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521A - 사과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과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521A
KR20210151521A KR1020200068443A KR20200068443A KR20210151521A KR 20210151521 A KR20210151521 A KR 20210151521A KR 1020200068443 A KR1020200068443 A KR 1020200068443A KR 20200068443 A KR20200068443 A KR 20200068443A KR 20210151521 A KR20210151521 A KR 2021015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tree
cultivation system
branch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597B1 (ko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김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원 filed Critical 김대원
Priority to KR102020006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를 재배하기 위해 사과나무의 수형을 형성하는 사과재배시스템에 있어서, 묘목의 종류에 따라 재식 간격을 결정하여 묘목을 심는 재식단계; 사과나무마다 주간의 두께를 기준으로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주지를 제거하는 전정단계; 및 사과나무마다 주지를 주간으로부터 100°내지 130°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는 유인단계;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과재배시스템{APPLE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사과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과는 예로부터 사람들이 즐겨먹는 과일 중 하나로서, 동맥경화, 뇌졸증, 고혈압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피로회복과 같은 수많은 효능을 가진 과일이다.
이러한 사과를 효과적으로 수확하기 위한 종래의 재배방법으로는 다양한 구분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구분 방법은 사과나무의 수형이며, 상기한 사과나무의 수형은 크게 세장방추형, 솔렉스형 및 나리타형 등으로 구분된다.
세장방추형은 1997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 왜성사과나무의 공식적인 전지전정법이고 미국과 유럽 등지의 80% ~ 90%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재배방법이나, 하기의 솔렉스형과 나리타형에 비해 특별한 장점을 갖지 못한다.
솔렉스형은 프랑스의 레스피나스(Lespinasse)가 개발한 전정방법으로서, 나리타형과 세장방추형에 비해 약 40%의 증수 효과가 있으나, 모든 가지를 수평 이하로 유지하기 때문에 적기에 갱신하지 않으면 과일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수관이 복잡하여 해거리를 유발하고, 착색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나리타형은 일본의 나리타에 의해 개발된 수형이며, 세장방추형보다 수확시기가 조금 늦지만 작은 평수에서 높은 수확량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4년차가 되어야 비로소 과실의 수확이 가능하며, E클립 등을 이용하여 적심과 전정을 끝없이 해야하므로 많은 인력이 요하며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수명이 길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재배방법보다 관리시간과 인력을 절감하면서도 과실의 크기, 수확량이 월등히 향상됨과 동시에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질 수 있는 사과재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과를 재배하기 위해 사과나무의 수형을 형성하는 사과재배시스템에 있어서, 묘목의 종류에 따라 재식 간격을 결정하여 묘목을 심는 재식단계; 사과나무마다 주간의 두께를 기준으로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주지를 제거하는 전정단계; 및 사과나무마다 주지를 주간으로부터 100°내지 130°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는 유인단계;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식단계는, 대목이 M9인 경우 4m 내지 4.5m x 2m 내지 2.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하고, 대목이 M26인 경우 4.5m 내지 5m x 3m 내지 3.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정단계에서, 지면으로부터 0.8m 내지 1.0m 이하의 가지는 가지의 두께와 상관없이 모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정단계에서, 주지 끝은 반드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정단계에서, 재식 3년차부터 주지에서 분지된 가지 중 결과지만 일정 간격 맞춰서 남기고 나머지 가지는 전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단계에서, 각각의 사과나무에는 주간에 인접하게 지면과 수직한 수직프레임을 설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하고, 주지는 120°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되, 상기 상향 유인 방법은 가지를 상, 하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어서 가지를 유연하게 한 후 가지와 사과의 결실 위치에 따라 무게중심을 파악하여, 끈의 일단을 가지의 무게중심부에 묶고 타단을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묶어서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과나무의 수형을 기존의 수형과 달리 새로운 수형으로 재배하여 유인추나 E클립과 같은 별도의 유인구를 요하지 아니하며, 인력 및 시간이 절감되고 사과나무의 세력과 수명이 반영구적일 뿐더러 해거리가 없으며, 과실의 크기, 수확량 및 착색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은 전정법이 쉬우며, 농약과 햇빛 도달성이 좋고, 꽃눈 형성에 유리하며, 퇴비, 비료와 같은 농자재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나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의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수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나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의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을 적용한 사과나무의 수형이다.
