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37A -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 Google Patents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37A
KR20210154037A KR1020200071145A KR20200071145A KR20210154037A KR 20210154037 A KR20210154037 A KR 20210154037A KR 1020200071145 A KR1020200071145 A KR 1020200071145A KR 20200071145 A KR20200071145 A KR 20200071145A KR 20210154037 A KR20210154037 A KR 2021015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image stabilization
lens barrel
camera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7938B1 (en
Inventor
조재훈
조은
김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to KR102020007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38B1/en
Publication of KR2021015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focus carrier is driven to a vertical parking point in an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and a lens barrel is parked and fixed. The parking of the lens barrel at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driving an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a horizontal parking point deviating from an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one direction.

Description

렌즈베럴 파킹 기능을 가진 카메라 장치{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A technolog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is disclosed.

발전된 카메라 모듈은 오토포커싱이나 손떨림보정(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렌즈 베럴을 쉬프트(shift) 혹은 틸팅(tilting) 구동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카메라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충격을 가하면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렌즈 베럴이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렌즈베럴이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달그락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advanced camera module has autofocusing 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s, and for this purpose, it has a mechanical structure for shifting or tilting the lens barrel. When a user moves or applies a shock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when the camera is not in use, the lens barrel shakes according to this mechanism, which causes the lens barrel to collide with other structures, causing damage or rattling noise. There is a problem with

2015.02.02.자 등록된 한국 특허제1,490,755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 재질의 스톱퍼들을 렌즈베럴의 이동 범위의 상한 위치, 하한 위치에 각각 부가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소음을 줄일 수 있으나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고 렌즈베럴을 고정시키지는 못한다. Korean Patent No. 1,490,755, registered on February 2, 2015, proposes a solution for adding elastic material stoppers to the upper and lower limit positions of the lens barrel's movement range, respectively, to solve this problem. This solution can reduce noise, but it requires additional parts and does not secure the lens barrel.

제안된 발명은 구동하지 않는 동안 렌즈 베럴의 요동을 제한하는 개선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oposed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mproved solution for limiting the fluctuation of the lens barrel while not driving.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추가되는 부품을 최소로 하면서 렌즈 베럴의 요동을 제한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oposed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limit the fluctuation of the lens barrel while minimizing the added parts.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구동되지 않을 때 렌즈베럴의 요동을 완전히 없애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oposed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completely eliminate the fluctuation of the lens barrel when the camera module is not driven.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자동초점 캐리어를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렌즈 베럴을 파킹하여 고정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oposed invention, the autofocus carrier is driven to a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and the lens barrel is parked and fixed.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직 파킹 지점에서 렌즈 베럴의 파킹은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보다 일 방향으로 벗어난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parking of the lens barrel at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driving the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a horizontal parking point out of the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one direction.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직 파킹 지점에서 렌즈 베럴의 파킹은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2개의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parking of the lens barrel at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sequentially driving the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n two axial directions.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렌즈베럴의 파킹은 자동초점 구동과 손떨림 보정 구동에 따라 렌즈 베럴 또는 자동초점 캐리어의 측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와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이 체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parking of the lens barrel can be performed by fasten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ens barrel or autofocus carrier and a fix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auto focus driving and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have.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렌즈베럴의 파킹은 자동초점 구동과 2축 방향의 연속된 손떨림 보정 구동에 따라 렌즈 베럴 또는 자동초점 캐리어의 측면에 돌출된 제한블록에 돌출된 고리블록과,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파킹홈에 돌출된 고리 돌기가 체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parking of the lens barrel includes a r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limit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ens barrel or auto focus carri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focus drive and continuous motion compensation in the two-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It can be performed by fastening a r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park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제안된 발명에 따라, 렌즈베럴은 카메라가 구동 중이지 않을 때 안전한 위치로 파킹됨으로써 달그락거리거나 불필요한 충격을 야기하는 일이 없어진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구비되는 자동초점 구동계나 추가로 손떨림보정 구동계를 변형함으로써 탄성 소재의 부품을 추가함이 없이 이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lens barrel is parked in a safe position when the camera is not being driven, thereby avoiding rattling or causing unnecessary impact.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is effect can be achieved without adding elastic material parts by modifying the existing auto-focus drive system or the image stabilization drive system in addi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X축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Y축 단면도이다.
도 3은 자동 초점 이동 범위와 수직 파킹 지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1, 2의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렌즈베럴의 파킹을 위한 베럴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렌즈베럴의 파킹을 위한 베럴 고정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X축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Y축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베럴 고정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n X-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Y-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focus movement range and a vertical parking poi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riving control unit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and 2 .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rrel fixing part for parking the lens barrel.
6 shows embodiments of the barrel fixing part for parking the lens barrel.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n X-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Y-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10A to 10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embodiments of a barrel fixing unit.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또는 타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기재 내용 혹은 제안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additional aspects are embodi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ombinations of elements of each embodiment are possible within one embodiment or with elements of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them or other mention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all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description or the proposed technical idea.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자동초점 캐리어를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렌즈 베럴을 파킹하여 고정한다. 도 1은 이러한 양상이 적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X축 단면도이고, 도 2는 Y축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110)과, 렌즈베럴(210)과, 자동초점 캐리어(330)와, 자동초점 구동부(310,350)와, 구동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oposed invention, the autofocus carrier is driven to a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and the lens barrel is parked and fixed. 1 is an X-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is aspect is applied, and FIG. 2 is a Y-axis cross-sectional vie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mera device includes a housing 110 , a lens barrel 210 , an autofocus carrier 330 , autofocus drivers 310 and 350 , and a driving control unit 900 .

