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284A -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284A
KR20210154284A KR1020200070792A KR20200070792A KR20210154284A KR 20210154284 A KR20210154284 A KR 20210154284A KR 1020200070792 A KR1020200070792 A KR 1020200070792A KR 20200070792 A KR20200070792 A KR 20200070792A KR 20210154284 A KR20210154284 A KR 2021015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lower
heat exchanger
air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20007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284A/ko
Priority to PCT/KR2021/007072 priority patent/WO2021251705A1/ko
Publication of KR2021015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Abstract

환기형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구, 실내공기 배출구,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1송풍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사나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화되면서 실내공기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밀폐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작동하는 방식이므로 환기가 불가능하며 공기중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산소량은 감소하는 반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증가하며 공기중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단순히 환기시키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줄일 수는 있으나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함께 유입되므로 실내공기의 질이 더욱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가동된 상태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환기시키면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함께 유입되더라도 실외공기와 함께 유입된 황사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는 있으나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를 추가로 제거해야 하므로 공기청정기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실내공간에서 에어콘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시설이 가동되는 경우 단순 환기를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실내공기의 온도와 실외공기의 온도차가 존재하므로 냉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하더라도 실내공간에 설치된 냉난방기기의 냉난방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로부터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를 불능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로서,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구, 실내공기 배출구,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1송풍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공간 및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 및 제3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 및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기는 상기 제4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제3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3공간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4공간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격판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격판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중 두 개의 지지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와 상기 필터부재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덮개는 상기 열교환기 및 필터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개구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홀은 상기 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판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테두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테두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 및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재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추가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모두 구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실내공기의 온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송풍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의 구동을 모두 중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선택적으로 구동이 중지되는 송풍기는 상기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 중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여과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면서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의 환기시 실내공기와 온도편차가 작은 상태로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가 필터부재에서 불능화되거나 제거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 및 질병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곰팡이와 같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덮개, 커버판, 덮개 및 열교환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A-A 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의 다른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작용할 수 있는 타켓과 관련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추가필터부재 및 자외선 발생수단의 장착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 주차장, 거실, 룸 등과 같이 적어도 일부가 밀폐된 실내공간의 천장(C)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실내공간의 천장(C)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여과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가동하면,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가동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순환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저감될 수 있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실외공기의 공급을 통해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제1송풍기(120), 제2송풍기(130),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송풍기(120), 제2송풍기(130),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S)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S)을 갖는 함체형상의 본체(111)와, 상기 내부공간(S)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천장(C)에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1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포트(113, 114, 115, 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포트(113, 114, 115, 1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하기 위한 실내공기 흡입구(113)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 배출구(114)와,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하기 위한 실외공기 흡입구(115) 및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공기 배출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14) 및 실외공기 흡입구(115)는 실외와 연통된 연결관(102, 도 14 참조)이 결합됨으로써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복수 개의 포트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공간(S1, S2, S3, S4)은 일부의 공간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13)와 연통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115)와 연통되는 제2공간(S2)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14)와 연통되는 제3공간(S3) 및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116)와 연통되는 제4공간(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S1)은 상기 제3공간(S3)과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S2)은 제4공간(S4)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4공간(S4)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공간(S3)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120)가 작동하면 외부의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115)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후 제4공간(S4)을 거쳐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1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기(130)가 작동하면 실내의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13)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후 제3공간(S3)을 거쳐 실내공기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는 상기 제1송풍기(120)의 작동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은 신선한 실외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송풍기(130)의 작동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13) 및 실외공기 흡입구(115)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각각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S)에는 제1송풍기(120)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제2송풍기(130)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1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상기 열교환기(140)를 둘러싸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S1) 및 제3공간(S3)은 상기 열교환기(140)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S2) 및 제4공간(S4) 역시 상기 열교환기(140)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140)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판(117) 및 상기 내부공간(S)에 배치되는 열교환기(140)를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115)를 통해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필터부재(150)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열교환기(140)를 통과하고 제4공간(S4)을 거쳐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1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13)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후 제3공간(S3)을 거쳐 실내공기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공간(S1)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상기 제3공간(S3)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S2)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제4공간(S4)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 측으로 실외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난 후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실내에 존재하는 실내공기와의 온도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환기하더라도 실내공기와 온도편차가 작은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환기가 이루어지더라도 냉난방기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이용하면 환기를 통해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면서도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의 효율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40)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두 개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고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면 그 구조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다양한 구조의 열교환기가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41)과,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열교환판(142)은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산부 및 복수 개의 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산부 및 골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은 산부와 