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835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835A
KR20210153835A KR1020200070665A KR20200070665A KR20210153835A KR 20210153835 A KR20210153835 A KR 20210153835A KR 1020200070665 A KR1020200070665 A KR 1020200070665A KR 20200070665 A KR20200070665 A KR 20200070665A KR 20210153835 A KR20210153835 A KR 2021015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se
slide bar
branch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020B1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7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5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retractable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이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분기유닛(20)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배기팬(26)이 작동되어 분기유닛(20)을 냉각시킴으로써, 분기유닛(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분기유닛(2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이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배전반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배전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유닛(20)과, 상기 분기유닛(2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1) 및 분기선(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1)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며 외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11a)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양측으로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기유닛(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이 연결되는 주차단기(22)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분기선(32)이 연결되는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선(31)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상기 부스바(24)를 통해 분기된 후, 상기 분기선(32)을 통해 각 수용가로 공급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도어(11)를 열고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전반은 다양한 이유로 내부의 기온이 상승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분기유닛(2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26989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이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유닛(20)과, 상기 분기유닛(2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1) 및 분기선(32)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1)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양측으로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도어(11)에는 흡기공(11b)과 배기공(11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와, 상기 배기공(11c)에 구비되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26)과, 상기 온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기팬(26)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전방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동바(4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회동바(41)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2)와, 상기 지지바(4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조명램프(43)와, 상기 회동바(41)에 연결되어 회동바(41)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1)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6)은 상기 개방감지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1)가 전방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열린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44)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41)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조명램프(43)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이 연결되는 주차단기(22)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분기선(32)이 연결되는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를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은 전원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을 연결하는 제1 공급선(31a)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과 상기 주차단기(22)를 연결하는 제2 공급선(31b)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차단수단(A)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6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에 상기 가이드홈(61a)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공급선(31a,31b)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와, 상기 가이드홈(6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부도체재질의 슬라이드바(64)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구비되며 슬라이드바(64)의 상승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슬라이드바(64)의 하강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의 연결을 해제하는 통전부재(65)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64)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6)와, 전단부가 상기 지지부재(6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바(64)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래칫볼트(67)와, 상기 래칫볼트(67)에 연결되어 상기 래칫볼트(67)가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8)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중간부가 상기 래칫볼트(67)의 후단부에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회동바(69)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호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온도가 상승되면 팽창되는 팽창가스(71g,72g)가 구비되어 주변의 온도가 상승되면 피스톤로드(71e,72e)가 후퇴되어 축소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와, 기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의 피스톤로드(71e,72e)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된 가이드로올러(73)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회동바(69)의 상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축소되면 상기 회동바(69)의 상단 또는 하단을 후방으로 당기는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분기유닛(20)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배기팬(26)이 작동되어 분기유닛(20)을 냉각시킴으로써, 분기유닛(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분기유닛(2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배전반의 분기유닛(20)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를 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회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유닛(20)과, 상기 분기유닛(2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1) 및 분기선(32)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11)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며 외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11a)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양측으로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이 연결되는 주차단기(22)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분기선(32)이 연결되는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11)에는 흡기공(11b)과 배기공(11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11b)과 배기공(11c)은 서로 다른 쪽의 도어(11)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와, 상기 배기공(11c)에 구비되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26)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전방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동바(4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회동바(41)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2)와, 상기 지지바(4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조명램프(43)와, 상기 회동바(41)에 연결되어 회동바(41)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1)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45)과, 상기 온도센서(25)와 개방감지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기팬(26)(26)과 구동모터(44)와 조명램프(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25)는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 분기유닛(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기팬(26)(26)은 상기 배기공(11c)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바(41)는 기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회동축(41a)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회동브라켓(12)에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42)는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42a)이 상기 회동축(41a)의 선단부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명램프(43)는 후단부에 상기 지지바(4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링체(43a)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44)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41a)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축(41a)을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감지수단(45)은 상기 도어(11)의 힌지축(11a)에 연결되어 도어(11)가 90도 이상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온도센서(25)는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어수단(46)은 온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기팬(26)(26)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배기팬(26)(26)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흡기공(11b)을 통해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기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분기유닛(20)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분기유닛(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분기유닛(2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바(41)는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지지바(42)와 조명램프(43)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상하측 링크부재(53,5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박스(55)가 도어(1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도어(11)를 90도 이상으로 열면, 상기 제어수단(46)은 상기 개방감지수단(45)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터(44)를 제어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41)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조명램프(43)를 on시킨다.
