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286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86A
KR20210155286A KR1020200072609A KR20200072609A KR20210155286A KR 20210155286 A KR20210155286 A KR 20210155286A KR 1020200072609 A KR1020200072609 A KR 1020200072609A KR 20200072609 A KR20200072609 A KR 20200072609A KR 20210155286 A KR20210155286 A KR 2021015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device
cartridge
aerosol generating
atom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597B1 (ko
Inventor
김동성
정헌준
이원경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05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및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액상 조성물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는 무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무화된 에어로졸은 상기 액체 저장부의 외부에 배치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에어로졸을 본체에 형성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을 대체하여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비연소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생성한 증기를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실시예들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본체에 형성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및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액상 조성물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는 무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무화된 에어로졸은 상기 액체 저장부의 외부에 배치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와 본체는 서로 분리 가능한 바, 사용자는 카트리지만을 교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진동자를 이용하여 비가열식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본체에 형성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카트리지의 단가가 감소되고, 생산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분리 구조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무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가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가 분리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250), 무화기(210), 센서(280), 사용자 인터페이스(290), 메모리(30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각 요소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2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250)는 무화기(210)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 즉, 센서(280), 사용자 인터페이스(290), 메모리(300) 및 프로세서(24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50)는 니켈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배터리, 리튬-포스페이트 배터리,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250)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250)는 알카라인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화기(21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5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화기(210)는 배터리(25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무화기(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무화기(210)는 카트리지에 위치하거나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무화기(21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21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2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무화기(210)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210)에서 전력의 공급이 필요한 부품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2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화기(210)는 카트리지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은 기체 중에 액체 및/또는 고체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부유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화기(21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화 및/또는 승화를 통하여 기체의 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무화기(210)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여 방출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10)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화기(210)는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히터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히터는 카트리지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는 후술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히터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에서 센싱된 결과는 프로세서(24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무화기(21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카트리지(또는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및 소리의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240)는 검출된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에 따라 퍼프 기간(puff period) 및 비 퍼프(non-puff)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사용자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센서는 스위치, 물리적 버튼, 터치 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가 발생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정전용량형 센서로부터 수신한 커패시턴스의 변화의 전후 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의 변화 전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기울기,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움직이는 상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정지 상태, 퍼프를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 및 각 퍼프 동작들의 사이에서 퍼프 동작 시와는 다른 각도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기울어진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x축, y축 및 z축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3 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또는 거리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입술 근방으로 접근시킬 때, 이미지 센서는 입술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술로 판단될 경우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무화기(210)를 미리 동작시키거나, 히터를 예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예를 들어, 카트리지, 궐련 등)의 장착 또는 탈거를 감지할 수 있는 소모품 탈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소모품이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인덕턴스 센서이거나,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무화기(210)의 히터(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별도의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히터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인쇄회로기판(PCB),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주변 환경의 압력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280)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사용자 인증 및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지문 센서, 눈동자의 홍채 무늬를 분석하는 홍채 인식 센서,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정맥 내 환원 헤모글로빈의 적외선의 흡수량을 감지하는 정맥 인식 센서, 눈, 코, 입 및 안면 윤곽 등의 특징점들을 2D 또는 3D 방식으로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및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센서(280)의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전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9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3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300)는 프로세서(24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0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21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기(2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210)가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화기(21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무화기(210)의 진동자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무화기(21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무화기(21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무화기(210)에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8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24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250)를 충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25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200)와 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카트리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액상 조성물(115)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20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의 일부분이 본체(200)에 삽입되거나, 본체(200)의 일부분이 카트리지(100)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100)가 본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200)와 카트리지(100)는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억지 끼워 맞춤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본체(200)와 카트리지(10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카트리지(10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1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115)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115)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115)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115)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115)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115)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10)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11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11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100)는 액상 조성물(115)을 흡수하는 액체 전달 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120)은 액체 저장부(110)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액체 저장부(110)로부터 유출되는 액상 조성물(115)을 흡수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120)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20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액상 조성물(115)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는 무화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무화기(210)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무화기(21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211; 도 3a 및 3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211)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211)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진동자(211)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211)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이다. 따라서 진동자(211)에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무화기(210)는 상술한 카트리지(100)의 액체 전달 수단(12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120)에 흡수된 액상 조성물(115)은 초음파 진동에 따라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211)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에 의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211)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진동자(21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소자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200)는 사용자의 구부와 접촉하는 마우스피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30)는 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30)는 사용자의 구부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200)에 형성된 마우스피스(230)와 구부를 접촉시킨 후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본체(200)는 무화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기류 패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화기(210)에 의해 무화된 에어로졸은 기류 패스(2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류 패스(220)의 일 부분은 무화기(21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기류 패스(220)의 다른 부분은 마우스피스(230)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류 패스(220)는 무화기(210)와 마우스피스(230)를 유체 연통시킬 수 있다.