일반적으로 사과나무(10)의 수체는 기본적으로 지상에서 대략적으로 수직하게 자라는 주몸체인 주간(11)과, 상기 주간(11)에서 분지되는 복수 개의 주지(12)와, 각각의 상기 주지(12)에서 분지되는 아주지 또는 측지(13, 열매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과(14)를 재배하기 위해 사과나무(10)의 수형을 형성하는 사과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수체를 갖는 기존 사과나무(10)의 수형을 개선하여 사과(14)의 우수한 품질과 더 많은 수확량을 보장할 수 있으며,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으로 키운 M9의 경우에는 한 그루당 18kg 4~6상자, M26의 경우에는 한 그루당 18kg 7~9상자를 수확할 수 있으며, 이는 타 농가에 비해 약 1.5배의 향상된 수확량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은 크게 재식단계(S10), 전정단계(S20) 및 유인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재식단계(S10)는 묘목의 종류에 따라 재식 간격을 결정하여 묘목을 심는 단계로서, 대목에 따라 재식 간격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대목에 따라 수세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M9보다 M26이 수세가 강하기 때문에, 대목이 M9인 경우 4m 내지 4.5m x 2m 내지 2.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하고, 대목이 M26인 경우 4.5m 내지 5m x 3m 내지 3.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행은 일렬로 식재된 묘목간 거리(d1)를 의미하며, 열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묘목간 거리(d2)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재식단계(S10)에서는, 예를 들어, 재식 1년차에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장에 방해가 되므로 되도록 가지 유인을 하지 않는다.
전정단계(S20)는 사과나무(10)마다 주간(11)의 두께를 기준으로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주지(12)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주간(11)의 두께를 기준으로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가지를 제거하는 이유는,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큰 가지는 영양생장을 주로 하기 때문에 생식생장을 하는 되도록 많은 주지(12)와 이러한 주지(12)에서 형성되는 많은 측지(13, 결과지, 꽃눈가지)를 확보하여 사과(14)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정단계(S20)는 재식 년차에 불문하고 계속해서 작업한다.
또한, 전정단계(S20)에서, 재식 3년차부터 주지(12)에서 분지된 가지 중 결과지(측지, 13)만 일정 간격 맞춰서 남기고 나머지 가지는 전부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과나무(10)의 세력을 증대시키고, 꽃눈 형성에 유리하며, 과실 품질이 향상되고 해거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단계(S20)에서는 지면으로부터 0.8m 내지 1.0m 이하의 가지, 즉 최하단 가지는 가지의 두께와 상관없이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첫째로, 재식 2 ~3년차 이후면 불필요한 가지이기 때문에 작업 용이성을 고려함이고, 둘째로, 꿩이나 짐승들로 인한 피해나 예초 작업시 불량과실 유방 가능성 등 기계적, 물리적 손실을 낮추기 위함이며, 셋째로, 불필요한 과실을 제거함으로써 정상위치의 가지 생성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단계(S20)에서는 주지(12) 끝을 반드시 절단할 수 있으며, 이는 주지(12) 끝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주지(12) 끝을 절단하여 세력을 골고루 분산시켜 과실 비대 및 꽃눈 형성에 유리한 효과를 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정단계(S20)에 의해 사과(14)가 생성되는 꽃눈가지가 생식생장을 하는 주지(12) 가까이에 형성되어 재식 후 3년차부터 빠르게 사과(14)를 생산할 수 있으며, 사과(14)의 크기와 품질이 기존의 농법에 비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유인단계(S30)는 사과나무(10)마다 주지(12)를 주간(11)으로부터 100°내지 130°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상향 유인에 의해 정부우세성을 가지기 때문에 과실이 비대해짐과 동시에 사과나무(10)의 세력이 강해져서 사과나무(1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인단계(S30)는 과실이 형성되기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매년 6월 중순경에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과실을 맺기 위해 사과나무(10)에 물이 오르는 시기라 사과나무(10)가 유연해져서 유인에 적합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예외로, 홍로 품종의 경우에는 7월이 유인하기 적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주지(12)의 유인은 대목을 재식한 초년차에는 되도록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식 1년차 및/또는 재식 2년차에는 110°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고, 사과(14)가 수확될 수 있는 재식 3년차부터 주지(12)가 100° 내지 130°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식 3년차부터는 수세가 강한 사과나무(10)의 경우 유인각도를 100°내지 110°로 하고, 수세가 약한 사과나무(10)의 경우 유인각도를 120°내지 130°로 유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유인은 주간(11)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90°인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주지(12)의 끝이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유인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주간(11)으로부터 120° 이상의 각도를 갖는 정부우세성 가지의 경우 120°가 되도록 유인하고, 주간(11)으로부터 120° 이하의 각도를 갖는 기지열세성 가지의 경우 120°가 되도록 유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유인을 위해, 각각의 사과나무(10)에는 주간(11)에 인접하게 지면과 수직한 수직프레임(20)을 설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30)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하고, 주지(12)는 120°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되, 가지와 사과(14)의 결실 위치에 따라 무게중심을 파악하여, 끈의 일단을 가지의 무게중심부에 묶고 타단을 상기 수직프레임(20) 또는 수평프레임(30)에 묶어서 유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강한 세력의 가지는 사과(14) 무게에 의해 자칫 부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향 유인 방법은 가지를 상, 하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어서 가지를 유연하게 한 후 끈을 묶어서 유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식 3년차에는 사과가 생성되므로, 사과가 비대해지면서 가지가 90°까지 하향될 수 있으므로, 재식 3년차의 6월부터 8월사이에는 수시로 끈의 장력을 조절하여 유인 각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 및/또는 수평프레임(30)에는 그물망(40)을 씌워서 새와 동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인 방법은 유인추와 E클립을 사용하지 아니하여 전정이 쉬워지기 때문에 노동력이 절감되고 불필요한 자제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햇빛이 수간 깊숙히 통과하여 꽃눈 형성에 유리하고, 생산량이 증대되며, 과실이 비대해지고 착색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사과재배시스템은 사과나무(10)의 수형을 기존의 수형과 달리 새로운 수형으로 재배하여 유인추나 E클립과 같은 별도의 유인구를 요하지 아니하며, 인력 및 시간이 절감되고 사과나무(10)의 세력과 수명이 반영구적일 뿐더러 해거리가 없으며, 과실의 크기, 수확량 및 착색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사과나무 11: 주간
