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355A -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355A
KR20210152355A KR1020200119081A KR20200119081A KR20210152355A KR 20210152355 A KR20210152355 A KR 20210152355A KR 1020200119081 A KR1020200119081 A KR 1020200119081A KR 20200119081 A KR20200119081 A KR 20200119081A KR 20210152355 A KR20210152355 A KR 20210152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web
server
opennes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985B1 (ko
Inventor
장선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랩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랩
Publication of KR2021015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4Reverse engineering; Extracting design information from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은 상기 서버는 웹 사이트의 URL에 접근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web accessibility and opennes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 사이트가 얼마나 웹 접근성 및 개방성을 보장하는지 자동으로 평가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단계적 적용에 따라 2013년 4월 이후 모든 공공기관 및 법인기업의 웹 접근성 준수가 의무화되었다.
웹 개방성이란 웹에 공개된 정보에 이용자가 아무런 제약 없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웹 사이트의 정보를 자유롭게 공개 공유하여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웹 개방성이 이용된다.
따라서 웹 사이트가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을 잘 보장하고 있는지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을 사람이 평가하는 경우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의 각 평가 항목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다양항 방법들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0208호(2019.02.1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의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자동으로 평가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진단 방법은 상기 서버는 웹 사이트의 URL에 접근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서 텍스트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의 밝기 차가 일정 비율 이하일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밝기 차가 상기 일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를 수정한 코드들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서 이미지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텍스트와 시맨틱 태그(semantic tag)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의 연관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사람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사람이며,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이 포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장치는 웹 사이트의 URL에 접근하여 웹 사이트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의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자동으로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함으로써 사람에 의해 평가할 때보다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대시보드의 일 실시 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 및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100)은 서버(10),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 N은 자연수), 및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 M은 자연수)를 포함한다.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100)은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접근성 또는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각 평가 항목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서버(10),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 및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수와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의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서버(10)는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웹 접근성 및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각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진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서버(10)는 수신 모듈(11), 분석 모듈(13), 전송 모듈(15), 및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이하, 수신 모듈(11), 분석 모듈(13), 전송 모듈(15), 및 데이터베이스(17) 각각의 동작은 서버(1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웹 접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은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자막 제공 여부,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텍스트 지시사항 제공, 텍스트 콘텐츠 명도 대비, 자동 재생 금지, 마우스/키보드 사용 보장, 초점 이동, 반복 영역 건너뛰기, 제목 제공, 적절한 링크 텍스트, 기본 언어 표시,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표의 구성, 레이블 제공, 마크업 오류 방지,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은 검색엔진 접근차단, 검색엔진 배제선언, 특정 페이지 접근 차단, 페이지별 정보 수집 거부, 신기술 적용에 의한 차단, 또는 페이지별 URL 차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 또는 기능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신 모듈(11)은 웹 사이트(20-1)의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진단하기 위해 웹 사이트(20-1)의 URL에 접근하여 웹 사이트(20-1)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한다. 웹 사이트(20-1)는 복수의 웹 페이지들(21)을 포함하며, 복수의 웹 페이지들(21) 각각은 소스 코드들로 구현된다.
분석 모듈(13)은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한다. 예컨대, 분석 모듈(13)은 웹 접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 중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하는지 진단하기 위해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한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소스 코드들이 상기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할 때, 상기 소스 코드들을 추천 소스 코드로서 데이터베이스(17)의 평가 항목들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평가 항목들 중 표의 구성과 관련된 소스 코드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1)에 저장되며, 상기 평가 항목들 중 레이블 제공과 관련된 소스 코드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2)에 저장되며, 상기 평가 항목들 중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과 관련된 소스 코드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R; R은 자연수)에 저장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소스 코드들이 상기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상기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추천 소스 코드(SC1, SC2,..또는 SCK, K는 자연수)를 포함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1)가 데이터베이스(17)에 있는지 판단한다. 추천 소스 코드(SC1, SC2,..또는 SCK)는 다른 웹 사이트(예컨대, 20-2, 또는 20-N)의 다른 클라이언트(예컨대, 30-2, 또는 30-M)에 의해 수정된 코드이다.
추천 소스 코드(SC1, SC2,..또는 SCK)는 웹 접근성과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유형에 따라 소스 코드 리스트(SCL1) 형태로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된다. 예컨대, 제1추천 소스 코드(SC1), 제2추천 소스 코드(SC2), 및 제3추천 소스 코드(SC3)는 평가 항목들 중 표의 구성과 관련된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1)에 속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4소스 코드(SC1-1)는 평가 항목들 중 레이블 제공과 관련된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2)에 속할 수 있고, 제5소스 코드(SCR-1)는 평가 항목들 중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과 관련된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R)에 속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소스 코드들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 모듈(13)은 웹 접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에 따라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 항목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워드들 중 어느 임계 값 이상의 단어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단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키워드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키워드는 "button", "플로팅", floating", "table", "title", 또는 "img"일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추출된 키워드를 웹 접근성과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7)에서 저장된 복수의 소스 코드 리스트들(SCL1, SCL2,..및 SCLR; R은 자연수)에서 검색하여 일치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예컨대, SCL1)를 추출한다.
