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373A -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 - Google Patents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373A
KR20210155373A KR1020210077197A KR20210077197A KR20210155373A KR 20210155373 A KR20210155373 A KR 20210155373A KR 1020210077197 A KR1020210077197 A KR 1020210077197A KR 20210077197 A KR20210077197 A KR 20210077197A KR 20210155373 A KR20210155373 A KR 20210155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orage
smart device
box
smart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112B1 (ko
Inventor
류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원
Publication of KR2021015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19Charger status, e.g. volt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에 있어서, 복수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보관 및 충전을 위하여,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함과; 수납함에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스마트기기 각각에 대한 수용 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며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일면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납 칸살을 포함하며, 복수의 수납 칸살은, 안착된 스마트기기와 무선충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충전 모듈을 구비하며, 수납함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어 상기 안착되는 스마트기기가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 칸살의 안착면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CHARGING CABINET FOR MULTIPLE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여러 대의 태블릿PC, 크롬북, 노트북,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동시에 충전, 보관하는 다중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스마트기기를 동시에 충전하고, 보관하며,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 중, 충전완료에 대한 표시를 하는 충전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육 현장에서 종이 교과서를 대신하여 디지털 컨텐츠로 교육의 방향이 바뀌어 감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으로 추진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보관하며, 보관 중인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함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충전함은 학교 등에서 교육용 휴대 단말기들의 보관 및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충전함은 회사 등에서 업무용 스마트기기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충전함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의 스마트기기들을 보관 및 충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충전함에 관한 기술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 20-2017-0006588(명칭: "충전 보관함", 출원일: 2017년 12월 20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함에서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을 연결하는 방식은 유선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충전함에는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들이 각각 구비되며, 충전 케이블들의 말단에는 스마트기기의 외부 연결(충전) 단자(소켓)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플러그)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을 연결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들과 스마트기기들을 각각 직접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마트기기들을 충전함에 넣거나 빼는데 불편을 주고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와 스마트기기의 소켓을 사용자가 직접 연결하는 동작 중엔 상기 플러그와 소켓 간의 접속 불량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들과 접촉 불량 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편리성이 우수한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기기들을 장착 가능하면서 충전 동작을 하기가 용이한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에 있어서, 복수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보관 및 충전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에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스마트기기 각각에 대한 수용 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일면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납 칸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은, 상기 안착된 스마트기기와 무선충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충전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함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어 상기 안착되는 스마트기기가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 칸살의 안착면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의 후면 및 바닥면에는 수납함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기 위한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함에는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의 돌출 구조물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홈/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은 측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안착되는 면에서 상기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안착되는 스마트기기의 측면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 위치가 일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자 브라켓과, 상기 위치조절자 브라켓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와, 상기 수납 칸살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 부재와 너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에서는, 복수의 스마트기기 충전시 접촉 불량 등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멀티 스마트기기의 수납 공간의 전면에 설치되던 충전 케이블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함에 넣거나 뺄 때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깔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기기들을 장착 가능하면서 충전 동작을 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의 외관 구조도
도 2는 도 1b에서 충전함에 스마트기기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 중 스마트기기를 안착시키는 수납 칸살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 중 스마트기기를 안착시키는 수납 칸살에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기기들이 놓여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의 내부 회로 블록 구성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의 외관 구조도로서, 도 1a는 개폐 문(12)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는 개폐 문(12)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b에서 충전함에 스마트기기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함(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충전함(10)에서 전체적인 외관 몸체는 철재 및/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단단한 구조물로 되어 있고, 외관 몸체의 아래 부분에는 바퀴(126)가 부착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에는 이동 손잡이(128)가 있어서 이동시에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충전함(10)의 몸체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스마트기기(5)에 대한 동시 보관 및 충전을 위하여, 스마트기기(5)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함(13: 13a, 13b)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도 2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13)에는 복수의 스마트기기(5)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납 칸살(30)이 구비된다. 수납 칸살(30)들 각각은 복수의 스마트기기(5) 각각에 대한 수용 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 스마트기기(5)를 일면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수납 칸살(30)은 스마트기기(5)를 넣거나 뺄 때 스크래치가 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표면 처리된다. 충전함(10)은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30)에 수납된 각각의 스마트기기(5)들을 개별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30)은 수납함(13)에서 한쪽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는데, 이를 위해 적절한 형태 및 구조의 돌출 구조물이 각각의 수납 칸살(30)의 바닥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며, 수납함(13)에는 각각의 수납 칸살(30)의 돌출 구조물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 홈/홀(132)이 형성된다.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는 수납 칸살(30)에 안착되는 스마트기기(5)는 중력에 의해 수납 칸살(30)의 안착 면에 밀착되며, 수납 칸살(30)과 스마트기기(5)간의 접촉 부위가 이격되지 않게 된다.