하우징(110)은 카메라 장치의 각 부품들을 수용하고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렌즈베럴(210)은 내부에 복수의 렌즈를 수용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는 렌즈베럴(210)을 수용하며, 하우징(11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동 초점 구동부(310,35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하우징(110) 내에서 승강하도록 구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자동초점 구동부(310,35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일측 벽에 매립 고정된 자동초점 영구자석(350)과, 하우징의 대향하는 면에 매립 고정된 자동초점 권선(310) 및 그 사이에 개재된 볼(ball)들(370)을 포함한다. 자동초점 권선(310)의 요크와 영구자석(350) 간의 인력에 의해 자동초점 캐리어(330)는 하우징(110)의 권선 방향으로 밀착되고, 그 사이에 개재된 볼들(370)에 의해 마찰이 저감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accommodates each component of the camera device and protects it from the outside. The lens barrel 21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lenses therein. The autofocus carrier 330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10 ,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be liftable. The auto-focus driving units 310 and 350 drive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move up and down in the housing 110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utofocus driving units 310 and 350 include an autofocus permanent magnet 350 embedded and fixed in one wall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and an autofocus winding 310 embedded and fixed i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housing. and balls 37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autofocus carrier 3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yoke of the autofocus winding 310 and the permanent magnet 350, and friction is reduced by the balls 370 interposed therebetween. You can go up and down with

구동 제어부(900)는 카메라 장치의 각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900)는 이미지 센서(710)가 실장된 기판(730)에 함께 실장된 별도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710)에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은 기존에 카메라 모듈에서 알려진 기술들이다. The driving controller 900 controls driving of each part of the camera devi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riving control unit 90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semiconductor chip mounted on the substrate 730 on which the image sensor 710 is mounted. However, they may be integrated together in the image sensor 710 .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technique known in the existing camera module.

일 양상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는 베럴 고정부(130,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럴 고정부는 하우징(110)의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어 렌즈 베럴(210)을 하우징(11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예를 들어 수직 파킹 지점은 하우징의 자동초점 이동 범위보다 일 방향으로 벗어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 그러나 수직 파킹 지점(PV)은 자동 초점 이동 범위(AF) 이내로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수직 파킹 지점이 자동초점 이동범위 내에 있지만 렌즈베럴의 일단이 자동초점 이동범위를 벗어난 곳에 미치고, 이에 따라 베럴 고정부는 자동초점 이동범위를 벗어난 곳에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수직 파킹 지점이 자동초점 이동범위를 일 방향으로 벗어난 곳에 있지만 렌즈베럴의 일단이 자동초점 이동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베럴 고정부는 자동초점 이동범위 이내에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spect, the camera device may include barrel fixing units 130 and 230 . The barrel fixing part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o fix the lens barrel 210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set to a height deviating from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of the housing in one direction. . However,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may be set within the auto focus movement range AF. In particular, although the vertical parking point is within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one end of the lens barrel extends out of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nd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barrel fixing part to be formed outside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Conversely, although the vertical parking point is out of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in one direction, one end of the lens barrel is located within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nd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barrel fixing part to be formed within the automatic focus movement range.

도 3은 자동 초점 이동 범위와 수직 파킹 지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자동 초점 이동 범위(AF)는 렌즈베럴(210)이 자동초점 조절을 위해 승강하는 이동 범위를 도시한다. 수평으로 그어진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들은 렌즈베럴(210) 측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230)의 밑면을 기준으로 한다. 수직 파킹 지점(PV)은 이 자동 초점 이동 범위(AF)를 일 방향, 여기서는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이다. 그러나 수직 파킹 지점(PV)은 자동 초점 이동 범위(AF) 이내로 설정될 수도 있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focus movement range and a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drawing, the auto focus movement range AF shows a movement range in which the lens barrel 210 moves up and down for automatic focus adjustment. Positions indicated by a dotted line drawn horizontally are ba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ens barrel 210 .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is a position that deviates from this autofocus movement range AF in one direction, here upwards. However,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may be set within the auto focus movement range AF.