상기 소스 코드 리스트(SCL1)가 데이터베이스(17)에 있을 때, 전송 모듈(15)은 상기 소스 코드 리스트(SCL1)를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모듈(15)은 상기 웹 접근성 또는 상기 웹 개방성의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소스 코드들(SC1, SC2,..및 SCK, K는 자연수)을 포함하는 소스 코드 리스트(SCL1)를 클라이언트(30-1)로 전송한다. 복수의 소스 코드들(SC1, SC2,..및 SCK, K는 자연수)의 순서는 소스 코드를 선택한 관리자들의 수의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소스 코드들(SC1, SC2,..및 SCK) 중 소스 코드(SC1)를 선택한 관리자들의 수가 가장 많을 때, 소스 코드(SC1)가 맨 위에 정렬된다.
도 2는 도 1에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대시보드의 일 실시 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전송 모듈(15)은 분석 모듈(13)에 의해 분석된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30-1)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는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장치이다. 예컨대, 제1클라이언트(30-1)는 제1웹 사이트(20-1)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장치이다.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웹 접근성 또는 상기 웹 개방성의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석 모듈(13)은 복수의 소스 코드들(SC1, SC2,..및 SCK)에서 텍스트의 밝기와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배경의 밝기를 추출한다. 저시력자가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에 기재된 글을 읽기 위해서는 배경의 밝기가 1이라 할 때, 텍스트의 밝기는 4.5 이상이 되어야 한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를 비교한다.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의 밝기 차가 일정 비율 이하일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밝기 차가 상기 일정 비율(4.5: 1) 이상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에 관한 코드들을 수정한다. 전송 모듈(15)은 수정한 코드들을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 및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웹 페이지(21)에 도시된 이미지(23)에 대응되는 소스 코드(25)가 개시된다. 서버(10)는 소스 코드들(도 3에서는 도면부호 25)에서 이미지(23)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달력 이미지")를 추출한다.
시각 장애인에게 이미지(23)를 음성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대체 텍스트("달력 이미지")는 TTS(Text To Speech)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대체 텍스트("달력 이미지")는 소스 코드(25)에서 "img"라는 시맨틱 태크(semantic tag)로 코딩이 되어 있어서 "달력 이미지 그래픽"으로 변환된다. 시맨틱 태그는 웹 페이지(21)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컨대, "img"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서버(10)는 상기 텍스트와 시맨틱 태그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상기 대체 텍스트는 "달력 이미지"이고, 상기 시맨틱 태그는 "img"이다. 여기서 "이미지"와 "img"는 유사한 단어이다. 따라서 서버(10)는 상기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다고 판단한다.
시각 장애인에게 이미지(23)를 음성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대체 텍스트("달력 이미지")는 TTS(Text To Speech)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대체 텍스트("달력 이미지")는 소스 코드(25)에서 시맨틱 태그 "img"로 코딩이 되어 있다. 따라서 "달력 이미지"는 "달력 이미지 그래픽"으로 변환된다. 즉, 이미지와 그래픽이라는 유사한 단어들이 중복된다. 그러므로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다고 확인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시각 장애인들은 온라인 쇼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가 쇼핑 사이트일 때, 분석 모듈(13)은 수신 모듈(11)에 의해 수신된 소스 코드들에서 제품 카테고리에 관한 텍스트를 추출한다. 예컨대,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 카테고리에 관한 텍스트로 과일, 채소, 우유, 세제, 및 의류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에 따라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이미지 분석을 다르게 수행한다. 상기 제품 카테고리가 우유, 또는 세제일 경우,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의 형상을 파악하기 위해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 카테고리 내의 각 상품의 제품 이미지를 분석한다. 상기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은 CNN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우유 용기의 형상은 항아리 모양, 삼각형 모양, 또는 직육면체 모양 등 다양하다. 세제도 플라스틱 용기와 리필용인 비닐 용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우유 용기의 형상과 세제 용기의 형상은 우유와 세제를 선택하는데 있어 소비자에게 중요한 제품 정보이다.
