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108A -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108A
KR20210155108A KR1020200072184A KR20200072184A KR20210155108A KR 20210155108 A KR20210155108 A KR 20210155108A KR 1020200072184 A KR1020200072184 A KR 1020200072184A KR 20200072184 A KR20200072184 A KR 20200072184A KR 20210155108 A KR20210155108 A KR 2021015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occlusion
sensors
tooth
tooth contact
cont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5072B1 (en
Inventor
우승탁
박영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7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72B1/en
Publication of KR2021015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a method thereof.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ing part arrang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bone at the inner side of an electronic articula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t least one among tooth occlusal force, occlusal position and tongue pushing strength; a signal processing part for receiving a contact signal sensed by the sensors, and gener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ensors and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tooth contact strength by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sensed contact signal and computing the contact signal; and a data transmiss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an external monitor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eth expressed in natural conditions in daily life, tongue pushing motions, etc. can be measure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articulator,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reby accurately grasping the bad habits causing malocclusion.

Description

구강 내에 삽입되는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되는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전자 교합기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발현되는 치아의 교합력 및 교합위치, 치아에 작용하는 혀밀기 경직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치아 교합 관련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occlusal force of teeth expressed in daily lif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erted inside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iagnosing dental occlusion-related diseases at an early stage by monitoring an occlusal position and the rigidity of tongue push acting on teeth.

일반적으로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와 같은 치아 부정교합 관련 질병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최선이며, 장애를 인지하기 전에 징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general,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best to reduce dental malocclusion-related diseases such a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and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symptoms before recognizing the disorder.

치아 부정교합 관련 질병은 크게 턱 관절의 형상, 치아의 크기, 치조골의 크기 등에 의해 선천적으로 가지는 경우와 식습관, 구강 호흡, 혀의 운동 능력 저하 등에 의해 후천적으로 가지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Dental malocclusion-related diseases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are congenitally caused by the shape of the jaw joint, the size of the teeth, and the size of the alveolar bone, and those that are acquired by eating habits, oral respiration, and deterioration of the tongue's exercise capacity.

턱 관절의 형상, 치아의 크기 및 치조골의 크기 등 선천적인 원인으로 인해 치아 부정교합 질병을 가지게 되는 경우 구조적인 문제로 치아의 교합력 및 교합 위치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반대로 치아에 작용하는 혀 밀기 및 혀의 위치 등의 개인 악습관으로 인해 턱 관절의 형상, 치아의 배열 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f you have a dental malocclusion disease due to congenital causes such as the shape of the jaw joint, the size of the teeth, and the size of the alveolar bone, problems such as the occlusal force and occlusal position of the teeth occur as a structural problem, and tongue pushing acting on the teeth And due to personal bad habit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tongue, problems in the shape of the jaw joint and the arrangement of teeth may occur.

실제로 평상시의 혀 내밀기 세기는 약 0.03 ~ 0.08 N의 크기를 가지며, 침 삼킴과 같은 구강 내 운동을 통해 발현되는 혀 밀기의 세기는 약 0.31 ~ 1.67 N에 달한다. 따라서, 치아의 교합력 및 교합 위치, 혀의 위치 및 혀 밀기 등 구개 운동을 측정하는 것은 선천적/후천적인 경우와 관계 없이, 치아 부정교합 관련 질병의 예방, 조기 진단, 치료 효율의 향상, 재발의 방지 등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fact, the strength of tongue thrust in a normal day has a size of about 0.03 to 0.08 N, and the intensity of tongue thrust expressed through oral movements such as swallowing saliva reaches about 0.31 to 1.67 N. Therefore, measuring the occlusal force and occlusal position of teeth, tongue position, and palatal motion such as tongue pushing, is to prevent dental malocclusion-related diseases, early diagnosis, improvement of treatment efficiency,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regardless of congenital/acquired cases. It can be used in general.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환자 본인 혹은 보호자의 주관적인 구두 보고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부분의 질문이 과거 회상형, 모호한 표현, 구체적이지 않은 시기 등으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혀와 구개 운동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모듈과 관련된 기술은 전무한 상황이다. However, in actual clinical practice, most of the cases rely on subjective oral reports of patients or guardians, and most of the questions are unreliable due to past recalls, vague expressions, and non-specific timings. In addition, there is no technology related to a sensor module capable of measuring tongue and palate movements.