도 4은 도 1, 2의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구동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을 아날로그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들(components)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구동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읽어 들여 실행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자동초점 제어부(910)는 이미지 센서(7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 받아 그 영상이 선명해지도록 자동초점 구동부의 자동초점 권선(310)에 전류를 제어하여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하우징의 자동초점 이동범위(AF) 내에서 적절한 위치로 승강하도록 제어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riving control unit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and 2 . In the drawings, the driving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a memory, and components that convert the output of the microprocessor into an analog driving signal. In the drawings, each of the blocks constituting the driving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and read and executed by a microprocessor. The auto-focus control unit 910 receives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710 and controls the current to the auto-focus winding 310 of the auto-focus driving unit so that the image becomes clear, so that the auto-focus carrier 330 is automatic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It controls to move up and down to an appropriate position within the focus movement range (AF).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라 구동 제어부(900)는 파킹 모드 제어부(990)를 포함한다. 파킹 모드 제어부(99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구동하고 베럴 고정부(130,230)를 구동하여 렌즈 베럴(210)을 파킹한다. 예를 들어 베럴 고정부는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PV) 근처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와,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 혹은 고정 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파킹모드 제어부(99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자동초점 이동 범위(AF)를 넘어서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상승하도록 구동한 후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솔레노이드 가동자가 고정홀 혹은 고정 고리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베럴(210)을 파킹할 수 있다. 그러나 제안된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파킹 지점(PV)이 자동초점 이동 범위(AF) 내에서 설정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according to an aspect, the driving control unit 900 includes a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and drives the barrel fixing units 130 and 230 to park the lens barrel 210 . For example, the barrel fixing unit may include a solenoid fixed near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of the housing, and a fixing hole or a fixing ring formed at the top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rise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 beyond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F), and then drives the solenoid so that the solenoid mover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or the fixing ring. By doing so, the lens barrel 210 can be parked. However, the proposed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to be set within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F.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직 파킹 지점에서 렌즈 베럴의 파킹은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보다 일 방향으로 벗어난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된다.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 내부에 볼들(473)을 개재하여 y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된다. 제1 손떨림보정 구동부(411,451)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자동초점 캐리어(330) 내부에서 y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한다.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면 탑재된 렌즈 베럴(210)도 함께 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1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2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에 탑재된 렌즈 베럴(210)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parking of the lens barrel at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driving the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a horizontal parking point out of the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one direction. 1 and 2 ,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accommodated in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accommodated to mov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the balls 473 interposed inside the autofocus carrier 330 .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411 and 451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to move in the y-axis direction inside the autofocus carrier 330 . Whe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he mounted lens barrel 210 also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in FIG. 1 , the lens barrel 210 mounted o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n FIG. 2 moves to the right.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손떨림보정 제어부(931)는 2축 가속도 센서로부터움직임 신호를 입력 받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손떨림보정 구동부의 제1 손떨림보정 권선(411)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제1 손떨림보정 이동범위 내에서 적절한 위치로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ontrol unit 931 receives a motion signal from the two-axis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driving current of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1 of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n a direction to compensate.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controlled to move horizontally to an appropriate position with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

이러한 추가적인 양상이 적용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파킹 모드 제어부(99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구동하고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를 제1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여 렌즈 베럴(210)을 파킹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럴 고정부는 렌즈 베럴(210)의 측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230)와, 하우징(110)의 수직 파킹 지점(PV)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130)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고정 돌기(230)는 렌즈 베럴이 아니라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to which this additional aspect is applied, referring to FIG. 3 ,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and remo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 1 The lens barrel 210 is parked by driving to the horizontal parking poin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 the barrel fixing unit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of the housing 110 . It includes a groove 130 . 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rather than the lens barrel.

