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670A -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670A
KR20210154670A KR1020200089071A KR20200089071A KR20210154670A KR 20210154670 A KR20210154670 A KR 20210154670A KR 1020200089071 A KR1020200089071 A KR 1020200089071A KR 20200089071 A KR20200089071 A KR 20200089071A KR 20210154670 A KR20210154670 A KR 2021015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air
unit
filter
fil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정
Original Assignee
최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정 filed Critical 최우정
Publication of KR2021015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과 같은 다중시설에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하면서 소독제를 이용하여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하고, 사용된 소독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상하 및 양측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측으로 유입되어서 타측으로 배출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상부가이드홀(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부판(20)과, 바디(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다수의 하부가이드홀(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판(30)과, 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홀(41)이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40)과, 상부판(20)의 상부가이드홀(21)들 및 하부판(30)의 하부가이드홀(3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서 격벽(4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격벽(40)들의 공기유통홀(41)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벨트형태의 필터(50)와, 필터(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안내롤러(60)와, 필터안내롤러(60)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와, 상부판(2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들을 커버하는 상부커버(90)와, 하부판(3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하는 필터(50)에 살균제를 제공하는 살균제공급부(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AIR STERILIZER FOR MULTIPLE FACILITI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과 같은 다중시설에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하면서 소독제를 이용하여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하고, 사용된 소독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조기로 제공할 수 있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을 생활화하여야 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고, 바이러스나 세균 전파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수단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로, 코로나19, 메르스(mers),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이 전염성 및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상당한 인명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소비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역에 따른 방대한 인력과 재화가 투입되므로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여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가 전파됨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지하철 역사, 지하상가와 같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제정하여 공공의 장소에서 지켜야 할 기준을 제시하고 매년 측정, 유지관리토록 하고 있지만, 아직 대부분이 기준치 이내이어서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더욱이,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에서 사용되는 공조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다중이용시설에서 사용되는 공조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는 멸균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특허공보 10-2116370호가 2020.05.22.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과 같은 다중시설에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하면서 소독제를 이용하여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하고, 사용된 소독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조기로 제공할 수 있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는, 내부공간이 상하 및 양측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측으로 유입되어서 타측으로 배출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상부가이드홀(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부판(20)과, 바디(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다수의 하부가이드홀(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판(30)과, 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홀(41)이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40)과, 상부판(20)의 상부가이드홀(21)들 및 하부판(30)의 하부가이드홀(3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서 격벽(4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격벽(40)들의 공기유통홀(41)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벨트형태의 필터(50)와, 상부판(20) 및 하부판(30)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감겨지는 필터(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안내롤러(60)와, 필터안내롤러(60)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와, 상부판(2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들을 커버하는 상부커버(90)와, 하부판(3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하는 필터(50)에 소독제를 제공하는 소독제공급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디(10)는 전후좌우에 배치되어서 연결되는 다수의 외벽(11)으로 구성되고, 전후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좌우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격벽(40)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다수의 슬롯(1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부판(20)은 격벽(40)의 상부에 지지되어 격벽(40)의 사이를 폐쇄하면서 상부가이드홀(21)이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메인판(22)과, 메인판(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부가이드홀(21)을 폐쇄하는 보조판(23)과, 메인판(22)에 보조판(23)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공급부(10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져서 필터(50)에 접촉되고, 소독제는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필터안내롤러(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서 필터(50)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61)를 포함하고, 먼지제거부(61)는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되는 필터(5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롤러(62)와, 필터안내롤러(60)의 회전력을 먼지제거롤러(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3)와,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64)를 포함하며, 간격유지부(64)는 필터안내롤러(60)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일단에 형성되고 먼지제거롤러(62)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타단에 형성되는 판으로 구성되고,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하중이 하부에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소독제를 제거하는 소독제제거부(1200)를 포함하고, 소독제제거부(1200)는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공기건조부(1210)와, 공기건조부(1210)에 의해 건조된 공기에서 소독제를 필터링하는 소독제필터(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공기건조부(1210)는 바디(10)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관체(1211)와, 공기관체(1211)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냉기를 제공하여 관류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부(1212)와, 수분분리부(1212)로 관류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1213)와, 수분분리부(1212)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부(1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체(200)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체(300)와, 공기유입관체(200) 및 공기배출관체(300)의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가 관류되는 다수의 연결관체(400)와, 공기유입관체(200)에 상단이 연결되고 연결관체(400)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부(500)와, 연결관체(400)들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관체(6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공기가 소독제에 접촉되게 하여 공기에서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유해균필터부(7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연결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800)와, 연결관체(400)들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관체(900)와, 공기배출관체(300) 및 연결관체(400)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기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공기이송부(1000)와, 공기배출관체(30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서 방사하는 공기방사부(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연결관체(600)는 양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상부연결관체(900)는 양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해균필터부(700)는 소독제가 적셔지는 다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공급부(800)는 하부연결관체(600)의 하부에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지는 소독제통(810)과, 소독제통(810)에 내장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로 소독제를 상승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상승공급부(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상승공급부(820)는 