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364A - 위생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364A
KR20210152364A KR1020210000826A KR20210000826A KR20210152364A KR 20210152364 A KR20210152364 A KR 20210152364A KR 1020210000826 A KR1020210000826 A KR 1020210000826A KR 20210000826 A KR20210000826 A KR 20210000826A KR 20210152364 A KR20210152364 A KR 2021015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haft
camshaft
rack gea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민철
Original Assignee
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민철 filed Critical 지민철
Priority to KR102021000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364A/ko
Publication of KR2021015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생 발판장치는 내부에 세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판과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발판을 포함하여, 소정 시점에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에 위치하는 위생 발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생 발판장치{Sanitary Footrest}
본 발명은 위생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생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 각종 발판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화장실의 남성용 소변기의 앞, 세면대의 앞, 건물의 출입구, 공항의 비행기 하선 게이트 등에서 청결, 위생, 방역 등을 위하여 발판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발판은 보통 천 형태의 것을 사용하므로 위생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판을 사람이 수동으로 정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남성용 소변기의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변기는 전방이 상하로 길게 개구된 형태이다. 따라서 남성이 소변을 볼 때 주의하지 않으면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튀게 된다. 소변은 주로 소변기의 전방에 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변기의 상부 벽에 사용자가 소변기에 다가서도록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소변기의 밖으로 소변이 튀지 않도록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변기의 앞에 발판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발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발판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거나 정기적으로 사람이 세척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발판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생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발판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위생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위생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위생 발판장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링크 및 제2-2링크를 포함하는 제1발판;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링크 및 제2-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판과 교대로 배치되는 제2발판; 상기 제1발판의 제2-1링크와 회전이 구속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발판의 제2-1링크와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제1축; 상기 제1발판의 제2-2링크와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발판의 제2-2링크와 회전이 구속되도록 연결되는 제2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은 원형단면과 비원형단면이 구비되며, 상기 원형단면에는 상기 제1발판의 제2-2링크 및 상기 제2발판의 제2-1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비원형단면에는 상기 제1발판의 제2-1링크 및 상기 제2발판의 제2-2링크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에는 제1축 기어부 및 제2축 기어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축 기어부 및 상기 제2축 기어부에는 제1축 랙기어부 및 제2축 랙기어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축 랙기어부 및 상기 제2축 랙기어부는 치형부와 비치형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축 랙기어부 및 상기 제2축 랙기어부는 제3축과 나사결합하며, 상기 제1축 랙기어부의 나사결합 방향과 상기 제2축 랙기어부의 나사결합 방향은 서로 반대로 구비되어, 상기 제3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축 기어부 및 상기 제2축 기어부는 치형부 및 비치형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축에는 제3축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축 기어에는 제4축에 구비된 제4축 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축에는 제4축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4축 구동기어에는 액튜에이터에 연결된 회전축에 구비된 메인 구동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는 워터 하우징과, 상기 워터 하우징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워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을 지지하는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는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을 지지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워터 하우징에는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위생 발판장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발판;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판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제2발판; 상기 제1발판에 연결되며, 다수의 링크를 가지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2발판에 연결되며, 다수의 링크를 가지는 제2링크부재;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제1링크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2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발판의 지지부는 상기 제1발판의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발판의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1발판의 지지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위생 발판장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발판;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발판; 상기 제1발판의 살대를 지지하는 제1캠을 포함하는 제1캠축; 상기 제2발판의 살대를 지지하는 제2캠을 포함하는 제2캠축을 포함하여; 상기 제1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을 수용하는 베이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발판 및 제2발판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상부, 상기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발판 및 제2발판의 살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에는 가이드축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캠축 및 상기 제2캠축에는 제1캠축 기어부 및 제2캠축 기어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캠축 기어부 및 상기 제2캠축 기어부에는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랙기어부 및 상기 제2랙기어부는 치형부와 비치형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제1랙기어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랙기어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나사축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축에는 상기 제1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제1나사축과 나사결합되는 제1랙기어부, 상기 제2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제1나사축과 나사결합되는 제2랙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축의 상기 제1캠축 기어부의 치형부와, 상기 제1나사축의 상기 제2캠축의 치형부의 위치는 반대로 배치되어, 상기 제1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캠축 기어부 및 제2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나사축과 치합하는 제2나사축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나사축에는 상기 제1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제1나사축과 나사결합되는 제1랙기어부, 상기 제2캠축 기어부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제1나사축과 나사결합되는 제2랙기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나사축의 상기 제1캠축 기어부의 치형부와, 상기 제2나사축의 상기 제2캠축의 치형부의 위치는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캠축 기어부 및 상기 제2캠축 기어부는, 피니언부와,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랙기어부 및 상기 제2랙기어부는, 상기 피니언부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랙부와, 상기 랙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곡선부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위생 발판장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판과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발판을 포함하여, 소정 시점에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발판장치의 실시예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생 발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는 도 1의 구동부분의 동작 상태를 여러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발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발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캠과 발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1의 구동부분의 동작 상태를 여러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캠축과 랙기어부의 상호운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설치방식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발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위생 발판장치는 여러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소변기의 앞에 설치되는 위생 발판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 발판장치은 바닥에 매립되거나 바닥의 위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위생 발판장치은 바닥에 매립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에는 소변기(14)가 설치된다. 소변기(14)의 상측에는 상기 소변기(14)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12)이 연결된다. 소변기(14)의 소정 위치에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소변기(14)의 전방에는 발판장치(1)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변기(14)의 전방에 소변이 가장 많이 튀게 되므로, 발판장치(1)는 소변기(14)의 전방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발판장치(1)는 화장실의 바닥(2)에 매립될 수 있다. 발판장치(1)의 상면과 화장실의 바닥(2) 사이에 단차가 없도록, 발판장치(1)의 상면은 바닥(2)의 상면과 동일 높이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발판장치(1)의 상면이 화장실 바닥(2)과 동일 평면이 되므로, 사용자가 소변기(14)의 앞으로 다가갈때 사용자의 발이 발판장치(1)에 걸리지 않는다.
발판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발판장치(1)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함)
발판장치(1)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발판(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소정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상기 하우징(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2)이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42)은 소변기(14)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12)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42)에는 밸브(42a)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관(46)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에는 밸브(46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척수는 물을 사용할 수 있고, 물에 소독제, 살균제, 항균제 등(이하 총칭하여 편의상 '세척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된다. 세척제는 액상, 고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급수관(42)의 소정 위치에는 세척제가 수용되는 세척제 박스(44)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42)을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제를 발판장치(1)의 하우징(10)에 공급할 수 있다. 세척제가 소진되면, 박스(44)에 세척제를 보충할 수 있다. 또는 세척제가 포함된 세척제 박스(44) 자체를 교환할 수도 있다.
한편, 발판장치(1)의 하우징(10)에는 발판(5)이 구비될 수 있다. 발판(5)은 제1발판(52)과 제2발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과 제2발판(54)는 교대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어느 시점에 제1발판(52)과 제2발판(54)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발판은 화장실의 바닥(2)과 동일 높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발판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의 세척수에 잠겨 세척될 수 있다.
