102020007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끈을 팽팽하게 되도록 고정하여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되며 마스크 끈이 귀에 닿지 않도록 하여 귀의 통증을 방지하는 마스크 끈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 상, 하단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마스크 끈이 걸림 가능한 끼움부 및 탈착부가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마스크 착용 시 머리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 끈을 일자형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MASK STRAP FIXING TOOL FOR IMPROVED FACE CONTACT}
본 발명은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끈을 고정시켜주는 고정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하고, 마스크 끈이 귀에 오랜 시간 걸려 있음에 따라 생기는 귀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호흡 중에 흡입될 수 있는 병균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면의 코와 입을 가림으로써 개인위생이나 보건을 위해 사용되며 최근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황사 및 호흡기로 인한 각종 질병등으로부터 흡입을 방지하는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는 마스크 끈을 사용하는데, 사람마다 두상이나 크기가 각각 다르고, 성인이나 아이와 같이 크기가 구분되어야 사용가능한 경우를 위해 크기가 다른 마스크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마스크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면에 밀착되도록 사용하는데, 이러한 사용법 역시 길이가 줄어든 마스크 끈이 귀를 더욱 강하게 압박하여 귀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별도로 제조 및 조립해야 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스크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마스크는 아이들의 경우 활발한 움직임으로 인해 늘어나게 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때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847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10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고정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마스크 끈을 고정하여 마스크 끈이 귀에 닿지 않도록 함에 따라 마스크 끈으로 인한 귀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어셈블리를 통해 마스크 끈을 고정하여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어셈블리에 형성된 여러 개의 홈을 통해 두상에 맞게 마스크 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어셈블리를 사용한 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의 상, 하단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마스크 끈이 걸림 가능한 끼움부 및 탈착부가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마스크 착용 시 머리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 끈을 일자형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마스크 끈이 위치되고 마스크 끈보다 큰 크기를 갖는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연장되어 마스크 끈이 체결홀에 배치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마스크 끈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끼움부의 가로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끈이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부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와 상기 탈착부 사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걸림홈에 걸린 마스크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부와 상기 탈착부 사이에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를 구비하여 파지가 쉽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는 마스크 끈을 팽팽하게 고정하여 안면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 끈이 귀에 닿지 않도록 하여 귀에 발생하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인용 마스크나 대형 마스크 등 큰 마스크를 어린이나 얼굴이 작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의 복수개 형성된 탈착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의 활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마스크에 대해 설명하자면, 안면에 밀착되어 호흡으로 인해 공기중의 병균, 미세먼지 및 황사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들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마스크의 필터가 호흡기 인근에 위치하면서 필터를 거치지 않은 공기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마스크 끈을 구비하는데, 마스크 끈은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그 상태로 움직이게 될 경우 끈과 맞닿는 귀가 쓸리며 통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정된 사이즈로 제조되는 마스크의 특성상 해당 사이즈에 적합한 두상 사이즈에만 적용되며 사이즈가 다를 경우 마스크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하더라도 안면에 밀착되지 않아 필터를 거치지 않은 공기를 호흡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고정수단(300) 및 연결수단(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수단(400)과 상기 연결수단(400)의 상, 하단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마스크 끈(200)이 걸림 가능한 끼움부(310) 및 탈착부(320)가 구비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며 마스크 착용 시 머리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 끈(200)을 일자형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 끈(200)은 일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귀에 가해지는 마스크 끈(200)으로 인한 압박 역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400)의 재질은 플렉시블한 재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재질이나 종이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재질이 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재질은 여러겹의 종이를 겹쳐 모양을 찍어내도록 하여 단가가 낮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상기 끼움부(310)는 상기 마스크 끈(200)이 걸리도록 좌우측에 턱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끈(200)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턱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연결수단(40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고정수단(300)과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고정수단(300)은 대칭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 끈(200)이 상기 상단 및 하단 고정수단(300)에 걸려 상기 마스크 끈(200)과 사용자의 귀에 유격이 생기도록 하여 마스크 끈(200)이 귀에 닿아 유발할 수 있는 통증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단 및 하단에 상기 고정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상단 및 하단 고정수단(300)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마스크 끈(200) 고정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300)에 비해 비교적 얇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상기 상, 하단 고정수단(300)의 사이라면 어디든 사용할 수 있고, 그 일례로 좌측이나 우측 끝단에 밀착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뒤통수에서 마스크 끈(200)과 결합해야 하는 특성상 손의 감각으로 위치를 찾게 되는데, 상기 연결수단(400)이 상기 고정수단(300) 사이의 일측에 형성되면 손의 감각으로 상기 연결수단(400)를 