골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간(S2) 및 제4공간(S4)은 상기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 중 다른 하나의 열교환판(142b)에 형성된 산부 및 골부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S1) 및 제3공간(S3)은 상기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판(142a)에 형성된 산부 및 골부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S1)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상기 제3공간(S3)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S2)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제4공간(S4)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서로 섞이지 않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50)는 실외로부터 실외공기 흡입구(115)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14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120)의 작동을 통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실내에 존재하는 실내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50)는 공지의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재(150)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PM 2.5미만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를 적어도 한 층이상 포함하는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의 세부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격판(117)을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격판(117)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격판(117)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4개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재(118a), 제2지지부재(118b), 제3지지부재(118c) 및 제4지지부재(118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 측에 단순히 삽입하면,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복수 개의 격판(117) 및 열교환기(140)를 통해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하부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돌출되는 테두리 지지부재(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 지지부재(111a)는 상기 본체(111)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별도의 부재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테두리 지지부재(111a)는 상기 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링형상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높이를 갖는 링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 측에 단순히 삽입하면,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40)의 하부테두리는 상기 테두리 지지부재(111a)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면을 고정하는 고정판(14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44)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44)은 상기 복수 개의 격판(117)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측을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판(144)을 복수 개의 격판(117)에 체결하면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 중 두 개의 지지부재(118b,118c)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상기 필터부재(150)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지지부재(118b) 및 제3지지부재(118c)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와 필터부재(150)의 모서리를 모두 감쌀 수 있도록 'w'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간(S2)에 배치되는 필터부재(150)는 상기 제2지지부재(118b) 및 제3지지부재(118c)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필터부재(15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공간(S2)에 배치된 필터부재(15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개구홀(1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홀(112a)은 상기 덮개(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판(112b)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가 천장(C)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터부재(15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하우징(110)을 천장(C)으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상기 커버판(112b)을 덮개(112)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개구홀(112a)을 통해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2지지부재(118b) 및 제3지지부재(118c)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결합된 필터부재(150)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전반적인 구동을 위한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에 MCU와 같은 칩셋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제어부(160)의 설치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또는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별도의 히터(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히터는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 중 어느 하나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도는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11)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 발생수단(18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80)은 공지의 UV램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발생수단(18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로 유입되기 전 상태의 외부공기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80)은 상기 제2공간(S2)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실외공기 흡입구(115)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8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살균된 후 상기 열교환기(1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는 세균과 같은 미생물이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열교환기(140) 내부에서의 세균번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150)와 더불어 실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추가필터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추가필터부재(1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13)와 연통된 제1공간(S1)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필터부재(17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지의 프리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가필터부재(170)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추가필터부재(170) 역시 상술한 필터부재(150)와 동일한 종류의 필터부재일 수 있으며, 헤파필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추가필터부재(170)는 상기 필터부재(15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118a, 118b, 118c, 118d) 중 일부의 지지부재(118a,118b)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추가필터부재(170)는 상술한 제1지지부재(118a) 및 제2지지부재(118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118a)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와 더불어 상기 추가필터부재(17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w'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118b)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 필터부재(150)의 모서리 및 추가필터부재(170)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단면과 'w'자 형상의 단면을 합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가 서로 다른 가동시간을 갖도록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 중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어느 하나의 가동시간이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다른 하나의 가동시간보다 더 긴 시간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일정시간 동안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제1단계(St1)로서 환기를 위해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를 모두 가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상기 제1송풍기(120)의 구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후 열교환기(140)를 거쳐 실내공간 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는 상기 제2송풍기(130)의 구동을 통해 실내공간으로부터 흡입된 후 열교환기(14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부(160) 측으로 환기형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일시 정지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제2단계(St2)로서 실외공기의 온도(To)와 실내공기의 온도(Ti)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60)는 제3단계(St3)로서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단계(St2)를 통해 실외공기의 온도(To)의 온도가 실내공기의 온도(Ti)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송풍기(120)의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0)를 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단계(St2)를 통해 실외공기의 온도(To)의 온도가 실내공기의 온도(Ti)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송풍기(120)를 오프상태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0)의 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 측에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 중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일정시간 동안 추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의 열을 이용하여 내부가 건조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60)는 제4단계(St4)로서, 상기 제1송풍기(120) 및 제2송풍기(130) 중 선택적으로 온상태인 송풍기의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제1송풍기(120)가 온상태이고 제2송풍기(130)가 오프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송풍기(130)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송풍기(120)를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1송풍기(120)가 오프상태이고 제2송풍기(130)가 온상태인 경우 상기 제1송풍기(120)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0)를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오프 상태 또는 일시정지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에 적용되는 필터부재(15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필터부재가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교체주기를 늘리고 제거효율을 높이며 압력손실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바이러스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로부터 코로나 19와 같은 항바이러스를 불능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균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를 가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면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이 가능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해 코로나 19와 같은 항바이러스가 불능화되거나 제거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 및 질병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외공기를 필터링하는 상기 필터부재(150)는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등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열교환기의 오염과 세균 및 바이러스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재(15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151), 다공성의 제2부재(152) 및 제3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151)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 부재로써, 실외공기가 1차로 통과하는 여재로써 정전기력을 이용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분진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부재(151)는 공지된 부직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다.