사용된 발판과 세척된 발판의 상하 위치를 교대로 이동시켜, 상부 발판 즉 사용자가 밟는 발판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하부 발판은 세척수에 의하여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발판의 상하 이동 구조는 후술함.)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발판장치(1)의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우징(10)은 한 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다수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각종 기계부품, 전기전자부품 등에 세척수가 닫지 않도록 하우징(10)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베이스 하우징(3)과 워터 하우징(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내부에는 워터 하우징(6)이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일측에는 전장실(7)이 구비될 수 있다. 워터 하우징(6)의 상부에는 발판(5)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워터 하우징(6)을 설명한다.
워터 하우징(6)는 소정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워터 하우징(6)에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발판(5)이 배치될 수 있다.
발판(5)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양측에는 각각 제1축(92)과 제2축(96)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축(92)과 제2축(92)을 지지하기 위하여, 워터 하우징(6)의 소정 위치에는 이에 대응하는 슬롯(64b, 64c)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슬롯(64b, 64c)의 하단은 워터 하우징(6)의 바닥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롯(64b, 64c)에 제1축(92)과 제2축(96)이 각각 끼워지면, 슬롯(64b, 64c)의 나머지 부분에는 세척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패킹이 끼워질 수 있다.(도 18 참조) 워터 하우징(6)의 소정 높이까지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슬롯(64b, 64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지지부재(65b)와 제2지지부재(65c)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5b)와 제2지지부재(65c)에 제1축(92)과 제2축(92)이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5b)는 제2지지부재(65c)보다 높이가 작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제2지지부재(65c)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5b)와 제2지지부재(65c)의 하단에는 다수의 통공(644b, 644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공(644b, 644c)을 통하여 세척수가 흐를 수 있다.
한편, 워터 하우징(6)의 소정 위치에는 급수관(42) 및 배수관(46)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42)을 통하여 깨끗한 세척수가 워터 하우징(6)에 유입될 수 있고, 배수관(46)을 통하여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다.
급수관(42)과 워터 하우징(6)의 연결 높이는 워터 하우징(6)의 대략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관(46)의 연결위치는 급수관(42)의 연결위치보다는 하측일 수 있다.
급수관(42)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 시점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감지되고 소정 시간후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배수관(46)을 통한 오염된 세척수의 배출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세척수의 양이 되는 수위 위에 배수관(46)을 연결하면, 세척수의 수위가 이 이상이 되면 세척수는 배수관(46)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또는 배수관(46)에 밸브(46a)를 설치하여, 배수시점을 정할 수도 있다. 밸브(46a)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수관(46)은 워터 하우징(6)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기가 사용될 때마다 배수하거나 소정 시간 사용 후에 배수할 수 있다.
발판(5)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5)은 상하로 이동가능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은 워터 하우징(6)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화장실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워터 하우징(6)의 세척수에 잠겨 세척될 수 있다.
소변기 앞에서는 사용자가 제1발판(52) 및/또는 제2발판(54)을 밟게 된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라도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최소한 한 개는 화장실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발판(52)만 상부에 있는 상태, 제2발판(54)만 상부에 있는 상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상부에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시간에 따른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위치 관계는 후술함.)
베이스 하우징(3)을 설명한다.
베이스 하우징(3)는 소정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내부에는 워터 하우징(6)이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에는 발판(5)을 구동시키는 각종 동력전달기구(820, 830 등)가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베이스 하우징(3)과 워터 하우징(6)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발판(5)의 제1축(92)과 제2축(96)을 지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하우징(3)의 소정 위치에는 이에 대응하는 홈(34b, 34c)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홈(34b, 34c)의 하단은 워터 하우징(6)의 바닥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홈(34b, 34c)은 워터 하우징(6)의 슬롯(64b, 64c)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축(820)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하우징(3)의 소정 위치에는 이에 대응하는 홈(34a)이 구비될 수 있다.(제4축은 후술함.)
다음으로 전장실(7)을 설명한다.
전장실(7)은 베이스 하우징(3)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7)에는 각종 각종 기계 부품 및 전장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7)에는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 PCB 기판,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발판(5)의 동작 구조의 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을 설명한다.
제1발판(52)은 제1링크(522)와 상기 제1링크(5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524a, 524b)(편의상 '제2-1링크(좌측 제2링크), 제2-2링크(우측 제2링크)'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522)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522)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2개의 제2링크(524a, 524b)가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522)에 대하여 제2링크(524a, 524b)가 회전 가능하도록 핀(526a, 526b)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522) 및 제2링크(524a, 524b)는 축 방향으로 다수 개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제1링크(522)는 소정 면적을 점유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1링크(522)의 조합이 발판 기능을 하며, 이 부분을 사람이 밟게 된다.(도 2 참조)
제2발판(54)을 설명한다.
제2발판(54)의 구조도 제1발판(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제2발판(54)은 제1링크(542) 및 한 쌍의 제2링크(544a, 544b)(편의상 '제2-1링크(좌측 제2링크), 제2-2링크(우측 제2링크)'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542)에 대하여 제2링크(544a, 544b)가 회전 가능하도록 핀(546a, 546b)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발판(54)은 제1링크(542) 및 제2링크(544a, 544b)는,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 및 제2링크(524a, 524b)와 축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제1발판(52)의 상하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1발판(52)의 제2링크(524a, 524b)와 축(92, 96)의 연결구조를 설명한다.
제1발판(52)의 양단에 연결되는 2개의 제2링크(524a, 524b)는 각각 제1축(92)(편의상 '좌축') 및 제2축(96)(편의상 '우축')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좌측 제2링크(524a)는 좌축(92)의 회전에 종속될 수 있으며,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의 회전에 종속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좌축(92)이 회전하면, 좌측 제2링크(524a)는 좌축(9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우축(96)이 회전하여도 우측 제2링크(524b)는 상기 우축(96)에 대하여 겉돌뿐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좌측 제2링크(524a)는 좌축(92)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다.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축(92)은 원형 단면(924)과 비원형 단면(922)이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 우축(96)도 원형 단면(964)과 비원형 단면(962)이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 제2링크(524a)는 좌축(92)의 비원형단면(922)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의 원형단면(964)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발판(52)의 상하이동을 설명한다.
좌축(9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제2링크(524a)는 좌축(92)과 함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제2링크(524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제2링크(524a)에 연결된 제1링크(522)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제1링크(522)에 연결된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에 겉돌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제2링크(524b)의 회전은 우축(96)의 회전과 상관없고, 제1링크(522)의 회전에 종속한다. 따라서, 제1링크(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좌측 제2링크(524b)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정리하면, 제1발판(52)에서는, 좌축(9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22)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좌축(9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22)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발판(54)의 상하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제2발판(54)의 상하이동 구조는 제1발판(52)의 상하이동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1발판(52)은 좌축(92)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지만, 제2발판(54)은 우축(96)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발판(54)의 우측 제2링크(544b)는 우축(96)의 회전에 종속되고, 좌측 제2링크(544a)는 좌축(92)의 회전에 종속되지 않는다.