수직,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쉬울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300)의 위치 및 상기 마스크 끈(200)이 걸리는 끼움부(310)의 위치 역시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4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일례로는 상기 연결수단(400)의 수평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 연결수단(400)로 나뉘고 상단 연결수단(4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상기 하단 연결수단(400)에 형성되며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수단(4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와 반대 경우로 하단 연결수단(400)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단 연결수단(400)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삽입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연결수단(4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연결수단(400)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 끈(200)이 사용자의 두상보다 큰 경우 상기 연결수단(400)의 길이를 늘려 마스크 끈(200)을 팽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는 단일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길이를 조절할 때 상기 결합부와 결합홀이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의 입구쪽에는 입구를 좁혀주는 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턱은 상기 결합부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4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른 일례로는 상기 상단 연결수단(400) 외측에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삽입가능한 레일결합부가 상기 하단 연결수단(400)에 형성되어 상호간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결수단(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연결수단(400)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결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상기 레일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및 레일결합부는 단일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견고하고 어긋남으로 인해 생기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레일은 상단 연결수단(4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단 연결수단(4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310)는 상기 마스크 끈(200)이 위치되고 마스크 끈(200)보다 큰 크기를 갖는 체결홀(311)과 상기 체결홀(311)에 연장되어 마스크 끈(200)이 체결홀(311)에 배치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마스크 끈(20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입구부(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홀(311)은 마스크 끈(20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마스크 끈(200)이 상기 체결홀(311)에 걸리기 위함이며, 체결홀(311)이 마스크 끈(200)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삽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홀(311)은 상기 마스크 끈(200)이 걸리도록 상기 고정수단(300)을 관통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및 별모양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3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구부(312)는 상기 체결홀(311)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300)의 최외곽까지 통공되어 있는 형상으로 상기 입구부(312)의 너비는 상기 마스크 끈(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311)에 걸린 상기 마스크 끈(200)이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입구부(312)는 일정 길이(최소 2mm이상)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 역시 상기 마스크 끈(200)이 상기 체결홀(311)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312)의 끝단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마스크 끈(200)이 끼워지는 상황에서 상기 끝단에 걸려 찢어지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사용자의 손이나 머리가 긁히는 등 상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수단(300) 및 연결수단(400)도 각 끝단은 둥글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탈착부(320)는 상기 끼움부(310)의 가로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끈이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321)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312)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데, 그 일례로 마스크(100) 좌측에 형성된 좌측 마스크 끈(200)이 상기 끼움부(310)에 걸리고 상기 마스크(100) 우측에 형성된 우측 마스크 끈(200)이 상기 탈착부(330)에 걸림으로써 상기 마스크 끈(200)은 각각이 유격을 가지면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입구부(312)와 상기 걸림홈(321)이 상호간에 마주봄으로 인해 상기 좌측 마스크 끈(200)과 상기 우측 마스크 끈(200)이 형성된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상기 마스크 끈(200)이 빠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 끈(2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끼움부(310)는 마스크 끈(200)이 고의적으로 빼지 않는 상황이라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좌측 마스크 끈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탈착부(320)에 우측 마스크 끈(200)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머리 뒤쪽에 연결하는 고정구의 특성상 안보이는 곳에서 고정구와 마스크 끈(200)이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의 복수개 형성된 탈착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탈착부(320)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310)와 상기 탈착부(320) 사이 길이를 연장될 수 있는데, 상기 탈착부(320)는 상기 끼움부(310)와 수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구가 사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탈착부(320) 역시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탈착부(320)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나, 사용자의 두상에 비해 마스크가 작은 경우 최외곽에 형성된 상기 탈착부(320)에 상기 마스크 끈(200)이 걸리도록 하여 양측의 마스크 끈(200)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탈착부(320)는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상기 끼움부(310)와 상기 탈착부(320) 사이, 복수개의 상기 탈착부(320) 사이에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끈(200) 사이 간격을 자유롭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의 활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체결홀(311)에 걸린 마스크 끈(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부(310) 및 탈착부(330) 사이에 이탈방지부(5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이탈방지부(500)는 상기 입구부(312) 일측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330)에 형성되는 걸림홈(321)이 연장되어 만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311)에 걸린 상기 마스크 끈(200)이 빠지는 경우 상기 입구부(312)를 통과해서 이탈되는데 상기 입구부(312)가 연장되어 있는 상기 이탈방지부(500)를 통해 상기 체결홀(311)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홈(321)에 걸린 상기 