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389A -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389A
KR20210153389A KR1020200070366A KR20200070366A KR20210153389A KR 20210153389 A KR20210153389 A KR 20210153389A KR 1020200070366 A KR1020200070366 A KR 1020200070366A KR 20200070366 A KR20200070366 A KR 20200070366A KR 20210153389 A KR20210153389 A KR 20210153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extract
noni
stem cell
vi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범
민세경
오재권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389A/ko
Publication of KR2021015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4Osteocytes, Osteoblasts, Odontocytes; Bones, Tee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46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 C12N2506/1361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from dental pulp or dental follicle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은 줄기세포의 생존능을 개선시키면서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촉진시켜 효과적으로 골분화된 세포를 얻고자 할 때 본 발명의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Viability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Comprising the Extract of Morinda citrifoli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니(Morinda citrifolia) 열매는 열대 및 아열대 전역에서 전통 의학에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서양 의학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Wall, M., et al., 2018. J Sci Food Agric 98: 3391-3399). 노니 추출물은 담나칸탈(damnacanthal), 미리세틴(myricetin) 및 우르솔릭산(ursolic acid)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물화학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Pratap, U.P., et al., 2015. J Recept Signal Transduct Res 1-13). 담나칸탈은 안트라퀴논(anthraquinone)이며 여러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s)를 표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항암 특징을 가지고 있다 (Garcia-Vilas, J.A., et al., 2015. Sci Rep 5: 8021; Garcia-Vilas, J.A., et al., 2015. Mol Immunol 65: 86-93). 노니 열매의 식물화학 물질은 비장 림프구의 ERK 경로를 통해 노화 관련 면역 및 항산화 효소 활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ratap, U.P., et al., 2015. J Recept Signal Transduct Res 1-13). 또한, 노니 추출물은 DNA 복구 유전자의 발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upta, R.K., et al., 2015. Asian Pac J Cancer Prev 16: 3457-3461).
노니 열매는 상처, 타박상 및 상처 치료(Palu, A., et al., 2010. Phytother Res 24: 1437-1441)에 사용되었다. 감기, 독감, 통증, 당뇨병, 고혈압 및 암 치료에도 적용되었다(Sharma, K., et al., 2015. Drug Res (Stuttg) 66(3):141-147). 노니는 치과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목적으로 적용된다. 노니 열매의 수용성 추출물은 충치와 관련이 있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츠(Streptococcus mutans)와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에 대해 억제 효과가 있다(Kumarasamy, B., et al., 2014. J Dent (Tehran) 11: 703-710). 노니 주스는 엔테로코커스 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 효과로 인해 근관세척에 사용되었다(Choudhary, E., et al., 2018. J Conserv Dent 21: 443-449).
하지만, 노니 열매의 추출물에 의한 치은(gingiva) 유래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골분화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WO 2008/013900(공개일자: 2008.01.31)
본 발명자들은 치은 유래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골분화에 노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고, 노니 추출물을 치은 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함으로써 줄기세포의 형태가 잘 유지되었고 줄기세포의 생존능을 개선시켰으며, 노니 추출물을 골분화 유도 배지에 첨가할 경우에는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니 추출물을 분리된 줄기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니(Morinda citrifol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노니 추출물은 줄기세포의 생존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골분화 및 광물화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는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多能性, 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全能性, totipotent)이 있는 자가-재생산능(self-renewal)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배아줄기세포, 유도 다능성 줄기세포 및 성체줄기세포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 “배아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는 남성의 생식세포인 정자와 여성의 생식세포인 난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수정란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배아줄기세포는 착상 전 배반포기배의 내부 세포괴로부터 획득되며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으나 배양조건만 주어진다면 분화되지 않은 상태로 무한대로 증식이 가능한 아직 분화되지 않은 세포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특수 분화 배양 환경에서는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 분화가 유도되어 신경, 당뇨, 혈액과같은 질환의 세포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어서 한 개의 배아줄기세포주만으로도 수많은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기대되는 만능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유도 다능성 줄기세포”는 분화된 세포들이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다능성 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일컫는 말로서, 역분화 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이라고도 한다.
