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75A - 기판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75A
KR20210152175A KR1020200068923A KR20200068923A KR20210152175A KR 20210152175 A KR20210152175 A KR 20210152175A KR 1020200068923 A KR1020200068923 A KR 1020200068923A KR 20200068923 A KR20200068923 A KR 20200068923A KR 20210152175 A KR20210152175 A KR 2021015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guide
substrat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규
이용훈
임재우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6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175A/ko
Publication of KR2021015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 없이 터미널 및 기판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으로 삽입된 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므로, 터미널과 기판 사이는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으로 기판이 삽입되면, 기판의 록킹걸림부가 하우징의 록킹레버에 걸림 위치되므로, 기판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판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본 발명은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도구 없이 터미널 및 기판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여러 전기장치들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부품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커넥터의 구성은 접촉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기판에 커넥터를 설치하고, 커넥터에 다른 부품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기판과 다른 부품 사이의 전원과 신호의 연결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회로기판(B)의 소정 배선에 접속된 전기단자를 수납한 수용부(12)와, 그 수용부(12)으로부터 연장된 회로기판(B)에 접속된 기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로기판(B)과 커넥터 본체(10)의 고정은 회로기판(B)과 기부(14)에 나사(16)가 삽입되어, 너트(미도시) 등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이처럼 커넥터 본체(10)와 회로기판(B)은 별도의 도구 즉, 나사(16)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체결 및 분리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기단자는 탄성을 갖는 하나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 등의 악조건 하에서 전기단자와 회로기판(B) 사이에 공차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98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78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도구 없이 터미널 및 기판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오목하게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자안내부의 단부에 겹쳐지도록 오목하게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기판안내부 중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기판안내부 사이에 기판결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안내부와 상기 기판결합부 사이가 연통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와 상기 기판결합부 사이에 연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각각의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기판접촉부와, 복수 개의 상기 기판접촉부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기판연결부와, 복수 개의 상기 기판접촉부 중 상기 기판결합부와 인접한 기판접촉부의 단부에 상기 연통부를 지나 상기 기판결합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록킹걸림부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연결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록킹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록킹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기판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기판연결부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단부에 굽어지도록 돌출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접촉부가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걸림부는 상기 기판결합부에 삽입되되,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를 가압하면서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게 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걸림부와 상기 기판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걸림부가 지나가는 상기 록킹부의 일측은 경사지도록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갈 때,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탄성바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갈 때,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는 하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걸림부와 상기 기판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일측은 상기 탄성바 또는 상기 록킹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레버지지부와, 상기 레버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지지부는 상기 록킹걸림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판접촉부와 상기 록킹부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해제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 하방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레비지지부가 상기 록킹부를 하부로 이동시켜서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에서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판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유동방지리브가 삽입되도록 리브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안내홈에 상기 유동방지리브가 삽입되면, 상기 리브안내홈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유동방지리브의 상측과 하측이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오목하게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단부에 겹쳐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되 전선이 결합되는 전선결합부를 갖는 터미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선결합부를 커버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덮개부의 하측은 상기 전선결합부에 결합된 전선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기판안내부에 기판이 삽입되면,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상기 전선결합부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된 이후,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인접하도록 형태 변형되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전선결합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전선결합부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타측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되 탄성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덮개판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 결합되도록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전선결합부 또는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지지부는 