제2발판(54)에서는 우축(96)이 회전하면, 우측 제2링크(544b)는 우축(96)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좌축(92)이 회전하여도 좌측 제2링크(544a)는 상기 좌축(92)에 대하여 겉돌뿐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발판(54)에서는, 우측 제2링크(544b)는 우축(96)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좌측 제2링크(544a)는 좌축(92)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우측 제2링크(544b)는 좌축(92)의 비원형단면(962)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좌측 제2링크(544a)는 좌축(92)의 원형단면(924)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발판(54)에서는, 우축(9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22)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우축(9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22)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발판(52)은 좌축(92)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제2발판(54)은 우축(96)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좌축(92) 및 우축(96)은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하여 정역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축(92) 및 우축(96)에 각각 모터가 연결되어, 좌축(92) 및 우축(96)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좌축(92) 및 우축(96)을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좌축(92) 및 우축(96)을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모터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좌축(92) 및 우축(96)을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좌축(92)의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한다.
좌축(92)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양단에는 제1축 기어부(94)(이하 편의상 '좌축 기어부'라 함)가 구비될 수 있다. 좌축 기어부(94)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좌축 기어부(94)는 치형이 구비된 치형부(942)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94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축 기어부(94)에는 제1축 랙기어부(836a) (이하 편의상 '좌축 랙기어부'라 함)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축 랙기어부(836a)는 치형이 구비된 치형부(837a)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838a)를 포함할 수 있다.
좌축 랙기어부(836a)의 치형부(837a)에 좌축 기어부(94)의 치형부(942)가 치합된 상태에서는, 좌축 랙기어부(836a)의 직선운동이 좌축 기어부(9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좌축 랙기어부(836a)의 치형부(837a)에 좌축 기어부(94)의 치형부(942)가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좌축 랙기어부(836a)의 직선운동이 좌축 기어부(9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지 않아, 좌축 기어부(94)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우축 기어부(95) 및 우측 랙기어부(836b)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축 기어부(95)의 비치형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98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랙기어부(836b)의 일측에는 상기 홈(982)이 끼워지는 돌출부(984)가 구비될 수 있다. 우축 기어부(95) 및 우측 랙기어부(836b)의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홈(982) 및 돌출부(984)의 상호 연결에 의하여 헛돌지 않도록 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우축 기어부(95) 및 우측 랙기어부(836b)의 치합과 비치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비치형부(838a)의 상면(838c)은 하부로 함몰될 수도 있다.
우축 기어부(95) 및 우측 랙기어부(836b)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좌축 기어부(94) 및 좌측 랙기어부(836a)도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좌축 랙기어부(836a)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한다.
좌축 랙기어부(836a)의 내부에는 암사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에 수나사(834a)가 구비된 제3축(83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암나사와 수나사(834b)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제3축(830)의 회전운동이 좌축 랙기어부(836a)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축(830)이 회전하면 좌축 랙기어부(836a)가 직선운동하고, 좌축 랙기어부(836a)에 치합된 좌축 기어부(94)는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한편, 제3축(83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제3축(8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839a, 839b, 839c, 839d)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축(96)의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한다.
우축(96)의 동력전달구조도 실질적으로 좌축(92)의 동력전달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좌측 랙기어부(836a)의 수나사(834a)와 암나사의 결합방식과 우축 랙기어부(836b)의 수나사(834b)와 암나사의 결합방식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축 랙기어부(836a)는 오른나사 결합, 우축 랙기어부(836b)는 왼나사 결합이 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3축(830)이 회전하면, 좌축 랙기어부(836a)와 우축 랙기어부(836b) 의 직선운동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축(8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축 랙기어부(836a) 는 도면상 우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우축 랙기어부(836b)는 도면상 좌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좌축 랙기어부(836a)와 우축 랙기어부(836b)가 서로 접근할 수 있다.(도 4에서, 실선 화살표 참조)
반대로, 제3축(8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축 랙기어부(836a)는 도면상 좌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우축 랙기어부(836b)는 도면상 우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좌축 랙기어부(836a)와 우축 랙기어부(836b)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위치 및 운동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상태를 설명한다.
제1상태는 제1발판(52)은 상부, 제2발판(54)은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는 화장실의 바닥과 같은 높이이며, 제2링크(524a, 524b)는 대략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를 밟을 수 있다.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 및 제2링크(544a, 544b)는 화장실의 바닥에서 내려온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 및 제2링크(544a, 544b)는 세척수에 잠겨 있을 수 있으면,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축 기어부(94)와 좌축 랙기어부(836a)의 연결관계, 우축 기어부(95)와 우축 랙기어부(836b)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제1상태에서는, 좌축 랙기어부(836a)의 비치형부(838a)에 좌축 기어부(94)가 위치할 수 있다. 반면에, 우축 랙기어부(836b)의 치형부(837b)에 우축 기어부(96)의 치형부(95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상태를 설명한다.
제2상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모두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 및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는 화장실의 바닥과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위를 밟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의 전환을 설명한다.
제1상태는 제1발판(52)은 상부, 제2발판(54)은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2상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려면, 제1발판(52)은 상부 위치를 유지하고, 제2발판(54)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야 한다.
먼저 제2발판(54)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4의 제1상태에서, 제3축(8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좌축 랙기어부(836a)는 우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우축 랙기어부(836b) 는 좌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좌축 랙기어부(836a)와 우축 랙기어부(836b)가 서로 접근할 수 있다.(도 4의 실선 화살표 참조)
제1상태에서는, 우축 랙기어부(836b)의 치형부(838b)에 우축 기어부(95)의 치형부(954)가 위치하여 상호 치합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우축 랙기어부(836b)의 치형부(838b)의 선단에 우축 기어부(95)의 치형부(954)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우축 랙기어부(836b)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우축 기어부(9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축 기어부(9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축(96)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축(96)과 제2발판(54)의 우측 제2링크(544b)는 서로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우축(9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발판(54)의 우측 제2링크(544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제2링크(544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42)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1링크(542)가 우측을 이동하면, 제1링크(542)에 연결된 좌측 제2링크(544a)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좌축(92)과 좌측 제2링크(544a)는 상호 구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링크(54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좌측 제2링크(544a)는 좌축(92)에 대하여 겉돌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가 상부로 이동하여,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가 화장실의 바닥의 높이와 같아 진다.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우축 랙기어부(836b)의 비치형부(838b)에 우축 기어부(95)가 위치하여 상호 치합되지 않게 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제1발판(52)의 운동을 설명한다.
제1발판(52)의 우측 제2링크(524b)와 우축(96)은 서로 구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우축(9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발판(52)의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에 대하여 겉돌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제1발판(52)의 좌측 제2링크(524a)와 좌축(92)은 서로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좌축(92)이 회전하면 제1발판(52)의 좌측 제2링크(524a)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상태에서는, 좌축 랙기어부(836a)의 비치형부(837a)에 좌축 기어부(94)가 위치하여, 서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좌축 랙기어부(836a) 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도, 좌축 기어부(94)가 회전하지 않는다. 좌축 기어부(94)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좌축(92)도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발판(52)은 원래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좌축 랙기어부(836a)의 치형부(837a)에 좌축 기어부(94)의 치형부(942)가 치합이 시작되는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정리하면, 도 4의 제1상태에서 제3축(8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5의 제2상태가 될 수 있다. 제1상태에서는 제1발판(52)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2발판(54)은 하부에 위치한다. 제2상태에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모두 상부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3상태를 설명한다.