소독제가 적셔지도록 다공체로 구성되면서 상단이 유해균필터부(70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몸체(201)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소독제공급관(203)을 통해 소독제를 이동시켜서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205)와,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와, 필터부(206)들의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를 회전되게 안내하여서 공기에 혼합된 소독제를 분산시키는 소독제분산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충전통(202)은 내부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압조절부(202h)를 포함하고, 공기압조절부(202h)는 소독제충전통(20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공기가 유통되는 유통관체(202i)와, 유통관체(202i)에 끼워져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마개(202j)를 포함하며, 유통관체(202i)는 외측면의 끝단에서 일정길이만큼 개방홈(202k)이 형성되고, 개방홈(202k)에서 일정간격마다 측방으로 걸림홈(202l)이 형성되며, 개방홈(202k)에서 이격되면서 측방으로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측방홀(202m)이 형성되고, 마개(202j)는 유통관체(202i)의 개방홈(202k)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홈(202l)들 중 어느 하나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돌기(202n)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분사부(205)는 몸체(201)에 장착되고 소독제공급관(203)에서 몸체(201)의 내부공간까지 연통되어 소독제를 흡입하는 흡입홀(205a)이 형성되는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태의 턱으로 구성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회전시켜서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외측프레임(207a)와, 외측프레임(207a)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207b)과, 외측프레임(207a) 및 내측프레임(207b)의 사이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날개(20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측프레임(207a)은 내부공간을 따라 공기가 이동되는 관체로 구성되고, 내측프레임(207b)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지름이 외측프레임(207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양단에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콘형태의 분산돌기(207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독제는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을 포함하며, 소독제충전통(202)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부(301)를 포함하고, 물공급부(301)는 소독제충전통(202)의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302)과, 물공급노즐(302)을 개폐하는 밸브부(303)와, 물공급노즐(30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충전통(304)과,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소독제의 높이에 따라 작동되어 밸브부(303)를 조작하는 밸브작동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물공급노즐(302)은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물충전통(304)이 연결되며, 물이 관류되는 관로(302a)가 형성되고, 관로(302a)의 측방에 연통되게 개폐통로(302b)가 형성되고, 밸브부(303)는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물공급노즐(302)의 개폐통로(302b)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관로(302a)를 개폐하는 개폐샤프트(303a)와,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개폐샤프트(303a)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03b)를 포함하며, 밸브작동부(305)는 소독제에서 부유하는 부레(305a)와, 부레(305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샤프트(305b)와, 개폐샤프트(303a)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샤프트(305b)의 타단에 이격되면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샤프트(30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를 관통하여서 내부공간으로 상단이 돌출되고 소독제충전통(202)에 하단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소독제공급관(203)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소독제를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노즐(203a)과, 소독제분사노즐(203a)에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소독제공급관(203)으로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203b)와,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과 같은 다중시설에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하면서 소독제를 이용하여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하고, 사용된 소독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조기로 제공할 수 있어서, 다중시설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객들이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면서 전염성을 갖는 바이러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바디에서 외벽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구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소독제공급부에 물공급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소독제제거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독제제거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몸체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독제분산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독제분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a)(b)는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물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제2실시예의 소독제충전통에 물충전통의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0는 제4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하 및 양측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측으로 유입되어서 타측으로 배출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상부가이드홀(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부판(20)과, 바디(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다수의 하부가이드홀(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판(30)과, 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홀(41)이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40)과, 상부판(20)의 상부가이드홀(21)들 및 하부판(30)의 하부가이드홀(3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서 격벽(4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격벽(40)들의 공기유통홀(41)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벨트형태의 필터(50)와, 상부판(20) 및 하부판(30)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감겨지는 필터(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안내롤러(60)와, 필터안내롤러(60)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와, 상부판(2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들을 커버하는 상부커버(90)와, 하부판(3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하는 필터(50)에 소독제를 제공하는 소독제공급부(10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전후좌우에 배치되어서 연결되는 다수의 외벽(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후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고, 좌우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격벽(40)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다수의 슬롯(1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슬롯(1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구(12)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관체가 연결되고, 배출구(13)에는 공조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관체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조기가 작동되면 외부공기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바디(10)를 통과하여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면서 공조기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판(20)은 외벽(1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외벽(10)의 상부를 폐쇄한다. 상부가이드홀(21)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필터(50)가 통과된다.
그리고, 상부판(20)은 격벽(40)의 상부에 지지되어 격벽(40)의 사이를 폐쇄하면서 상부가이드홀(21)이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메인판(22)과, 메인판(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부가이드홀(21)을 폐쇄하는 보조판(23)과, 메인판(22)에 보조판(23)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4)를 포함한다.
메인판(22)은 일측으로 개방되는 상부가이드홀(21)이 형성됨에 따라 포크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부가이드홀(21)들에 필터(50)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보조판(23)은 직방형의 막대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24)는 메인판(22) 및 보조판(23)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보조판(23)을 관통하여서 메인판(22)에 박혀서 고정되는 핀이나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부판(30)은 외벽(10)들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외벽(10)의 하부를 폐쇄한다. 하부가이드홀(31)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이드홀(21)을 통과한 필터(50)가 통과된다. 이러한, 하부판(30)도 상부판(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격벽(40)은 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에 공기유통홀(4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40)은 다수의 공기유통홀(41)들이 분산되게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터(50)는 폐곡선형태를 이루어서 상부가이드홀(21) 및 하부가이드홀(31)을 관통하여서 필터안내롤러(60)들에 감겨진다. 이러한, 필터(50)는 공기가 통과되면서 소독제가 적셔지도록 다공체로 구성되고, 양측테두리를 따라 공기유실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다공체는 얇은 스펀지나 망사로 구성될 수 있다. 유실부(51)는 고무밴드로 구성되어 필터(50)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제가 적셔진 필터(50)를 통해 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이 사멸될 수 있다.