세워진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측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안내부의 타측에는 오삽입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상부에 상기 기판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단자지지부와,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상기 기판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1 텐션유지부와, 상기 제 1 텐션유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기판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1 단자접촉부와,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1 텐션유지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단자접촉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텐션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하부에 상기 기판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단자지지부와,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상기 기판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텐션유지부와,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기판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2 단자접촉부와,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단자접촉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텐션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텐션유지부보다 더 돌출되는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단자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텐션유지부보다 더 돌출되는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 2 단자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에 개방부가 구비될 때, 상기 개방부의 내주연 상측에는 상기 제 1 절곡부와 맞닿도록 제 1 절곡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주연 하측에는 상기 제 2 절곡부와 맞닿도록 제 2 절곡안내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자안내부의 하측에는 스토퍼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스토퍼안내홀의 내주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단자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지나갈 때,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지나가면, 상기 단자걸림부가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덮개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단자안내부로 삽입된 터미널의 제 1, 2 단자부는 제 1, 2 절곡안내부에 의하여 더 이상의 전진이 불가능하고, 스토퍼에 의하여 더 이상의 후진이 불가능하므로, 제 1, 2 단자부는 하우징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어, 터미널과 기판 사이는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터미널을 뒤집은 상태로 단자안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터미널의 지지부가 오삽입방지돌기에 부딪히면서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률을 현저하기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이 뒤집어진 상태로 단자안내부로 삽입되려고 하면, 전선결합부에 연결된 전선이 덮개판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도록 이동되는 과정에서 전선이 덮개판에 걸리게 되어, 작업자는 터미널이 뒤집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안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된 이후,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하도록 위치되면, 덮개판이 단자안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결합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므로, 하우징에 삽입된 터미널은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므로, 단자안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올 수 없어, 제 1, 2 단자접촉부와 기판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판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되므로, 전선결합부 및 전선은 가이드리브에 가이드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부 흔들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이 임의로 휘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판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걸림후크는 덮개판의 개방된 하측을 회피하도록 위치되므로, 전선결합부에 결합된 전선은 걸림후크와 중첩되지 않고 덮개판의 개방된 하측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이후, 기판이 하우징에 결합될 때, 기판접촉부가 기판안내부로 삽입되면, 록킹걸림부가 록킹부에 걸림 위치되므로, 기판접촉부는 기판안내부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접촉부가 기판안내부에서 빠지지 않으므로, 제 1, 2 단자접촉부와 기판접촉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레버에는 걸림해제레버가 형성되므로,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해제레버의 가압부에 하방 압력이 가해지면, 록킹걸림부가 록킹부에서 걸림 해제되므로, 별도의 도구 없이 기판접촉부를 기판안내부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에는 하우징의 리브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유동방지리브가 구비되므로, 하우징에 결합된 기판에 외부 압력, 진동 등이 상하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하우징과 기판은 리브안내홈과 유동방지리브 간의 결합에 의하여 그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단자부에는 제 1, 2 텐션유지부 및 제 1, 2 텐션보강리브가 구비되므로 기판접촉부가 제 1, 2 단자접촉부 사이로 삽입된 이후, 하우징 또는 기판에 외부 압력, 진동, 고온 등의 악조건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 1, 2 단자부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기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기판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 및 단자안내부를 개방되도록 위치된 덮개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 및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이 하우징에 역삽입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기판결합부, 록킹레버 및 걸림해제레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기판에 구비되는 유동방지리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과 기판 간의 전기적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1000)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장착되는 부품과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덮개부(200), 터미널(300) 및 기판(4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대략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터미널(300)의 개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110)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120: 도 3 도시)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110) 및 기판안내부(120)는 각각 병렬로 배열되며 상호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110) 및 기판안내부(120) 중 선택되는 어느 일부 또는 전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단자안내부(110)에 각각의 터미널(300)이 삽입되고, 각각의 기판안내부(120)에 기판(400)의 기판접촉부(410)가 삽입된다. 기판(400)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된 터미널(300)은 기판접촉부(4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미널(300)과 기판(4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단자안내부(110)에 터미널(300)이 삽입되면 덮개부(200)가 터미널(300)을 덮도록 회전된다.
