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040A -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 Google Patents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040A
KR20210155040A KR1020200071975A KR20200071975A KR20210155040A KR 20210155040 A KR20210155040 A KR 20210155040A KR 1020200071975 A KR1020200071975 A KR 1020200071975A KR 20200071975 A KR20200071975 A KR 20200071975A KR 20210155040 A KR20210155040 A KR 20210155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disinfectant solution
built
li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508B1 (ko
Inventor
최세운
홍선우
강성민
공서의
김도윤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5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65D51/24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ocated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액과 스패츌러 보관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취할 때 사용하는 스패츌러를 뚜껑에 마련된 스패츌러 보관부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패츌러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 내부의 소독액 수용부에 내장된 소독액을 사용하여 주변환경과 스패츌러를 청결하게 하여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사용하고 스패츌러를 보관할 수 있으며, 휴대 사용시 스패츌러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리를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A Liquid container with disinfectant solution and spatula}
본 발명은 액상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용물을 퍼낼 때 사용하는 스패츌러를 뚜껑에 마련된 스패츌러 보관부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패츌러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소독액이 내장되어 있는 소독액 수용부가 뚜껑에 마련되어 있어 주변 환경 및 스패츌러를 소독처리할 수 있어 내용물이 사용되어지는 환경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 사용시 스패츌러가 흔들려 발생하는 소리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크림 타입이나 겔 타입의 화장품 또는 연고 등을 사용할 때 손가락으로 내용물을 직접 찍어 피부에 바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손가락에 찍어 사용할 경우,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손가락이 청결하지 못할 때에는 손에 묻어 있던 이물질이 내용물로 혼입되어 내용물을 더럽히거나 세균 번식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크림 타입이나 겔 타입의 액상 내용물을 스패츌러로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패츌러가 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께 제공되는 스패츌러는 내용물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부에 덮여져 내용물이 뚜껑 내저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중간마개 위에 넣어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마개 위에 스패츌러를 보관할 경우, 스패츌러는 중간마개에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져 있어 휴대시에 스패츌러가 흔들려 소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야기되고, 또한 스패츌러가 보관되는 중간마개를 수납부로부터 벗겨낸 상태에서 중간마개가 놓이는 장소가 청결하지 못하여 중간마개에 먼지 등이 묻어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패츌러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 이러한 스패츌러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 등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 후 스패츌러를 따로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어 스패츌러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가 야기되고, 스패츌러가 놓이는 장소가 청결하지 않다면 스패츌러에 이물질 등이 묻어 내용물로 혼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패츌러 보관부 및 소독액 수용부를 뚜껑에 형성하여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에 스패츌러를 보관함으로써, 내용물을 보다 편안하게 취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 및 스패츌러를 소독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사용하는 환경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패츌러가 스패츌러 보관부에 보관됨에 따라 휴대 중에 스패츌러가 흔들려 소리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패츌러를 보관할 수 있는 스패츌러 보관부; 및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 하부에 위치하며, 소독액이 내장되어 있는 소독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의 바닥면 일단에 내장된 소독액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에 넣어져 보관되는 스패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뚜껑은 외캡과 내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상단 모서리 일측에는 스패츌러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제2상면에는 스패츌러가 안착되는 스패츌러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는 상기 외캡의 내부로 상기 내캡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외캡의 제1상면과 상기 외캡의 둘레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면에서 상기 삽입홈 내부 방향으로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 높이의 1/2인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액 수용부는 상기 내캡의 제2상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와 접촉하는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밀폐시키는 밀폐캡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캡의 제2상면은 내장된 소독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성있는 소재로 만들 수 있다.