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837B1 -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837B1
KR101974837B1 KR1020190023701A KR20190023701A KR101974837B1 KR 101974837 B1 KR101974837 B1 KR 101974837B1 KR 1020190023701 A KR1020190023701 A KR 1020190023701A KR 20190023701 A KR20190023701 A KR 20190023701A KR 101974837 B1 KR101974837 B1 KR 10197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raw water
user
storage tank
ur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훈
Original Assignee
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훈 filed Critical 정정훈
Priority to KR102019002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화장실에서 소변기(10)의 하부에 마련되고 원수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소변기(1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가 모여지는 소변낙수저장조(10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1발판(200)과, 제1발판(20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2발판(300)과, 사용자가 소변기(10)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부(40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감지에 따라 제1발판(200)이나 제2발판(300) 중 어느 하나를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올라선 상태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를 하강시켜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시키는 승강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Urine processing apparatus for toilet}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는 대변기와 소변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변기는 남자들이 사용하는 중에 소변이 소변기의 외부로 이탈되어 화장실바닥으로 낙하되어서, 화장실바닥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된 소변에서 악취가 발생되므로, 청소인력에 의해 화장실바닥이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낙하된 소변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시간에만 화장실청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낙하된 소변에 의해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화장실바닥이 오염되어서 변색되거나 사용자의 신발에 묻어 외부로 이동되어서 2차적인 오염 및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78191호가 2011년10월25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는, 화장실에서 소변기(10)의 하부에 마련되고 원수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소변기(1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가 모여지는 소변낙수저장조(10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1발판(200)과, 제1발판(20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2발판(300)과, 사용자가 소변기(10)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부(40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감지에 따라 제1발판(200)이나 제2발판(300) 중 어느 하나를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올라선 상태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를 하강시켜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시키는 승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변낙수저장조(100)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유입구(110)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며,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일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일측 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타측 벽에서 이격되는 격벽(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발판(2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샤프트(210)와, 제1샤프트(2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220)를 포함하고, 제2발판(3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1샤프트(210)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샤프트(210)들은 수평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고, 제1연결부(220)는 제1샤프트(2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제2샤프트(310)들은 수평되면서 제1샤프트(210)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연결부(320)는 제2샤프트(3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제1연결부(220)들보다 외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감지부(400)는 소변기(1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근접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서(410)와, 소변기(10)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이격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센서(420)와,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로 가까워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에서 멀어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회전신호나 역회전신호를 교번으로 발신하는 신호발신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를 공급하고 공급되었던 원수와 함께 배출되는 소변낙수를 필터링하여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재공급하는 원수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가 저장되고,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조(61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에 구비되어 원수저장조(610)의 원수를 소변낙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유입펌프(62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에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를 원수저장조(610)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30)와, 유입펌프(620)나 배출펌프(630)에 연결되어 원수에서 소변을 필터링하는 소변필터(64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소변수위감지부(65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정지신호를 인식하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가 공급되도록 유입펌프(620)를 조작하고, 소변수위감지부(650)가 수위를 감지함을 인식하면 유입펌프(620)를 정지시키는 펌프작동부(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원수에 포함된 소변농도를 측정하는 소변농도측정부(670)를 포함하고, 펌프작동부(660)는 소변농도측정부(65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비교하여 일치하면 배출펌프(630)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신발이 오염됨을 방지하므로 소변이 외부로 이동됨에 따른 2차적인 오염 및 전염병의 확산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가 화장실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변낙수저장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판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판들이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발판이 상승되고 제2발판이 하강되어 소변낙수저장조에 침지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발판이 하강되어 소변낙수저장조에 침지되고 제2발판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원수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는, 화장실에서 소변기(10)의 하부에 마련되고 원수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소변기(1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가 모여지는 소변낙수저장조(10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1발판(200)과, 제1발판(20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2발판(300)과, 사용자가 소변기(10)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부(40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감지에 따라 제1발판(200)이나 제2발판(300) 중 어느 하나를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올라선 상태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를 하강시켜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시키는 승강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소변기(10)는 다수로 구성되어 화장실의 벽면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소변기(10)들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소변낙수저장조(100)는 소변기(10)의 하부에서 화장실바닥에 형성되어 소변기(10)의 외부로 낙하되는 소변낙수가 모여질 수 있고, 채워지는 원수에 하강되어 침지되는 제1발판(200)이나 제2발판(300)이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낙수저장조(100)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유입구(110)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구(110)를 통해 깨끗한 원수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유입되어서 낙하된 소변낙수와 함께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소변낙수저장조(100)와 함께 제1발판(200) 및 제2발판(300)가 소변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면서 깨끗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일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일측 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타측 벽에서 이격되는 격벽(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30)은 제1샤프트(110) 및 제2샤프트(2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샤프트(110) 및 제2샤프트(21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제1샤프트(110) 및 제2샤프트(210)의 간격보다 얇은 두께로 설계될 수 있다. 또는, 격벽(130)은 하강된 제1샤프트(110)나 제2샤프트(210)의 하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강된 제1샤프트(110)나 제2샤프트(210)의 하부에서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바닥까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0)를 통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격벽(130)을 따라 안내되므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된 발판(200,300)이 이동하는 원수에 의해 세척된다. 그리고, 발판(200,300)에서 세척된 소변 및 소변낙수저장조(100)로 낙하된 소변낙수는 원수와 함께 계속적으로 이동되어 격벽(130)의 끝을 돌아서 배출구(120)로 이동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후술되는 원수저장조(61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소변낙수저장조(100)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소변낙수와 함께 화장실외부로 배출되므로, 소변낙수에 의한 화장실바닥의 오염됨이 방지되면서 소변에 의한 악취발생도 방지될 수 있다.