최근 들어 전자구개도 기반의 소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혀 위치를 측정하게 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최소한 5~7세 이상의 언어 인지가 가능한 환자에 적용이 가능하고 구강 내 삽입되는 센서 모듈의 형태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관련도가 낮다.Recently, a technology for measuring the tongue position in children and adults based on the electronic palatine diagram has been introduced, but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patients who are at least 5-7 years of age and can recognize language and can be used in the oral cavity. The degree of relevance is low except for the type of sensor module to be inserted.

또한, 전자 교합기와 같은 치과용 병원에서 사용하는 교합모듈이 존재하지만 예방 및 예후 차원이 아닌 교정기 적용을 위한 치료목적의 일시적인 측정과 개인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능이 부재된 상태이다. In addition, occlusal modules used in dental hospitals such as electronic articulators exist, but daily life monitoring functions are absent for temporary measurement for therapeutic purposes for application of braces rather than prevention and prognosis and improvement of individual lifestyle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176호(2012.11.1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1176 (notice on November 13, 20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과용 전자 교합기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발현되는 치아의 교합력 및 교합위치, 치아에 작용하는 혀밀기 경직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치아 교합 관련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ntal occlusion-related diseases by monitoring the occlusal force and occlusal position of the teeth expressed in daily life, and the stiffness of tongue push acting on the teeth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erted inside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arly diagnosi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에 삽입되는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전자 교합기의 내측에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배열되며, 치아의 교합력, 교합 위치 및 혀 밀기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접촉 신호를 전달받고, 센싱된 접촉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치아 접촉세기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technical problem,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bone inside the electronic articulator, and the occlusal force of the teeth, the occlusal position and a sen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ongue pushing intensity, receiving touch signals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sensed touch signals, and then calculating and processing the touch signals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ooth contact strength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an external monitoring terminal.

상기 복수의 센서는, 개별소자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개별소자 방식은, 압전센서, 터치센서, AgCl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method of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or a capacitive and resistive film element method, and the individual el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or, and an AgCl electrode. .

상기 신호처리부는,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복수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신호의 크기 및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determine the magnitude and position of the pressure signal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by processing the signal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상기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를 곱해준 값과 같도록 하고,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by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as individual elements, ,

상기 복수의 센서가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를 더해준 값과 같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using a capacitive and resistive element method, it may be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to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치아 접촉 세기를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접촉세기가 기준 등급 이상이면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classify the tooth contact intensity into a plurality of grades, and generate a warning signal when the contact intensity measur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grade.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상기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치아 접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정상인의 치아 교합력, 치아 교합 위치 및 혀밀기 세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와 수신된 해당 측정 대상자의 치아 접촉 정보를 비교하여 부정 교합 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된 결과와 치아 접촉 세기 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data transmitt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ormal person's tooth occlusal force, a tooth occlusion position, and a tongue push strength, and the normal person's tooth contact information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malocclus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nd the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대상자의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output the strength of the force acting on the tooth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a schematic form, and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received tooth contact strength state information to graph it for each peri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치아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전자 교합기의 내에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치아의 교합력, 교합 위치 및 혀 밀기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접촉 신호를 전달받고, 센싱된 접촉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치아 접촉세기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monitoring tooth malocclusion using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position of teeth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 in the electronic articulator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tongue pushing intensity, receiving a touch signal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ooth contact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ooth contact intens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sensed touch signal Genera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an external monitoring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내 삽입 가능한 전자 교합기 내부에 삽입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일상 생활 속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발현되는 치아 및 혀 밀기 운동 등을 측정하여 부정 교합의 악습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d habits of malocclus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by measuring teeth and tongue pushing movements that are expressed in natural conditions in daily lif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articulato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교합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치아에 작용하는 접촉특성 등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개인의 악습관을 피드백하여 치아 부정교합 관련 질병의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lectronic articulat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onitor the contact characteristics acting on the teeth without an individual's awareness, and to provide feedback on the individual's bad habits to treat the fundamental problems of dental malocclusion-related diseases.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와 같은 구강 구조 관련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므로 치료에 대한 효과를 상승시키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oral structures, such a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are possible,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increased and recurrenc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교합기가 구강 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 형태로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설계되는 IC가 일체형으로 통합되어 집적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사이즈에 따른 불편이 적고 구강 내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강 내에 삽입하였을 때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하여 측정 대상자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articulato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uthpiece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and the IC desig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tegrated into an integrated body to achieve integration, so there is little inconvenience due to size and easy insertion into the oral cav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by preventing a feeling of foreignness whe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전자 교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싱부의 구현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정 교합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정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센서의 구현 방식에 따른 연산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onic articulator for dentistry shown in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2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monitoring terminal shown in FIG. 1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method for monitoring tooth maloccl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lcul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sensor in the dental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측정 대상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measurement target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은,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 및 모니터링 단말(2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00 and a monitoring terminal 200 .