또한, 상기 스패츌러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용기는, 뚜껑에 스패츌러를 보관할 수 있는 스패츌러 보관부와 소독액 수용부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스패츌러의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소독액으로 주변 환경과 스패츌러를 소독할 수 있어 내용물을 사용하는 환경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스패츌러가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상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뚜껑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캡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는 내캡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패츌러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을 스패츌러로 퍼내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되어 있는 액상 용기는, 내용물이 수납되어 있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에 대하여 나사식 결합되는 뚜껑(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물은 파운데이션, 수분크림, 스크럽제 등과 같은 크림 또는 겔 타입의 화장품이거나 여드름 연고, 화상 연고 등과 같이 피부에 바르는 의약품일 수도 있으나 화장품과 의약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200)이 나사식 결합되어지는 나사산을 가지는 개구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2는 뚜껑(200)의 분해 사시도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에 나사결합식 장착 또는 분리되는 뚜껑(200)은 외캡(220)과 내캡(23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뚜껑(200)은 상기 외캡의 제1상면(222)과 상기 내캡의 제2상면(232)이 만나고, 상기 외캡의 제1둘레면(221)과 상기 내캡의 제2둘레면(231)이 만나도록 상기 외캡(220)의 내부로 상기 내캡(230)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며, 스패츌러 보관부(240), 소독액 수용부(234) 및 스패츌러(2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뚜껑(200)에 구비된 스패츌러(210)는 스패츌러(210) 자체가 항균 효과가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패츌러는 항균 소재인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BiocleanAct,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작되거나, 산화아연, 나노은, 산화구리, 아산화구리 등과 같이 항균 기능이 있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캡(220)의 상단 모서리 일측에는 스패츌러(210)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4)은 ‘ㄱ’ 자 형태로 상기 외캡의 제1상면(222)일측에서 상기 외캡의 둘레면(22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상면(222) 일측은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윗면과 대응되고, 둘레면(221) 일측은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홈(224)과 상기 스패츌러의 손잡이(211)가 밀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상면(222)일측에서 상기 삽입홈(224) 내부 방향으로 걸림턱(223)을 형성하여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스패츌러의 손잡이(211)가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내로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하여 스패츌러(210)를 편한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은(223)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211) 높이의 1/2크기로 형성되나,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내로 들어갈 수 있다면 스패츌러 손잡이(211) 높이의 1/2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1에는 상기 걸림턱(223)이 상기 제1상면(220)과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캡(230)의 제2상면(232)에는 스패츌러(210)가 안착되는 스패츌러 안착홀(2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은 상기 스패츌러 삽입홈(224)을 통해 들어온 스패츌러(2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패츌러 삽입홈(224)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진다.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길이는 스패츌러(210) 길이와 대응되고, 깊이는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는 상기 외캡(230)의 내부로 상기 내캡(230)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캡(220)의 상단 모서리 일측에 형성된 스패츌러 삽입홈(224)과 상기 내캡(230)의 스패츌러 안착홀(233)이 일치하도록 조립하여 형성되어 진다.
한편, 상기 내캡(230)과 상기 외캡(220)은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캡(220)의 둘레면 내부의 하단 양쪽에 대응되게 결합돌기(225a, b)를 형성하고, 상기 내캡(230)의 둘레면 하단 양쪽에 상기 결합돌기(225a, b)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225a, b)와 결합되는 결합홀(236a, b)을 형성하여 상기 내캡(230)과 상기 외캡(220)이 탈착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외캡의 둘레면(221)을 한 손으로 잡고 힘을 줘서 돌리면 상기 내캡의 결합홀(236a, b)과 결합되어있는 상기 외캡의 결합돌기(225a, b)가 상기 결합홀(236a, b)과 분리되어지면서 상기 내캡(230)과 상기 외캡(220)은 분리된다.
반대로, 분리된 상기 외캡(220)을 상기 내캡(230)에 씌우고 상기 결합돌기(225a, b)가 상기 결합홀(236a, b)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외캡의 둘레면(221)을 한 손으로 잡고 돌려 상기 결합돌기(225a, b)와 상기 결합홀(236a, b)이 결합되면 상기 외캡(220)과 상기 내캡(23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225a, b)와 상기 결합홀(236a, b)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외캡(220)과 상기 내캡(230)이 분리되었다가 결합될 때 상기 외캡의 스패츌러 삽입홈(224)과 상기 내캡의 스패츌러 안착홀(233)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캡의 스패츌러 안착홀(233) 하부의 내부공간에는 소독액이 내장되어 있는 소독액 수용부(2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 하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와 나사식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는 상기 내캡(230)의 내부공간에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하부와 상기 나사산 상부 각각에 경계면(237a, 237b)이 있어 형성되어 진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에 내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토출되도록 상기 스패츌러 삽입홈(224)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캡의 경계면(237a)을 관통하는 토출구(235)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시 상기 토출구(235)를 통하여 소독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패츌러의 손잡이(211)가 상기 토출구(235)의 뚜껑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스패츌러의 손잡이(211)의 바닥면은 상기 토출구(235)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밀폐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235)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재는 스킨/토너 화장품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도 한 번에 많은 양이 나오지 않도록 하는 부재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진다.