여기서, 정전처리는 상기 제1부재(151)의 전체면적에 대해서 처리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부재(151)의 전체면적 중 일부면적에 대해서만 처리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정전처리 필터의 제조시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51)는 목적에 따라 섬유의 직경, 평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향상된 여과성능, 내구성 등을 담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151)는 직경이 1 ~ 10㎛인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은 15 ~ 50g/㎡일 수 있고, 다른 일예로 평량은 20 ~35 g/㎡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 공경은 20㎛이하일 수 있고, 다른 일예로 1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공경이 만일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51)를 형성하는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편차가 커짐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되거나, 균일한 여과효율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이 과도하게 크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부재(151)를 형성하는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이나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152)는 상기 제1부재(151)를 통과한 공기를 2차로 여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가 축적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축적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공지된 섬유형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성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부재(152)의 공경은 PM2.5 이하의 미세먼지까지 물리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부재(152)는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152)는 상술한 제1부재(151)와 함께 구비됨에 따라서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에 발생할 수 있는 제전에 따른 포집효율 감소의 문제를 보완하며 장시간 초도 설계된 여과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는 정전기력을 이용해 분진을 섬유 표면에 흡착하는데,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전기력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 만으로 필터부재(150)를 구성하면, 필터부재(150)의 여과효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므로 교체주기가 매우 짧은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재(150)를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와 제2부재(152)로 구성하면, 상기 제1부재(151)만으로 구성된 필터부재와 비교할 때 포집효율의 저하가 작으며, 수개월이 경과하더라도 포집효율은 초도 설계된 수치의 95%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 내 항바이러스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웹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접착단백질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바이러스 자체를 소멸시키거나 숙주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기작에 관여하여 감염을 차단시키는데 기능하는 모티프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보호막인 외막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를 감염시킬 때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되는 단백질(ex.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거나, 상기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불능화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또는 간접적이라는 의미는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하거나, 종국적으로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데 있어서 시작 또는 중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상술한 바이러스의 소멸, 불능화 등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된 모티프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7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펩타이드,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펩타이드,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본서열로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여기서, 서열번호 1 및 2에 따른 모티프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고, 서열번호 3 내지 7에 따른 모티프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으며, 서열번호 7에 따른 모티프는 HSV에도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일예로 아미노산 개수가 3 ~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개인 펩타이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타겟하는 바이러스는 공지된 바이러스의 경우 제한이 없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JV, HSV, HIV, IPNV, VHSV, SHRV, HCMV, IAV, 일본뇌염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등 일 수 있다.
상술한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융합단백질을 형성하지 않고 그 자체로 나노섬유웹 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항바이러스 모티프만을 나노섬유웹 내에 장시간 고정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접합단백질과 결합된 융합단백질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섬유웹이나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단백질은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간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 간의 결합은 공유결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 말단 또는 카르복시 말단과 아미노 말단 양단에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고, 일예로 대장균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직접 공유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의 물질을 스페이서로 추가해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접착기능을 갖는 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일예로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일 수 있으며,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로 통칭되는 공지의 접착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단백질은 서열번호 8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백질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단백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후술하는 코팅조성물에 더 함유될 수 있는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과 반응하여 형성된 알갱이들이 집합체를 이룬 형태의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접착강도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온에서 장시간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분해, 변성 등에 의한 불능화를 방지 또는 최소화 시켜서 항바이러스 성능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고, 저장 안정성, 마찰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단백질은 보다 향상된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과의 부착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도파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홍합 접착단백질은 접착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이들 접착단백질을 그대로 사용 시 접착(또는 점착) 특성이 없거나 미미한 수준을 보여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기재 표면 상에 고정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접착단백질 내 도파 잔기를 함유하도록 개질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향상된 접착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개질은 접착단백질 내 함유된 타이로신 잔기 일부 또는 전부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개질은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질은 효소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일예로 타이로시나아제일 수 있다.