이외에도, 충전함(10) 몸체의 전면부에는 수납된 각각의 스마트기기(5)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개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 표시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 표시기(122)는 컬러 LED 등을 구비하여, 각각의 수납 칸살(30)별로 수납된 스마트기기(5)의 충전 상태를 다른 색상(예를 들어, '녹색: 충전 완료', '적색: 충전 중', 'OFF: 연결 해제') 및/또는 점멸 상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함(10)의 개폐 문(12)에는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1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 중 스마트기기를 안착시키는 수납 칸살의 사시도로서 , 도 4b는 스마트기기가 안착되는 면(예를 들어, 제1측면 )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 중 스마트기기를 안착시키는 수납 칸살에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기기들이 놓여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4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칸살(30)의 후면 및 바닥면에는 수납함(13)내의 결합 홈/홀(132)과 결합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기 위한 돌출 구조물(32a, 32b)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수납 칸살(30)에는 안착된 스마트기기(5)와 무선충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충전 모듈(36)이 구비된다. 무선충전 모듈(36)에서 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설치 부위는 수납 칸살(30)에서 스마트기기(5)가 안착되는 면(예를 들어, 제1측면)에 적절히 설치된다. 수납 칸살(30)에 구비된 무선충전 모듈(36)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수납 칸살(30)의 후면에는 충전전원 공급포트(36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납 칸살(30)의 전면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기(3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LED 표시기(362)는 각각의 수납 칸살(30)별로 수납된 스마트단말기의 충전중, 충전완료, 미충전 등의 상태를 각각 다른 색상 및/또는 점멸 상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충전 모듈(36)을 구비한 수납 칸살(30)을 이용하여, 무선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리시버(38)를 구비한 스마트기기(5)를 상기 수납 칸살(30)에 올려놓을 경우에, 스마트기기(5)에 무선충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기기(5)에는 수납 칸살(30)의 무선충전 모듈(36)과 대향하는 위치에 무선충전 리시버(5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5)의 종류에 상관없이 스마트기기(5)에 무선충전 리시버(38)를 구비하기 위해, 무선충전 리시버(38)는 스티커 접착 형태로 스마트기기(5)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5)의 후면에 부착된 무선충전 리시버(38)는 연결 케이블 및 단자(382)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5)의 충전단자(52)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도, 무선충전 리시버(38)는 별도의 스마트기기 보조 케이스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사이즈 및 다양한 스마트기기 충전 단자 위치에도 적응적으로 스마트기기(5) 및/또는 무선충전 리시버(38)를 보다 적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 칸살(30)에는 스마트기기(5)가 해당 수납 칸살(30)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 조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 칸살(30)에 구비되는 위치 조절 장치는, 수납 칸살(30)에 스마트기기(5)가 안착되는 면(제1측면)에서 해당 스마트기기(5)의 측면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 위치가 일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을 구비한다.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은 예를 들어 'L'자 형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수평단 저면에는 수납 칸살(30)에 측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344a, 344b)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를 구비한다. 볼트 부재는 수납 칸살(30)의 타면(도 3a에 도시된 제2면)에서 너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342a, 342b)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342a, 342b)를 풀게 되면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은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344a, 344b)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342a, 342b)를 조이게 되면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의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수납 칸살(30)의 제1측면에는 위치조절자 브라켓(34)의 이동방향을 따라 홈형의 가이드레일(346)이 예를 들어, 2개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자 브라켓(34)에는 해당 가이드레일(346)에 삽입되는 형태의 추가적인 돌출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a, 도 3b 등에서는,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344a, 344b)의 2개소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위치조절자 브라켓(34)는 예를 들어 가운데 위치에 하나의 볼트 부재가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 및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도 하나만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위치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기기(5) 및 다양한 위치의 충전 단자를 구비한 스마트기기(5)에 대해서도, 스마트기기(5)가 수납 칸살(30)의 적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5)의 안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의 내부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함은, 마이컴(202)을 포함하며, 충전함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 전원 공급부(22)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1)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23)와; 충전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 팬 등으로 구성되는 공기 순환부(26)와; 오존(O3) 발생기 등으로 구성되어 충전함 내부의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부(28)와;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각각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수납 칸살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상용 220V AC 전원을 5V DC전원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수납 칸살의 무선충전 모듈로 제공하여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각각 충전하는 충전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온도 센서(21) 및 습도 센서(23)에서 감지된 값을 정해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충전 동작을 제어하고, 충전 동작 중에는 공기 순환부(26)가 구동되도록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충전함 내부 온도가 예를 들어, 60도 이상 일 경우에는 충전 환경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부(24)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충전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충전함 내부 열을 충전함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공기 순환부(26)를 동작시켜, 충전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충전함 내부 습도가 60% 이상일 경우나, 20% 이하일 경우에는 충전 환경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을 중지하고, 결로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 순환부(2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충전부(24)에서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각각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 칸살의 구조는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기능부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부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감지부들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20)로 제공되어 제어부(20)에서 각 기능부들의 고장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충전부(24)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충전 동작 감지부(242)와; 공기 순환부(26)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공기 순환 동작 감지부(262)와; 살균부(28)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살균 동작 