더욱이, 필터(50)가 1번째 상부가이드홀(21)을 관통하고 1번째 하부가이드홀(31)을 관통하여서 하부에 위치되는 필터안내롤러(60)에 감겨지고, 2번째 하부가이드홀(31)을 관통하여서 2번째 상부가이드홀(21)을 관통하여서 상부에 위치되는 필터안내롤러(60)에 감겨진 후에, 3번째의 홀(21)(3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여러 겹으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루는 필터(50)를 통과하므로 공기를 필터링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필터안내롤러(60)들은 상부가이드홀(21)들이나 하부가이드홀(31)들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50)가 감겨진다. 여기서, 외벽(11)의 상부에 위치되는 필터안내롤러(60)들은 상부커버(90)에 의해 커버되고, 외벽(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필터안내롤러(60)들은 소독제공급부(100)에 의해 커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필터안내롤러(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서 필터(50)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61)를 포함한다.
먼지제거부(61)는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되는 필터(5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롤러(62)와, 필터안내롤러(60)의 회전력을 먼지제거롤러(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3)와,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64)를 포함한다.
먼지제거롤러(62)는 원통형태의 솔로 구성되어 필터(5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63)는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와, 풀리들에 감기는 벨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안내롤러(60)가 회전되면 벨트가 회전되므로 먼지제거롤러(62)가 회전된다.
간격유지부(64)는 필터안내롤러(60)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일단에 형성되고 먼지제거롤러(62)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타단에 형성되는 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간격유지부(64)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하중이 하부에 집중된다. 여기서, 먼지제거롤러(62)를 필터안내롤러(60)의 하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웨이트가 추가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먼지제거롤러(6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어도 필터안내롤러(60)의 하부에서 위치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지제거롤러(62)에 의해 필터(50)에서 먼지가 제거되므로 필터(50)를 통해 공기가 통과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필터(50)의 효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80)는 상부판(20)에 설치되는 필터안내롤러(60)들 중 어느 하나에 축결합되는 스텝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80)가 축결합된 필터안내롤러(60)를 회전시키면 필터(50)가 격벽(40)들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즉, 필터(5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필터(50)의 소독제가 적셔진 부분이 계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커버(90)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부에 의해 상부판(20)에 고정되어 외벽(11)들 사이의 상부를 폐쇄한다.
소독제공급부(10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진 상태로 볼트와 같은 고정부에 의해 하부판(30)에 고정되어 외벽(11)들 사이의 하부를 폐쇄한다. 이때, 소독제공급부(100)에 채워진 소독제에 필터(50)가 침지되면서 이동되므로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안내되는 필터(50)에 소독제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셔질 수 있다. 그리고, 소독제공급부(100)는 소독제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면서 채워진 소독제가 외부에서 확인되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소독제는 포비돈 요오드(povidone-iodine) 수용액을 포함한다. 이때, 일예로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 1ml가 물 50~100ml에 혼합되어서 소독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독제가 필터(50)에 적셔진 상태에서 공기가 필터(50)를 통과하는 경우 공기에 혼합된 유해세균이 소독제에 의해 사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유해세균이 사멸된 공기가 공조기로 공급되어서 정화된 후에 실내에 공급되므로,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세균으로부터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공급부(100)에 물공급부(301)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소독제공급부(100)의 외측에 후술되는 물충전통(304)을 장착하고, 물충전통(304) 및 소독제공급부(100)에 물공급노즐(302)을 연결시키며, 소독제공급부(100)의 폭을 증대시켜서 내부공간에서 일측에 물공급부(301)의 밸브작동부(305)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제공급부(100)에서 물이 부족한 경우에 물충전통(304)에서 공급되는 물이 채워져서 보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소독제를 제거하는 소독제제거부(1200)를 포함한다. 소독제제거부(1200)는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공기건조부(1210)와, 공기건조부(1210)에 의해 건조된 공기에서 소독제를 필터링하는 소독제필터(1220)를 포함한다.
공기건조부(1210)는 바디(10)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관체(1211)와, 공기관체(1211)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냉기를 제공하여 관류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부(1212)와, 수분분리부(1212)로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1213)와, 수분분리부(1212)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부(1214)를 포함한다.
공기관체(1211)는 공기가 입력되는 입구측에 바디(10)의 배출구(13)나 몸체(201)의 배출구 또는 후술되는 공기배출관체(300)가 연결될 수 있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측에 공조기가 연결되거나 후술되는 공기방사부(1100)가 연결될 수 있다.
수분분리부(1212)는 공기관체(1211)의 내부공간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과, 냉매관에서 열교환 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냉매관의 냉매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매관에는 열교환면적을 증대시켜서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열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분리부(1212)에 의해 공기관체(1211)를 관류하는 공기에서 수분이 발생되게 하여서 분리한다.