상기 용어 “성체줄기세포”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조직에서 분리해 낸, 분화되기 직전의 원시세포로서, 무한정으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 및 여러 가지 형태의 세포(예를 들면, 지방세포, 연골세포, 근육세포, 뼈세포등)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에서 “분화”는 덜 특화된 세포가 특정한 세포로 발달여 세포의 크기나 모양, 막전위, 대사활성, 신호에 대한 반응이 특정한 유형의 세포로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분화는 주로 다세포 생물이 단일 접합자(zygote)에서 복잡한 조직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거나, 성인이 되었을 때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는 경우 성체줄기세포가 특정한 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노니 추출물은 노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노니의 열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 또는 분리해 낸 물질을 말하며, 원료로부터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니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에는 상기 노니 추출물이 0.0001 내지 10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5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및 각종 분화 세포를 초기화시킨 유도 다능성 줄기세로(ips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성체줄기세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은 유래인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노니 추출물을 분리된 줄기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은 분리된 줄기세포에 상기 노니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노니 추출물이 처리된, 분리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노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노니의 열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서 상기 노니 추출물이 0.0001 내지 10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5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및 각종 분화 세포를 초기화시킨 유도 다능성 줄기세로(ips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성체줄기세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은 유래인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줄기세포의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i)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은 줄기세포의 생존능을 개선시키면서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iii) 본 발명은 줄기세포의 골분화를 촉진시켜 효과적으로 골분화된 세포를 얻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 및 분석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노니 추출물이 포함된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줄기세포 배양 7 일자에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며, 스케일바는 200 μm를 나타낸다.
도 3은 노니 추출물을 줄기세포에 처리한 후 배양 1 일자에 관찰한 줄기세포의 Live/Dead/Merged 세포 이미지를 나타낸다. 스케일바는 200 μm를 나타낸다.
도 4는 노니 추출물을 줄기세포에 처리한 후 배양 7 일자에 관찰한 줄기세포의 Live/Dead/Merged 세포 이미지를 나타낸다. 스케일바는 200 μm를 나타낸다.
도 5는 노니 추출물을 줄기세포에 처리한 후 배양 1 및 7 일자에 CCK-8 분석에 의한 줄기세포의 생존능 정도를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 배양 7 일자의 노니 추출물을 0 ng/ml로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냈다(P < 0.05).
도 6은 노니 추출물이 포함된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배양 7 및 14 일자의 알칼리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배양 7 일자의 노니 추출물을 0 ng/ml로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냈다(P < 0.05).
도 7은 노니 추출물이 포함된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배양 7 일자에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미지이다.
도 8은 노니 추출물이 포함된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배양 3, 7 및 14 일자에 알리자린 레드 S로 염색하여 정량분석을 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실시예
실험 재료 및 방법
1. 노니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은 15 년 이상된 노니(Morinda citrifolia) 식물의 열매(Ngaraard, Ngiwal, Palau)로부터 제조되었다. 노니열매를 60 ~ 85%의 습도로 실온 (20 ~ 28℃)에서 11 내지 12 주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된 노니열매의 부피 및 중량은 11.84 L 및 18.5 kg이었다. 상기 숙성된 노니열매를 압착추출하고 여과하여 착즙형태의 노니열매 추출물을 제조한 후 노니열매 추출물(착즙)의 최종 부피 및 중량은 10.82 L 및 11 kg이었다. 상기 노니열매 추출물(착즙)의 500 ml (0.508 kg)를 동결건조기(Ilshin Lab Co. Ltd. Seoul Korea)에서 동결건조하여 30 g의 고체잔사를 수득하여 5.9% (w/w)의 수율을 얻었다. 수득한 고체잔사를 분말화하여 배지에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치은 유래 줄기세포의 분리 및 배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의 임상시험연구심사위원회에서 승인받아, 치주치료 진행 중인 건강한 환자로부터 건강한 치은(gingiva) 조직을 얻었다.
상기 치은 조직은 즉시 100 U/㎖ 페니실린(시그마 알드리치, 미국)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시그마 알드리치, 미국)이 포함된 살균된 인산완충식염수(PBS, Welgene)에 넣어 4℃에 두었다. 상기 치은 조직은 탈-상피화(de-epithelialize)하여 분쇄하였고, 콜라게나아제 Ⅳ(시그마 알드리치)로 소화시킨 후, 5% CO2 및 95% O2의 습윤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부착되지 않은 세포는 씻어내고, α-MEM 배지를 기본으로 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상기 배지는 15%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100 U/㎖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 200 mM L-글루타민(시그마 알드리치, 미국) 및 10 mM 아스코르브산 2-인산염(시그마 알드리치, 미국)를 포함한다. 그 이후, 2-3일 마다 배지를 갈아줌으로써, 인간 치은 유래의 성체 줄기세포를 확립하였다.