먼저,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는 윗니 또는 아랫니를 본을 뜬 마우스피스 형태로 성형되며, 내측에 플렉시블한 인쇄회로기판(Print circuit board)이 삽입된다. 삽입된 인쇄회로기판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전송한다. First,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00 is molded in a mouthpiece shape simulating the upper or lower teeth,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therein. The inserte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s tooth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processing signals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즉,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는 구강 내에 삽입된 다음 아랫니 또는 윗니에 밀착되는 것으로 생체적합 재질의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어 생물학적 안정성을 보장하고, 측정 대상자로 하여금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t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r upper teeth, and is injection-molded with silicon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to ensure biological stability, and it is desirable to manufacture it so that the subject does not feel foreign. ,

또한, 측정 대상자가 수면 및 휴식 중에 발현되는 치아 맞물림 또는 혀 밀기 등의 행위에 의해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신호들을 연산 처리하여 획득한 측정 대상자의 치아 접촉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라이프 로그(life log) 데이터를 모니터링 단말(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a life log based on the measurement target's tooth contact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signals sens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by an action such as tooth meshing or tongue pushing, which is expressed while the measurement target is sleeping and rest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terminal 200 .

그리고 모니터링 단말(200)은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로부터 수신된 치아 접촉 정보와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비교하여 측정 대상자의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 등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와 치아 접촉 세기 상태를 출력한다. And the monitoring terminal 200 compar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00 with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of the measurement target occur, and the determined result and the tooth Outputs the contact strength status.

즉, 모니터링 단말(200)은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단말(200)에 출력된 판단 결과는 측정 대상자 및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또는 병의원 등에서 사용되는 단말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the monitoring terminal 200 may output the intensity of the force acting on the teeth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a schematic form, and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information and graph it for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utput to the monitoring terminal 200 may also be output through a terminal used by a terminal or a hospital or the like possessed by the person to be measured and the guardia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전자 교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싱부의 구현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는 센싱부(110), 신호처리부(120) 및 데이터송신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100 includes a sensing unit 110 , a signal processing unit 120 , and a data transmitting unit 1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싱부(110), 신호처리부(120) 및 데이터송신부(130)를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집적화하여 사이즈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고 부착을 용이하게 하였으나, 신호처리부(120) 및 데이터송신부(130)는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1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d the data transmitting unit 130 are integrated into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to minimize inconvenience due to size and facilitate attachment, bu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d the data transmitter 130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00 .

먼저, 센싱부(11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는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배열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PCB) 내에 부착된다. 복수의 센서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교합 위치, 교합력 및 혀 밀기 세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First,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attach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 The plurality of sensors measure at least one of an occlusal posi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an occlusal force, and a tongue pushing force.

복수의 센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 또는 압전형 필름 소자과 같이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또는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센서는 압전센서, 터치센서, AgCl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mplemented in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such as a touch sensor or a piezoelectric film element, as shown in FIG. 3A , or may be implemented in a capacitive or resistive film element method, as shown in FIG. 3B . Here, the sensor implemented as an individu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or, and an AgCl electrode.