공기유도부(1213)는 공기관체(1211)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길이로 돌출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판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관류되는 공기가 판들에 의해 수분분리부(1212)로 안내된다. 즉, 공기가 수분분리부(1212)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수분배출부(1214)는 공기관체(1211)의 하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파이프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배출부(1214)를 통해 공기관체(1211)의 하부에 모이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분배출부(1214)가 연결되는 공기관체(1211)의 바닥에는 수분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배출부(1214)를 통해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므로 공기가 건조될 수 있다.
소독제필터(1220)는 공기관체(1211)에 구비되어 공기에서 소독제를 필터링하는 H13 헤파필터로 구성된다. 즉, 건조된 공기에 포함된 건조된 소독제(포비돈 요오드)가 필터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소독제에 의해 사멸되고, 소독에 사용된 소독제가 소독제제거부(1200)에 의해 제거되므로, 바이러스가 사멸되고 소독제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소독제제거부(1200)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몸체(201)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소독제공급관(203)을 통해 소독제를 이동시켜서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205)와,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와, 필터부(206)들의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를 회전되게 안내하여서 공기에 혼합된 소독제를 분산시키는 소독제분산부(207)를 포함한다.
몸체(201)는 일단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구측에는 먼지필터(201a) 및 MB(Melt Blown)필터가 구비될 수 있어서 공기에서 먼지나 미세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01)의 배출구에서 공조기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관(208)이 몸체(201)의 배출구 및 공조기의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안내관(208)은 하부에서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몸체(201)의 하부에 모인 소독제가 연결관(208)에 의해 공조기로 전달됨이 방지된다. 여기서, 공조기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서 정화한 후에 배출한다.
그리고, 몸체(201)는 소독제공급관(203)이 하부에서 전방측에 연결되고 소독제회수관(204)이 하부에서 후방측에 연결된다. 이때, 소독제회수관(204)이 연결되는 부분은 소독제가 모여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1)는 다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일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연이어지게 연결되어 일직선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몸체(201)의 전단 및 후단에 링형태의 돌기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필터부(206)들 및 소독제분산부(207)들이 사이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한편, 몸체(201)에는 공기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소독제충전통(202)은 브래킷(209)에 의해 몸체(201)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소독제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독제충전통(202)은 내부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압조절부(202h)를 포함한다. 공기압조절부(202h)는 소독제충전통(20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공기가 유통되는 유통관체(202i)와, 유통관체(202i)에 끼워져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마개(202j)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개(202j)가 유통관체(202i)를 개방하면 공기가 유통관체(202i)를 통해 소독제충전통(202)로 유입되고, 마개(202j)가 유통관체(202i)를 폐쇄하면 소독제충전통(202)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한다.
유통관체(202i)는 외측면의 끝단에서 일정길이만큼 개방홈(202k)이 형성되고, 개방홈(202k)에서 일정간격마다 측방으로 걸림홈(202l)이 형성되며, 개방홈(202k)에서 이격되면서 측방으로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측방홀(202m)이 형성된다.
마개(202j)는 유통관체(202i)의 개방홈(202k)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홈(202l)들 중 어느 하나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돌기(202n)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마개(202j)가 유통관체(202i)에 끼워지면서 걸림돌기(202n)가 소독제충전통(202)에서 가장 가까운 걸림홈(202l)에 걸리면 마개(202j)가 측방홀(202m)을 폐쇄하므로 소독제충전통(202)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한다. 그리고, 걸림돌기(202n)가 소독제충전통(202)에서 가장 멀리 있는 걸림홈(202l)에 걸리면 마개(202j)가 측방홀(202m)을 완전히 가방하므로 소독제충전통(20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걸림돌기(202n)가 걸림홈(202l)들 중 중간에 위치하는 걸림홈(202l)에 걸리면 마개(202j)가 측방홀(202m)을 절반만 가방하므로 소독제충전통(202)으로 소량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소독제충전통(20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공기압을 조절함에 따라, 소독제충전통(202)에서 소독제분사부(205)로 공급되는 소독제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소독제가 너무 많이 공급되거나 너무 적게 공급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소독제충전통(202)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부(301)를 포함한다. 물공급부(301)는 소독제충전통(202)의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302)과, 물공급노즐(302)을 개폐하는 밸브부(303)와, 물공급노즐(30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충전통(304)과,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소독제의 높이에 따라 작동되어 밸브부(303)를 조작하는 밸브작동부(305)를 포함한다.
물공급노즐(302)은 양단이 몸체(201)의 하부 및 소독제충전통(202)의 상부에 관통되게 연결되어물이 관류되는 관로(302a)가 형성되고, 관로(302a)의 측방에 연통되게 개폐통로(302b)가 형성된다.
밸브부(303)는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물공급노즐(302)의 개폐통로(302b)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관로(302a)를 개폐하는 개폐샤프트(303a)와,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개폐샤프트(303a)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03b)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폐샤프트(303a)가 승강가이드(303b)를 통해 수직된 상태로 승강되어서 개폐통로(302b)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개폐샤프트(303a)가 상승되면 관로(302a)가 폐쇄되고 개폐샤프트(303a)가 하강되면 관로(302a)가 개방된다.