상기 제품 카테고리가 의류일 경우,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의 컬러를 파악하기 위해 이미지 컬러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 카테고리 내의 각 상품의 제품 이미지를 분석한다. 컬러는 소비자가 의류를 구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제품 정보이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상기 제품 카테고리가 우유, 또는 세제일 경우,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우유, 또는 상기 세제의 용기 형상의 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우유, 또는 상기 세제의 용기 형상의 관한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확인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가 제대로 제공된다고 판단한다.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우유, 또는 상기 세제의 용기 형상의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확인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우유, 또는 상기 세제의 용기 형상의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확인될 때, 전송 모듈(15)은 상기 상품의 제품 이미지에서 분석된 제품(예컨대, 우유, 또는 세제)의 용기 형상이 포함되도록 대체 텍스트를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는 상기 대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예컨대, 우유, 또는 세제)의 제품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상기 제품 카테고리가 의류일 경우,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의류의 컬러의 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의류의 컬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확인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제품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가 제대로 제공된다고 판단한다.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의류의 컬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확인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의류의 컬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확인될 때, 전송 모듈(15)은 상기 상품의 제품 이미지에서 분석된 제품(예컨대, 의류)의 컬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대체 텍스트를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30-1, 30-2, 또는 30-M)는 상기 대체 텍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의 제품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석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석 모듈(13)은 복수의 소스 코드들(SC1, SC2,..및 SCK)에 포함된 이미지(예컨대, 25)를 분석하여 이미지(25)에서 복수의 객체들(예컨대, 29, 31)과 텍스트(31)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CNN 알고리즘 등과 같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25)에서 복수의 객체들(29, 31)과 텍스트(31)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될 때, 분석 모듈(13)은 이미지(25) 내에 포함된 텍스트(31)를 인식하고, 이미지(25)에서 복수의 객체들(29, 31)과 텍스트(31)의 연관어들을 추출한다.
이미지(25)에서 인식된 복수의 객체들(29, 31)은 상품(29)과 광고 모델(31)이다.
텍스트(31)는 "루테인", "지안잔틴", 및 "오메가3"일 수 있다. "루테인"의 경우, 눈, 시력, 식약처, 또는 영양제 등이 연관어들로 추출될 수 있다. "지아잔틴"의 경우, 황반변성, 눈, 노화,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이 연관어들로 추출될 수 있다. "오메가3"의 경우, 건강, 지방산, 또는 노화 등이 연관어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연관어들의 추출은 데이터베이스(17)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연관어들의 추출은 외부의 서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웹 페이지(23)의 텍스트(예컨대, 27)에서 복수의 객체들(29, 31), 이미지(25) 내에 포함된 텍스트(예컨대, "루테인, 지아잔틴, 오메가3") 및 상기 연관어들("루테인"의 경우, 눈, 시력, 식약처, 또는 영양제, "지아잔틴"의 경우, 황반변성, 눈, 노화, 또는 건강기능식품, "오메가3"의 경우, 건강, 지방산, 또는 노화)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분석 모듈(13)은 웹 페이지(23)의 텍스트(27)에서 이미지(25) 내에 포함된 텍스트("루테인, 지아잔틴, 오메가3")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객체들(29, 31) 중 어느 하나(31)가 사람일 경우, 분석 모듈(13)은 웹 사이트(예컨대, 20-2)에 포함된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23)의 텍스트(27)에서 사람의 이름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웹 페이지(23)의 텍스트(27)에서 사람의 이름 여부 판단은 데이터베이스(17), 또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7), 또는 외부의 서버(미도시)에서 특정 유명인의 이름이 확인될 때, 사람의 이름으로 판단된다.
분석 모듈(13)은 웹 페이지(23)의 텍스트(27)에서 이미지(25) 내에 포함된 사람(31)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이미지(25)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미지(25)에서 인식된 복수의 객체들(29, 31) 중 어느 하나(31)가 사람이며,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23)의 텍스트(27)에서 이미지(25) 내에 포함된 사람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으며, 이미지(25)의 대체 텍스트에서 사람 이름이 포함될 때, 분석 모듈(13)은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텍스트(27)에서 검색되지 않은 사람의 이름은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대체 텍스트로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의 평가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며, 이는 평가 주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평가 주기는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TTS의 재생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인 TTS의 재생 횟수에 따른 평가 주기 조절 방법은 아래와 같다.
수신 모듈(11)은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TTS 재생 횟수에 관한 정보를 다른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다.
분석 모듈(13)은 설정된 복수의 임계값들에 따라 상기 TTS 재생 횟수를 분류한다.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상기 TTS 재생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을 때, 상위 그룹으로 분류되고,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상기 TTS 재생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때, 하위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의 상기 TTS 재생 횟수가 가장 높은 임계값보다 높을 때, 웹 사이트(20-1, 20-2, 또는 20-N)는 제일 높은 그룹인 제1그룹에 분류될 수 있다.