그리고, 복수의 센서는 측정 대상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치아, 혀 밀기 등의 구강운동을 센싱하고, 센싱된 접촉 신호를 신호처리부(12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sense oral movements, such as teeth and tongue pushing, that the measurement target unconsciously performs, and transmits the sensed contact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

신호처리부(120)는 센싱부(110)로부터 센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 센서의 배열 위치에 따른 압력 레벨을 반영하여 센싱된 신호를 연산 처리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onverts the analo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 into a digital signal, removes noise from the converted signal, and reflects the pressure leve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nsors to calculate and process the sensed signal.

이때, 신호처리부(120)는 멀티플렉서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복수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신호의 크기 및 위치를 판별한다. 이때, 멀티플렉서 채널은 여러 개의 데이터열을 한꺼번에 처리가능하며, 복수의 센서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수가 상이하다.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alculates the received signal using the multiplexer channel,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and position of the pressure signal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In this case, the multiplexer channel can process several data streams at once, and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different according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plurality of sensors.

즉, 복수의 센서가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행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를 곱해준 값과 같도록 한다. That is, when a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as individual devices,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set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device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by the number of devic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그리고, 복수의 센서가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행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를 더해준 값과 같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using a capacitive and resistive element method,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to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let it be

그 다음, 신호처리부(120)는 연산 처리하여 획득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대한 치아 접촉 세기를 3개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즉, 신호처리부(120)는 측정된 세기값이 0.03N이하이면 낮은 등급으로 분류하고, 측정된 세기값이 0.04N 이상 0.08N이면 보통 등급으로 분류하고, 측정된 세기값이 0.09N이상이면 높은 등급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연산된 치아 접촉 세기값이 높은 등급에 해당하면, 신호처리부(120)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the tooth contact intens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obtained by the calculation process into three grades. That is, if the measured intensity value is 0.03N or les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it as a low grade, if the measured intensity value is 0.04N or more and 0.08N, it classifies it as a normal grade, and if the measured intensity value is 0.09N or more, it is classified as a high grade classified by grade. And, if the calculated tooth contact intensity value corresponds to a high grad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warning signal.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연산 처리된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 단말(200)에 전송한다.Fi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signal data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to the monitoring terminal 200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monitoring terminal shown in FIG.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판단부(23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 the monitor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 a storage unit 220 , a determination unit 230 , and a display unit 240 .

먼저, 통신부(210)는 무선통신부(130)와 Wi-Fi,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치아 접촉 정보를 수신한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Wi-Fi,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ike.

그리고 저장부(220)는 측정 대상자에 의해 입력된 정상인의 치아 교합력, 치아 교합 위치 및 혀밀기 세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0 stor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ooth occlusal force of a normal person, the tooth occlusion position, and the tongue push strength input by the measurement target.

이때, 저장부(220)는 소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와 같은 구강 구조 관련 질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연령대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후술되는 판단부(230)로부터 데이터를 요청받을 경우, 측정 대상자와 유사한 연령대의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20 classifies and stor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normal people by age group so as to monitor oral structure-related diseases such a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for children and adults, and a determination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When data is requested from the data center, it provid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of an age similar to the measurement target.

그리고 판단부(230)는 저장된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 중에서 측정 대상자와 유사한 연령으로 분류된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된 치아 접촉 정보와 비교한다. 그 다음, 판단부(230)는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측정 대상자의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30 extracts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classified as an age similar to the measurement target from the stor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and compares the extrac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with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Next, the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ment target i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마지막으로 표시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와 치아 접촉 세기 상태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240)는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하여 출력한다. Finally,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230 and the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That is, the display unit 240 outputs the intensity of the force acting on the teeth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a schematic form,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information and graphs it for each period and outputs it.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정 교합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onitoring malocclusion using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정 교합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method for monitoring tooth maloccl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센싱부(110)는 구강 내 치아 및 혀밀기 운동에 따른 압력을 센싱한다(510). As shown in FIG. 5 , first, the sensing unit 110 senses a pressure according to a tooth and tongue push movement in the oral cavity ( 510 ).

측정 대상자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형성된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를 윗니 또는 아랫니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치과용 전자 교합기(100)내에 포함된 센싱부(110)는 측정 대상자의 윗니와 아랫 사이에 발생되는 교합위치, 교합력 그리고 혀밀기에 따른 압력을 센싱한다. 이때, 센싱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는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각각 분산되어 장착된다. The measurement target inserts the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100 formed in the shape of a mouthpiece into the upper or lower teeth. Then, the sensing unit 110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ntal articulator 100 senses the occlusal position, occlusal force, and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10 are respectively dispersed and moun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bone.