파킹모드 제어부(990)는 먼저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자동초점 이동 범위(AF)를 넘어서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상승하도록 구동한다(도 3(a), (b)). 이후에 제1 손떨림보정 구동부의 제1 손떨림보정 권선(411)에 전류를 제어하여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y축 방향으로 제1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를 넘어서 제1 수평 파킹 지점(PH1)까지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도 3(c)). 수직 방향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들은 렌즈베럴(210) 측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230)의 좌측면을 기준으로 한다. 렌즈 베럴을 파킹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부를 추가하지 않고 손떨림보정 구동부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부품을 줄이고 동작의 정밀도나 제어의 단순화를 달성한다.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first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rise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beyond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F (FIGS. 3(a), (b)). Thereafter,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1 of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moves beyo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the -y-axis direction to the first horizontal parking point (P) H1 ) is driven to move horizontally (Fig. 3(c)). Position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ba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ens barrel 210 . Instead of adding a separate driving part to park the lens barrel, an image stabilization driving part is used to reduce additional parts and achieve precision of operation and simplification of control.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직 파킹 지점에서 렌즈 베럴의 파킹은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2개의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도 1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는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210)와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413,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parking of the lens barrel at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sequentially driving the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n two axial directions. According to this aspect, in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camera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210 and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er 413,453.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렌즈베럴(210)의 하면에 볼들(471)이 수용되는 x축 방향의 장홈으로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렌즈 베럴과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와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자동초점 캐리어(330) 내부에 각각 y축 및 x축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된다. 제1 손떨림 보정 캐리어(430)의 상면과 렌즈베럴(210)의 하면에는 x축 방향의 장홈이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들(471)을 수용한다. 제1 손떨림 보정 캐리어(430)의 하면과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하단 절곡부인 자동초점 캐리어 저부(331)의 상면에는 y축 방향의 장홈이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들(473)을 수용한다.1 and 2 ,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ng groove in the x-axis direction in which the balls 471 are accommod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lens barre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are accommodated in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move horizontally in the y-axis and x-axis directions, respectively. A long groove in the x-axis direc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and shake correction carrier 4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o accommodate the balls 471 . A long groove in the y-axis direc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nd shake compensation carrier 4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to-focus carrier bottom 331, which is a lower bent portion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accommodate the balls 473. .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413,453)는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 즉 이 실시예에서는 렌즈베럴(210)을 자동초점 캐리어(330) 내부에서 x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한다.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가 x축 방향으로 움직이면 일체로 형성된 렌즈 베럴(210)도 함께 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413,453 drive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ens barrel 210 to move in the x-axis direction inside the autofocus carrier 330 . Whe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the integrally formed lens barrel 210 also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의 형태를 가진 프레임(413)의 4면 중 1면에는 자동초점 권선(310)이, 그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손떨림보정 권선(411)이, 그 오른쪽 인접면에는 제2 손떨림보정 권선(413), 그리고 그 왼쪽 인접면에는 당초 비어 있었으나 제안 발명에 따라 베럴 고정부(130,230)가 구비된다. 2축 손떨림보정에는 일반적으로 2축 방향의 손떨림보정 구동계가 필요하므로 자동초점 구동계가 나머지 1면을 채우면 1면이 비게 되어 추가적인 공간의 확보나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베럴 고정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and 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of the four surfaces of the frame 413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as an autofocus winding 310 on one surface, a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on the opposite surface thereof. (411),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on its right adjacent surface, and the left adjacent surface of which was initially empty, but is provided with barrel fixing parts 130 and 230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wo-axis image stabilization generally requires a two-axis image stabilization drive system, when the auto focus drive system fills the remaining one side, one side becomes empty. It is possibl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손떨림보정 제어부(933)는 2축 가속도 센서로부터움직임 신호를 입력 받아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의 손떨림보정 권선(413)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와 일체로 형성된 렌즈 베럴(210)이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제2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 내에서 적절한 위치로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ontrol unit 933 receives a motion signal from the two-axis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driving current of the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of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o compensate for the second The lens barrel 210 integrally formed with the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s controlled to move horizontally to an appropriate position withi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

도 5는 렌즈베럴의 파킹을 위한 베럴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럴 고정부는 고정 돌기(230)와 고정 홈(1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홈(130)은 하우징의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수직 파킹 지점은 하우징의 자동초점 이동 범위보다 일 방향으로 벗어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정 돌기(230)는 렌즈 베럴(210)의 측면에 고정 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또 다른 예로, 고정 돌기(230)는 렌즈 베럴이 아니라 자동초점 캐리어(33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rrel fixing part for parking the lens barrel. Referring to FIG. 5 , the barrel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230 and a fixing groove 130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130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For example, the vertical parking point may be set to a height deviating from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of the housing in one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130 on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 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autofocus carrier 330 rather than the lens barrel.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홈(130)은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파킹 홈(131)과, 파킹 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고리 돌기(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홈(130)은 하우징의 일측벽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135)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돌기(230)는 제1 돌출 높이를 가진 제한블록(limit block)(231)과, 제한 블록(231)의 상부에 형성되고 고리 돌기(133)가 체결되는 고리 블록(235)을 포함한다. 그러나 고리 돌기(133)가 반드시 제한 블록(231)의 상부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130 includes a parking groove 131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nd a ring protrusion 13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arking groove. Here, the fixing groove 130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135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mit block 231 and the limit block 231 having a first protruding height and the ring protrusion 133 is fastened to the ring block ( 235). However, the ring protrusion 13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mit block 231 and may be designed in a different shape.