제3상태는 제1발판(52)은 하부, 제2발판(54)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3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2발판(54)을 밟을 수 있다. 제2발판(54)의 제1링크(542)는 화장실의 바닥과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의 전환을 설명한다.
제2상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은 모두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3상태는 제1발판(52)은 하부, 제2발판(54)은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전환하려면, 제1발판(52)은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이동하고, 제2발판(54)는 상부 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먼저 제1발판(52)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5의 제2상태에서, 제3축(8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다. 그러면, 좌축 랙기어부(836a)는 우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우축 랙기어부(836b)는 좌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좌축 랙기어부(836a)와 우축 랙기어부(836b)가 서로 더욱 접근할 수 있다.
제2상태에서는, 좌축 랙기어부(836a)의 치형부(837a)에 좌축 기어부(94)의 치형부(942)에 치합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따라서, 좌축 랙기어부(836a)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좌축 기어부(9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축 기어부(9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축(9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축(92)과 제1발판(52)의 좌측 제2링크(524a)는 서로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좌축(9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발판(52)의 좌측 제2링크(524a)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 제2링크(524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링크(522)도 좌측으로 이동한다. 제1링크(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링크(522)에 연결된 우측 제2링크(524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과 상호 구속되어 있지 않지 때문에, 우측 제2링크(524b)는 우축(96)에 대하여 겉돌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가 하부로 이동하여, 제1발판(52)의 제1링크(522)가 화장실의 바닥의 높이보다 낮아 진다.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좌축 랙기어부(836a)의 치형부(837a)에서 좌축 기어부(94)의 치형부(942)가 치합이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2발판(54)의 운동을 설명한다.
제2발판(54)의 좌측 제1링크(542)는 좌축(92)과 서로 구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좌축(9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발판(54)의 좌측 제2링크(544a)는 좌축(92)에 대하여 겉돌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제2발판(54)의 우측 제2링크(544b)는 우축(96)과 서로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우축(96)이 회전하면 제2발판(54)의 우측 제2링크(544b)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상태에서는, 우축 랙기어부(836b)의 비치형부(838b)에 우축 기어부(95)가 위치하므로, 우축 랙기어부(836b)가 왼쪽으로 이동하여도, 우축 기어부(95)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축 랙기어부(836b)의 좌측으로 직선운동이 우축 기어부(95)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지 않아, 우축(96)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발판(54)이 원래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우축 랙기어부(836b)의 치형부에 우축(96) 기어부의 치형부가 치합이 분리된 상태이다.(도 6 참조)
정리하면, 도 5의 제2상태에서 제3축(830)이 정회전을 계속하면, 도 6의 제3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상태에서는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모두 상부에 위치한다. 제3상태에서는 제1발판(52)은 하부에 위치하고, 제2발판(54)은 상부에 위치한다.
한편, 제3축(8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될 수 있3다. 제3축(830)의 시계방향 회전이 계속되면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의 상하운동 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소변기의 사용시에 제1발판(52) 및/또는 제2발판(54)을 밟게 된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 중의 적어도 1개의 발판은 상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며, 어떤 시점에서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 중의 적어도 1개의 발판은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 상태는 제1상태 또는 제3상태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 중의 한 개가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 개는 하부로 위치하여 세척수에 잠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상태를 대기 상태로 하여 설명한다.
제1상태에서는, 제1발판(52)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2발판(54)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발판(52)을 밟을 수 있고, 제2발판(54)은 세척수에 잠겨 세척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발판(52)을 밟고 소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면, 소변이 튀어 제1발판(52)에 묻을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제1발판(52)과 깨끗한 제2발판(54)을 교대시킨다. 즉,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면, 제1상태에서 제3상태로 변환한다.
그러면, 오염된 제1발판(52)은 하부로 하강하고, 깨끗한 제2발판(54)은 상부로 상승한다. 오염된 제1발판(52)은 세척수에 잠겨 세척되고, 사용자는 깨끗한 제2발판(54)을 밟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깨끗한 제1발판(52) 또는 제2발판(54)을 밟을 수 있다.
한편, 제1상태에서 제3상태로 바로 변환하면, 그 변환 사이에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태와 제3상태 사이의 변환과정에서 제2상태를 먼저 진행할 수 있다.
즉, 제1상태에서 먼저 제2상태로 변환시킨다. 그러면, 제1발판(52)이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발판(54)이 상부로 상승하여, 제1발판(52) 및 제2발판(54)이 모두 상부에 위치한다. 다음에는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전환한다. 즉, 제2발판(54)이 상부에 위치하면, 제1발판(52)은 하부로 하강시킨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발판은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또는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가 한 개의 사이클이 된다.
한편, 한 개의 사이클의 작동 시점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1상태-> 제2상태->제3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센서는 광센서, 근접센서, PIR 센서, 압력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3축(830)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3축(830)에는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제3축(830)의 사이에는 적절한 감속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축(83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3축(830)은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축(편의상, '제3-1축 및 제3-2축'이라 함)이 구비될 수 있다. 제3-1축(830) 및 제3-2축(830a)에 각각 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두개의 제3-1축(830) 및 제3-2축(830a)을 같이 구동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제3-1축(830) 및 제3-2축(830a)의 일단에는 각각 기어(832, 832a)(편의상 '제3축 기어'라 함)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3축 기어(832, 832a)에는 각각 기어(824, 824a)(편의상 '제4축 기어'라 함)가 치합될 수 있다. 2개의 제4축 기어(824, 824a)는 제4축(8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4축 기어(824, 824a)는 워엄휘일이 될 수 있으며, 제3축 기어(832, 832a)는 워엄기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축(820)의 회전방향과 제3축(830)의 회전방향은 직각이 될 수 있다.
한편, 제4축(820)에는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4축(820)을 모터가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제4축(820)의 소정 위치에 제4축 구동기어(8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축 구동기어(822)에는 메인 구동기어(812)가 치합될 수 있다. 제4축 구동기어(822)는 워엄휘일이 될 수 있으며, 메인 구동기어(812)는 워엄기어가 될 수 있다. 워엄기어의 회전축에는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8)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축(820)의 회전방향과 모터(8)의 회전방향은 직각이 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생 발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상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인 작용 원리는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발판 및 제2발판의 구조 및 상하이동 메커니즘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발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발판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520) 및 제2발판(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0) 및 제2발판(54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제1발판(520)의 크기가 제2발판(54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의 내부에 제2발판(540)이 수용될 수 있다.
제1발판(520)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살대(522)의 사이는 개구부(522a)가 만들어 질 수 있다. 다수의 살대(522)의 양측에는 한쌍의 연결부(5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발판(520)은 전체적으로 그릴형상이 될 수 있다.