이때, 복수의 센서는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정전용량 또는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소자 방식은 압전센서, 터치센서, AgCl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현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mplemented as an individual device method or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or resistive film device method, and the individual device method is implemented as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or, and an AgCl electrode.

그리고, 복수의 센서는 구강운동에 따라 측정된 신호를 신호처리부(12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transmits the signal measured according to the oral movemen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

그러면, 신호처리부(120)는 센싱된 신호를 변환하고 복수의 센서에 대한 배열 위치에 따라 센싱된 신호를 연산 처리한다(S520). 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onverts the sensed signal and processes the sensed signa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 S520 ).

자세히는, 센싱부(110)로부터 센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 후 복수의 센서의 배열 위치에 따른 압력 레벨을 반영하여 센싱된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analo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 into a digital signal, remove noise from the converted signal, and then process the sensed signal by reflecting the pressure level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ensors. do.

이때, 복수의 센서는 배열된 위치에 따라 구강 내 가해지는 접촉 강도(압력)가 상이하므로 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strength (pressure) applied in the oral cav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ensors,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and process the signals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by reflecting thi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정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센서의 구현 방식에 따른 연산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lcul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sensor in the dental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복수의 센서가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복수의 센서가 정전용량(capacitance) 방식 또는 저항막 소자(resistance)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when a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in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and FIG. 6B i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in a capacitance method or a resistance film method A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of

신호처리부(120)는 멀티플렉서 채널을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연산처리한다. 이때, 센싱부(110)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수는 각각 상이하게 구성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alculates and processes the input signal using the multiplexer channel. In this case,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a channel is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ensing unit 110 .

즉, 도 6a와 같이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S520 단계에서 신호처리부(120)는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를 배열된 개별 소자의 행과 열을 곱해준 값과 같도록 구성한다. That is, when implemented as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as shown in FIG. 6A , in step S520 ,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onfigures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for each channel to be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ows and columns of the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소자 방식에 따른 센서가 행방향으로 3개의 소자가 배열되어 있고, 열 방향으로 9개의 소자가 배열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총 27개가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assuming that the senso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lement method has three element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and nine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the signal data line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The total number is 27.

그리고, 신호처리부(120)는 채널에 따라 압력이 발생된 위치를 도식화하기 위하여 m ×n 형태의 행렬로 출력한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outputs the matrix in the form of m × n in order to schematically show the position where the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nnel.

또한, 도 6b의 경우와 같이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S520 단계에서 신호처리부(120)는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를 배열된 소자의 행과 열을 더해준 값과 같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when implemented by a capacitive method or a resistive element method as in the case of FIG. 6B , in step S520 ,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sets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for each channel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rows and columns of the arranged elements. make up a list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에 따라 배열된 센서의 라인에 있어서, 행방향으로 배열된 센서의 라인 수가 3개이고, 열방향으로 배열된 센서의 라인수가 9개라고 가정하면,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총 12개가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 in the sensor lines arranged according to the capacitive and resistive element method, the number of sensor line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3, and the number of sensor line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is 9 If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is 12,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12 in total.

그리고, 신호처리부(120)는 채널에 따라 압력이 발생된 위치를 도식화하기 위하여 m ×n 형태의 행렬로 출력한다. 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outputs the matrix in the form of m × n in order to schematically show the position where the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nnel.

한편, 신호처리부(120)는 치아 접촉 세기를 3개의 단계로 분류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하여 생성된 치아 접촉 세기가 분류된 등급 중 높은 등급으로 분류될 경우, 신호처리부(120)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S530).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the tooth contact intensity into three stages. And, when the tooth contact intensity gener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 is classified as a higher grade among the classified grade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warning signal (S530).