기류 패스(220)는 카트리지(100)를 우회하여 마우스피스(230)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기류 패스(220)는 카트리지(100)를 관통하여 마우스피스(230)와 유체 연통하지 않고, 카트리지(1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여 마우스피스(23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가 본체(200)의 일 측에 배치될 때, 기류 패스(220)는 카트리지(100)가 배치된 일 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00)는 기류 패스(220)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로(2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로(26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6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65)는 본체(200)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공기 유입구(265)를 통하여 공기 유입로(260)로 유동할 수 있으며, 공기 유입로(260)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본체(200)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 있다. 이후, 에어로졸은 기류 패스(2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유입로(260)는 기류 패스(220)의 단면적과 상이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다른 실시예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무화기(210)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무화기(210)의 사시도이다.
무화기(210)는 액상 조성물(115)을 유지하는 유지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유지부(212)는 액상 조성물(115)을 흡수하는 액체 전달 수단(120)과 병용될 수 있다. 이때 유지부(212)는 액체 전달 수단(120)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212)는 액체 전달 수단(120)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유지부(212)는 액체 전달 수단(120)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조성물(115)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유지부(212)는 카트리지(100)의 액체 전달 수단(120)을 대체할 수 있다. 유지부(212)는 액체 전달 수단(120)과 같이 카트리지(100)의 액상 조성물(115)을 흡수할 수 있다. 유지부(212)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진동을 전달받아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장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진동자(211)는 유지부(212)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유지부(212)의 액상 조성물(115)은 진동자(211)로부터 제공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무화된 에어로졸은 유지부(212)를 통과하여 기류 패스(220)로 유동할 수 있다. 유지부(212)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무화기(210)에 근접하게 배치된 기류 패스(220)의 일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지부(212)는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과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유지부(212)는 메쉬 형상 또는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부(212)가 판 형상일 때, 유지부(212)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유지부(212)는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흡입에 따른 압력 변화에 따라 유지부(212)를 투과한 후, 기류 패스(220)를 따라 마우스피스(230)로 유동할 수 있다.
진동자(211)는 유지부(212)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부(212)가 원기둥 형상일 때, 진동자(211)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원기둥 형상의 유지부(212)는 실린더 형상의 진동자(211)의 내부 공동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자(211)는 유지부(212)의 외면을 향하여 초음파 진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무화기(210)가 유지부(212)를 포함할 때, 무화기(21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의 유동을 상술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무화기(210)의 진동자(211; 도 3a 및 도 3b)는 액체 전달 수단(210) 및 유지부(212; 도 3a 및 도 3b) 중 적어도 하나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115)은 진동자(211)로부터 제공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무화된 에어로졸은 유지부(212)를 통과하여 무화기(210)와 인접하게 배치된 기류 패스(220)의 일 단(220a)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의 이동 방향은 유지부(212)의 일 측에서 타 측일 수 있으며, 유지부(212)의 일 측은 유지부(212)를 기준으로 액체 전달 수단(210)을 바라보는 방향일 수 있으며, 유지부(212)의 타 측은 유지부(212)를 기준으로 기류 패스(220)의 일 단(220a)을 바라보는 방향일 수 있다. 기류 패스(220)의 일 단(220a)에서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공기 유입로(265)를 통해 기류 패스(220)의 일 단(220a)으로 유입될 수 있다.외부 공기와 혼합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기류 패스(22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후, 외부 공기와 혼합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류 패스(220)를 따라 기류 패스(220)의 타 단(220b)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류 패스(220)의 타 단(220b)으로 유동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23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카트리지(100)가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본체(200)는 카트리지(100)를 본체(20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구조(261, 262, 26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구조(261, 262, 263)는 본체(200)의 프로세서(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분리 구조(261, 262, 263)는 길이가 변하는 와이어(261; wire) 및 와이어(261)에 연결되며 카트리지(10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후크(26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62)는 와이어(261)의 길이 변화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262)는 와이어(261)의 길이 변화에 의해 카트리지(100)에 가까워지거나 카트리지(10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분리 구조(261, 262, 263)는 또한 후크(262)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0)가 본체(200)에 결합되면 후크(262)는 카트리지(100)의 단턱(130)과 접촉하여 카트리지(100)를 본체(200)에 대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스프링(263)은 후크(262)가 카트리지(100)의 단턱(130)과 접촉하도록 후크(262)를 카트리지(100)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와이어(261)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와이어(261)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향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에 전류가 흐르면 와이어(261)는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261)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와이어(261)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와이어(261)에 연결된 후크(262)는 카트리지(10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40)에 의해 와이어(261)의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와이어(261)에 전류를 유동시킴으로써 와이어(261)의 길이를 수축시킬 수 있다. 와이어(261)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후크(262)가 카트리지(10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후크(262)와 카트리지(100)의 단턱(130)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262)와 카트리지(100)가 분리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100)가 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본체(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240)(도 5 참조)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프로세서(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때 프로세서(240)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터치 센서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분리 구조(261, 262, 26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카트리지(100)가 분리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240)가 분리 구조(261, 262, 263)를 제어하는 일 예시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사용자는 카트리지(100)를 분리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를 터치 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S100)할 수 있다. 