타이로시나아제를 이용한 타이로신 잔기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접착단백질을 구비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25~100mM의 아스코빅산이 포함된 20~100mM 소듐아세테이트, 20 ~ 100mM 소듐보레이트 완충용액에 0.01 ~ 10㎎/㎖의 농도가 되게 용해시킨 뒤 10 ~ 1시간동안 산소를 주입해주면서 용액 내 산소를 포화시킨 뒤, 타이로시나아제를 최종 10 ~ 50㎍/㎖ 농도가 되게 첨가하고 산소 조건에서 30분 ~ 2시간 동안 혼합 교반한 뒤 아세트산의 농도가 최종 2 ~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종료된 반응액을 1 ~ 10%의 아세트산 용액으로 탈염 농축 후 동결건조를 거쳐 파우더 형태의 도파 개질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파 잔기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다른 접착성분 없이도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접착성분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서 다른 성분과 항바이러스 모티프간 의도하지 않은 화학적 반응, 물리적 블로킹에 따른 활성의 저하나 불능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이외에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이종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물질은 공지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일예로 이종 물질은 바이러스가 접촉하는 표면에 프로톤 공여성 또는 프로톤 수용성을 갖는 치환기가 배치된 무기물일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인산지르코늄, 인산하프늄, 인산티타늄 등의 티타늄족 원소의 인산 화합물, 인산알루미늄,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인산염 광물) 등의 무기 인산 화합물; 규산마그네슘, 실리카겔, 알루미노규산염, 세피올라이트(함수 규산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규산염 광물), 제올라이트(알루미노규산염) 등의 무기 규산 화합물; 알루미나, 티타니아, 함수 산화티타늄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종물질은 은 등의 금속 또는 이의 이온을 포함하는 염일 수 있다.
상술한 항바이러스 성분은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이 처리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섬유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이 처리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비한 섬유를 이용해 구현되는 섬유웹은 통상적인 부직포의 제조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 이외에 항바이러스 성분을 용해시키는 용매나 안정화시키는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pH8내지 8.5의 20 ~ 100mM Tris 혹은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코팅 조성물에 0.001 ~ 1㎎/㎖, 다른 일예로 0.001 ~ 0.1㎎/㎖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으며, 만일 고농도로 함유될 경우 항바이러스 특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코팅조성물이 적용되는 섬유웹의 기공을 폐색시킬 수 있어서 만일 섬유웹의 기공을 유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도파 잔기를 함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부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개질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접착단백질의 개질 없이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코팅조성물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기재 표면에 도입시키는 물질로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단독으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구성하는 섬유 표면에 처리한 경우에 대비해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코팅층과 상기 표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집 유도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알갱이 형상으로 응집시키는데, 이러한 알갱이들이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집합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응집 유도성분을 이용한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형상과 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저장 안정성, 마찰견뢰도가 우수하며, 항바이러스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응집 유도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통해서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상술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가 접착단백질에 함유된 히드록시기, 술폰기 등에 결합됨을 통해 항바이러스 코팅층 내 잔존할 수 있다.