제2발판(540)도 한쌍의 연결부(544) 및 다수의 살대(5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살대(542)의 사이는 개구부(542a)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발판(540)의 지지부(544)의 높이는 제1발판(520)의 지지부(524)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발판(540)의 살대(542)의 높이는 제1발판(520)의 살대(522)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발판(540)의 살대(542)은 제1발판(520)의 살대(522)과 서로 엇갈려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 및 제2발판(540)은 서로 끼워져 겹쳐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발판(520, 540)의 상하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제1발판(520)의 지지부(524)에 제1링크부재(526)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발판(520)의 연결부(524)의 저면에 제1링크부재(5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크부재(526)는 다절링크일 수 있다. 제1링크부재(526)는 다수의 링크(526a)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링크(526a)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링크(526a)의 연결점(526b)은 연결부(524)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526)의 일단을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제1링크부재(526)에 결합된 제1발판(520)은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즉, 제1링크부재(526)의 링크구조에 의하여, 제1링크부재(526)의 수평운동이 제1발판(52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제1링크부재(526)의 일단에는 제1링크부재(526)를 수평운동(직선운동)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92) 구조를 사용하여, 피스톤(94)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52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구조 대신에 리니어 액튜에이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 예를 들어 랙/피니언 구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발판(540)도 제2링크부재(546)를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링크부재(546)는 다절링크일 수 있다. 제2링크부재(546)는 다수의 링크(546a)가 회전점(546b)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92a)에 연결된 피스톤(94a)의 일단이 제2링크부재(54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발판(540)의 운동은 제1발판(520)의 운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상태는 제1발판(520)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2발판(540)은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2상태는 제1발판(520) 및 제2발판(540)이 모두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3상태는 제1발판(520)은 하부에 위치하고 제2발판(540)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발판은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또는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가 한 개의 사이클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생 발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상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인 작용 원리는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발판 및 제2발판의 구조 및 상하이동 메커니즘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먼저, 본 실시예의 발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발판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5200)과 제2발판(5400)은 베이스(5600)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발판(5200)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대(5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살대(522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살대의 사이에는 개구부(5220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살대(5220)는 연결부(524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살대(5220)는 연결부(5240)에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24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축(5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5230)은 베이스(5600)의 가이드홈(5616a)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의 상하이동은 가이드축(5230) 및 가이드홈(5616a)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제2발판(5400)도 연결부(5440) 및 다수의 살대(5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살대(5420)의 사이에는 개구부(5420a)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연결부(544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축(543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축(5430)은 베이스(5600)의 가이드홈(5616b)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발판(5200)의 연결부(5240)와 제2발판(5400)의 연결부(5440)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제1발판(5200)의 연결부(5240)는 좌측에 위치하며, 제2발판(5400)의 연결부(5440)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발판(5200)의 살대(5220)은 제2발판(5400)의 개구부(5420a)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발판(5400)의 살대(5420)은 제1발판(5200)의 개구부(5220a)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과 제2발판(5400)은 서로 끼워져 겹쳐질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5600)를 설명한다.
베이스(5600)는 대략 제1발판(5200)과 제2발판(54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는(5600)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5600)는 한 쌍의 제1프레임(5610a, 5610b)과, 상기 제1프레임(5610a, 5610b)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5630a, 5630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프레임(5630a, 5630b)의 사이에는 최소한 한개의 지지대(56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발판(5200)과 제2발판(5400)이 하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발판(5200)과 상기 제2발판(5400)이 지지대(564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프레임(5610a, 5610b)의 측면에는 가이드홈(5616a, 5616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5616a, 5616b)은 상하로 길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5616a, 5616b)에는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의 가이드축(5230, 5430)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5610a, 5610b)의 상부(5612a, 5612b)은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5610a, 5610b)의 상부(5612a, 5612b)에는 다수의 개구부(5614a, 5614b)가 소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의 제1프레임(5610a)의 개구부(5614a)와 우측 제1프레임(5610b)의 개구부(5614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제1발판(5200)의 살대(5220)는 우측의 제1프레임(5610b)의 개구부(5614b)에 끼워질 수 있다. 제2발판(5400)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제2발판(5400)의 살대(5420)는 좌측의 제1프레임(5610a)의 개구부(5614a)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발판(5200)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발판(5200)의 연결부(5240)와 살대(5220)는 소정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살대(5220)가 연결부(524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발판(5200)의 연결부(5240)의 상면은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좌측의 제1프레임(5610a)의 상부(5612a)의 저면은 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발판(5200)이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발판 (5200)의 연결부(5240)의 상면은 좌측의 제1프레임(5610a)의 상부(5612a)의 저면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발판(5200)의 살대(5220)의 선단(5224)은 우측의 제1프레임(5610b)의 개구부(5614b)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은 베이스(5600)에 이격없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이 상부에 위치에 있을 때, 제1발판(5200)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1발판(5200)의 상하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제1발판(5200)은 제1캠축(96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캠축(9600, 9600a)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1캠축(9600, 9600a)이 4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제1캠축(9600)에는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의 제1캠(96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캠(9610)은 단변(9610a)과 장변(9610b)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1캠(9610)에 제1캠축(9600)은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캠(9610)은 대략 타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캠(9610)의 하부에 제1캠축(960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캠축(9600)은 대략 90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캠(9610)의 단변부(9610a)가 상부에 있는 위치에서, 제1캠축(9600)이 90도 회전하면 제1캠(9610)의 장변부(9610b)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1캠축(9600)의 회전에 따른 제1발판(5200)의 상하이동을 설명한다.
제1발판(5200)의 살대(5220)는 제1캠축(9600)의 제1캠(96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캠축(9600)의 회전에 따라서, 제1발판(5200)의 살대(5220)는 제1캠(961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발판(5200)의 살대(5220)가 제1캠축(9600)의 제1캠(9610)에서 이탈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발판(5200)의 살대(5220)의 저면에는 돌출부(52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캠축(9600)의 제1캠(9610)에는 돌출부(9222)에 대응하는 오목부(9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캠(9610)의 오목부(9612)는 2개의 장변부(9610b) 중의 한개, 2개의 단변부(9610a) 중의 한개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발판(5200)의 살대(5220)가 제1캠(9610)의 단변부(9610a)에 지지되면, 제1발판(5200)은 상부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발판(5200)의 살대(5220)가 제1캠(9610)의 장변부(9610b)에 지지되면, 제1발판(5200)은 하부 위치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제2발판(5400)의 상하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제2발판(5400)의 상하이동 구조는 제1발판(5200)의 상하이동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제2발판(5400)은 제2캠축(92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2캠축(9200, 9200a)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캠축(9200)에는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의 제2캠(9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캠(9210)도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2캠축(9200)이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캠(9210)에는 제2발판(5400)의 살대(5420)가 지지될 수 있다. 제2발판(5400)의 살대(5420)가 제2캠(9210)의 단변부에 지지되면, 제2발판(5400)은 상부 위치가 될 수 있다. 제2발판(5400)의 살대(5420)가 제2캠(9210)의 장변부에 지지되면, 제2발판(5400)은 하부 위치가 될 수 있다.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은 액튜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하여 정역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에 각각 모터가 연결되어,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모터와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 사이에 적절한 감속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을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1캠축 (9600) 및 제2캠축(9200)을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모터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1캠축(9600) 및 제2캠축(9200)을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
제1캠축(96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 및 제2캠축(92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제2캠축(92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한다.