이하, 하우징(100), 덮개부(200), 터미널(300) 및 기판(400)의 세부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단자안내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의 후측에서 기판안내부(120)가 형성되는 전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을 전진이라 하고, 하우징(100)의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을 후진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 및 단자안내부를 개방되도록 위치된 덮개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일측에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110)가 병렬로 배열되고, 타측에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120)가 병렬로 배열된다. 기판안내부(120)는 단자안내부(110)의 전측과 겹쳐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안내부(110)의 후측 하부에는 스토퍼안내홀(1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300)의 후술하는 제 2 텐션유지부(334: 도 5 도시)가 단자안내부(110)로 삽입될 때, 제 2 텐션유지부(33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스토퍼안내홀(112)의 내주연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스토퍼(114)가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토퍼(114)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스토퍼(114)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방으로 단자걸림부(114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걸림후크(230)가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후크걸림부(150)가 형성된다.
덮개부(200)는 단자안내부(11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단자안내부(110)를 개폐시키는 덮개판(210), 덮개판(210)과 하우징(10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220) 및 덮개판(210)이 하우징(100)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후크(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덮개부(200)는 도 3과 같이 단자안내부(110)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되면, 연결부(220)는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덮개판(210)은 연결부(220)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걸림후크(230)는 덮개판(210)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 및 덮개부가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하우징(100)의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지지부(310), 제 1 단자부(320), 제 2 단자부(330) 및 전선결합부(340)를 포함한다.
지지부(310)는 각각의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되는 것으로, 단자안내부(110)의 후측에 삽입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310)의 중앙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310)가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될 때, 지지부(310)는 세워진 상태로 단자안내부(110)의 후측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 1 단자부(320)는 지지부(310)의 일측 상부에서 단자안내부(110)의 전측 즉, 기판안내부(1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기판(400)과 마주보는 지지부(310)의 일측 상부에 기판(40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단자지지부(322)와, 제 1 단자지지부(322)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기판(400)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1 텐션유지부(324)와, 제 1 텐션유지부(324)의 일단부에서 기판(400)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1 단자접촉부(326)와, 제 1 단자지지부(322)와 연결되지 않은 제 1 텐션유지부(324)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단자접촉부(326)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텐션보강리브(328)를 포함한다.
제 2 단자부(330)는 지지부(3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판(400)과 마주보는 지지부(310)의 일측 하부에 기판(40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단자지지부(332)와, 제 2 단자지지부(332)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기판(400)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텐션유지부(334)와, 제 2 텐션유지부(334)의 일단부에서 기판(400)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2 단자접촉부(336)와, 제 2 단자지지부(332)와 연결되지 않은 제 2 텐션유지부(334)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단자접촉부(336)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텐션보강리브(338)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미널(300)이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되면, 지지부(310)가 단자안내부(110)의 후측에 위치되고, 제 1, 2 단자부(320, 330)가 단자안내부(110)의 전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 1 단자부(320)는 지지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텐션유지부(324)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단자지지부(322)의 단부에 제 1 단자접촉부(326)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자부(330)는 지지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텐션유지부(334)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단자지지부(332)의 단부에 제 2 단자접촉부(336)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400)이 삽입되도록 기판안내부(120)에 개방부(122)가 구비될 때, 개방부(122)의 내주연 상측에는 제 1 절곡부(323)와 맞닿도록 제 1 절곡안내부(122a)가 돌출 형성되고, 개방부(122)의 내주연 하측에는 제 2 절곡부(333)와 맞닿도록 제 2 절곡안내부(122b)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단자부(320, 330)가 단자안내부(110)의 전측에 위치되면, 제 1, 2 단자부(320, 330)에 구비된 제 1, 2 절곡부(323, 333)가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 1, 2 절곡안내부(122a, 122b)에 막히게 되어 더 이상의 전진이 차단된다.