분석 모듈(13)은 상기 TTS 재생 횟수가 많을수록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의 평가를 자주 수행하도록 상기 평가 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상기 TTS 재생 횟수가 적을수록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의 평가를 덜 수행하도록 상기 평가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들은 TTS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의 정보를 얻는다. 따라서 웹 사이트의 TTS 재생 횟수가 많을수록, 상기 웹 사이트는 시각 장애인들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시각 장애인들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웹 접근성 및 웹 개방성의 평가를 자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의 웹 사이트들의 접근이 보장되도록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모듈(11)은 웹 사이트(20-1)의 URL에 접근하여 웹 사이트(20-1)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한다(S10).
분석 모듈(13)은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한다(S20).
상기 소스 코드들이 상기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부합할 때, 전송 모듈(15)은 그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30-1)로 전송한다(S3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0: 서버;
11: 수신 모듈;
13: 분석 모듈;
15: 전송 모듈;
17: 데이터베이스;
20-1, 20-2, 또는 20-N: 웹 사이트;
30-1, 30-2, 또는 30-M: 클라이언트;

Claims (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사이트의 URL에 접근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서 텍스트의 밝기와 배경의 밝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의 밝기 차가 일정 비율 이하일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밝기 차가 상기 일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상기 텍스트의 밝기와 상기 배경의 밝기를 수정한 코드들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서 이미지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텍스트와 시맨틱 태그(semantic tag)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시맨틱 태그와 유사한 단어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소스 코드들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객체들과 상기 텍스트의 연관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사람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를 대체하는 대체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가 사람이며, 상기 복수의 웹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은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대체 텍스트에서 상기 사람의 이름이 포함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대체 텍스트는 오류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5. 웹 사이트의 URL에 접근하여 웹 사이트의 소스 코드들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또는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의 기준에 따라 상기 소스 코드들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를 대시보드 형태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장치.






KR1020200119081A 2020-06-08 2020-09-16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428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09 2020-06-08
KR20200068809 2020-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55A true KR20210152355A (ko) 2021-12-15
KR102428985B1 KR102428985B1 (ko) 2022-08-04

Family

ID=7886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81A KR102428985B1 (ko) 2020-06-08 2020-09-16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552B1 (ko) * 2023-04-18 2023-08-21 박진원 광고업체 포스팅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18B1 (ko) 2023-12-22 2024-04-19 주식회사 인시퀀스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html로 변환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271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 인사이트랩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220179A (ja) * 2016-06-10 2017-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0208B1 (ko) 2018-12-04 2019-02-22 (주)에스앤씨랩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271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 인사이트랩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220179A (ja) * 2016-06-10 2017-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0208B1 (ko) 2018-12-04 2019-02-22 (주)에스앤씨랩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552B1 (ko) * 2023-04-18 2023-08-21 박진원 광고업체 포스팅 서비스 시스템
KR102577470B1 (ko) * 2023-04-18 2023-09-12 박진원 광고업체 포스팅 자동 검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7471B1 (ko) * 2023-04-18 2023-09-12 박진원 검수 세팅 값에 기반한 정상 포스팅 여부 판단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985B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n et al. Enhancing social media analysis with visual data analytics: A deep learning approach
Kurt The accessibility of university web sites: the case of Turkish universities
Sturt et al. Linguistic focus and good-enough representations: An application of the change-detection paradigm
CN109800386A (zh) 突出显示文档内文本的关键部分
JP6150291B2 (ja) 矛盾表現収集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Mehralian et al. Data-driven accessibility repair revisited: on the effectiveness of generating labels for icons in Android apps
JP7203218B2 (ja) ウェブアクセシビリティおよび開放性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102428985B1 (ko)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Harper et al. Analysing the visual complexity of web pages using document structure
Bose et al. Cultural representations in Indian English language teaching textbooks
Seeman et al. Cognitive and learning disabilities
Stratta et al. Automated content warnings for sensitive posts
Reed Replication in labor economics
Guercio et al. Addressing challenges in web accessibility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Karolus et al. Your Text Is Hard to Read: Facilitating Readability Awareness to Support Writing Proficiency in Text Production
van Hooijdonk et al. A framework and content analysis of social cues in the introductions of customer service chatbots
Stringer Spatial feature assembly in firs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KR20180107908A (ko)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John et al. Topic modeling to extract information from nutraceutical product reviews
KR102397009B1 (ko) 소셜 미디어 활동 분석을 통한 관계형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Rodríguez Vázquez et al. A communicative approach to evaluate web accessibility localisation using a controlled language checker: the case of text alternatives for images
CN114331932A (zh) 目标图像生成方法和装置、计算设备以及计算机存储介质
Coudert Automatically detect Dark patterns in cookie banners
Bou Issa et 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accessibility to visual information in web pages
Buzzi et al.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ebay by screen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