감지부(28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함 몸체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25)를 구비하여 충전함이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동작 감지부(242)는 예를 들어, 충전부(24)의 복수의 수납 칸살별로 충전 동작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부(24)에서 전원 변환기(어댑터)의 입력 전원 및 출력 전원 등을 감지하여, 전원 변환기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 케이블의 고장 여부 등과 같이 구체적인 고장 부위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함에는 외부의 관리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7)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통신부(27)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보드 등을 구비하여, 외부 인터넷에 유선/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온도 센서(21), 습도 센서(23), 기울기 센서(25), 충전 동작 감지부(242), 공기 순환 동작 감지부(262), 살균 동작 감지부(282)의 각 감지 동작을 상기 통신부(27)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각 기능부들에 대한 고장 발생 시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장 발생시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 센서(21) 및 습도 센서(23)에 감지 값에 따라 온도 및 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기울기가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졌을 경우에 이에 대한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관리 서버는 예를 들어, 충전함 제품 공급자의 중앙 관리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함으로부터 전송된 고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충전함의 고장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한다. 이 경우에, 관리 서버는 예를 들어, 고장이 발생한 충전 관리함 및 고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 등에 적절히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함에는 고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9)를 구비하는데, 제어부(20)는 상기 온도 센서(21), 습도 센서(23), 기울기 센서(25), 충전 동작 감지부(242), 공기 순환 동작 감지부(262), 살균 동작 감지부(282)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29)에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이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나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멀티 스마트기기 충전함에 있어서,
    복수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보관 및 충전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에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스마트기기 각각에 대한 수용 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를 일면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납 칸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은, 상기 안착된 스마트기기와 무선충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충전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함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어 상기 안착되는 스마트기기가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 칸살의 안착면에 밀착되게 안착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의 후면 및 바닥면에는 수납함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기 위한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함에는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의 돌출 구조물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홈/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납 칸살은 측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가 안착되는 면에서 상기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안착되는 스마트기기의 측면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 위치가 일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자 브라켓과,
    상기 위치조절자 브라켓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절자 체결 홀형 레일을 관통하는 볼트 부재와,
    상기 수납 칸살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 부재와 너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위치조절자 체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함.
KR1020210077197A 2020-06-15 2021-06-15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 KR102574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41 2020-06-15
KR20200072441 2020-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373A true KR20210155373A (ko) 2021-12-22
KR102574112B1 KR102574112B1 (ko) 2023-09-06

Family

ID=7916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97A KR102574112B1 (ko) 2020-06-15 2021-06-15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78B1 (ko) * 2023-02-10 2024-03-0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디어 스마트기기 충전 보관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427B1 (ko) * 2013-09-02 2014-03-26 주식회사 지오나스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KR20160007151A (ko) * 2014-07-11 2016-01-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KR20160145963A (ko) * 2015-06-11 2016-12-21 최문수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KR20170057031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저주파 발생장치
KR20180111731A (ko) * 2018-09-28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427B1 (ko) * 2013-09-02 2014-03-26 주식회사 지오나스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KR20160007151A (ko) * 2014-07-11 2016-01-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KR20160145963A (ko) * 2015-06-11 2016-12-21 최문수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KR20170057031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충전 시스템이 적용된 저주파 발생장치
KR20180111731A (ko) * 2018-09-28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78B1 (ko) * 2023-02-10 2024-03-0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디어 스마트기기 충전 보관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112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0385B2 (en) Tablet storage and charging cart
US10237996B2 (en) Modular garage door opener
US20240030828A1 (en) Portable power source
CA2716735C (en) Inductively coupled shelving and storage containers
US20120087074A1 (en) Notebook computer storage and charging cart
US20100181119A1 (en) Portable modular scale system
US11340651B2 (en) Rotation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709206B2 (en) State-of-charge indicator
KR20210155373A (ko) 다중 스마트기기 충전함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US9509155B2 (en) Remotely monitorable multi-port charging device
CN209898567U (zh) 一种手持式电器具及其外置控制装置
KR101445377B1 (ko) 모듈형 온습도 센서
CN212483514U (zh) 报警类二氧化碳、氧气多测点检测仪
KR20180071981A (ko) 충전 보관함 및 충전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1117227B1 (ko)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US20200008548A1 (en) Carrying bag capable of prolonging power supply
KR101186473B1 (ko)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2738240U (zh) 一种物流车控制系统嵌入显示装备
CN110584340A (zh) 一种多功能智能鞋柜
CN205649655U (zh) 一种带有可抽拉绕线器的智能电子药箱
CN211269302U (zh) 一种多功能智能鞋柜
CN107136824B (zh) 一种美术作品展示装置
CN220122624U (zh) 充电站
CN209674567U (zh) 一种一体化多媒体会议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