제2캠축(9200)의 일단에는 제2캠축 기어부(9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는 치형부(9420a)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9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에는 제2랙기어부(8360)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랙기어부(8360)는 치형부(8362a)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83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20a)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가 치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랙기어부(8360)의 직선운동이 상기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20a)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에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랙기어부(8360)의 직선운동이 상기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지 않아, 상기 제2캠축 기어부(940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캠축(96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한다.
제1캠축(96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도 실질적으로 제2캠축(9200)으로의 동력전달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캠축(9600)의 일단에는 제1캠축 기어부(95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캠축 기어부(9500)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캠축 기어부(9500)는 치형부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캠축 기어부(9500)에는 제1랙기어부(8460)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제2랙기어부(8460)는 치형부와 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비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캠축 기어부 및 랙기어부의 구조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2캠축 기어부(9400) 및 제2랙기어부(836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캠축 기어부(9400)는 피니언부(9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부(9420)의 측면(축방향)에는 바디(9452)가 구비될 수 있다. 피니언부(9420)는 바디(9452)의 일측에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부(9420)는 제1랙기어부(8360)와 치합될 수 있으며, 바디(9452)는 제2캠축(9200)에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부(9420)는 치형부(9420a)와 비치형부(9420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9452)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다. 바디(9452)는 곡선부(9452a), 제1직선부(9452b) 및 제2직선부(945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랙기어부(8360)는 랙부(8362)를 포함할 수 있다. 랙부(8361)의 측면(축방향)에는 가이드(8364)가 구비될 수 있다.
랙부(8362)는 치형부(8362a) 및 비치형부(8362b)를 포함할 수 있다. 랙부(8362)는 저면에 치형부(8362a)가 구비될 수 있다. 랙부(8362)는 제1캠축 기어부(9400)와 치합될 수 있다. 가이드(8364)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가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가이드(8364)는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부(8364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8364)는 후측(치형부(8362a)의 반대편 위치)에 구비되는 수직부(836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8364)는 대략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8364)의 수평부(8364a)의 길이는 랙부(836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8364)의 전방(치형부(8362a)의 측면 상측)에는 제1공간(8366)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8364)의 수평부(8364a)와 수직부(8364b) 사이에는 제2공간(8368)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 및 제2랙기어부(8360)의 조립된 상태를 설명한다.
조립된 결합 상태에서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와 제2랙기어부(8360)의 랙부(8362)가 상호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가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가 상호 대응할 수 있다.
즉,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의 상측에는 제2랙기어부(8360)의 랙부(8362)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의 상측에는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은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즉,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와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가 치합된 상태에서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은 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와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가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랙기어부(8360)의 랙부(8362)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와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또한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62)와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한다.
한편,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와 제2랙기어부(8360)의 랙부(8362)는 제1공간(836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제2랙기어부(8360)가 직선운동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은 회전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와 제2랙기어부(8360)의 랙부(8362)의 치합이 해제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가 제2랙기어부(8360)의 제2공간(8368)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제2랙기어부(8360)가 직선운동하더라도 제2캠축 기어부(9400)은 회전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가, 회전하지 않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를 슬라이딩하면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도 17 참조, 상세한 동작은 후술함)
다음으로, 랙기어부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2랙기어부(8360)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한다.
제2랙기어부(8360)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랙기어부(8360)의 암나사는 수나사(8430)가 구비된 제1나사축(830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암나사와 수나사(8430)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제1나사축(8300)의 회전운동이 제2랙기어부(836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나사축(8300)이 회전하면 제2랙기어부(8360)가 직선운동할 수 있고, 제2랙기어부(8360)에 치합된 제2캠축 기어부(9400)는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캠축(9600, 9600a) 및 제2캠축(9200, 9200a)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캠축(9600, 9600a)의 제1캠축 기어부(9500, 9500a)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8460, 8460a)도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제2캠축(9200, 9200a)의 제2캠축 기어부(9400, 9400a)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8360, 8360a)도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랙기어부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나사축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에 각각 모터를 연결하여,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를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한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을 같이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나사축(8300)에는 제1나사축 기어(83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에는 제2나사축 기어(85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나사축 기어(8520)는 제1나사축 기어(8320)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 중의 한 개가 회전하면, 다른 한 개의 나사축이 회전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 중의 한 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 중의 한 개에 모터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 중의 한 개와 모터의 사이에는 적절한 감속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나사축(8300)의 제1나사축 기어(8320) 및 제2나사축(8500)의 제2나사축 기어(8520) 중의 한 개에 워엄기어를 연결하여, 상기 워엄기어가 모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구비되는 랙기어부의 관계를 설명한다.
제1나사축(8300)에는 제1랙기어부가 구비되고, 제2나사축(8500)에는 제2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나사축(8300)에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구비되고, 제2나사축(8500)에도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의 살대(5220, 5420)를 촘촘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의 살대(5220, 5420)가 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에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나사축(8300) 또는 제2나사축(8500)만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축(8300)에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구비되고, 제2나사축(8500)에도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나사축(8300)에는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에도 제1랙기어부 및 제2랙기어부가 혼합되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의 좌측에는 2개의 제2랙기어부(8360)(편의상 '제2-L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우측에는 2개의 제1랙기어부(8460a)(편의상 '제1-R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의 좌측에는 2개의 제1랙기어부(8460)(편의상 '제1-L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우측에는 2개의 제2랙기어부(8360a)(편의상 '제2-R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나사축(8300)에 구비되는 제2-L랙기어부(8360a) 및 제1-R랙기어부(8460a)는 상호 180도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에 구비되는 제1-L랙기어부(8460) 및 제2-R랙기어부(8360a)는 상호 180도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나사축(8300)의 제2-L랙기어부(8360)의 치형부는 도면상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나사축(8300)의 제1-R랙기어부(8460a)의 치형부는 도면상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나사축(8500)의 제1-L랙기어부(8460)의 치형부는 도면상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나사축(8500)의 제2-R랙기어부(8360a)의 치형부는 도면상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랙기어부는 제1캠축 기어부와 연결되어야 한다.
제1-L랙기어부(8460)는 좌측의 제1캠축 기어부(9500)(편의상 '제1-L캠축 기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R랙기어부(8460a)는 우측의 제1캠축 기어부(9500a)(편의상 '제1-R캠축 기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제1-L랙기어부(8460)는 제2나사축(8500)에 구비되며, 제1-R랙기어부(8460a)는 제1나사축(8300)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L랙기어부(8460)에 연결되는 제1-L캠축(9600)의 길이는, 제1-R랙기어부(8460a)에 연결되는 제1-R캠축(9600a)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왜냐하면, 제1-L캠축(9600)이 연결되는 제2나사축(8500)이 제1-R캠축(9600a)이 연결되는 제1나사축(8300)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제2랙기어부는 제2캠축 기어부와 연결되어야 한다.