상기 세포는 콜로니-형성 능력, 부착능(plastic adherence) 및 다양한 계통으로 분화능(골형성, 지방형성, 연골형성)과 같은 줄기세포 특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상기세포는 유동 세포 분석법에 의해 CD44, CD73, CD90 및 CD105는 발현하지만, CD14, CD45, CD34 및 CD19는 발현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줄기세포 형태의 평가
줄기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올려놓고, 줄기세포를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지 내에 상기 노니 추출물을 최종농도 0 (대조군), 10, 100 및 200 ng/m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상기 세포의 형태는 배양 7 일자에 역상 현미경(inverted microscope, Leica DM IRM, Leica Microsystems, Wetzlar, 독일)을 사용하여 관찰되었다.
4. 줄기세포 생존능 측정
줄기세포 생존능의 분석은 배양 1 및 7 일자에 수행되었다. 줄기세포 생존능의 정성분석을 위해, 원형질막 완전성(plasma membrane integrity) 및 에스테라제 활성(esterase activity)를 기반으로 하는, 시판되는 2 색(two-color) 분석키트(Live/Dead Kit assay, Molecular Probes, Eugene, OR, 미국)를 사용하였다. Live/Dead Kit 분석에서는 살아있는 세포는 강하고, 단일한 녹색 형광을 나타내고, 죽은 세포는 적색 형광을 나타낸다. Cell counting Kit-8(CCK-8, Dojindo, 일본)을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확인하였다. 분광 광학적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ioTek, 미국)로 측정하여 분석되었다.
5.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 분석
알칼리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활성 분석을 배양 7 및 14 일자에 수행하였다. 트립신(Trypsin, Gibco)을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시판되는 키트 (K412-500, BioVision, Inc., 미국)를 사용하여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ioTek, 미국)를 사용하여 샘플의 분광 광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알리자린 레드 S 염색 평가
줄기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올려놓고, 줄기세포를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골분화 유도 배지 내에 노니 추출물을 최종농도 0 (대조군), 10, 100 및 200 ng/m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 염색은 배양 3. 7 및 14 일자에 수행되었다. 세포를 세척하고 고정시키고 2% 알리자린 레드 S 용액 (ScienCell Research Laboratories, Inc., 미국)으로 염색하고 현미경(CKX41SF, Olympus Corporation)으로 칼슘 침착정도를 관찰하였다. 이후 결합된 염료의 정량분석은 주위 온도에서 15 분 동안 10%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를 첨가함으로써 수행되었다. 560 nm에서의 분광 광도 정량화(spectrophotometric quantification)를 수행하였다.
7. 통계 분석
실험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은 3 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Shapiro-Wilk 테스트는 정규성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되었다. 사후 검증(post hoc test)을 포함하는 일원 분산 분석(ANOVA)은 시판되는 프로그램(SPSS 12 for Windows, SPSS Inc., 미국)을 이용하여 그룹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의 수준은 0.05이다.
실험결과
1. 줄기세포 형태의 평가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 7 일자 세포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 농도로 첨가한 경우 줄기세포에서의 유의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줄기세포 생존능 측정
줄기세포의 생존능에 대한 정성적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 1 및 7 일자에 Live/Dead Kit assa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배양 1 일자의 모든 그룹에서 대부분의 줄기세포가 살아있음을 나타내는 녹색 형광을 나타내었다(도 3 참조). 더 긴 배양시간(7일)에서 현저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4 참조).
배양 1 및 7 일자의 세포 생존능에 대한 정량적 값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배양 1 일자에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은 각각 0.636 ± 0.074, 1.006 ± 0.250, 1.178 ± 0.275 및 1.002 ± 0.257로 나타났다(P > 0.05). 배양 7 일자에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은 각각 0.562 ± 0.093, 1.331 ± 0.150, 1.811 ± 0.286, and 1.652 ± 0.155로 나타났다(P < 0.05). 배양 7 일자에 대조군(0 ng/ml)과 비교했을 때 노니 추출물을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이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특히 1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다 (P < 0.05).