또한, 제 2 텐션유지부(334)가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되면, 제 2 텐션유지부(334)는 단자안내부(110)의 후측을 지나 단자안내부(110)의 전측 즉, 기판안내부(1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스토퍼(114) 및 단자걸림부(114a)는 제 2 텐션유지부(334)의 가압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된다. 단자걸림부(114a)는 기판안내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텐션유지부(334)가 단자걸림부(114a)를 지나가면서 전진될 때, 단자걸림부(114a)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후, 제 2 텐션유지부(334)가 단자걸림부(114a)를 지나 기판안내부(120)에 위치되면, 단자걸림부(114a)는 지지부(310) 방향 즉, 상부로 이동되어 제 2 텐션유지부(334)의 단부가 단자걸림부(114a)에 걸리게 되어, 제 2 텐션유지부(334)의 후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기판안내부(120)로 이동된 제 1, 2 단자부(320, 330)는 제 1, 2 절곡안내부(122a, 122b)에 의하여 더 이상의 전진이 불가능하고, 스토퍼(114)의 단자걸림부(114a)에 의하여 더 이상의 후진이 불가능하므로, 제 1, 2 단자부(320, 330)는 하우징(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된다. 이처럼, 자동차의 진동, 고온 등의 악조건 하에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터미널(300)과 기판(400) 사이는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터미널(300)과 기판(400)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는 도 1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선결합부(340)는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되지 않도록 제 1, 2 단자부(320, 33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지지부(310)의 후측에 단자안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전선결합부(340)는 하우징(100) 외부의 자동차 부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와이어 등의 전선(W)이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전선결합부(340)의 양측에는 전선(W)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쌍의 클램프(34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 과정에서 한 쌍의 클램프(342) 사이에 전선(W)이 위치된 후, 한 쌍의 클램프(342)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가압되어, 전선(W)의 일측은 클램프(342)에 의하여 전선결합부(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선(W)의 타측은 덮개판(2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도 3 과 같이, 단자안내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단자안내부(110)에 터미널(300)이 삽입되면, 덮개부(200)가 전선결합부(340)를 커버하도록 회전되어 단자안내부(11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덮개판(210)은 복수 개의 터미널(300)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전선(W)이 하부로 연장되도록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결합부(340)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므로, 터미널(300)은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를 폐쇄시키므로, 단자안내부(110)로 이물질이 들어올 수 없어, 제 1, 2 단자접촉부(326, 336)와 기판(400)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판(210)에는 단자안내부(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전선결합부(340) 또는 전선(W)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리브(212: 도 8 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선결합부(340) 및 전선(W)은 가이드리브(212)에 가이드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외부 흔들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전선(W)이 임의로 휘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220)는 예를 들면 한 쌍으로 구성되며 덮개판(210)의 상측과 하우징(100)의 상측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22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부(220)가 하우징(100)의 상측에 인접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연결부(220)는 플랙시블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걸림후크(230)는 덮개판(210)이 하우징(100)의 단자안내부(110)를 폐쇄하도록 위치될 때, 덮개판(210)의 개방된 하측을 피하도록 위치되며, 예를 들면 덮개판(2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후크(230)는 하우징(100)의 양측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후크(230)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덮개판(210)이 단자안내부(110)를 폐쇄하도록 위치되면, 걸림후크(230)가 하우징(100)의 후크걸림부(150)에 걸림 결합되어, 덮개판(210)이 단자안내부(110)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후크(230)가 덮개판(210)의 개방된 하측을 회피하도록 위치되므로, 전선결합부(340)에 결합된 전선(W)은 걸림후크(230)와 중첩되지 않고 덮개판(210)의 개방된 하측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이 하우징에 역삽입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지지부(310)가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될 때, 지지부(310)는 세워진 상태로 단자안내부(110)의 내부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때, 단자안내부(110)의 내부 일측에 삽입된 지지부(310)와 마주보는 단자안내부(110)의 내부 타측에는 오삽입방지돌기(116: 도 6, 도 8 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터미널(300)이 뒤집어진 상태로 단자안내부(110)로 삽입되려고 하면, 지지부(310)는 단자안내부(110)의 내부 타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오삽입방지돌기(116)에 부딪히게 되어, 지지부(310)는 더 이상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터미널(300)을 뒤집은 상태로 단자안내부(110)로 삽입시키게 되면, 터미널(300)의 지지부(310)가 오삽입방지돌기(116)에 부딪히면서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률을 현저하기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300)을 하우징(100)에 조립할 때에는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를 오픈시키도록 위치되어 있으므로, 덮개부(200)의 덮개판(210)은 연결부(220)의 상단에서 전선결합부(340)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런데 만일, 도 6과 같이, 터미널(300)이 뒤집어진 상태로 단자안내부(110)로 삽입되려고 하면, 전선결합부(340)에 연결된 전선(W)이 덮개판(210)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를 폐쇄시키도록 이동되는 과정에서 전선(W)이 덮개판(210)에 걸리게 되어, 작업자는 터미널(300)이 뒤집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기판결합부, 록킹레버 및 걸림해제레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기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전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120)가 병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120) 중 선택되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안내부(120) 사이에 기판결합부(130)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안내부(120)와 기판결합부(130) 사이가 연통되도록 기판안내부(120)와 기판결합부(130) 사이에 오목하게 연통부(132)가 형성된다.