제1발판(2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샤프트(210)와, 제1샤프트(2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제1샤프트(210)들은 수평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샤프트(210)들을 발로 밟고 올라설 수 있다.
제1연결부(220)는 제1샤프트(2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된다.
제2발판(3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1샤프트(210)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제2샤프트(310)는 수평되면서 제1샤프트(2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제1샤프트(210)의 양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연결부(320)는 제2샤프트(3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제1연결부(220)들보다 외측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승강부(500)에 의해 제1발판(200)이 상승되면 제2발판(300)이 하강되므로 하강되는 제2샤프트(310)들의 사이사이에서 제1샤프트(210)들이 상승된다. 물론, 제2발판(300)이 상승되면 제1발판(200)이 하강되므로 하강되는 제1샤프트(210)들의 사이사이에서 제2샤프트(310)들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샤프트들은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하강되는 샤프트들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된다.
사용자감지부(400)는 소변기(1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근접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서(410)와, 소변기(10)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이격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센서(420)와,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로 가까워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에서 멀어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회전신호나 역회전신호를 교번으로 발신하는 신호발신부(430)를 포함한다.
제1센서(410) 및 제2센서(420)는 화장실에서 일측벽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화장실에서 타측벽에 구비되어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10)로 다가가면 제2센서(420)가 감지한 후에 제1센서(410)가 감지하고, 사용자가 소변기(10)에서 멀어지면 제1센서(410)가 감지한 후에 제2센서(420)가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감지부(400)는 소변기(10)들 마다 구비되어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에서 감지되는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못하면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정회전신호나 역회전신호를 교번으로 발신하는 신호발신부(430)를 포함한다. 센서는 근접센서나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10)에 가까워진 상태로 머무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못하면 신호발신부(430)는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소변기(10)에 가까워진 상태로 머무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신호발신부(430)는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승강부(500)는 제1발판(200) 및 제2발판(300)에 양단이 연결되는 체인(510)과, 체인(510)이 감겨지는 피니언(520)과, 사용자감지부(400)에서 발신되는 정지신호에 따라 피니언(520)을 정지시키고, 사용자감지부(400)에서 발신되는 정회전신호나 역회전신호에 따라 피니언(520)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체인(510)은 일단이 제1연결부(220)의 상부에서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320)의 상부에서 중앙에 연결된다.
피니언(520)은 체인(510)의 중간부분이 감겨지기 때문에 제1발판(200) 및 제2발판(300)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피니언(520)에 체인(510)이 감기면 발판(200,300)들의 하중이 체인(510)의 양단에 전달되어 무게중심이 평행을 이루는 상태이므로, 피니언(520)이 회전됨에 따라 발판(200,300)들 편리하게 승강될 수 있어서, 발판(200,300)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이러한, 체인(510)은 로프로 대체될 수도 있고, 피니언(520)은 롤러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구동부(530)는 화장실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피니언(52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500)는 복수로 구성되어 화장실에서 양측에 위치된 상태로 동시에 작동되어 발판(200,300)의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발판(3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피니언(520)이 복수로 구성되면서 회전축(미도시)의 양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의 구동부(530)가 중심축을 회전시키면 피니언(520)들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530)가 구동되어서 피니언(520)을 정회전시키면 제1발판(200)이 상승되면서 제2발판(300)이 하강된다. 이와 반대로, 구동부(530)가 피니언(520)을 역회전시키면 제2발판(300)이 상승되면서 제1발판(200)이 하강된다. 즉, 승강부(500)에 의해 상승되는 발판(200,300)은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승강부(500)에 의해 하강되는 발판(200,300)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된다.
그리고, 승강부(500)는 제1발판(200) 및 제2발판(3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540)을 포함한다.