먼저 파킹 모드 제어부(990)는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자동초점 이동 범위(AF)를 넘어서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상승하도록 구동한다(①). 이에 의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의 스트로크(stroke)가 파킹 홈(131) 측으로 확장되어 하우징의 고정돌기(133)에 체결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정상적인 자동초점 구동 중에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흔들리더라도 제1 돌출 높이를 가진 제한 블록(231)이 하우징(110)의 내벽에 닿아 유격이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에, 제2 손떨림보정 권선(413)에 전류를 제어하여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인 렌즈베럴(210)을 x축 방향으로 구동한다(②). 이는 고정돌기(133)를 왼쪽으로 피하여 체결하기 위한 예비동작이다. 이후에 제1 손떨림보정 권선(411)에 전류를 제어하여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y축 방향으로 제1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를 넘어서 구동하면 제한 블록(231)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 블록(233)이 파킹 홈(131)으로 삽입된다(③). 이후에 제2 손떨림보정 권선(413)에 전류를 제어하여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인 렌즈베럴(210)을 -x축 방향으로 구동하면 도 5의 우측 아래 원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고리 블록(233)이 고리 돌기(133)에 체결된다(④). 렌즈 베럴을 파킹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부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자동초점 구동부와 손떨림보정 구동부의 이동 범위를 확장하여 추가적인 부품을 줄이고 동작의 정밀도나 제어의 단순화를 달성한다.First,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990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rise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beyond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AF (①). As a result, the stroke of the first handshake correction carrier is extended toward the parking groove 131 and is movable to a position where it is fastened to the fixing protrusion 133 of the housing. During normal autofocus driving, even if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shakes, the limit block 231 having the first protrusion height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play can be kept to a minimum. Thereafter,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the lens barrel 210, which i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s driven in the x-axis direction (②). This is a preliminary operation for fastening by avoiding the fixing protrusion 133 to the left. After that, whe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driven beyo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the -y-axis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current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1, the ring block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striction block 231 (233) is inserted into the parking groove (131) (③). After that, whe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controls the current to drive the lens barrel 210, which i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n the -x-axis direction, the ring block ( 233) is fastened to the ring projection 133 (④). Instead of adding a separate driving unit to park the lens barrel, the movement range of the existing autofocus driving unit a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s extended to reduce additional parts and achieve precision of operation and simplification of control.

렌즈베럴의 파킹을 위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나 제2 손떨림 보정 캐리어가 모두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를 벗어난 지점까지 이동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다. 두 손떨림보정 캐리어의 파킹을 위한 이동 변위는 둘 중 하나만 일반적인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를 벗어난 것이면 충분하다. 또 다른 예로, 둘 다 일반적인 손떨림보정 이동 범위 이내인 경우에도 수직파킹 지점이 자동초점의 이동 범위를 일 방향으로 벗어난 경우라면 가능하다. In order to park the lens barrel, it is not essential that both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move to a point outside the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As for the movement displacement for parking of the two image stabilization carriers, it is sufficient if only one of them is outside the general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if the vertical parking point deviates from the movement range of the auto focus in one direction even if both are within the normal movement range for image stabilization.