마스크 끈(200) 역시 상기 이탈방지부(500)를 통해 상기 걸림홈(200)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제1 돌출부(33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400)은 제2 돌출부(410) 및 제3 돌출부(420)를 구비하여 파지가 쉽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돌출부(330) 및 제2 돌출부(410)는 상기 연결수단(400) 및 고정수단(300)이 결합되면서 함께 결합되어 "V"자 형상을 만들어 엄지가 파지되게 하며 상기 제3 돌출부(420) 역시 "V"자 형상을 만들어 나머지 손가락이 파지되게 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제어가 쉬워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마스크 끈(200)이 고정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멍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조절구멍에 상기 끼움부(310) 및 착탈부(320) 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기 마스크 끈(200)을 상기 조절구멍에 삽입한 후 걸림이 가능한 핀을 구비하여 상기 마스크 끈(200)을 고정하게 되고 고정된 마스크 끈(200)은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여 아이들과 같이 두상이 작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마스크 끈(200)이 고정되는 돌출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돌출걸림부가 상기 연결수단(4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부(310) 및 착탈부(320)에 걸린 마스크 끈(200)이 상기 돌출걸림부를 거쳐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마스크 끈(200)의 길이를 짧아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스크
200 : 마스크 끈
300 : 고정수단
310 : 끼움부
311 : 체결홀
312 : 입구부
320 : 탈착부
321 : 걸림홈
330 : 제1 돌출부
400 : 연결수단
410 : 제2 돌출부
420 : 제3 돌출부
500 : 이탈방지부

Claims (7)

  1. 연결수단(400)과;
    상기 연결수단(400)의 상, 하단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마스크 끈(200)이 걸림 가능한 끼움부(310) 및 탈착부(320)가 구비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며 마스크 착용 시 머리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 끈(200)을 일자형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10)는,
    상기 마스크 끈(200)이 위치되고 마스크 끈(200)보다 큰 크기를 갖는 체결홀(311)과;
    상기 체결홀(311)에 연장되어 마스크 끈이 체결홀(311)에 배치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마스크 끈(20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입구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320)는 상기 끼움부(310)의 가로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끈이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321)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312)와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320)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310)와 상기 탈착부(320) 사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걸림홈(321)에 걸린 마스크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부(310)와 상기 탈착부(320) 사이에 이탈방지부(5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제1 돌출부(33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400)은 제2 돌출부(410) 및 제3 돌출부 (420)를 구비하여 파지가 쉽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KR1020200072712A 2020-06-16 2020-06-16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KR10239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12A KR102395358B1 (ko) 2020-06-16 2020-06-16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12A KR102395358B1 (ko) 2020-06-16 2020-06-16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61A true KR20210155461A (ko) 2021-12-23
KR102395358B1 KR102395358B1 (ko) 2022-05-06

Family

ID=7917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12A KR102395358B1 (ko) 2020-06-16 2020-06-16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360U (ja) * 2003-11-14 2005-04-14 宣徳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スクの耳掛けの固定装置
JP2011115449A (ja) * 2009-12-04 2011-06-16 Keinan Chemical:Kk マスク止め具
JP3199562U (ja) * 2015-01-06 2015-09-03 伸也 佐藤 マスク固定具
KR20190118472A (ko) 2018-04-10 2019-10-18 김회철 어린이 혼자서 착용 가능한 마스크용 귀걸이끈 조절부재
KR20200001013U (ko) 2020-04-22 2020-05-20 김민정 마스크끈 걸이밴드
JP3227231U (ja) * 2020-05-07 2020-08-13 株式会社シルキー・アクト マスク用係止具およびマスク布固定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562B2 (ja) 1994-04-15 2001-08-20 京セラ株式会社 窒素酸化物除去用酸化物触媒材料並びに窒素酸化物除去方法
JP3108360B2 (ja) * 1996-02-15 2000-11-1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電池用安全弁素子および安全弁付き電池ケース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360U (ja) * 2003-11-14 2005-04-14 宣徳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スクの耳掛けの固定装置
JP2011115449A (ja) * 2009-12-04 2011-06-16 Keinan Chemical:Kk マスク止め具
JP3199562U (ja) * 2015-01-06 2015-09-03 伸也 佐藤 マスク固定具
KR20190118472A (ko) 2018-04-10 2019-10-18 김회철 어린이 혼자서 착용 가능한 마스크용 귀걸이끈 조절부재
KR20200001013U (ko) 2020-04-22 2020-05-20 김민정 마스크끈 걸이밴드
JP3227231U (ja) * 2020-05-07 2020-08-13 株式会社シルキー・アクト マスク用係止具およびマスク布固定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358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27098B2 (en) Headgear for a respiratory mask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US2735432A (en) hudson
CN107105803B (zh) 用于调整带的长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
US6684883B1 (en) Nasal cannula headband apparatus
US5117818A (en) Nasal tube holder
KR100912498B1 (ko) 수면 중 개구방지기구
KR101757955B1 (ko) 접힘가능한 헤드 크래들을 구비한 호흡기 하니스
US20170128753A1 (en) Facemask With Filter Insert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Pathogens
WO2004030736A1 (en) Release mechanism for masks
US20220071323A1 (en) Strapless facemask assemblies
KR102291330B1 (ko) 머리 또는 귀 착용 및 목걸이줄 겸용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마스크
CN105934223A (zh) 防打鼾装置
KR102395358B1 (ko) 안면 밀착 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 끈 고정구
US20160242872A1 (en) Oral insert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CN210250830U (zh) 一种呼吸科用全封闭呼吸罩
CN216365449U (zh) 口呼吸矫正器
KR102529557B1 (ko) 착탈과 단계별 당김조절 기능을 구비한 안면 밀착 마스크
JP4819979B1 (ja) 呼吸が楽なマスク
CN218869482U (zh) 一种松紧可调的头戴式口罩
CN219517467U (zh) 一种头戴式辅助吸氧装置
KR20160002916U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AU2013101174A4 (en) A Device for Encouraging Nose Breathing
JP6719134B2 (ja) 口閉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