한편, 응집 유도성분으로 인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이 응집된 알갱이 형태는 융합 단백질 간 어떤 특정의 화학결합, 예를 들어 종래 알려진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에 의한 카르복시기와 아민기 간 아미노 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데, 이는 접착단백질, 일예로 홍합 유래 접착단백질 내 포함된 다수의 히드록시기, 술폰기 등 역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의 반응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형성한 알갱이 형태는 어떤 특정 반응 및 이에 따른 화학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응집성분과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간 조합에 따라서 발생하는 특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는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커플링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또는 N,N'-디시클로헥실카보이미드(DC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제는 카보디이미드와 커플링된 상태의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수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응집되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및 N-하이드록시설포석신이미드(Sulfo-NHS) 중 1종,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제를 1 :0.5 ~ 2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들이 적절한 비율로 포함되지 못할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내구성,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완충용액 혹은 MES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성분은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조성물에 상술한 응집성분은 용매에 용해된 액상으로 부가될 수 있는데, 이때 용매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조성물 내 용매의 휘발속도를 증가시키는 측면에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코팅조성물의 처리 후 용매의 기화가 늦을 경우 코팅 조성물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서 흘러 원하는 함량, 두께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코팅조성물에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코팅조성물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처리되기 전까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성분 간의 반응이 유발될 수 있으며, 만일 반응이 목적한 수준을 초과해 과도하게 진행된 후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 처리될 경우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코팅조성물에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 유도성분 간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지연성분을 더 포함하거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조건, 일예로 저온 조건에서 코팅조성물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저장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팅조성물은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하는 제1액과 상기 응집성분을 포함하는 제2액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조성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액은 용매로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액은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과요오드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 내 항바이러스 성분을 더 함유해 항바이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작용기 등이 바이러스와 결합하여 항바이러스 성능을 발현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폴리옥시 알킬렌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 옥시 알킬렌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아세틸렌 글리콜 또는 아세틸렌 알코올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8 내지 C22 알킬 설포네이트 및/또는 알파 설포네이트화된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구체적으로는 선형 알킬 벤젠 설폰산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양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부재(153)는 필터부재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다공성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부재(153)는 상기 제1부재(151)와 제2부재(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부재(152)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부재(153)는 통상적으로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다공성부재라면 특별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제3부재(153)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제3부재(153)는 서멀본딩 부직포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3부재(153)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균기능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채, 상기 필터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51) 및 제3부재(153) 사이에 배치되는 제4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부재(154)는 항균특성을 갖는 공지된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항균 특성을 발현하는 은을 함유하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은을 함유하는 섬유는 은 단독으로 이루어진 은 선이거나, 은 이외에 구리 등의 다른 금속이 함유된 금속선, 또는 은 선 및/또는 은을 함유한 금속선과 비금속인 통상적인 섬유가 합사된 합연사일 수 있다.
구리 등의 다른 금속이 함께 함유된 금속선에 대해서 설명하면, 은 이외의 다른 금속이 은과 비고용 상태, 즉 은과 비합금 상태로 혼합되어 선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은 이외의 다른 금속이 은과 비고용 상태로 혼합된 경우에, 은과 다른 금속은 한 가닥 선형의 영역 내 은과 다른 금속이 소정의 영역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각각 차지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리 선의 외부에 은이 둘러싸서 층을 형성한 이중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구리 선은 은 선에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둘러싼 은의 평균두께는 3 ~ 3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두께가 5 ~ 300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둘러싼 은의 평균 두께가 3㎚ 미만이면 중심 금속인 구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조되기 쉬어서 항균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은 선에서 은이 탈리되어 항균기능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둘러싼 은의 평균 두께가 3200㎚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은 선이 비금속인 통상적인 섬유와 합사된 합연사를 설명하면, 은 선과 통상적인 섬유는 2 종의 섬유를 합사하는 공지된 섬유분야의 제조방법, 공지된 2종 섬유의 배치구조를 적절히 채용하여 구현된 합연사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은 선은 은으로만 이루어진 선이거나, 은과 다른 금속이 함유된 금속 선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합연사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싼 제1커버링사 외부를 둘러싸는 제2커버링사를 포함하는 3중 구조 단면을 갖는 실일 수 있다.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합연사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모노사 또는 다수 개의 필라멘트사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필라멘트사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도의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데니어)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30 ~ 75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의 섬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20De’ 미만이면 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100De’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링사는 꼬임수 350 ~ 11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 ~ 1000 TPM으로 연사되어 합연사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커버링사의 꼬임수가 350 TPM 미만이면 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꼬임수가 1100 TPM을 초과하면 제3부재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에 노출되는 은 선의 면적이 저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4부재(154)는 전술한 은으로 이루어진 은 선, 은을 포함하는 금속선 및/또는 합연사를 포함하여 다공성의 구조를 갖도록 구현된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메쉬 시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메쉬시트는 은 선을 함유하지 