이와 같이 회동바(41)가 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지지바(42)와 조명램프(43)가 상기 분기유닛(20)의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지지바(42)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조명램프(43)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부분을 조명램프(43)가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분기유닛(20)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동으로 배기팬(26)이 작동되어 분기유닛(20)을 냉각시킴으로써, 분기유닛(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분기유닛(2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11)를 열면, 자동으로 회동바(41)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조명램프(43)가 분기유닛(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고, 조명램프(43)가 on되어, 작업자가 상기 지지바(42)를 회전시키고 조명램프(43)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가 조명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에는 수납박스(55)가 구비되고, 도어(11)를 열면, 자동으로 수납박스(55)가 도어(11)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 수납박스(55)에 공구를 수납하여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할 때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를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A)이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선(31)은 전원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을 연결하는 제1 공급선(31a)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과 상기 주차단기(22)를 연결하는 제2 공급선(3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수단(A)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6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에 상기 가이드홈(61a)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공급선(31a,31b)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와, 상기 가이드홈(6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부도체재질의 슬라이드바(64)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구비된 통전부재(65)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64)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6)와, 전단부가 상기 지지부재(6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바(64)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래칫볼트(67)와, 상기 래칫볼트(67)에 연결되어 상기 래칫볼트(67)가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8)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중간부가 상기 래칫볼트(67)의 후단부에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회동바(69)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온도가 상승되면 팽창되는 팽창가스(71g,72g)가 구비되어 주변의 온도가 상승되면 피스톤로드(71e,72e)가 후퇴되어 축소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와, 기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의 피스톤로드(71e,72e)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된 가이드로올러(73)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회동바(69)의 상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축소되면 상기 회동바(69)의 상단 또는 하단을 후방으로 당기는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는 인접면이 상기 가이드홈(61a)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바(64)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우측면 하단에는 결합홈(64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통전부재(65)는 전기통전성이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64)의 상승시 양측면이 상기 제1 전극부재(62)와 제2 전극부재(63)에 접촉되어 제1 전극부재(62)와 제2 전극부재(6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슬라이드바(64)의 하강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66)는 상기 슬라이드바(6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홈(61a)의 내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바(64)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래칫볼트(67)는 상기 지지부재(61)의 우측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공(61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단은 지지부재(61)의 우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61b)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64)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결합홈(64a)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바(64)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래칫볼트(67)가 상기 제2 탄성부재(68)에 의해 전진되어 상기 결합홈(64a)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바(64)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68)는 상기 래칫볼트(67)에 연결되어 레칫볼트를 좌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회동바(69)는 상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래칫볼트(67)의 우측단에는 상기 회동바(69)에 걸리는 스토퍼(67a)가 구비되어, 회동바(69)가 회동될 때 상기 스토퍼(67a)에 걸려 회동바(69)의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71a,72a)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71a,72a)와, 상기 실린더(71a,72a)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71a,72a)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제1 챔버(71b,72b)와 하측의 제2 챔버(71c,72c)로 구획하는 피스톤(71d,72d)과, 상기 피스톤(71d,72d)에서 제1 챔버(71b,72b)를 관통하여 실린더(71a,72a)의 상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71e,72e)와, 상기 제2 챔버(71c,72c)에 구비되어 피스톤(71d,72d)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71f,72f)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챔버(71b,72b)의 내부에는 온도가 상승되면 팽창되는 팽창가스(71g,72g)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 주변의 온도가 낮을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71f,72f)의 탄성에 의해 팽창가스(71g,72g)가 압축되면서 피스톤(71d,72d)과 피스톤로드(71e,72e)가 상승되어 신장되고,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 주변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상기 팽창가스(71g,72g)가 팽창되면서 상기 피스톤(71d,72d)과 피스톤로드(71e,72e)가 하강되어 축소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는 열팽창율이 낮은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의 피스톤로드(71e,72e)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가이드로울러(73)를 경유하여 좌측으로 연장된 후 상기 회동바(69)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는 미리 정해진 정도의 유격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기구(71)와 제2 실린더기구(7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축소되어, 제1 또는 제2 연결와이어(74,75) 중에서 어느 하나만 당겨질 경우, 상기 회동바(69)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기구(71)만 축소될 경우, 제1 연결와이어(74,75)만 당겨지면서 상기 회동바(6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슬라이드바(64)는 상승된 상태로 상기 래칫볼트(67)에 의해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통전부재(65)가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를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공급선(31a)과 제2 공급선(31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공급선(31a)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상기 제2 공급선(31b)을 통해 주차단기(22)로 인가된다.