물충전통(304)은 하부가 물공급노즐(302)에 연결되면서 소독제충전통(202)의 상부에 근접된 상태로 전술한 브래킷(209)에 의해 설치되어 된다. 따라서, 물충전통(304)에 채워진 물이 물공급노즐(302)를 통해 소독제충전통(202)으로 채워질 수 있다.
밸브작동부(305)는 소독제에서 부유하는 부레(305a)와, 부레(305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샤프트(305b)와, 개폐샤프트(303a)의 하단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회전샤프트(305b)의 타단에 이격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샤프트(305c)를 포함한다.
부레(305a)는 스티로폼이나 공기가 채워지는 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샤프트(305c)는 하단이 회전샤프트(305b)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에서 타단에 가깝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독제의 수위가 상승되면 부레(305a)가 상승되면서 회전샤프트(305b)를 상부로 회전시킨다. 이때, 연결샤프트(305c)가 개폐샤프트(303a)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개폐샤프트(303a)가 물공급노즐(302)의 개폐통로(302b)에서 상승되어 물공급노즐(302)의 관로(302a)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충전통(304)에서 물공급이 중단된다.
물론, 소독제의 수위가 하강되면 부레(305a)가 하강되면서 회전샤프트(305b)를 하부로 회전시킨다. 이때, 연결샤프트(305c)가 개폐샤프트(303a)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개폐샤프트(303a)가 물공급노즐(302)의 개폐통로(302b)에서 하강되어 물공급노즐(302)의 관로(302a)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물충전통(304)에서 물공급이 개시된다.
여기서, 소독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오드화칼륨이 물에 혼합되어서 이루어지는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이다.
따라서, 소독제가 소독제공급관(203)을 통해 필터부(206)로 공급된 후에 소독제회수관(204)을 통해서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물이 서서히 증발됨에 따라 소독제의 수위가 낮아진다. 즉, 물은 줄어들고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은 남게 된다. 이때, 밸브작동부(305)가 작동되어서 밸브부(303)를 개방작동 시키므로 물공급노즐(302)을 통해 물충전통(304)에 충전된 물이 소독제충전통(202)에 채워진다.
이와 같이, 물이 증발되어도 물충전통(304)의 물이 소독제충전통(202)에 채워져서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혼합된다. 즉,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물이 채워져서 혼합비율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소독제공급관(203)은 소독제분사부(205)의 작동에 의해 소독제의 상승을 안내할 수 있다.
소독제회수관(204)은 소독제의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소독제회수관(204)을 통해 공기도 하강되어 소독제충전통(202)으로 제공되므로, 소독제충전통(202)의 공기압이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소독제충전통(202)의 공기압이 증가되므로 소독제공급관(203)을 통해 소독제의 상승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독제분사부(205)는 몸체(201)에 장착되고 소독제공급관(203)에서 몸체(201)의 내부공간까지 연통되어 소독제를 흡입하는 흡입홀(205a)이 형성되는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소독제분사부(205)인 오리피스를 통과하면 오리피스의 중앙부분에서 공기압이 저하되므로 흡입홀(205a)을 통해 소독제가 상승되어서 흡입홀(205a)의 끝단에서 분사된다.
필터부(206)는 소독제가 적셔지면서 먼지가 필터링되는 망체와 같은 다공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소독제가 적셔지면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즉, 공기가 필터부(206)를 통과하면서 소독제에 접촉되므로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이 사멸될 수 있다. 더욱이, 필터부(206)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중첩되므로 살균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를 분산시키는 임펠러(Impell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독제분산부(207)인 임펠러가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를 분산하므로 공기에 혼합된 소독제가 필터부(206)에 고르게 적셔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태의 턱으로 구성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회전시켜서 안내할 수 있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나선형태의 턱을 따라 이동되므로 필터부(206)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고르게 적셔질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외측프레임(207a)와, 외측프레임(207a)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207b)과, 외측프레임(207a) 및 내측프레임(207b)의 사이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날개(207c)를 포함한다.
외측프레임(207a)은 내부공간을 따라 공기가 이동되는 관체로 구성된다.
내측프레임(207b)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지름이 외측프레임(207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내측프레임(207b)의 외측과 외측프레임(207a)의 내측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프레임(207b)은 양단에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콘형태의 분산돌기(207d)가 형성되어 공기가 충돌되지 않고 부드럽게 분산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안내날개(207c)들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양단이 내측프레임(207b) 및 외측프레임(207a)에 고정되므로, 안내날개(207c)들을 따라 공기가 안내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조기에 의해 외부공기가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면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소독제가 분사되어서 필터부(206)에 적셔지게 된다. 이때, 이동되는 공기가 필터부(206)를 통과하면서 소독제에 접촉되므로 공기에 함유된 유해균이 사멸될 수 있다. 즉, 유해균이 사멸된 깨끗한 공기가 공조기로 공급된 후에 실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를 관통하여서 내부공간으로 상단이 돌출되고 소독제충전통(202)에 하단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소독제공급관(203)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소독제를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노즐(203a)과, 소독제분사노즐(203a)에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소독제공급관(203)으로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203b)와,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를 포함한다.