도 6은 고정홈과 고정 돌기의 두 가지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a)에서 자동초점 캐리어는 자동초점 이동 범위를 벗어난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①) 이후에 제1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구동한 후(②), 제2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구동하여 로킹힌다(③). 도 6(a)에서 자동초점 캐리어는 자동초점 이동 범위를 벗어난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①) 이후에 제1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구동한 후(②), 제2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구동하여 로킹한다(③). 도 6(a)에서 자동초점 캐리어는 자동초점 이동 범위를 벗어난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①) 이후에 제1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구동한 후(②), 마지막으로 자동초점 캐리어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로킹한다(③). 6 exemplarily shows two embodiments of a fixing groove and a fixing protrusion. In Fig. 6(a), the autofocus carrier drives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out of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①), then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②), and then drive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o lock (③). In Fig. 6(a), the auto-focus carrier drives to a vertical parking point out of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①), then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②), and then drives and lock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③). In Fig. 6(a), the autofocus carrier is driven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out of the autofocus movement range (①), after which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s driven (②), and finally the autofocus carrier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lock (③).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베럴(210)의 인접한 두 면에는 제1 손떨림보정 영구자석(451)과 제2 손떨림보정 영구자석(453)이 고정되고 제2 손떨림보정 영구자석(453)의 반대면에는 고정 돌기(2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베럴의 하면과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볼(471)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렌즈베럴의 하면이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로 동작한다.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렌즈베럴(230)을 3개의 볼에 의해 지지하며 4개의 가지가 아니라 2개의 가지만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무게를 줄이면서도 안정되게 렌즈베럴을 지지한다.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볼(473)을 개재하여 자동초점 캐리어(330)에 결합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는 렌즈베럴(230)과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를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110) 측벽의 볼들(370)을 개재하여 그 하우징 측벽에 밀착되고, 하우징(110)에 대해 승강 구동된다. 도면에서 가려져 있지만 이 측벽의 좌측 뿐 아니라 우측에도 볼들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손떨림보정 영구자석(451)과 제2 손떨림보정 영구자석(453)과 대면하는 하우징(110)의 두 면에는 제1 손떨림보정 권선(411)과 제2 손떨림보정 권선(413)이 고정되고, 자동초점 영구자석(350)가 대면하는 하우징(110)의 한 면에는 자동초점 권선(310)이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나머지 한 면에는 파킹 홈(131)과 고리 돌기(133)를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135)가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상부에 하우징 커버(111)가 체결되어 렌즈베럴(210)의 상방으로의 승강을 제한하며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a first image stabilization permanent magnet 451 and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permanent magnet 453 are fixed to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lens barrel 210, an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permanent magnet 453, A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are coupled with a ball 47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operates as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supports the lens barrel 230 by three balls and is designed to have only two branches instead of four,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lens barrel while reducing weight.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coupled to the autofocus carrier 330 via a ball 473 . The auto focus carrier 3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side wall through the balls 370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10 in a state that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230 a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and the housing 110 is driven for lifting. Although it is hidden in the drawing, balls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as well as the left side of this side wall. A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1 and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are fixed to two surfaces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permanent magnet 451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permanent magnet 453, and , an autofocus winding 3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autofocus permanent magnet 350 . A fixing plate 135 having a parking groove 131 and a ring protrusion 133 is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housing cover 111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lens barrel 210 and to protect the components from the outside.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X축 단면도이고, 도 9는 그 Y축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초점 캐리어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렌즈베럴(210)의 프론트 커버인 측벽 구조가 자동초점 캐리어로 동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자동초점 캐리어 구조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하우징(110)에 x축 방향으로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435)는 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에 y축 방향으로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볼들(471)을 개재하여 수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정 돌기(230)는 렌즈 베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베럴 고정부는 하우징(110)의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어 렌즈 베럴(210)을 하우징(11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8 is an X-axis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 is a Y-axis cross-sectional view thereof.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 in this embodiment, the autofocus carrier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the sidewall structure that is the front cover of the lens barrel 210 operates as the autofocus carri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is autofocus carrier structure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to be able to move horizontally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is attached to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n the y-axis direction. It is accommodated through the balls 471 to be able to move horizontally.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barrel.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the barrel fixing part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 movement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o fix the lens barrel 210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 캐리어(330)를 수직 파킹 지점(PV)까지 구동하고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를 제1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여 렌즈 베럴(210)을 파킹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330 to the vertical parking point P V and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to the first horizontal parking point to drive the lens barrel 210 can be parked.

도 10의 (a) 내지 (c)는 베럴 고정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a), (b)는 자동초점 캐리어(330)에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 혹은 추가로 제2 손떨림보정 구조가 수용되는 타입이다. 도 10 (a)에서 베럴 고정부(250)는 하우징(110)과 자동초점 캐리어(330) 사이를 고정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상부로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에 파킹되므로 그 내부에 수용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나 렌즈베럴(210)은 하우징(110) 상부를 커버하고 있는 하우징 커버(111)에 압박되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10A to 10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embodiments of a barrel fixing unit. 10 (a), (b) is a type in which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or an additionally second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is accommodated in the autofocus carrier 330 . In FIG. 10 ( a ), the barrel fixing part 250 is fixed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autofocus carrier 330 . Since the autofocus carrier 330 is parked in the housing 110 in a state in which it rises to the maximum height,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or lens barrel 210 accommodated therein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t is pressed against the housing cover 111 so that it cannot move or flow.

도 10 (b)에서 베럴 고정부(250)는 하우징(110)과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사이를 고정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상부로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하우징(110)에 파킹되므로 그 내부에 수용된 렌즈베럴(210)은 하우징(110) 상부를 커버하고 있는 하우징 커버(111)에 압박되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In FIG. 10 ( b ), the barrel fixing part 250 fixes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 Since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parked in the housing 110 in a state in which the auto focus carrier 330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the lens barrel 210 accommodated therein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t is pressed against the housing cover 111 so that it cannot move or flow.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111)가 판스프링 등의 탄성 재질이라면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상부로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구조물을 압박하여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housing cover 11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leaf spring, it may be more effective to press the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autofocus carrier 330 rises to the maximum height to prevent further flow.