부연하자면, 평상시의 치아 접촉 세기는 대략 0.03N 내지 0.08N의 크기를 가지며, 침 삼킴과 같은 구강 내 운동을 통해 발현되는 치아 접촉 세기는 대략 0.31N 내지 1.67N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은 측정 대상자가 수면중인 상태에서의 치아 접촉 세기를 측정하므로, 신호처리부(120)는 평상시에 발현되는 치아 접촉 세기를 기준으로 등급을 분류한다. In other words, the normal tooth contact strength has a size of approximately 0.03N to 0.08N, and the tooth contact strength expressed through intraoral movement such as swallowing saliva has a size of approximately 0.31N to 1.67N. Since the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tooth contact intensity in a state in which the measurement target is sleep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the grade based on the tooth contact intensity that is normally expressed.

즉, 신호처리부(120)는 측정된 치아 접촉 세기가 0.03N이하이면 낮은 등급으로 분류하고, 측정된 치아 접촉 세기가 0.04N 이상 0.08N이하이면 보통 등급으로 분류하고, 측정된 치아 접촉 세기가 0.09N이상이면 높은 등급으로 분류한다.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as a low grade if the measured tooth contact intensity is 0.03N or less, and classifies it as a normal grade if the measured tooth contact intensity is 0.04N or more and 0.08N or less, and the measured tooth contact intensity is 0.09 If it is more than N, it is classified as high grade.

이때, 무의식적으로 발현된 구강운동에 따라 측정된 치아 접촉 세기가 높은 등급에 해당하면 부정 교합 및 악안면 장애를 일으킬 확률이 높으므로, 신호처리부(120)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At this time, if the tooth contact intensity measured according to the unconsciously expressed oral movement corresponds to a high grad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causing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s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warning signal.

그 다음, 무선 통신부(130)는 S520 단계에서 연산 처리하여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200)에 전송한다(S540). 여기서, 치아 접촉 정보는 복수의 센서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치아 접촉 세기를 포함하며, S530단계에서 치아 접촉 세기가 높은 등급으로 분류되었을 경우에는 경고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processing in step S520 to the monitoring terminal 200 (S540). Here,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tooth contact intensity measured by each sensor, and when the tooth contact intensity is classified as a high grade in step S530, i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ignal. .

모니터링 단말(200)의 통신부(210)는 S540단계에서 전송된 치아 접촉 정보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onitoring terminal 200 receiv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transmitted in step S540.

그러면, 판단부(230)는 수신된 치아 접촉 정보와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비교하여 부정교합 정도를 판단한다(S550).Then, the determination unit 230 compares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with the normal person's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locclusion ( S550 ).

부연하자면, 모니터링 단말(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20)는 입력된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연령대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In other words, the monitoring terminal 200 stor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input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220 .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220 classifies and stores the input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by age group.

그 다음, 판단부(230)는 측정 대상자와 유사 연령대의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판단부(230)는 S540단계에서 수신된 치아 접촉 정보를 기 저장된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와 비교하여 측정대상자의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Next, the determination unit 230 extracts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of a similar age to the measurement target. Then, the determination unit 230 compares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540 with the pre-stor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ment target ha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마지막으로, 표시부(240)가 S550단계의 판단결과를 치아 접촉 세기 상태와 함께 표시한다(S560). Finally,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550 together with the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S56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자에 의해 소지되거나 병의원 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모니터링 단말(300)로부터 S570 단계에서 표시한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pplication pre-installed o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guardian or used in a hospital or clinic is executed, the intensity of the force acting on the teeth displayed in step S570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300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t is output in a schematic form, and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to be graphed by peri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내 삽입 가능한 전자 교합기 내부에 삽입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일상 생활 속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발현되는 치아 및 혀 밀기 운동 등을 측정하여 부정 교합의 악습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d habit of malocclusion can be prevented by measuring teeth and tongue pushing movements that are expressed in natural conditions in daily lif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erted inside an electronic articulato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교합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치아에 작용하는 접촉특성 등을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개인의 악습관을 피드백하여 치아 부정교합 관련 질병의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lectronic articulat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onitor the contact characteristics acting on the teeth without an individual's awareness, and to provide feedback on the individual's bad habits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dental malocclusion-related diseas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eat 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정교합 및 악안면 장애와 같은 구강 구조 관련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므로 치료에 대한 효과를 상승시키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oral structures, such as malocclusion and maxillofacial disorder, are possibl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can be increased and recurrenc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교합기가 구강 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 형태로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설계되는 IC가 일체형으로 통합되어 집적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사이즈에 따른 불편이 적고 구강 내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강 내에 삽입하였을 때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하여 측정 대상자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articulato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uthpiece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and the IC desig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tegrated into an integrated body to achieve integration, so there is less inconvenience due to size and the oral cavit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by preventing a sense of heterogeneity whe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치과용 전자 교합기
110 : 센싱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데이터 송신부
200 : 모니터링 단말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판단부
240 : 표시부
100: dental electronic articulator
110: sensing unit
120: signal processing unit
130: data transmitter
200: monitoring terminal
210: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storage
230: judgment unit
240: display