몸체(201)와, 소독제충전통(202)과, 소독제공급관(203)과, 소독제회수관(204)과, 필터부(206)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독제분사노즐(203a)에서 분사되는 소독제는 미세한 입자로 분사되므로 필터부(206)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셔지게 된다. 이러한, 소독제분사노즐(203a)은 소독제를 더욱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기 위해 안개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독제공급부(203b)는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소독제제거부(1200)가 적용되는 경우에서 소독제분사노즐(203a)에서 분사되는 소독제가 필터부(206)에 고르게 적셔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먼지필터(201a)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필터부(206)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사멸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분분리부(1212)에서 제공되는 냉기에 의해 필터부(206)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수분이 분리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공기가 건조된다. 이어서, 건조된 공기가 소독제필터(1220)를 통과하면서 건조된 소독제의 요오드화칼륨입자가 필터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의 실내나 엘리베이터의 실내에 소독제가 제거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체(200)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체(300)와, 공기유입관체(200) 및 공기배출관체(300)의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가 관류되는 다수의 연결관체(400)와, 공기유입관체(200)에 상단이 연결되고 연결관체(400)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부(500)와, 연결관체(400)들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관체(6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공기가 소독제에 접촉되게 하여 공기에서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유해균필터부(7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연결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800)와, 연결관체(400)들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관체(900)와, 공기배출관체(300) 및 연결관체(400)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기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공기이송부(1000)와, 공기배출관체(30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서 방사하는 공기방사부(1100)를 포함한다.
공기유입관체(200)는 기립되게 배치되면서 끝단이 상부를 향할 수 있고, 측방으로 절곡되어 'ㄼ'형태를 이룰 수 있고, 끝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끝단에는 이물질나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망체(21)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배출관체(300)는 기립되면서 공기방사부(110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연결관체(400)들은 기립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관체(400)에는 소독제가 주입되는 주입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410)를 통해 주입되는 소독제가 연결관체(400)를 따라 흘러내려서 유해균필터부(700)에 적셔지게 된다.
여기서, 공기유입관체(200), 공기배출관체(300) 및 연결관체(400)들은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이어지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관체(200, 300, 400)들의 일단에 수나나산이 형성되고 관체(200, 300, 400)들의 타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필터부(500)는 먼지필터 및 MB(Melt Blown)필터를 포함할 수 있어서 공기에서 먼지나 미세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하부연결관체(600)는 양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U'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소독제가 내부공간에 채워져서 연결관체(400)를 통해 흐르지 않으면서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연결관체(6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연결관체(400)들의 사이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연결관체(600)는 소독제공급부(800)가 연통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부에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해균필터부(700)는 소독제가 적셔지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소독제가 적셔지면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즉, 공기가 유해균필터부(700)를 통과하면서 소독제에 접촉되므로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이 사멸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균필터부(70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하부연결관체(600)에 삽입되면 하부연결관체(600)의 형태를 따라 'U'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하부연결관체(600)들마다 구비된 유해균필터부(700)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유해균 사멸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소독제공급부(800)는 하부연결관체(600)의 하부에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지는 소독제통(810)과, 소독제통(810)에 내장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로 소독제를 상승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상승공급부(820)를 포함한다.
소독제통(810)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하부연결관체(600)에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소독제통(810)의 상단 및 하부연결관체(600)의 연결구에 수나사산 및 암나사산이 형성되면 소독제통(810)이 하부연결관체(600)에 나사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독제상승공급부(820)는 소독제가 적셔지도록 스펀지와 같은 다공체로 구성되면서 상단이 유해균필터부(700)에 접촉된다.
따라서, 소독제공급부(800)에 의해 유해균필터부(700)에 소독제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연결관체(900)는 양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연결관체(400)들이 수직되면서 서로 근접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연결관체(6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연결관체(400)들의 사이사이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관체(400)들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어 외부에 간섭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
공기이송부(1000)는 블로우(Blow)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이송부(1000)가 작동되면 관체(200, 300, 400)들을 통해 공기가 강제로 관류될 수 있다.