않는 천염섬유 및/또는 합성섬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는 여과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플리티드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50)가 플리티드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150)는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h)가 5 ~ 55㎜의 크기를 갖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10 ~ 50㎜의 크기를 갖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5㎜ 미만이면 여과면적이 줄어들어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압력손실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55㎜를 초과하면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산부 또는 골부와 골부가 서로 붙어서 여과 면적이 줄어들 수 있고, 압력이 높을 경우 산부 또는 골부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골부 사이의 높이차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50)는 길이 300㎜당 70 ~ 95개의 산부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재의 사이즈는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설치공간의 길이 300㎜당 1.3 ~ 8.5m의 길이를 갖는 필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150)는 설치공간의 전체 사이즈 대비 비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압력손실을 낮출 수 있으며, 제거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필터부재(150)는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프레임(15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프레임(155)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환기형 공기청정기 102 : 연결관
110 : 하우징 111 : 본체
111a : 테두리 지지부재 112 : 덮개
112a : 개구홀 112b : 커버판
113 : 실내공기 흡입구 114 : 실내공기 배출구
115 : 실외공기 흡입구 116 : 실외공기 배출구
117 : 격판 118a, 118b, 118c, 118d : 지지부재
119 : 플랜지 S : 내부공간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S3 : 제3공간 S4 : 제4공간
120 : 제1송풍기 130 : 제2송풍기
140 : 열교환기 141 : 지지판
142 : 열교환판 143 : 손잡이
144 : 고정판 150 : 필터부재
151 : 제1부재 152 : 제2부재
153 : 제3부재 154 : 제4부재
155 : 필터프레임 160 : 제어부
170 : 추가필터부재 180 : 자외선 발생수단

Claims (15)

  1.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로서,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구, 실내공기 배출구, 실외공기 흡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1송풍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3공간 및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4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구획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 및 제3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 및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는 상기 제4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제3공간에 배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3공간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4공간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판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판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중 두 개의 지지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와 상기 필터부재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열교환기 및 필터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홀은 상기 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판을 통해 밀폐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테두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테두리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 및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추가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5.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모두 구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실내공기의 온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송풍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의 구동을 모두 중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선택적으로 구동이 중지되는 송풍기는 상기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 중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
KR1020200070792A 2020-06-11 2020-06-11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210154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2A KR20210154284A (ko) 2020-06-11 2020-06-11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PCT/KR2021/007072 WO2021251705A1 (ko) 2020-06-11 2021-06-07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2A KR20210154284A (ko) 2020-06-11 2020-06-11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84A true KR20210154284A (ko) 2021-12-21

Family

ID=7884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92A KR20210154284A (ko) 2020-06-11 2020-06-11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4284A (ko)
WO (1) WO20212517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0407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国艾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量可循环利用的艾烟净化器
KR20230099396A (ko) 2021-12-27 2023-07-0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85B1 (ko) * 2005-02-22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박형 환기장치
KR101186325B1 (ko) * 2006-02-20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21256B1 (ko) * 2006-08-22 2007-05-23 백정용 산소발생 환기장치
JP5130010B2 (ja) * 2007-09-19 2013-01-30 株式会社ニトムズ フィルタ装置
KR102433949B1 (ko) * 2017-06-13 2022-08-1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396A (ko) 2021-12-27 2023-07-0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15970407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国艾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量可循环利用的艾烟净化器
CN115970407B (zh) * 2023-01-09 2023-10-03 江苏国艾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量可循环利用的艾烟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05A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7322C (zh) 空气净化部件、空气净化单元及空调装置
JP6049261B2 (ja) 空気処理装置とその方法
KR20210154284A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507191B1 (ko) 공기 청정 장치
CN101377114A (zh) 具有双向保温换气及空气净化功能的节能窗或门
EP20291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purifying and reconditioning air in enclosed environments with human presence
CN101596390A (zh) 空气净化装置
US20060278086A1 (en) Air cleaner, function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device
KR102523611B1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210154283A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050010567A (ko) 환기시스템
CN205412676U (zh) 复合过滤网和空气净化器
CN105698277A (zh) 一种室内空气清新装置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JP2005161022A (ja) 空気清浄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220043421A (ko) 공기 처리 장치
US20230201405A1 (en) Antiviral filter medium, and air filte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JP2003079704A (ja) 殺菌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JP4590832B2 (ja) 処理液と機能性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JP2000152983A (ja) 空気清浄装置
JP2000055432A (ja) 空気清浄装置
KR20040092901A (ko) 탈취, 항균 및 제습기능을 갖는 필터
JP2005161023A (ja) 空気清浄部材および空気清浄ユニット
CN100371026C (zh) 空气净化部件及空气净化单元
CN216080241U (zh) 具有高效光催化“记忆”效应的空气净化器过滤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