그리고, 배전반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 주변의 온도가 동시에 상승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71a,72a)가 축소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를 통해 상기 회동바(69)를 우측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바(64)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66)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바(64)가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온도만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축소될 경우, 상기 회동바(69)가 회동되면서 래칫볼트(67)는 우측으로 당겨지지 않게 되며, 상기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회동바(69)는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됨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더욱 가열되어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더욱 축소될 경우, 회동바(69)가 우측으로 당겨져 상기 래칫볼트(67)가 우측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는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 케이스(10)의 내부에 큰 화재가 발생되어, 케이스(10) 내부 전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온도로 상승될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가 함께 가열되어 축소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를 통해 회동바(69)의 상하단을 동시에 우측으로 당기고, 이에 따라 래칫볼트(67)가 우측으로 당겨져 슬라이드바(64)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한다.
이와 반대로, 작은 화재가 발생되거나, 다른 이유로 케이스(10) 내부공간의 일부분의 온도만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로 상승되었을 때,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할 경우, 도리어 문제를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부의 일부분만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되어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축소될 경우, 상기 회동바(69)의 상하단 중에서 한쪽만 우측으로 당겨져 회동바(69)가 회동됨으로, 상기 슬라이드바(64)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주차단기(22)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동바(69)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 내부공간의 일부분의 온도가 전술한 제1 온도 이상으로 높게 상승될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전술한 길이보다 더욱 짧게 축소되며, 상기 회동바(69)의 일단을 더욱 우측으로 당기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회동바(69)와 함께 래칫볼트(67)가 우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슬라이드바(64)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의 일부분만이라도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상승될 경우에도 자동으로 상기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축소되면서 자동으로 주차단기(2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에 의해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케이스 20. 분기유닛
31. 전원공급선 32. 분기선
41. 회동바 42. 지지바
43. 조명램프 44. 구동모터
45. 개방감지수단

Claims (3)

  1.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유닛(20)과,
    상기 분기유닛(2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1) 및 분기선(32)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1)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양측으로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도어(11)에는 흡기공(11b)과 배기공(11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도어(1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와,
    상기 배기공(11c)에 구비되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26)과,
    상기 온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분기유닛(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기팬(26)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전방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동바(4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회동바(41)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2)와,
    상기 지지바(4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조명램프(43)와,
    상기 회동바(41)에 연결되어 회동바(41)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44)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1)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6)은 상기 개방감지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1)가 전방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열린 것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44)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41)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조명램프(43)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이 연결되는 주차단기(22)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며 상기 분기선(32)이 연결되는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전원공급선(31)의 중간부를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선(31)은
    전원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을 연결하는 제1 공급선(31a)과,
    상기 전원차단수단(A)과 상기 주차단기(22)를 연결하는 제2 공급선(31b)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차단수단(A)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6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1)에 상기 가이드홈(61a)의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공급선(31a,31b)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와,