공기방사부(1100)는 상부에 공기배출관체(300)가 연결되고 직사각형태의 함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사면에 미세타공이 분산되게 형성된다. 즉, 미세타공이 형성되는 패널들이 서로 연이어지면서 박스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공기방사부(1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미세타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흘러내리게 되면서 실내에 제공된다. 이때, 공기방사부(1100)가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실내에서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어서 설치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외부의 간섭도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이 실내공간이나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해세균이 사멸된 공기가 흘러내리면서 무풍상태로 실내에 공급되므로, 사용자들이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서 정화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및 학교교실 등과 같은 다중시설에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하면서 소독제를 이용하여 공기에 혼합된 유해균을 살균하고, 사용된 소독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조기로 제공할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외벽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슬롯 20 : 상부판
21 : 상부가이드홀 22 : 메인판
23 : 보조판 24 : 결합부
30 : 하부판 31 : 하부가이드홀
40 : 격벽 41 : 공기유통홀
50 : 필터 60 : 필터안내롤러
61 : 먼지제거부 62 : 먼지제거롤러
63 : 동력전달부 64 : 간격유지부
80 : 구동부 90 : 상부커버
100 : 소독제공급부 200 : 공기유입관체
201 : 몸체 202 : 소독제충전통
202a : 공기압조절부 202b : 유통관체
202c : 마개 202d : 개방홈
202e : 걸림홈 202f : 측방홀
202g : 걸림돌기 202h : 공기압조절부
202i : 유통관체 202j : 마개
202k : 개방홈 202l : 걸림홈
202m : 측방홀 202n : 걸림돌기
203 : 소독제공급관 204 : 소독제회수관
205 : 소독제분사부 206 : 필터부
207 : 소독제분산부 207a : 외측프레임
207b : 내측프레임 207c : 안내날개
207d : 분산돌기 208 : 안내관
300 : 공기배출관체 301 : 물공급부
302 : 물공급노즐 302a : 관로
302b : 개폐통로 303 : 노즐개폐부
303a : 개폐샤프트 303b : 승강가이드
304 : 물충전통 305 : 밸브작동부
305a : 부레 305b : 회전샤프트
305c : 연결샤프트 400 : 연결관체
500 : 공기필터부 600 : 하부연결관체
700 : 유해균필터부 800 : 소독제공급부
900 : 상부연결관체 1000 : 공기이송부
1100 : 공기방사부 1200 : 소독제제거부
1210 : 공기건조부 1211 : 공기관체
1212 : 수분분리부 1213 : 공기유도부
1214 : 수분배출부 1220 : 소독제필터

Claims (21)

  1. 내부공간이 상하 및 양측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측으로 유입되어서 타측으로 배출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다수의 상부가이드홀(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부판(20)과,
    바디(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다수의 하부가이드홀(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판(30)과,
    바디(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통홀(41)이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40)과,
    상부판(20)의 상부가이드홀(21)들 및 하부판(30)의 하부가이드홀(31)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서 격벽(4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격벽(40)들의 공기유통홀(41)을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벨트형태의 필터(50)와,
    상부판(20) 및 하부판(30)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감겨지는 필터(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안내롤러(60)와,
    필터안내롤러(60)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와,
    상부판(2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들을 커버하는 상부커버(90)와,
    하부판(30)에 설치되어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하는 필터(50)에 살균제를 제공하는 살균제공급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10)는 전후좌우에 배치되어서 연결되는 다수의 외벽(11)으로 구성되고,
    전후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좌우에 배치되는 외벽(11)에는 격벽(40)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다수의 슬롯(1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판(20)은
    격벽(40)의 상부에 지지되어 격벽(40)의 사이를 폐쇄하면서 상부가이드홀(21)이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메인판(22)과,
    메인판(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부가이드홀(21)을 폐쇄하는 보조판(23)과,
    메인판(22)에 보조판(23)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독제공급부(10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져서 필터(50)에 접촉되고,
    소독제는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필터안내롤러(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서 필터(50)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61)를 포함하고,
    먼지제거부(61)는
    필터안내롤러(60)에 의해 이동되는 필터(5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롤러(62)와,
    필터안내롤러(60)의 회전력을 먼지제거롤러(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3)와,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안내롤러(60) 및 먼지제거롤러(6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64)를 포함하며,
    간격유지부(64)는 필터안내롤러(60)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일단에 형성되고 먼지제거롤러(62)에 풀리를 고정시키는 핀이 관통되는 홀이 타단에 형성되는 판으로 구성되고,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하중이 하부에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소독제를 제거하는 소독제제거부(1200)를 포함하고,
    소독제제거부(1200)는
    바디(1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공기건조부(1210)와,
    공기건조부(1210)에 의해 건조된 공기에서 소독제를 필터링하는 소독제필터(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공기건조부(1210)는
    바디(10)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관체(1211)와,
    공기관체(1211)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냉기를 제공하여 관류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부(1212)와,
    수분분리부(1212)로 관류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1213)와,
    수분분리부(1212)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부(1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8.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체(200)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체(300)와,
    공기유입관체(200) 및 공기배출관체(300)의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가 관류되는 다수의 연결관체(400)와,
    공기유입관체(200)에 상단이 연결되고 연결관체(400)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부(500)와,
    연결관체(400)들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하부연결관체(6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공기가 소독제에 접촉되게 하여 공기에서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유해균필터부(700)와,
    하부연결관체(600)에 연결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800)와,
    연결관체(400)들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상부연결관체(900)와,
    공기배출관체(300) 및 연결관체(400)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공기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공기이송부(1000)와,
    공기배출관체(30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서 방사하는 공기방사부(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하부연결관체(600)는 양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상부연결관체(900)는 양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유해균필터부(700)는 소독제가 적셔지는 다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소독제공급부(800)는
    하부연결관체(600)의 하부에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소독제가 채워지는 소독제통(810)과,