도 10 (c), (d)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에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수용되는 타입이다. 도 10 (c)에서 베럴 고정부(250)는 하우징(110)과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 사이를 고정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상부로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가 하우징(110)에 파킹되므로 그 내부에 수용된 렌즈베럴(210)이나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435)는 하우징(110) 상부를 커버하고 있는 하우징 커버(111)에 압박되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10 (c), (d) is a type in which the auto-focus carrier 33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 In FIG. 10 ( c ), the barrel fixing part 250 fixes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 Since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parked in the housing 110 in a state in which the auto focus carrier 330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the lens barrel 210 or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accommodated therein is It is pressed against the housing cover 11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so that it cannot move or flow.

도 10 (d)에서 베럴 고정부(250)는 하우징(110)과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435) 사이를 고정한다. 자동초점 캐리어(330)가 상부로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435)가 하우징(110)에 파킹되므로 그 내부에 수용된 렌즈베럴(210)은 하우징(110) 상부를 커버하고 있는 하우징 커버(111)에 압박되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435)가 하우징(110)에 파킹되므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430)는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In FIG. 10 ( d ), the barrel fixing part 250 fixes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 Since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is parked in the housing 110 in a state in which the autofocus carrier 330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the lens barrel 210 accommodated therein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t is pressed against the housing cover 111 so that it cannot move or flow.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is parked in the housing 110 , the movement of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0 is restricted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so that it cannot move or flow.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들은 천이형(shift type) 손떨림보정 방식에 대해 예시하고 있지만 틸팅(tilting)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construed to encompass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apparent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illustrated embodiments exemplify a shift type image stabilization method, but may also be applied to a tilting method. The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110 : 하우징 130 : 고정 홈
131 : 파킹홈 133 : 고리 돌기
135 : 고정 플레이트
210 : 렌즈베럴 230 : 고정 돌기
231 : 제한 블록 233 : 고리 블록
250 : 베럴 고정부
310 : 자동초점 권선 330 : 자동초점 캐리어
331 : 자동초점 캐리어 저부 350 : 자동초점 영구자석
370, 471, 473 : 볼들
411 : 제1 손떨림보정 권선 413 : 제2 손떨림보정 권선
430 :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435 :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
451 : 제1 손떨림보정 영구자석 453 : 제2 손떨림보정 영구자석
710 : 이미지 센서 730 : 기판
900 : 구동 제어부 910 : 자동초점 제어부
931 : 제1 손떨림보정 제어부 933 : 제2 손떨림보정 제어부
990 : 파킹 모드 제어부
110: housing 130: fixing groove
131: parking groove 133: ring projection
135: fixed plate
210: lens barrel 230: fixed projection
231: limit block 233: ring block
250: barrel fixing part
310: autofocus winding 330: autofocus carrier
331: autofocus carrier bottom 350: autofocus permanent magnet
370, 471, 473: balls
411: first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13: second image stabilization winding
430: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35: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451: first hand-shake correction permanent magnet 453: second hand-shake correction permanent magnet
710: image sensor 730: substrate
900: drive control unit 910: auto focus control unit
931: first image stabilization control unit 933: second image stabilization control unit
990: parking mode control unit

Claims (15)