    상기 가이드홈(6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부도체재질의 슬라이드바(64)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구비되며 슬라이드바(64)의 상승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슬라이드바(64)의 하강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재(62,63)의 연결을 해제하는 통전부재(65)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64)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6)와,
    전단부가 상기 지지부재(6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바(64)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래칫볼트(67)와,
    상기 래칫볼트(67)에 연결되어 상기 래칫볼트(67)가 슬라이드바(64)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8)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중간부가 상기 래칫볼트(67)의 후단부에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회동바(69)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호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온도가 상승되면 팽창되는 팽창가스(71g,72g)가 구비되어 주변의 온도가 상승되면 피스톤로드(71e,72e)가 후퇴되어 축소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와,
    기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기구(71,72)의 피스톤로드(71e,72e)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된 가이드로올러(73)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회동바(69)의 상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린더기구(71,72)가 축소되면 상기 회동바(69)의 상단 또는 하단을 후방으로 당기는 제1 및 제2 연결와이어(74,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200070665A 2020-06-11 2020-06-11 배전반 KR10242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65A KR102425020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65A KR102425020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35A true KR20210153835A (ko) 2021-12-20
KR102425020B1 KR102425020B1 (ko) 2022-07-26

Family

ID=7903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65A KR102425020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85B1 (ko) * 2023-03-22 2023-12-0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있는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15B1 (ko) * 2009-04-07 2009-09-1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공냉식 냉각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269899B1 (ko) 2013-04-17 2013-05-31 (주)서전기전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604110B1 (ko) * 2015-09-24 2016-03-16 박우순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74884B1 (ko) * 2017-02-22 2018-07-06 (주)한성기술단 수납박스가 구비된 배전반
KR101885834B1 (ko) * 2017-03-28 2018-08-07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92037B1 (ko) * 2018-12-14 2020-04-20 (주)현명이앤씨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분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15B1 (ko) * 2009-04-07 2009-09-1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공냉식 냉각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269899B1 (ko) 2013-04-17 2013-05-31 (주)서전기전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604110B1 (ko) * 2015-09-24 2016-03-16 박우순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74884B1 (ko) * 2017-02-22 2018-07-06 (주)한성기술단 수납박스가 구비된 배전반
KR101885834B1 (ko) * 2017-03-28 2018-08-07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92037B1 (ko) * 2018-12-14 2020-04-20 (주)현명이앤씨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분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85B1 (ko) * 2023-03-22 2023-12-0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있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20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490B1 (ko) 조명램프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102425020B1 (ko) 배전반
CN1228897C (zh) 具有通风装置的电力开关设备和具有两个通风部件的通风装置
EP0788926A2 (en) Pneumatically telescoping mast
BR0312170A (pt) interruptor e sistema de curto-circuitamento para eliminar falhas de formação de arco em equipamentos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KR1022989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배전반
WO2016158787A1 (ja) 成形装置
CN112332251B (zh) 一种智能安全型开关柜
CN101809700A (zh) 一种中压开关装置中的极柱部
KR102298931B1 (ko) 온도표시 기능이 있는 공동주택용 분배전반
RU2368974C2 (ru) Заземляющ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102314491B1 (ko) 수납박스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CN216530161U (zh) 一种节能环保型的配电装置
CN110808196A (zh) 一种电气工程配电断路器
CN207427674U (zh) 易散热双电源故障监控及报警装置
US6311714B1 (en) Seismic detecting shut-down valve device
CN113659483A (zh) 一种具有干燥结构的环保充气柜
CN216564065U (zh) 一种双电源应急馈线柜
KR10265628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명램프가 구비된 배전반
CN219591890U (zh) 一种便于维修的户外配电柜
CN111430199B (zh) 一种熔断器
CN117405953B (zh) 一种油浸式变压器故障在线检测设备及其方法
CN108110628A (zh) 一种配电柜
CN220896088U (zh) 一种母联柜功能性柜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0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29

Effective date: 2022042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