Claims (15)

구강 내에 삽입되는 전자 교합기를 이용한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합기의 내측에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배열되며, 치아의 교합력, 교합 위치 및 혀 밀기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접촉 신호를 전달받고, 센싱된 접촉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치아 접촉세기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 sensing unit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electronic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bone, the sen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ooth occlusal force, occlusal position, and tongue pushing strength;
A tooth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ooth contact strength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y receiving a touch signal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sensed touch signal, and processing the touch signal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contact information; and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an external monitor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개별소자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개별소자 방식은,
압전센서, 터치센서, AgCl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현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ensors,
It is implemented in either an individual device method or a capacitive and resistive film device method,
The individual device method is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or, and an AgCl electr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복수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신호의 크기 및 위치를 판별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pressure signal applied to a plurality of sensors by processing a signal according to a multiplexer chan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를 곱해준 값과 같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가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를 더해준 값과 같도록 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in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using a capacitive and resistive element method,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to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치아 접촉 세기를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접촉세기가 기준 등급 이상이면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ignal processing unit,
Classifying the tooth contact strength into a plurality of grades,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contact strength measur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is higher than a reference gr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상기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치아 접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정상인의 치아 교합력, 치아 교합 위치 및 혀밀기 세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와 수신된 해당 측정 대상자의 치아 접촉 정보를 비교하여 부정 교합 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된 결과와 치아 접촉 세기 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ormal person's tooth occlusion force, a tooth occlusion position, and a tongue push intensity;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malocclusion by comparing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the normal person with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nd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nd the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정 대상자의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unit,
A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that outputs the strength of the force acting on the teeth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a schematic form, and accumulatively stores and graphs the received tooth contact strength state information for each period.
부정 교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치아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전자 교합기의 내에 치아의 방향 및 악골의 구조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치아의 교합력, 교합 위치 및 혀 밀기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접촉 신호를 전달받고, 센싱된 접촉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센서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치아 접촉세기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치아 접촉 정보를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In the dental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using the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Measuring at least one of occlusal force, occlusal position, and tongue pushing strength of the teeth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and the structure of the jaw in the electronic articulator;
receiving a touch signal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generat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ooth contact intens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sensed touch signal; and
Tooth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oth contact information to an external monitoring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수신된 치아 접촉 정보를 이용하여 부정교합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및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치아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nitoring terminal,
A tooth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malocclusion using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determination result and tooth contact strength state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개별소자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개별소자 방식은,
압전센서, 터치센서, AgCl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현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sensors,
It is implemented in either an individual device method or a capacitive and resistive film device method,
The individual device method is
A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or, and an AgCl electr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복수의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신호의 크기 및 위치를 판별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A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and position of a pressure signal applied to a plurality of sensors by processing a signal according to a multiplexer chan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 채널에 따른 신호 데이터 라인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개별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소자의 개수를 곱해준 값과 같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가 정전용량 및 저항막 소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행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에 열 방향으로 배열된 라인의 개수를 더해준 값과 같도록 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number of signal data line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hannel is,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in an individual element method,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element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implemented using a capacitive and resistive element method, the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is configured to equal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to the number of lines arranged in a row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접촉세기를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된 접촉세기가 기준 등급 이상이면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enerating of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comprises:
Classifying the calculated contact strength into a plurality of grades,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contact strength measur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grade.
제8항에 있어서,
정상인의 치아 교합력, 치아 교합 위치 및 혀밀기 세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접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결과 및 치아 접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인의 치아 접촉 정보와 수신된 해당 측정 대상자의 치아 접촉 정보를 비교하여 부정 교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ormal person's tooth occlusion force, a tooth occlusion position, and a tongue push intensity;
The step of outpu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A malocclusion monitor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malocclusion by comparing the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the normal person with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nd tooth contact strength state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 및 혀의 위치를 도식화된 형태로 출력하며, 전달받은 치아 접촉 세기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시기별로 그래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정 교합 모니터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intensity of the force acting on the teeth of the subject to be measured and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a schematic form, and accumulatively storing the received tooth contact intensity state information and graphing it for each period.
KR1020200072184A 2020-06-15 2020-06-15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KR102455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84A KR102455072B1 (en) 2020-06-15 2020-06-15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84A KR102455072B1 (en) 2020-06-15 2020-06-15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08A true KR20210155108A (en) 2021-12-22
KR102455072B1 KR102455072B1 (en) 2022-10-14