가이드블록(540)은 제1발판(200) 및 제2발판(300)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제1연결부(220) 및 제2연결부(320)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각각의 측방에 수직되게 가이드홈(541)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블록(540)은 평면에서 볼 때 'U'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40)이 2개나 4개로 구성되어 발판(200,300)을 가이드하면 발판(200,300)이 가이드블록(540)들을 따라 흔들리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승강부(50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한 후에 화장실을 나가면 승강부(500)가 작동되어 소변기(1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에 의해 오염된 발판(200,300)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되어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할 때마다 발판(200,300)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된 상태로 세척되므로, 소변낙수가 제거된 깨끗한 발판(200,300)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500)는 전술한 바와 달리 제1발판(200)나 제2발판(300)을 승강시키도록 복수의 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들이 서로 반대로 작동됨에 따라 제1발판(200)가 상승되면 제2발판(300)가 하강되고, 제1발판(200)가 하강되면 제2발판(300)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500)는 제1발판(200)나 제2발판(300)을 승강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를 공급하고 공급되었던 원수와 함께 배출되는 소변낙수를 필터링하여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재공급하는 원수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가 저장되고,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조(61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에 구비되어 원수저장조(610)의 원수를 소변낙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유입펌프(62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에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를 원수저장조(610)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30)와, 유입펌프(620)나 배출펌프(630)에 연결되어 원수에서 소변을 필터링하는 소변필터(64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소변수위감지부(65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정지신호를 인식하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가 공급되도록 유입펌프(620)를 조작하고, 소변수위감지부(650)가 수위를 감지함을 인식하면 유입펌프(620)를 정지시키는 펌프작동부(660)를 포함한다.
원수저장조(610)는 탱크형태로 형성되어 지하수나 수돗물과 같은 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유입펌프(62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에서 원수저장조(610)에 연결되는 관체에 설치되고, 배출펌프(63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에서 원수저장조(610)에 연결되는 관체에 설치되어, 펌프작동부(660)에 의해 작동된다.
소변필터(640)는 소변을 상투압방식으로 필터링하는 상투압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변필터(640)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소변낙수가 필터링 되므로 소변이 걸러진 원수가 원수저장조(61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필터(640)는 전술한 관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소변수위감지부(65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작동부(660)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펌프작동부(660)가 유입펌프(620)를 작동시키므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가 공급되어서 채워진다. 이때, 소변수위감지부(650)가 원수를 감지하면 펌프작동부(660)가 유입펌프(620)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원수공급이 중단되어 원수가 소변낙수저장조(100)에서 넘치지 않으면서 적정량이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원수에 포함된 소변농도를 측정하는 소변농도측정부(650)를 포함한다.
전술한, 펌프작동부(660)는 소변농도측정부(65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비교하여 일치하면 배출펌프(630)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소변농도측정부(650)는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원수에 포함된 소변에 의해 탁해지는 정도를 측정하는데 측정값이 설정된 기준정값에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소변농도측정부(65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설정된 기준정값에 일치하면 펌프작동부(660)가 배출펌프(630)를 작동시키므로 소변이 포함된 원수가 소변필터(640)를 거쳐서 원수저장조(61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공급된 원수에 의해 발판(200,300)에서 소변이 계속적으로 세척됨에 따라 원수에 소변의 포함량이 증가되므로, 소변에 의해 오염된 원수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원수를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발판(200,300)는 항상 깨끗한 원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어서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를 즉시 청소하여 소변에 의한 악취 및 화장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변기 100 : 소변낙수저장조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격벽 200 : 제1발판
210 : 제1샤프트 220 : 제1연결부
300 : 제2발판 310 : 제2샤프트
320 : 제2연결부 400 : 사용자감지부
410 : 제1센서 420 : 제2센서
430 : 신호발신부 500 : 승강부
510 : 체인 520 : 피니언
530 : 구동부 540 : 가이드블록
541 : 가이드홈 600 : 원수공급부
610 : 원수저장조 620 : 유입펌프
630 : 배출펌프 640 : 소변필터
650 : 소변수위감지부 660 : 펌프작동부
670 : 소변농도측정부

Claims (7)

  1. 화장실에서 소변기(10)의 하부에 마련되고 원수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소변기(1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소변낙수가 모여지는 소변낙수저장조(10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1발판(200)과,
    제1발판(20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올라서는 제2발판(300)과,
    사용자가 소변기(10)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부(40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감지에 따라 제1발판(200)이나 제2발판(300) 중 어느 하나를 상승시켜서 사용자의 올라선 상태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를 하강시켜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침지시키는 승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변낙수저장조(100)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유입구(110)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며,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일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일측 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소변낙수저장조(100)의 타측 벽에서 이격되는 격벽(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발판(2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샤프트(210)와,
