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416A -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416A
KR20210155416A KR1020200072190A KR20200072190A KR20210155416A KR 20210155416 A KR20210155416 A KR 20210155416A KR 1020200072190 A KR1020200072190 A KR 1020200072190A KR 20200072190 A KR20200072190 A KR 20200072190A KR 20210155416 A KR20210155416 A KR 2021015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수
배원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남해섬애약쑥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남해섬애약쑥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07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416A/ko
Publication of KR2021015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자세오시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원발명의 자세오시딘은 연골세포에서 IκB 손상 억제 효과, IL-1β에 의해 증가된 Mmp3 및 Mmp13의 전사 발현, Mmp3 및 Mmp13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s including Jaceocidin thereof}
본 발명은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골세포에서 IκB 손상을 억제하며, IL-1β에 의해 증가된 기저막 단백분해소인 Mmp3 또는 Mmp13의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은 크게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osteoarthritis)과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구분된다. 퇴행성 관절염은 골관절염이라고도 불리우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관절염으로서 중년 또는 노년에 주로 발생하고, 무릎 관절 및 엉덩이 관절과 같이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에 통증, 경직감 및 운동장애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과거에는 단순히 노화현상으로 생각하였으나, 현재는 연령, 유전적 요소, 비만, 관절의 모양, 호르몬 등의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주로 관절연골의 점진적 손상에 따라 만성 염증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주변 조직의 퇴행화 과정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물리적인 스트레스의 누적에 의하여 연골조직에 NF-kB 및 AP-1과 같은 전사인자들이 활성화되어 만성염증이 일어나게 되면 COX-2, LOX 등의 염증반응을 매개, 증폭시키는 인자들이 발현되고, 주변의 혈행이 억제되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iNOS 등 조직 파괴인자들이 과발현되어 연골조직을 파괴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주변의 근육, 건, 인대 등과 같은 조직에도 영향을 끼쳐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여러 관절에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이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증상을 가진 환자의 활막조직과 활액은 염증성 세포들(대식세포, T-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등)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관절 및 연골 손상을 야기시키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관절염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고, 일반적으로 관절 염증 완화를 목적으로 NSAI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NSAID 계열 약물은 관절 염증만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가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연골 형성 촉진 및 연골조직 파괴 억제를 필요로 하는 비염증성 관절염인 퇴행성 관절염에는 NSAID 계열의 약물 사용은 적합하지 않은 치료 방법이다 (Pritchard MH et al.,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37:493-503, 1978).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s)은 염증성 관절염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서 염증 기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적합하나, 오히려 연골 손상을 가속화시키거나 심혈관, 위장관, 신장, 간 등에 부작용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현재 연골형성을 위해 개발된 자기유래 연골세포 이식술은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연골과 연골 하골 부분을 함께 채취하여, 손상된 연골부 위에 적당한 구멍을 파고 이식하여 초자연골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일부 환자에게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연골 조직 파괴 부분이 적고 자가이식이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보편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 (Peterson L et al., J Bone Joint Surg Am. 85-A Suppl:17-24, 2003).
자세오시딘(Jaceosidin)은 Artemisia 속의 주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로, 들쑥 및 약쑥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오시딘은 항종양형성,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으나(Khan, Rasul, Yi, Zhong, & Ma, 2011; Min, Kim, Baek, & Kim, 2009),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의 자세오시딘이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세오시딘(Jaceos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세오시딘(Jaceos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세오시딘은 연골세포에서 IκB 손상 억제 효과, IL-1β에 의해 증가된 Mmp3 또는 Mmp-13의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자세오시딘의 연골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생존율)을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자세오시딘의 MMP-3, MMP-13 전사 수준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자세오시딘의 MMP-3, MMP-13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연골세포에서 자세오시딘의 IκB 손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골세포에서 IκB 손상 억제 효과, IL-1β에 의해 증가된 Mmp3 또는 Mmp-13의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세오시딘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도 천연물로부터 정제된 것과 동일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자세오시딘의 투여는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IκB 손상 억제 효과, MMP-3 또는 MMP-13 mRNA 또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자세오시딘이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성물(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자세오시딘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관절염의 발생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관절염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 음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오시딘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자세오시딘의 혼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자세오시딘의 연골세포에 대한 독성 측정
자세오시딘(Jaceosidin)은 Chem Faces사 (Cas num. 18085-97-7)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골세포 (Chondrocyte)는 생후 5일된 정상 마우스(중앙실험동물(주))의 대퇴골두 (femoral heads), 대퇴골 관절 (femoral condyles) 및 경골 고원부 (tibial plateaus) 유래의 연골 조직으로부터 수득하였다.