상기 토출구(235)의 지름은 상기 토출구(235)에 장착되는 상기 토출부재가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부재의 지름과 일치하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토출구(235)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밀폐돌기(212)는 바닥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에 토출구(235)와 결합하여 밀폐시키는 밀폐캡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캡은 상기 토출구(235)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바닥면과 만나는 부분은 납작한 형태로 측면에서 볼 때 ‘모자’를 거꾸로 뒤집어 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는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장된 소독액이 부족하면 소독액을 충액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의 개폐는 상기 외캡(220)과 상기 내캡(230)의 분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상기 내캡(230)이 상/하부로 분리되어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의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의 둘레면과 만나는 상기 내캡 둘레면(231)의 내부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식 결합 방식으로 상기 내캡(230)이 상/하부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의 나사식 개폐 방식은 일 실시예로 나사식 결합 방식 외에 다른 개폐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에 내장된 소독액은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가 개폐되지 않더라도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구(235)을 통해 충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바닥면은 상기 내캡 경계면(237a)의 일부로 상기 내캡 경계면(237a)은 가시성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캡의 경계면(237a)이 가시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의 내부를 볼 수 있어 내장된 소독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시성 있는 소재는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장된 소독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면 가시성 있는 소재는 나열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벽면 중 상기 스패츌러 삽입홈(224)과 반대 방향에 있는 벽면에는 스프링 구성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구성은 일단에는 호형상의 단면을 갖는 헤드부가 장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구성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일단에는 상기 토출구(235)가 형성되어야 하고, 타단의 벽면에는 상기 스프링 구성이 부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길이는 상기 스패츌러(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구성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스패츌러 안착홀(233)의 바닥면에는 반구형의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 구성이 스패츌러(210)에 의하여 가압되어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의 헤드부가 가압돌기에 걸리게 하여 상기 스프링 구성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패츌러(210)를 보관하기 위해 스패츌러 보관부(240)로 삽입하게 되면 스패츌러(210)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헤드부가 밀려져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고, 압축된 스프링은 스프링의 헤드부가 가압돌기에 걸려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스패츌러(210)가 보관될 수 있다.
반대로, 스패츌러 보관부(240)로부터 스패츌러(210)를 인출하기 위해 스패츌러(210)를 스패츌러 보관부(240) 안쪽으로 밀게되면 가압돌기에 걸려있던 스프링의 헤드부가 빠져나와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스패츌러(210)를 외부로 밀어내므로 스패츌러(21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패츌러(210)가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211)와 상기 외캡(2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23)은 맞닿아 있으므로, 상기 스패츌러의 손잡이(210)나 상기 걸림턱(223)에 자석을 포함시켜 상기 뚜껑(200)과 상기 스패츌러(210)가 밀착하여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뚜껑(200)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휴대시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아 상기 스패츌러(2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뚜껑(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바닥면과 상기 토출구(235)간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휴대시 상기 스패츌러(210)가 상기 뚜껑(200)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소독액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을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211)나 걸림턱(223) 중 한쪽에 포함시키고, 다른 한쪽에는 자석이나 금속과 같이,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사용되어지는 자석은 용기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고무 자석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고무 자석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체 자석, 네오디뮴 자석 등과 같이 고무 자석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211)의 윗면에는 일정한 홈이 나열되어 있어 손톱을 이용하여 스패츌러(210)를 스패츌러 보관부(240)로부터 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스패츌러로 내용물을 취할 때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외캡(220)과 내캡(230)의 조립으로 형성되어진 뚜껑(200)의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스패츌러(210)를 끼워 보관할 수 있고, 소독액 수용부(234)에 내장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주변환경 및 스패츌러(210)를 소독하여 청결하게 하여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스패츌러(210)가 보관되어지고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에 소독액을 내장하고 있는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에 장착하여 수납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하게 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에 수납되어진 내용물을 취하기 위하여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보관되어 있는 스패츌러(210)를 꺼내야 한다.