    제1샤프트(2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220)를 포함하고,
    제2발판(30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1샤프트(210)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10)들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샤프트(210)들은 수평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고,
    제1연결부(220)는 제1샤프트(2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제2샤프트(310)들은 수평되면서 제1샤프트(210)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연결부(320)는 제2샤프트(310)들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제1연결부(220)들보다 외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감지부(400)는
    소변기(10)에 근접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근접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서(410)와,
    소변기(10)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소변기(10)에 이격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2센서(420)와,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로 가까워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제1센서(410)가 감지됨을 인식한 후에 제2센서(420)가 감지됨을 인식하면 사용자가 소변기(10)에서 멀어짐을 판단하여 승강부(500)에 정회전신호나 역회전신호를 교번으로 발신하는 신호발신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를 공급하고 공급되었던 원수와 함께 배출되는 소변낙수를 필터링하여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재공급하는 원수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가 저장되고,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조(61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유입구(110)에 구비되어 원수저장조(610)의 원수를 소변낙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유입펌프(62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의 배출구(120)에 원수와 함께 소변낙수를 원수저장조(610)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30)와,
    유입펌프(620)나 배출펌프(630)에 연결되어 원수에서 소변을 필터링하는 소변필터(640)와,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소변수위감지부(650)와,
    사용자감지부(400)의 정지신호를 인식하면 소변낙수저장조(100)에 원수가 공급되도록 유입펌프(620)를 조작하고, 소변수위감지부(650)가 수위를 감지함을 인식하면 유입펌프(620)를 정지시키는 펌프작동부(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수공급부(600)는 소변낙수저장조(100)에 구비되어 원수에 포함된 소변농도를 측정하는 소변농도측정부(670)를 포함하고,
    펌프작동부(660)는 소변농도측정부(65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비교하여 일치하면 배출펌프(630)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KR1020190023701A 2019-02-28 2019-02-28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KR10197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01A KR101974837B1 (ko) 2019-02-28 2019-02-28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701A KR101974837B1 (ko) 2019-02-28 2019-02-28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837B1 true KR101974837B1 (ko) 2019-05-03

Family

ID=665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01A KR101974837B1 (ko) 2019-02-28 2019-02-28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07B1 (ko) * 2020-06-08 2021-01-12 지민철 위생 발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138A (ko) * 2010-06-25 2012-01-02 진성닷컴주식회사 친환경 화장실
JP2014531548A (ja) * 2011-10-10 2014-11-27 ザイデル、ニルス ホルガーSEIDEL,Nils Holger 小便器の足場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対応する小便器の構成
KR101526135B1 (ko) * 2015-01-16 2015-06-04 이병철 남성용 소변기 발판
KR20190005550A (ko) * 2017-07-07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138A (ko) * 2010-06-25 2012-01-02 진성닷컴주식회사 친환경 화장실
JP2014531548A (ja) * 2011-10-10 2014-11-27 ザイデル、ニルス ホルガーSEIDEL,Nils Holger 小便器の足場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対応する小便器の構成
KR101526135B1 (ko) * 2015-01-16 2015-06-04 이병철 남성용 소변기 발판
KR20190005550A (ko) * 2017-07-07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07B1 (ko) * 2020-06-08 2021-01-12 지민철 위생 발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624B1 (ko) 수질 자동 측정장치
US7413656B2 (en) Aerobic sewage system
KR101974837B1 (ko) 화장실용 소변낙수 처리장치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WO2016117901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US20070214559A1 (en) Portable toilet
CA2496247A1 (en) Pet toilet
CN1966874A (zh) 生活用水分级使用的节水方法及其自动控制分级用水的装置
US20190136497A1 (en) Holding tank for portable toilet
KR20170099499A (ko) 핸드레일 살균장치
US2308452A (en) Portable shower bath
KR20160081680A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Jones et al. Compendium of accessible WASH technologies
CN103458751A (zh) 独立或同步升起及降下马桶座垫和马桶盖起动机构装置
JP4598143B1 (ja) 生活用水の再使用システム
KR101526135B1 (ko) 남성용 소변기 발판
KR102069453B1 (ko) 화장실 클린 관리시스템
KR101005587B1 (ko) 애견용 변기
KR101003378B1 (ko) 사수방지 구조를 가지는 저수탱크
CN211521727U (zh) 一种城市污水处理用塔式生物滤池
KR20080057947A (ko) 애완동물 자동화 변기
CN113775208B (zh) 一种具有自动消毒功能的移动式卫生间
CN110886513B (zh) 一种残疾人用环保公厕及其实现方法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0520879B1 (ko) 자동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