동물 실험은 아주 대학교 동물 관리 및 사용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물모델에서 관절염을 유도하기 위하여 10 주령 수컷 C57BL / 6 마우스에서 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DMM) 수술을 통해 관절염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였다. DMM수술은 마우스의 관절 조직에 존재하는 내측 반월상연골판(medial meniscus)을 고정하고 있는 인대를 절개하여 관절 조직의 기계적 불안정성을 유도하여 연골 손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이다.
수득한 연골세포는 10%(v/v)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USA), 50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Sigma-Aldrich, USA) 및 50 unit/ml 페니실린(Sigma-Aldrich, USA)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 USA)에서 배양하였다.
본원발명의 자세오시딘이 연골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연골세포를 96 well 배양 용기에 9×103 cells/well 기준으로 배양한 후, jaceosidin( Cayman chemical, MI, USA)을 0, 10, 20, 40, 80 μg/ml의 농도별로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자세오시딘의 연골세포에 대한 독성은 EZ-Cytox Cell viablity assay kit(도젠, 대한민국)를사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세오시딘은 10, 20, 40, 80 μg/ml 의 모든 농도에서 연골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연골세포 증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자세오시딘에 의한 관절 염증 억제 및 연골파괴 억제 효과 확인
2-1. Mmp3(matrix metalloprotinase 3) 및 Mmp13(matrix metalloprotinase 13)의 전사 수준 억제 효과 확인
IL-1β는 연골세포에서 관절 염증 및 연골 조직 파괴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관절 염증 및 연골 파괴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연골세포에 1 ng/ml의 IL-1β(GeneScript, 미국)를 처리하여 36시간 배양한 후, 자세오시딘을 각각 0, 10, 20, 40, 80 μg/ml으로 처리하여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연골세포를 대조군(Con)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qRT-PCR을 수행하고자 연골세포로부터 TRI 시약(Molecular Research Center Inc.)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하기 RNA를 역전사시켜 얻은 cDNA를 서열번호 1, 2, 3 및 4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어닐링 온도 58℃의 조건에서 PCR로 증폭하여 연골파괴에 중요한 Mmp3 및 Mmp1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서열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로 Gapdh (450bp, 어닐링 온도 58℃)를 확인하였다.
서열번호 서열 (5'-3') 센스/
안티센스
유전자 크기(bp) 어닐링 온도
(AT, ℃)
1 TCCTGATGTTGGTGGCTTCAG S Mmp3
102
58
2 TGTCTTGGCAAATCCGGTGTA AS
3 TGATGGACCTTCTGGTCTTCTGG S Mmp13
473
58
4 CATCCACATGGTTGGGAAGTTCT AS
5 TCACTGCCACCCAGAAGAC S Gapdh 450 58
6 TGTAGGCCATGAGGTCCAC AS
그 결과, 도 2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증가된 Mmp3 및 Mmp13의 전사 발현이 자세오시딘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2-2. Mmp3 및 Mmp13의 단백질 발현 수준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연골세포에 1 ng/ml의 IL-1β와 자세오시딘을 각각 0, 10, 20, 40, 80 μg/ml,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Mmp3과 Mmp13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연골세포를 대조군(Con)으로 사용하였다.