하우징과; 렌즈베럴과; 자동초점 캐리어와; 자동초점 캐리어를 하우징 내에서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자동초점 구동부와, 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하우징의 자동초점 이동 방향 상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 베럴을 하우징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베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자동초점 캐리어를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베럴 고정부를 구동하여 렌즈 베럴을 파킹하는 파킹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 housing; a lens barrel; an autofocus carrier; A camera device comprising: an auto-focus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focus carrier to move up and down within a housing;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each unit,
The camera device further includes; a barrel fixing part installed at a height of a vertical parking point in the auto-focusing direction of the housing to fix the lens barrel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driving control unit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to a vertical parking point and a parking mode control unit that drives the barrel fixing unit to park the lens barr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가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와; 제1 손떨림보정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킹모드 제어부는 자동초점 캐리어를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제1 손떨림 보정 이동 범위를 일 방향으로 벗어난 제1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여 렌즈 베럴을 파킹하는 카메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device includes a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to a vertical parking point and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a first horizontal parking point that deviates from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range in one direction to park the lens barrel.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자동초점 캐리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되는 카메라 장치. The camera device of claim 2 , where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s accommodated in the autofocus carrier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럴 고정부는 :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과;
렌즈 베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또는 자동초점 캐리어 중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고정 돌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or 3, wherein the barrel fixing part:
a fix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lens barrel,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or the autofocus carrier;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자동초점 캐리어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되는 카메라 장치.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utofocus carri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럴 고정부는 :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과;
렌즈 베럴의 측면에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고정 돌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arrel fixing part:
a fix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n a side surface of the lens barrel;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가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와;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킹모드 제어부는 자동초점 캐리어를 수직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제1 손떨림 보정 이동 방향상의 제1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고,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를 제2 손떨림보정 이동 방향 상의 제2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하여 렌즈 베럴을 파킹하는 카메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amera device includes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he parking mode control unit drives the autofocus carrier to a vertical parking point, drives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a first horizontal parking point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direction, and drives the second image stabilizer carrier to a second image stabilization movement direction A camera device for parking the lens barrel by driving to the second horizontal parking point.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와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자동초점 캐리어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되는 카메라 장치. The camera device of claim 7 , where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are accommodated in the autofocus carrier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럴 고정부는 :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과;
렌즈 베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또는 자동초점 캐리어 중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고정 돌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arrel fixing part:
a fix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lens barrel,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or the autofocus carrier;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파킹 홈과, 상기 파킹 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제1 돌출 높이를 가진 제한블록(limit block)과, 제한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돌기가 체결되는 고리 블록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xing groove comprises a parking groove installed at a height of a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nd a r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arking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is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limit block (limit block) having a first protruding height, and a ring block formed on the limit block and to which the ring protrusion is fasten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리 블록과 고리 돌기는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가 제2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될 때 체결되는 카메라 장치.The camera device of claim 10 , wherein the ring block and the ring protrusion are fastened whe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s driven to the second horizontal parking point. 청구항 7에 있어서, 자동초점 캐리어와 제2 손떨림보정 캐리어는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수용되는 카메라 장치.The camera device of claim 7 , wherein the autofocus carrier and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carrier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럴 고정부는 :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 홈과;
렌즈 베럴, 제1 손떨림보정 캐리어 또는 자동초점 캐리어의 측면에 상기 고정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고정 돌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barrel fixing part:
a fix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on a side surface of the lens barrel, the first image stabilization carrier, or the auto focus carrier;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하우징의 수직 파킹 지점의 높이에 설치되는 파킹 홈과, 상기 파킹 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제1 돌출 높이를 가진 제한블록(limit block)과, 제한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돌기가 체결되는 고리 블록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xing groove comprises a parking groov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king point of the housing, and a r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arking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is a camera device comprising a limit block (limit block) having a first protruding height, and a ring block formed on the limit block and to which the ring protrusion is fasten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리 블록과 고리 돌기는 제2 손떨림보정 구동부가 제2 수평 파킹 지점까지 구동될 때 체결되는 카메라 장치.
The camera device of claim 14 , wherein the ring block and the ring protrusion are fastened when the second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s driven to the second horizontal parking point.
KR1020200071145A 2020-06-11 2020-06-11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KR102347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45A KR102347938B1 (en) 2020-06-11 2020-06-11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45A KR102347938B1 (en) 2020-06-11 2020-06-11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37A true KR20210154037A (en) 2021-12-20
KR102347938B1 KR102347938B1 (en) 2022-01-06

Family

ID=7903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45A KR102347938B1 (en) 2020-06-11 2020-06-11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575A (en) * 2011-11-08 2013-06-20 Sharp Corp Camera module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2018087904A (en) * 2016-11-29 2018-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Lens mount fixing mechanism and lens devic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575A (en) * 2011-11-08 2013-06-20 Sharp Corp Camera module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2018087904A (en) * 2016-11-29 2018-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Lens mount fixing mechanism and lens devic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938B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108B1 (en) Camera module
KR102400386B1 (en) Apparatus for driving zoom lens
US20230384653A1 (en) Voice coil motor
KR100935312B1 (en)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atus for micro camera module
KR101224790B1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KR101555904B1 (en) Camera moudule
JP5627991B2 (en) The camera module
WO2011021559A1 (en) Camera-shake correction device
KR102303499B1 (en) Optical actuator
KR20160146680A (en) Actuator,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KR102347938B1 (en) camera apparatus with lens barrel parking feature
KR20210014875A (en) Lens assembly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79337B1 (en) Actuator for reflec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KR20210135745A (en) Lens assembly
KR100945449B1 (en)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atus for micro camera module
KR102422882B1 (en) camera apparatus with simple 2-ax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KR20220045276A (en) Camera module and potable device
KR20220043336A (en) Actuator for camera
JP4765472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mobile phone terminal with camera
KR102316053B1 (en) Actuator for optical use
KR20150124126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apparatus with the camera module
KR102467588B1 (en) Actuator for driving zoom
KR102265681B1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KR102492278B1 (en) Middle guide-free actuator
KR102495466B1 (en)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in dual directio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