3.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 분석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 분석결과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배양 7 일자에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405 nm 흡광도 값은 각각 0.273 ± 0.108, 0.430 ± 0.023, 0.479 ± 0.008 및 0.418 ± 0.029로 나타났다(P < 0.05). 대조군(0 ng/ml)과 비교했을 때 노니 추출물을 10 및 1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P < 0.05). 배양 14 일자에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405 nm 흡광도 값은 각각 0.596 ± 0.063, 0.503 ± 0.013, 0.576 ± 0.024, and 0.510 ± 0.032로 나타났다(P > 0.05).
4. 골분화 유도 배지에서의 알리자린 레드 S 염색 평가
도 7은 알리자린 레드 S 염색 결과를 보여준다. 칼슘 침착물이 각 그룹에서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알리자린 레드 S 염색의 정량분석 결과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배양 3 일자에 노니 추출물을 0,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560 nm 흡광도 값은 각각 0.123 ± 0.006, 0.144 ± 0.006, 0.153 ± 0.007, and 0.147 ± 0.006으로 나타났다(P < 0.05). 배양 3 일자에 대조군(0 ng/ml)과 비교했을 때 노니 추출물을 10, 100 및 2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이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특히 100 n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다 (P < 0.0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노니(Morinda citrifol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노니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0.0001 내지 10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치은(gingiva) 유래인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6. 노니 추출물을 분리된 줄기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노니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0.0001 내지 1000 ng/ml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치은(gingiva) 유래인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를 개선하는 방법.
KR1020200070366A 2020-06-10 2020-06-10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3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366A KR20210153389A (ko) 2020-06-10 2020-06-10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366A KR20210153389A (ko) 2020-06-10 2020-06-10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89A true KR20210153389A (ko) 2021-12-17

Family

ID=7903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366A KR20210153389A (ko) 2020-06-10 2020-06-10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3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900A2 (en) 2006-07-26 2008-01-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steogenic enhanc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900A2 (en) 2006-07-26 2008-01-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steogenic enhancer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toluzzi et al. Cytotoxicity and osteogenic potential of silicate calcium cements as potential protective materials for pulpal revascularization
US10251824B2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epared by said method
Dahake et al. Response of stem cells from human exfoliated deciduous teeth (SHED) to three bioinductive materials–An in vitro experimental study
Ogidi et al.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In-vitro Antimicrobial Potency of Wild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obtained from Yenagoa, Nigeri
Zhu et al. Effect of iRoot SP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on the viability and polarization of macrophages
Martins et al. Dragon's blood sap (Croton lechleri) as storage medium for avulsed teeth: in vitro study of cell viability
Djais et al. Effect of propolis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formation
KR100803998B1 (ko)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R20210153389A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생존능 및 골분화 개선용 조성물
Khodabandeh et al. Comparing the effects of Elaegnus Angustifolia, Hypericum Perforatum and Psidium Guajava extracts on metabolic activity of dental pulp-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endi Nigella sativa oil could indu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dental pulp mesenchymal stem cells: Clinical nutrition for dentistry
Adam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cytotoxic effect of different intracanal medicaments
KR102446907B1 (ko) 쿠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촉진용 조성물
Tumova et al. Immunostimulant activity of Bergenia extracts
Meilena et al. Toxicity test on taro leaf extract (Colocasia esculenta L. Schoot) as mouthwash to BHK-21 fibroblast cell culture in denture users
Achmad et al. Inhibitory Power Test of White Rice Bran Extract (Oryza Sativa L.) with the Solution of Ethanol and Aquades on Porphyromonas Gingivalis (In Vitro) Bacteria
Coelho et al. Low concentrations of grape seed extract maintain osteoblast morphology, cell adhesion, and mineralization
Alfahdawi Effect of propolis on fungal infection for denture wearers and dry socket
KR101738087B1 (ko)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골분화 촉진용 조성물
Tomomura et al. Extract of Sasa senanensis Rehder leaf promo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cells
JP6763497B1 (ja) ミネラル代謝異常抑制剤
Volkmann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arrabidaea chica polyphenolic extract used as dentin pre-treatment against cariogenic microbiota
Botelho-Filho et al. Anatomical description and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Aristolochia esperanzae Kuntze (Aristolochiaceae) extract on oral micro-organisms
Roeslan et al. Characteristics of Clinacanthus nutans extraction from Thailand and Indonesia (preliminary study)
Blanco et al. Ethanolic extract of Aloe arborescens stimulates neonatal rat calvarial cells proliferation, migration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