Family

ID=7916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84A KR102455072B1 (en) 2020-06-15 2020-06-15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0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09A (en) * 2022-03-25 2023-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hysical coordinate system inte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inproving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143A (en) * 2004-03-22 2005-10-06 J Morita Tokyo Mfg Corp Dental occlusal pressure measuring/occlusion controlling system and dental occlusal pressure measuring device
JP2008256470A (en) * 2007-04-03 2008-10-23 Nitta Ind Corp Pressure distribution sensor system
JP2015136620A (en) * 2014-10-06 2015-07-30 合同会社Mott Occlusal force detection device and occlusal force detection method
JP2015144695A (en) * 2014-02-02 2015-08-13 キープ・アップ株式会社 Device for measuring oral cavity-related pressure
KR20200001051A (en) * 2018-06-26 2020-01-06 (주)스마투스코리아 Wireless occlusal force measuring sensor used for occlusal adjustment and Wireless occlusal forc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143A (en) * 2004-03-22 2005-10-06 J Morita Tokyo Mfg Corp Dental occlusal pressure measuring/occlusion controlling system and dental occlusal pressure measuring device
JP2008256470A (en) * 2007-04-03 2008-10-23 Nitta Ind Corp Pressure distribution sensor system
JP2015144695A (en) * 2014-02-02 2015-08-13 キープ・アップ株式会社 Device for measuring oral cavity-related pressure
JP2015136620A (en) * 2014-10-06 2015-07-30 合同会社Mott Occlusal force detection device and occlusal force detection method
KR20200001051A (en) * 2018-06-26 2020-01-06 (주)스마투스코리아 Wireless occlusal force measuring sensor used for occlusal adjustment and Wireless occlusal forc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009A (en) * 2022-03-25 2023-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hysical coordinate system inte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inproving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072B1 (en)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s et al. A novel sensor for bite force determinations
US9974473B2 (en) Swallowing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5361858B (en) A kind of method and wearable device of blood pressure data processing
US20220117777A1 (en) Sleep monitoring device
JP2007190126A (en) Slee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455072B1 (en) Malocclu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articulat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method thereof
WO2007108322A1 (en) Diagnosis system and program to be used in the diagnosis system
Sardini et al. Wireless intraoral sensor for the physiological monitoring of tongue pressure
TWI757737B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KR101825872B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Davies et al. Assessing pain in people with profound learning disabilities
KR102255090B1 (en) Early prediction system for infantile developmental disorder based on baby pacifier type sensor and method thereof
US11800259B2 (en) Biological monitoring device
US20220095918A1 (en) Biological monitoring device
KR102262860B1 (en) Oral wearable device
JP3867331B2 (en) Elastic modulus measuring device and palpation device
KR102479470B1 (en) Sensor-based palatal movement-related disease prediction system
KR20170017975A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EP4017343A1 (en) Personalized tongue-machine-interface
Taniguchi et al. A basic study for estimation of occlusal force using an ear wearable sensor
JP6174965B2 (en) A device for monitoring the pressure in the oral cavity or pharynx
Peña-Cortés et al. Warning and rehabilitation system using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in cases of bruxism
Mirchandani Study and measure of the mechanical pressure exerted by the tongue on the complete denture during the production of speech and swallowing
AU2021106623A4 (en) A system for measuring tongue pressure
CN211535088U (en) Tooth socket type snore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