기판(400)은 기판접촉부(410), 기판연결부(420), 록킹걸림부(430) 및 유동방지리브(440)를 포함한다. 기판접촉부(410)는 기판안내부(120)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판안내부(120)에는 단자안내부(110)에 삽입된 상태로 기판안내부(120)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300)의 제 1, 2 단자부(320, 33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기판접촉부(410)의 일단부가 기판안내부(120)로 삽입되면, 기판접촉부(410)는 제 1, 2 단자부(320, 330) 사이에 위치되어, 기판접촉부(410)의 상측과 하측은 제 1, 2 단자접촉부(326, 336)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기판접촉부(410) 중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기판접촉부(41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판연결부(420)는 기판안내부(120)에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되어, 기판안내부(120)로 삽입되지 않은 복수 개의 기판접촉부(410)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시킨다.
록킹걸림부(430)는 복수 개의 기판접촉부(410) 중 기판결합부(130)와 인접한 기판접촉부(410)의 단부에 연통부(132)를 지나 기판결합부(13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기판결합부(130)는 한 쌍의 기판안내부(120) 사이에 위치되므로, 록킹걸림부(430)는 기판안내부(120)에 삽입된 기판접촉부(410)에서 연통부(132)를 지나 기판결합부(130)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결합부(130)의 단부 즉, 기판연결부(42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기판결합부(130)의 후측에는 록킹걸림부(430)를 록킹시키도록 록킹레버(170)가 구비된다. 록킹레버(170)는, 기판연결부(420)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바(172)와, 탄성바(172)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록킹부(174)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접촉부(410)가 기판안내부(120)에 삽입되면, 록킹걸림부(430)는 기판결합부(130)에 삽입되되, 록킹부(174) 및 탄성바(17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록킹부(174)를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를 지나가면, 록킹부(174)가 록킹걸림부(430)와 기판연결부(420) 사이의 빈 공간으로 상승되어,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에 걸림 위치된다. 이처럼 기판접촉부(410)가 기판안내부(120)로 삽입되면,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에 걸림 위치되므로, 기판접촉부(410)는 기판안내부(12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접촉부(410)가 기판안내부(120)에서 빠지지 않으므로, 제 1, 2 단자접촉부(326, 336)와 기판접촉부(4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를 지나갈 때, 록킹부(174)의 상측은 경사지도록 슬라이딩부(174a)가 형성되어, 록킹걸림부(430)가 슬라이딩부(174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록킹부(174) 및 탄성바(172)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걸림해제레버(180)는 하측은 록킹부(174)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상측은 하우징(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레버지지부(182)와, 레버지지부(182)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압부(184)를 포함한다. 레버지지부(182)는 록킹걸림부(430)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접촉부(410)와 록킹부(174)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측에는 레버지지부(18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안내부(140)가 관통 형성된다. 가압부(184)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레버지지부(182)의 상측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부(184)에 하방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부(184)와 연결된 레버지지부(182)가 하강되면서 록킹부(174)를 록킹걸림부(43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록킹걸림부(430)가 록킹부(174)에서 걸림 해제되어, 기판접촉부(410)를 기판안내부(120)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조립 과정 등에서 별도의 도구 없이 기판(400)을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기판에 구비되는 유동방지리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안내부(120)에 기판접촉부(41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판연결부(420)의 양 단부에는 하우징(100)의 양측 방향으로 유동방지리브(44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에는 유동방지리브(440)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도록 리브안내홈(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안내홈(160)에 유동방지리브(440)가 삽입되면, 리브안내홈(160)의 길이방향 상측과 하측에 유동방지리브(440)의 길이방향 상측과 하측이 맞닿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 또는 하우징(100)에 결합된 기판(400)에 외부 압력, 진동 등이 상하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하우징(100)과 기판(400)은 리브안내홈(160)과 유동방지리브(440) 간의 결합에 의하여 그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터미널과 기판 간의 전기적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지지부(310)가 단자안내부(110)의 후측에 위치되고, 제 1, 2 단자부(320, 330)가 단자안내부(110)의 전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단자안내부(110)의 전측은 기판안내부(120)와 겹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덮개부(200)가 단자안내부(110)를 폐쇄하도록 회전된다.