이후, 터치 센서는 프로세서(240)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S200)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와이어(261)에 전원 공급을 제어(S300)할 수 있다. 와이어(261)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가 유동할 경우 와이어(261)는 수축되어 후크(262)가 카트리지(100)로부터 해제(S400)될 수 있다. 후크(262)가 카트리지(100)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카트리지(100)가 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액체 저장부(11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00)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무화기(210)를 포함하는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와 본체(200)는 서로 분리 가능한 바, 사용자는 카트리지(100)만을 교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또한 진동자(211)를 이용하여 비가열식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본체(200)에 형성된 기류 패스(2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10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카트리지(100)의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카트리지(100)의 단가가 감소되고, 생산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분리 구조(261, 262, 263)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카트리지(10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트리지 110: 액체 저장부
115: 액상 조성물 120: 액체 전달 수단
130: 단턱 200: 본체
210: 무화기 211: 진동자
212: 유지부 220: 기류 패스
220a: 기류 패스 일 단 220b: 기류 패스의 타 단
230: 마우스피스 240: 프로세서
250: 배터리 260: 공기 유입로
265: 공기 유입구 270: 터치 센서
280: 센서 290: 사용자 인터페이스
300: 메모리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laims (14)

  1.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및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액상 조성물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는 무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무화된 에어로졸은 상기 액체 저장부의 외부에 배치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는 상기 무화기 및 상기 기류 패스를 포함하는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구부와 접촉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패스는 상기 카트리지를 우회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패스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로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로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조성물을 흡수하는 액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화기는 액상 조성물이 흡수된 상기 액체 전달 수단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액상 조성물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유지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무화된 에어로졸은 상기 유지부를 통과하여 상기 기류 패스로 유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상기 무화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기류 패스의 일 단에서 외부 공기와 혼합되고,
    외부 공기와 혼합된 에어로졸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기류 패스를 따라 유동한 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기류 패스를 따라 상기 기류 패스의 타 단으로 유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메쉬(mesh) 형상 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구조; 및
    상기 분리 구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구조는,
    길이가 변하는 와이어(wire);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상기 후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본체로부터 장착 또는 분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 구조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72609A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09A KR102542597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09A KR102542597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86A true KR20210155286A (ko) 2021-12-22
KR102542597B1 KR102542597B1 (ko) 2023-06-12

Family

ID=7916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609A KR102542597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802A1 (ko) * 2022-07-13 2024-01-18 주식회사 이엠텍 액상 카트리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595A1 (en) * 2014-05-13 2015-11-19 Njoy, Inc. Mechanisms for vaporizing devices
US20160213866A1 (en) * 2015-01-23 2016-07-28 William Tan Ultrasonic vaporizing element
US20180206552A1 (en) * 2017-01-25 2018-07-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shape-memory alloy and a related method
US20190321570A1 (en) * 2010-08-23 2019-10-24 Darren Rubin Systems and methods of aerosol delivery with airflow regulation
US20200120989A1 (en) 2018-10-18 2020-04-23 Respira Technologies, Inc. Liquid-filled cartridge for electronic device that produces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a pers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21570A1 (en) * 2010-08-23 2019-10-24 Darren Rubin Systems and methods of aerosol delivery with airflow regulation
US20150327595A1 (en) * 2014-05-13 2015-11-19 Njoy, Inc. Mechanisms for vaporizing devices
US20160213866A1 (en) * 2015-01-23 2016-07-28 William Tan Ultrasonic vaporizing element
US20180206552A1 (en) * 2017-01-25 2018-07-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shape-memory alloy and a related method
US20200120989A1 (en) 2018-10-18 2020-04-23 Respira Technologies, Inc. Liquid-filled cartridge for electronic device that produces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a pers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802A1 (ko) * 2022-07-13 2024-01-18 주식회사 이엠텍 액상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597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4978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35301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057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256880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57007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007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6887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59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312269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4776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688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7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510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4559B1 (ko) 개선된 진동전달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710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3B1 (ko) 진동자 밀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시스템
KR102583906B1 (ko) 광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
KR10259296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90B1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490826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316446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6348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70543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