12: 주지 13: 측지
14: 사과 20: 수직프레임
30: 수평프레임 40: 그물망
S10: 재식단계 S20: 전정단계
S30: 유인단계

Claims (6)

  1. 사과를 재배하기 위해 사과나무의 수형을 형성하는 사과재배시스템에 있어서,
    묘목의 종류에 따라 재식 간격을 결정하여 묘목을 심는 재식단계;
    사과나무마다 주간의 두께를 기준으로 1/3 내지 1/2 이상의 두께를 갖는 주지를 제거하는 전정단계; 및
    사과나무마다 주지를 주간으로부터 100°내지 130°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는 유인단계;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식단계는,
    대목이 M9인 경우 4m 내지 4.5m x 2m 내지 2.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하고,
    대목이 M26인 경우 4.5m 내지 5m x 3m 내지 3.5m의 행렬을 갖도록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재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정단계에서,
    지면으로부터 0.8m 내지 1.0m 이하의 가지는 가지의 두께와 상관없이 모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재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정단계에서,
    주지 끝은 반드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재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정단계에서,
    재식 3년차부터 주지에서 분지된 가지 중 결과지만 일정 간격 맞춰서 남기고 나머지 가지는 전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재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단계에서,
    각각의 사과나무에는 주간에 인접하게 지면과 수직한 수직프레임을 설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하고,
    주지는 120°의 각도를 갖도록 상향 유인하되,
    상기 상향 유인 방법은 가지를 상, 하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어서 가지를 유연하게 한 후 가지와 사과의 결실 위치에 따라 무게중심을 파악하여, 끈의 일단을 가지의 무게중심부에 묶고 타단을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묶어서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재배시스템.
KR1020200068443A 2020-06-05 2020-06-05 사과재배시스템 KR10234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43A KR102343597B1 (ko) 2020-06-05 2020-06-05 사과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43A KR102343597B1 (ko) 2020-06-05 2020-06-05 사과재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21A true KR20210151521A (ko) 2021-12-14
KR102343597B1 KR102343597B1 (ko) 2021-12-24

Family

ID=7890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443A KR102343597B1 (ko) 2020-06-05 2020-06-05 사과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9628A (zh) * 2022-07-15 2022-09-13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澳洲坚果平面挂果的种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462A (ko) * 2009-12-28 2011-07-06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사과 우량묘목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462A (ko) * 2009-12-28 2011-07-06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사과 우량묘목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릉사과 전정교육(https://blog.naver.com/applechone/221463115023).2019.2.11.* *
사과묘목 재식년차 관리(https://cafe.naver.com/enabang/book5094023/2527).2019.1.3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9628A (zh) * 2022-07-15 2022-09-13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澳洲坚果平面挂果的种植方法
CN115039628B (zh) * 2022-07-15 2024-04-05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澳洲坚果平面挂果的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97B1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4813B (zh) 一种芦笋地里养殖金蝉的方法
CN104604615A (zh) 一种冬枣枣树的树形培养方法
Akamine et al. Passion fruit culture in Hawaii
RU2397638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ведения кустов на виноградных плантациях
KR102343597B1 (ko) 사과재배시스템
RU2351118C1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насаждений
RU2303347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Gandev et al. Training and pruning of apple and modern trends of development–an overview
Andersen et al. The muscadine grape (Vitis rotundifolia Michx): HS763/HS100, rev. 10/2020
CN111528182B (zh) 一种利用牛油果叶饲养琥珀蚕的方法
Dhillon et al. Canopy management and effects of pruning on flowering tendencies in fruit trees
RU2335887C1 (ru) Способ обрезки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RU2566441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интенсивного яблоневого сада
Andersen et al. The muscadine grape
Jett High tunnel melon and watermelon production
CN113243245A (zh) 一种快速形成“一干两蔓”树形的猕猴桃建园方法
CN206791207U (zh) 一种双层立体葡萄栽培支架
Sharma et al. Training and pruning for improved postharvest fruit quality
RU2397637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RU2580161C1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ого куста
Hoying et al. More productive and profitable peach planting systems
RU2579268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высокорослых томатов на т-образной шпалере
Mohammed et al. Modern systems of fruit growing and their ap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ropical fruit products
RU2478278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обрезки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Roy et al. Training: A tool for canopy management in fruit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