분비 단백질인 Mmp3 및 Mmp13은 900 ㎕의 혈청-부재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um)를 100 ㎕ TCA(trichloroacetic acid)와 반응시킨 후, 0℃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12,000 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층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0% 아세톤 500 ㎕와 20℃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100% 아세톤과 반응 중인 샘플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층액을 제거하고, 단백질을 최종적으로 침전시킨 후 검출하여 항-Mmp3 항체 (Abcam) 및 항-Mmp13 항체 (Abcam)를 이용한 웨스턴 블랏팅 및 웨스턴 블랏 밴드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밴드의 두께 및 농도를 측정하여 그 상대적인 값을 농도계(densitometer)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골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증가된 Mmp3 및 Mmp13의 단백질 발현이 자세오시딘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세오시딘에 의해 관절 및 연골 조직 파괴가 완화 또는 억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연골세포에서 자세오시딘의 IκB 손상 억제 효과 확인
IL-1β는 연골세포에서 NF-κB 시그널링을 활성화 시키며 관절염의 병인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원발명의 자세오시딘의 NF-κB 시그널링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관절염 마우스 모델의 연골세포를 자세오시딘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및 12시간동안 자세오시딘을 처리한 후 10분동안 proinflammation을 일으키는 IL-1β (1 ng/mL)를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이후 NF-κB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여 NF-κB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NF-κB 서브 유닛인 IκB를 검출 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턴 블롯팅 및 밀도 측정 분석을 통해 IL-1β에 의해 감소된 IκB가 자세오시딘에 의해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원발명의 자세오시딘이 IL-1β- 매개 NF-κB 신호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 예방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통계분석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결과들은 만킨 스코어(Mankin score)와 같은 서수 등급 시스템에 기반하여 정량된 데이터로 비모수(non-parametric) 통계학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대적인 배수 변화(fold changes)로 표시된 qRT-PCR 데이터는 먼저 샤피로-윌크(Shapiro-wilk) 검정을 이용하여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을 확인한 후 쌍대 비교(pair-wisecomparisons) 및 다중 비교(multi-comparisons)를 위해 각각 스튜던츠 t-검정(Student's t test) 및 사후검정(post hoc test)을 포함하는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0.05 레벨의 확률로 받아들여졌다 (P < 0.05).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개량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개량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오시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인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오시딘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내 9 ~ 100 μg/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3 및 Mmp13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3 및 Mmp13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골세포에서 IκB 손상을 억제함으로서 관절 염증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자세오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72190A 2020-06-15 2020-06-15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55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90A KR20210155416A (ko) 2020-06-15 2020-06-15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90A KR20210155416A (ko) 2020-06-15 2020-06-15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16A true KR20210155416A (ko) 2021-12-23

Family

ID=7917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90A KR20210155416A (ko) 2020-06-15 2020-06-15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4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6525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immune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sialyllactose or derivative thereof and method thereof
WO2004017996A1 (ja) 関節軟骨細胞外マトリクス分解阻害剤
US2022032337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comprising obtusifolin, derivative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338416B1 (ko) 4,5-디카페오일퀴닉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070154540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containing apigenin as chondroregenerative agent
KR20210155416A (ko) 자세오시딘(Jaceoci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5303B1 (ko) 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107371A1 (en) Method of inhibiting fibrosis
KR102338415B1 (ko) 3,4-디카페오일퀴닉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659085B2 (en) Method of treatment with HSP70
AU202126936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ular disease
KR102454513B1 (ko) 황해쑥(Artemisia argyl, 품종:섬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84052A (ko)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US20220362270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immune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sialyllactose or derivative thereof and method thereof
WO2012060594A2 (ko) 티오우레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862552B1 (ko)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76410B1 (ko) 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NF-α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548020B (zh) 亚精胺在制备治疗主动脉瘤药物方面的应用
KR102507333B1 (ko)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070113532A (ko) 베르바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제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23033074A (ja) 関節の抗炎症剤
KR20220161730A (ko) Hapln1을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9767A (ko) 3,5-다이카페오일퀴닉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3577051A (zh) 一种维拉帕米在制备保护软骨细胞缓解骨关节炎的产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