스패츌러(210)를 꺼낼 때에는 한 손으로 용기 본체(1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보관되어 있는 스패츌러(210)의 손잡이(211)를 잡고 잡아당기면 스패츌러(210)가 스패츌러 보관부(24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로부터 스패츌러(210)를 꺼낸 후, 뚜껑(200)을 열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스패츌러(210)로 취하여 내용물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내용물을 이용하기 전 상기 소독액 수용부(234)에 내장된 소독액을 상기 토출구(235)를 통해 토출시켜 주변 환경 및 스패츌러를 소독한 후 내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내용물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에 장착한 후,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스패츌러(210)를 끼워 보관하게 된다.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240)에 삽입하기 전 사용이 끝난 상기 스패츌러(210)를 내장된 소독액을 이용하여 소독처리한 후 보관하게 되면 잔여 내용물이 상기 스패츌러(210)의 겉에 묻어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100 : 용기 본체 110 : 수납부
200 : 뚜껑 210 : 스패츌러
220 : 외캡 230 : 내캡
211 : 손잡이 221 : 둘레면
222 : 제1상면 223 : 걸림턱
224 : 스패츌러 삽입홈 231 : 토출구
232 : 제2상면 233 : 스패츌러 안착홀
234 : 소독액 수용부

Claims (8)

  1. 액상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패츌러를 보관할 수 있는 스패츌러 보관부; 및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 하부에 위치하며, 소독액이 내장되어 있는 소독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의 바닥면 일단에 내장된 소독액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에 넣어져 보관되는 스패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외캡과 내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상단 모서리 일측에는 스패츌러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제2상면에는 스패츌러가 안착되는 스패츌러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패츌러 보관부는 상기 외캡의 내부로 상기 내캡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외캡의 제1상면과 상기 외캡의 둘레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면에서 상기 삽입홈 내부 방향으로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 높이의 1/2인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수용부는 상기 내캡의 제2상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와 접촉하는 상기 스패츌러 손잡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밀폐시키는 밀폐캡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의 제2상면은 내장된 소독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성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8. 재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패츌러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1020200071975A 2020-06-15 2020-06-15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10236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75A KR102360508B1 (ko) 2020-06-15 2020-06-15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75A KR102360508B1 (ko) 2020-06-15 2020-06-15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040A true KR20210155040A (ko) 2021-12-22
KR102360508B1 KR102360508B1 (ko) 2022-02-08

Family

ID=7916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75A KR102360508B1 (ko) 2020-06-15 2020-06-15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784U (ko) * 1986-09-25 1988-04-09
JPH0736983U (ja) * 1993-12-27 1995-07-11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抗菌性しゃもじ
KR200405093Y1 (ko) *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주걱 보관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922710B1 (ko) * 2017-07-14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용기
KR102027490B1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784U (ko) * 1986-09-25 1988-04-09
JPH0736983U (ja) * 1993-12-27 1995-07-11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抗菌性しゃもじ
KR200405093Y1 (ko) * 2005-10-25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주걱 보관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922710B1 (ko) * 2017-07-14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용기
KR102027490B1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508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376B2 (en) Contact lens case
KR200405093Y1 (ko) 주걱 보관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1989005695A1 (en) Liquid applicator
KR20100001116U (ko) 주걱 보관이 가능한 내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40141719A (ko) 구강관리기구의 패키지와 그 사용 방법
KR102360508B1 (ko)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20160123039A (ko) 화장품 용기
US11202894B1 (en) Recloseable swab applicator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AU2005332384A1 (en) Medicine container
US20080015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body piercings
JP4431669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JP2008534150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容器およびアプリケータとその使用方法
JP2021087530A (ja) 容器
JP3208982U (ja) 射精促進器
CN213789564U (zh) 一种便携式伤口处理装置
KR101457800B1 (ko) 화장품 용기
JP7406671B1 (ja) 歯磨きチューブ及び歯ブラシのホルダー
KR20150002401U (ko) 젤 타입의 화장품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콤팩트케이스
KR102283447B1 (ko) 치약 토출용 뚜껑
JP7289536B2 (ja) 射精促進器
CN209996764U (zh) 一种便携式药盒
RU2332196C1 (ru) Набор для антисеп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KR200237914Y1 (ko) 세정크리너용 케이스
KR101961358B1 (ko) 밀폐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