이어서 기판(4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기판접촉부(410)가 기판안내부(120)로 삽입되고, 이때, 제 1, 2 단자부(320, 330) 사이에 기판접촉부(4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2 단자부(320, 330)는 제 1, 2 텐션보강리브(328, 338)를 구비하므로, 제 1, 2 텐션유지부(324, 334)는 더욱 견고한 강도를 갖게 되어, 제 1, 2 텐션유지부(324, 334)에 연결된 상태로 절곡되는 제 1, 2 단자접촉부(326, 336)는 그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기판(400)이 제 1, 2 단자접촉부(326, 336) 사이로 삽입된 이후, 하우징(100) 또는 기판(400)에 외부 압력, 진동, 고온 등의 악조건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 1, 2 단자부(320, 33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기판(400)의 유동을 방지하고, 기판(400)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기판 접속용 커넥터
100: 하우징
110: 단자안내부 112: 스토퍼안내홀
114: 스토퍼 114a: 단자걸림부
116: 오삽입방지돌기 120: 기판안내부
122: 개방부 122a: 제 1 절곡안내부
122b: 제 2 절곡안내부 130: 기판결합부
132: 연통부 140: 관통안내부
150: 후크걸림부 160: 리브안내홈
170: 록킹레버 172: 탄성바
174: 록킹부 174a: 슬라이딩부
180: 걸림해제레버 182: 레버지지부
184: 가압부
200: 덮개부
210: 덮개판 212: 가이드리브
220: 연결부 230: 걸림후크
300: 터미널
310: 지지부 320: 제 1 단자부
322: 제 1 단자지지부 323: 제 1 절곡부
324: 제 1 텐션유지부 326: 제 1 단자접촉부
328: 제 1 텐션보강리브 330: 제 2 단자부
332: 제 2 단자지지부 333: 제 2 절곡부
334: 제 2 텐션유지부 336: 제 2 단자접촉부
338: 제 2 텐션보강리브 340: 전선결합부
342: 클램프
400: 기판
410: 기판접촉부 420: 기판연결부
430: 록킹걸림부 440: 유동방지리브

Claims (14)

  1. 일측에 오목하게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자안내부의 단부에 겹쳐지도록 오목하게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기판안내부 중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기판안내부 사이에 기판결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안내부와 상기 기판결합부 사이가 연통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와 상기 기판결합부 사이에 연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각각의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기판접촉부와, 복수 개의 상기 기판접촉부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기판연결부와, 복수 개의 상기 기판접촉부 중 상기 기판결합부와 인접한 기판접촉부의 단부에 상기 연통부를 지나 상기 기판결합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록킹걸림부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연결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록킹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록킹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기판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기판연결부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단부에 굽어지도록 돌출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접촉부가 상기 기판안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걸림부는 상기 기판결합부에 삽입되되,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를 가압하면서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게 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걸림부와 상기 기판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걸림부가 지나가는 상기 록킹부의 일측은 경사지도록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갈 때,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탄성바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갈 때, 상기 록킹부 및 상기 탄성바는 하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를 지나가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걸림부와 상기 기판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탄성바 또는 상기 록킹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레버지지부와, 상기 레버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지지부는 상기 록킹걸림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판접촉부와 상기 록킹부 사이에 위치되는 걸림해제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 하방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레비지지부가 상기 록킹부를 하부로 이동시켜서 상기 록킹걸림부가 상기 록킹부에서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유동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유동방지리브가 삽입되도록 리브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안내홈에 상기 유동방지리브가 삽입되면, 상기 리브안내홈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유동방지리브의 상측과 하측이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7. 일측에 오목하게 복수 개의 단자안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단부에 겹쳐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판안내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기판안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되 전선이 결합되는 전선결합부를 갖는 터미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선결합부를 커버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단자안내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덮개부의 하측은 상기 전선결합부에 결합된 전선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기판안내부에 기판이 삽입되면, 상기 단자부와 상기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상기 전선결합부의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된 이후,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인접하도록 형태 변형되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전선결합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전선결합부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타측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되 