    소독제통(810)에 내장된 상태로 유해균필터부(700)로 소독제를 상승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상승공급부(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소독제상승공급부(820)는 소독제가 적셔지도록 다공체로 구성되면서 상단이 유해균필터부(70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3.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몸체(201)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소독제공급관(203)을 통해 소독제를 이동시켜서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205)와,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와,
    필터부(206)들의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를 회전되게 안내하여서 공기에 혼합된 소독제를 분산시키는 소독제분산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독제충전통(202)은 내부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압조절부(202h)를 포함하고,
    공기압조절부(202h)는
    소독제충전통(20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공기가 유통되는 유통관체(202i)와,
    유통관체(202i)에 끼워져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마개(202j)를 포함하며,
    유통관체(202i)는 외측면의 끝단에서 일정길이만큼 개방홈(202k)이 형성되고, 개방홈(202k)에서 일정간격마다 측방으로 걸림홈(202l)이 형성되며, 개방홈(202k)에서 이격되면서 측방으로 관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측방홀(202m)이 형성되고,
    마개(202j)는 유통관체(202i)의 개방홈(202k)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홈(202l)들 중 어느 하나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돌기(202n)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독제분사부(205)는 몸체(201)에 장착되고 소독제공급관(203)에서 몸체(201)의 내부공간까지 연통되어 소독제를 흡입하는 흡입홀(205a)이 형성되는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태의 턱으로 구성되어, 이동되는 공기를 회전시켜서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독제분산부(207)는
    몸체(201)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외측프레임(207a)와,
    외측프레임(207a)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207b)과,
    외측프레임(207a) 및 내측프레임(207b)의 사이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이동되는 공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날개(20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외측프레임(207a)은 내부공간을 따라 공기가 이동되는 관체로 구성되고,
    내측프레임(207b)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지름이 외측프레임(207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양단에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콘형태의 분산돌기(207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소독제는 포비돈 요오드 수용액을 포함하며,
    소독제충전통(202)은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부(301)를 포함하고,
    물공급부(301)는
    소독제충전통(202)의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302)과,
    물공급노즐(302)을 개폐하는 밸브부(303)와,
    물공급노즐(30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충전통(304)과,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소독제의 높이에 따라 작동되어 밸브부(303)를 조작하는 밸브작동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물공급노즐(302)은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물충전통(304)이 연결되며, 물이 관류되는 관로(302a)가 형성되고, 관로(302a)의 측방에 연통되게 개폐통로(302b)가 형성되고,
    밸브부(303)는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물공급노즐(302)의 개폐통로(302b)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관로(302a)를 개폐하는 개폐샤프트(303a)와,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개폐샤프트(303a)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303b)를 포함하며,
    밸브작동부(305)는
    소독제에서 부유하는 부레(305a)와,
    부레(305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소독제충전통(202)의 내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샤프트(305b)와,
    개폐샤프트(303a)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샤프트(305b)의 타단에 이격되면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샤프트(30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21.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외압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는 몸체(201)와,
    소독제가 충전되는 소독제충전통(202)과,
    몸체(201)를 관통하여서 내부공간으로 상단이 돌출되고 소독제충전통(202)에 하단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몸체(201)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공급관(203)과,
    소독제공급관(203)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소독제를 미세한 입자로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노즐(203a)과,
    소독제분사노즐(203a)에서 소독제가 분사되도록 소독제공급관(203)으로 소독제충전통(202)의 소독제를 이송시켜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부(203b)와,
    몸체(201) 및 소독제충전통(202)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면서 몸체(201)의 하부로 흘러서 모이는 소독제를 소독제충전통(202)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소독제회수관(204)과,
    소독제분사부(205)에 의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도포되는 상태로 몸체(201)의 내부공간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부(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KR1020200089071A 2020-06-12 2020-07-17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KR20210154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1537 2020-06-12
KR1020200071537 2020-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70A true KR20210154670A (ko) 2021-12-21

Family

ID=7916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071A KR20210154670A (ko) 2020-06-12 2020-07-17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6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67B1 (ko) * 2022-01-24 2022-06-10 주식회사 한국표준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용 필터의 항균코팅 시스템
CN117357978A (zh) * 2023-12-07 2024-01-09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冷链仓储的空气调节装置
CN117889514A (zh) * 2024-02-28 2024-04-16 汇创造(山东)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热泵空调用交替式网板结构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67B1 (ko) * 2022-01-24 2022-06-10 주식회사 한국표준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용 필터의 항균코팅 시스템
CN117357978A (zh) * 2023-12-07 2024-01-09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冷链仓储的空气调节装置
CN117357978B (zh) * 2023-12-07 2024-02-23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冷链仓储的空气调节装置
CN117889514A (zh) * 2024-02-28 2024-04-16 汇创造(山东)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热泵空调用交替式网板结构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4670A (ko) 다중시설용 살균 공기 청정기
CN206320874U (zh) 风管灭菌机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CN112386731A (zh) 一种具有自动测温及人体全方位消毒的灭菌通道
CN111306672A (zh) 具消毒及自清洁功能的间接加直接蒸发冷却空调机组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CN210582937U (zh) 具备负压换气防疫医疗功能的隔离舱装置
KR102464985B1 (ko) 이동식 방역기
CN111964184B (zh) 医院环境气体消毒通风设备
CN109405110A (zh) 空气处理装置及控制方法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CN114459106A (zh) 一种医用排出空气消杀装置
CN108784474B (zh) 一种壁挂式淋浴屏
CN111657576A (zh) 一种医疗用防护服
CN114704130B (zh) 一种妇科产房用三路循环开放式通行门装置
KR100978563B1 (ko) 방호여과막을 구비한 에어커튼
CN218410178U (zh) 用于公共浴室的新风系统
KR200400759Y1 (ko) 살균 탈취기능을 갖는 위생 신발장
KR102242445B1 (ko) 액체 분사기
CN214388328U (zh) 一种具有自动测温及人体全方位消毒的灭菌通道
CN214911040U (zh) 一种新型传染病病原菌散播控制器
CN114294754B (zh) 一种重症监护室防细菌感染装置
CN115381982B (zh) 一种麻醉机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