제2-L랙기어부(8360)는 좌측의 제2캠축 기어부(9400)(편의상 '제2-L캠축 기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R랙기어부(8360a)는 우측의 제2캠축 기어부(9400a)(편의상 '제2-R캠축 기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제2-L랙기어부(8360)는 제1나사축(8300)에 구비되며, 제2-R랙기어부(8360a)는 제2나사축(8500)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2-L랙기어부(8360)에 연결되는 제2-L캠축(9200)의 길이는, 제2-R랙기어부(8360a)에 연결되는 제2-R캠축(9200a)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2-L캠축(9200)이 연결되는 제1나사축(8300)이 제2-R캠축(9200a)이 연결되는 제2나사축(8500)보다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의 위치 및 운동을 설명한다.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은 같은 높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나사축(8300)과 제2나사축(8500)을 상하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도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상태는 제1발판(5200)은 상부에 제2발판(5400)은 하부에 있는 상태이다. 제2상태는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은 모두 상부에 있는 상태이다. 제3상태는 제1발판(5200)은 하부에 제2발판(5400)은 상부에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발판의 상태는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제1상태 -> 제2상태 -> 제3상태' 또는 '제3상태 -> 제2상태 -> 제1상태'가 한 개의 사이클이 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1상태를 설명한다.
제1캠축(9600)의 제1캠(9610)은 서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의 살대(5220)는 제1캠축(9600)의 제1캠(9610)의 단변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캠축(9200)의 제2캠(9210)은 누워 있는 상태이다. 제2발판(5400)의 살대(5420)는 제2캠축(9200)의 제2캠(9210)의 장변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발판(5400)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상태의 제1캠축 기어부와 제1랙기어부의 연결관계, 제2캠축 기어부와 제2랙기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제1-L캠축 기어부(9500)는 제1-L랙기어부(8460)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R캠축 기어부(9500a)도 제1-R랙기어부(8460a)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에, 제2-L캠축 기어부(9400)는 제2-L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R캠축 기어부(9400a)도 제2-R랙기어부(8360a)의 치형부(8362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의 제1상태에서 도 15의 제2상태로 전환하려면, 제1발판(5200)은 상부 위치를 유지하고, 제2발판(5400)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야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의 전환을 설명한다.
먼저 제1발판(5200)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14의 제1상태에서, 제2나사축(85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R1)한다. 그러면, 제2나사축(8500)에 구비된 제1-L랙기어부(8460) 및 제2-R랙기어부(8360a)는 우측(M1)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의 제2나사축 기어(8520)와 제2나사축(8300)의 제2나사축 기어(8320)는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나사축(85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나사축(8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나사축(8300)이 반시계 방향(R1a)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나사축(8300)에 구비된 제2-L랙기어부(8360) 및 제1-R랙기어부(8460a)는 좌측(M1a)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상태에서는 제1-L캠축 기어부(9500)는 제1-L랙기어부(8460)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L랙기어부(95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도, 제1-L캠축 기어부(846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L캠축(9600)도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제1상태에서는 제1-R캠축 기어부(9500a)는 제1-R랙기어부(8460a)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R랙기어부(8460a)가 좌측으로 이동하여도, 제1-R캠축 기어부(9500a)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R캠축(9600a)도 회전하지 않는다.
정리하면,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이 회전하여도, 제1캠축 즉 제1-L캠축(9600) 및 제1-R캠축(9600a)이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은 상부 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제1-L랙기어부(846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1-R랙기어부(8460a)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L캠축 기어부(9500) 및 제1-R캠축 기어부(9500a)와 치합을 시작하게 된다.(도 15 참조)
다음으로, 제2발판(5400)의 운동을 설명한다.
제1상태에서는, 제2-L캠축 기어부(9400)는 제2-L랙기어부(8360)의 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R캠축 기어부(9400a)도 제1-R랙기어부(8360a)의 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L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L캠축 기어부(9400)는 반시계 방향(BL12)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L캠축(92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R랙기어부(8360a)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R캠축 기어부(9400a)는 시계 방향(BR12)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R캠축(9200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정리하면,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이 회전하면, 제2캠축 즉 제2-L캠축(9200) 및 제2-R캠축(9200a)이 회전한다. 따라서, 제2발판(5400)은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한다.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제2-L랙기어부(836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L캠축 기어부(9400)와 치합이 해제된다. 제2-R랙기어부(8360a)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R캠축 기어부(9400a)와 치합이 해제된다.(도 15 참조)
정리하면, 도 14의 제1상태에서 제2나사축(85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5의 제2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5의 제2상태에서 도 16의 제3상태로 전환하려면, 제2발판(5400)은 상부 위치를 유지하고, 제1발판(5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여야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의 전환을 설명한다.
먼저 제2발판(5200)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15의 제2상태에서, 제2나사축(8500)이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R2)한다. 그러면, 제2나사축(8500)에 구비된 제1-L랙기어부(8360) 및 제2-R랙기어부(8460a)는 우측(M2)으로 직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의 제2나사축 기어(8520)와 제1나사축(8300)의 제1나사축 기어(8320)는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나사축(85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나사축(8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R2a)을 계속할 수 있다.
제1나사축(8300)이 반시계 방향(R2a)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나사축(8300)에 구비된 제2-L랙기어부(8360) 및 제1-R랙기어부(8460a)는 좌측(M2a)으로 직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한편, 제2상태에서는 제2-L캠축 기어부(9400)는 제2-L랙기어부(8360)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L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도, 제2-L캠축 기어부(940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L캠축(9200)도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제2상태에서는 제2-R캠축 기어부(9400)는 제2-R랙기어부(8360a)의 비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R랙기어부(8360a)가 우측으로 이동하여도, 제2-R캠축 기어부(940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R캠축(9200a)도 회전하지 않는다.
정리하면,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이 회전하여도, 제2캠축 즉 제2-L캠축(9400) 및 제2-R캠축(9400a)이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발판(5400)은 상부 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제2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제2-L랙기어부(836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L캠축 기어부(9400)와 치합이 분리된다. 제2-R랙기어부(8360a)가 우측으로 이동 하여, 제2-R캠축 기어부(9400a)와 치합이 분리된다.(도 16 참조)
다음으로, 제1발판(5200)의 운동을 설명한다.
제2상태에서는, 제1-L캠축 기어부(9500)는 제1-L랙기어부(8460)의 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R캠축 기어부(9500a)도 제1-R랙기어부(8460a)의 치형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L랙기어부(8460)가 우측(M2)으로 이동하면, 제1-L캠축 기어부(9500)는 시계 방향(AL23)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L캠축(960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R랙기어부(8460a)가 좌측(M2a)으로 이동하면, 제1-R캠축 기어부(9500a)는 반시계방향(AR23)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R캠축(9600a)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정리하면, 제1나사축(8300) 및 제2나사축(8500)이 회전하면, 제1캠축 즉 제1-L캠축(9600) 및 제1-R캠축(9600a)이 회전한다. 따라서, 제1발판(5200)은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한다.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변환이 완료되면, 제1-L랙기어부(846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L캠축 기어부(9500)와 치합이 유지된다. 제1-R랙기어부(8460a)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R캠축 기어부(9500a)와 치합이 유지된다.(도 16 참조)
정리하면, 도 15의 제2상태에서 제1나사축(8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6의 제3상태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나사축(85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상태->제2상태->제3상태의 사이클(편의상 '제1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이클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나사축(85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상태->제2상태->제1상태의 사이클(편의상 '제2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나사축(85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제2나사축(850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계속되면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제2사이클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제1사이클의 동작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캠축 기어부 및 랙기어부의 상호 운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캠축 기어부(9400) 및 제2랙기어부(836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직선운동하면, 상기 제2랙기어부(8360) 및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상태는 도 17의 (a)에서 (f)로 변화할 수 있다.