탄성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덮개판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 결합되도록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전선결합부 또는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단자안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지지부는 세워진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의 일측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단자안내부의 타측에는 오삽입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상부에 상기 기판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단자지지부와,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상기 기판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1 텐션유지부와, 상기 제 1 텐션유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기판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1 단자접촉부와,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1 텐션유지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단자접촉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텐션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하부에 상기 기판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단자지지부와,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상기 기판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제 2 텐션유지부와,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기판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절곡되되 탄성을 갖는 제 2 단자접촉부와,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단자접촉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텐션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텐션유지부보다 더 돌출되는 상기 제 1 단자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단자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텐션유지부보다 더 돌출되는 상기 제 2 단자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제 2 단자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안내부에 개방부가 구비될 때, 상기 개방부의 내주연 상측에는 상기 제 1 절곡부와 맞닿도록 제 1 절곡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주연 하측에는 상기 제 2 절곡부와 맞닿도록 제 2 절곡안내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내부의 하측에는 스토퍼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안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 2 텐션유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스토퍼안내홀의 내주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단자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지나갈 때,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를 지나가면, 상기 단자걸림부가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 2 텐션유지부가 상기 단자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20200068923A 2020-06-08 2020-06-08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210152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23A KR20210152175A (ko) 2020-06-08 2020-06-08 기판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23A KR20210152175A (ko) 2020-06-08 2020-06-08 기판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75A true KR20210152175A (ko) 2021-12-15

Family

ID=7886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23A KR20210152175A (ko) 2020-06-08 2020-06-08 기판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1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85B1 (ko) 2011-12-21 2013-10-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커넥터
KR20140079821A (ko) 2011-10-11 2014-06-27 스리오 재팬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821A (ko) 2011-10-11 2014-06-27 스리오 재팬 주식회사 커넥터
KR101321785B1 (ko) 2011-12-21 2013-10-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383B1 (ko) 잠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CN101160697B (zh) 具有定位保险装置的杆配合连接器组件
US707406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latching arms
KR101882269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150027710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6074241A (en) Non-slip spring clamp contact
KR20060049054A (ko) 도킹 커넥터
JP5588211B2 (ja) コネクタの嵌合確認構造
US6176735B1 (en)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KR20210002367U (ko) 간이 잠금식 lvds 커넥터
KR101979610B1 (ko)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EP1248322A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use with curcuit board
CN109478746B (zh) 连接器
US7445489B2 (en) Locking construction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KR20210004115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KR20210152175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6012930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0926335B1 (ko)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JP2021048056A (ja) コネクタ
KR100963600B1 (ko) 록가능한 전기 커넥터
US6575790B2 (en) Detachable connecting system
KR100666111B1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커버
CN114175415B (zh) 插头连接器和包括该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以及连接器组的拔出方法
JP4379367B2 (ja) 電気接続箱
JP200519086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