도 17(a)는 제2캠축 기어부(9400)가 제2랙기어부(8360)의 좌측단에 위치한 상태이다.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20a)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가 좌측단에서 치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는 제2랙기어부(8360)의 제1공간(8366)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의 곡선부(9452a)는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20a)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가 치합된 상태에서, 제2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직선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제2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직선운동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캠축 기어부(9400)의 피니언부(9420)에 연결된 바디(945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디(9452)는 가이드(8364)의 전방의 제1공간(8366)에 위치하므로, 상기 바디(9452)는 상기 가이드(8364)와 간섭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디(9452)의 곡선부(9452a)가 가이드(8364)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바디(9452)는 상기 가이드(8364)와 간섭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어느정도 직선운동을 진행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20a)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의 치합이 분리된다.
이때는 제2캠축 기어부(9400)도 어느정도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진행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의 제1직선부(9352b)가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의 저면에 닿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7(d)~(e)은,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치형부(9452a)와 제2랙기어부(8360)의 치형부(8362a)의 치합이 분리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2랙기어부(8360)가 좌측으로 직선운동을 계속하여도 제2캠축 기어부(9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하여도 제2캠축 기어부(9400)는 정지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가 만드는 제2공간(8368)에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하면,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는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랙기어부(8360)가 수평운동이 완료되면, 제2캠축 기어부(9400)의 바디(9452)는 제2랙기어부(8360)의 가이드(8364)와 서로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제2캠축 기어부(94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제1발판(5200), 제2발판(5400) 및 베이스(5600)의 설치의 예를 설명한다.
베이스 하우징(3)의 내부에는 워터 하우징(6)이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일측에는 전장실(7)이 구비될 수 있다. 워터 하우징(6)의 상부에는 제1발판(5200), 제2발판(5400) 및 베이스(56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발판(5200), 제2발판(5400) 및 베이스(5600)를 하나의 발판 어셈블리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 어셈블리를 워터 하우징(6)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 워터 하우징(6)에서 발판 어셈블리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발판 어셈블리에서 제1발판(5200), 제2발판(5400) 및 베이스(5600)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 제1발판(5200), 제2발판(5400) 및 베이스(5600)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워터 하우징(6)는 소정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워터 하우징(6)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워터 하우징(6)의 모서리에는 발판 어셈블리의 베이스(5600)가 안착되는 지지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은 소정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내부에는 워터 하우징(6)이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일측에는 전장실(7)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7)에는 제1발판(5200) 및 제2발판(5400)을 구동시키는 각종 동력전달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7)은 제1전장실(72) 및 제2전장실(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장실(72)에는 제1나사축 및 상기 제1나사축에 구비되는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연결되는 캠축 기어부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2전장실(74)에는 제2나사축 및 상기 제2나사축에 구비되는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연결되는 캠축 기어부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캠축(9600)과 제2캠축(9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워터 하우징(6)의 소정 위치에는 이에 대응하는 슬롯(6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소정 위치에도 제1캠축(9600)과 제2캠축(9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슬롯(3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슬롯(34)은 워터 하우징(6)의 슬롯(6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슬롯(34)의 상하방향 길이는 워터 하우징(6)의 슬롯(64)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의 슬롯(34) 및 워터 하우징(6)의 슬롯(64)에는 각각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340, 64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전장실(72) 및 제2전장실(74)을 구획하는 격벽(720)에는 제2나사축까지 연결되는 캠축이 통과하는 슬롯(7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격벽(720)에는 제1나사축의 제1나사축 기어 및 제2나사축의 제2나사축 기어가 치합하기 위한 슬롯(76)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워터 하우징(6)과 베이스 하우징(3)의 사이에는 급수관(42) 및 배수관(46)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42)을 통하여 깨끗한 세척수가 워터 하우징(6)에 유입될 수 있고, 배수관(46)을 통하여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3)에는 오버플로우홀(48)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생 발판장치의 상하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 발판장치를 바닥에 매립하거나 바닥의 상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상하높이를 적게 차지한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이 서로 배치되는 사항이 아니라면,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어느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항은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14 : 소변기 10 : 하우징
5 : 발판 52 : 제1발판
54 : 제2발판

Claims (1)

  1.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링크 및 제2-2링크를 포함하는 제1발판;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링크 및 제2-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판과 교대로 배치되는 제2발판;
    상기 제1발판의 제2-1링크와 회전이 구속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발판의 제2-1링크와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제1축;
    상기 제1발판의 제2-2링크와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발판의 제2-2링크와 회전이 구속되도록 연결되는 제2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발판 및 상기 제2발판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위생 발판장치.


KR1020210000826A 2020-06-08 2021-01-05 위생 발판장치 KR20210152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826A KR20210152364A (ko) 2020-06-08 2021-01-05 위생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93A KR102201707B1 (ko) 2020-06-08 2020-06-08 위생 발판장치
KR1020210000826A KR20210152364A (ko) 2020-06-08 2021-01-05 위생 발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93A Division KR102201707B1 (ko) 2020-06-08 2020-06-08 위생 발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64A true KR20210152364A (ko) 2021-12-15

Family

ID=74129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93A KR102201707B1 (ko) 2020-06-08 2020-06-08 위생 발판장치
KR1020210000826A KR20210152364A (ko) 2020-06-08 2021-01-05 위생 발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93A KR102201707B1 (ko) 2020-06-08 2020-06-08 위생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1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179A1 (ko) * 2021-05-27 2022-12-01 정진우 낙하요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837B1 (ko) * 2019-02-28 2019-05-03 정정훈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707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2364A (ko) 위생 발판장치
CN201865185U (zh) 多用途洁具柜
KR101066922B1 (ko) 개폐 및 세척기능을 갖는 소변기
CN100595398C (zh) 喷管装置
CN108035416B (zh) 移动厕所
PL207229B1 (pl) Regulowana muszla klozetowa
US7810177B2 (en) Hygienic apparatus including a toilet bowl and a urinal
CN107794992B (zh) 一种用于智能马桶的喷水结构
CN220403853U (zh) 一种组装式卫浴镜柜
CN108589844B (zh) 一种卫生洁具节水装置
CN111631620A (zh) 一种智能浴室置物架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JP4871542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211873226U (zh) 清洗装置、智能座便器盖和智能座便器
CN211571868U (zh) 一种自动及手动浴缸排水装置
CN113796764B (zh) 一种升降助力式坐便装置
WO2022137805A1 (ja) 水栓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浴室装置
KR100538644B1 (ko) 비데의 세척노즐 작동장치
KR200320657Y1 (ko) 비데의 세척노즐 작동장치
CN213682390U (zh) 一种自动清洗的小便池系统
CN101240564A (zh) 卫生设备
CN218933348U (zh) 一种挂墙式直冲马桶
CN108378738B (zh) 一种儿童洗脚面盆
CN219863123U (zh) 一种杀菌洗手台
CN212926330U (zh) 一种便于调节的卫生洁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