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411A -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411A
KR20210151411A KR1020200068194A KR20200068194A KR20210151411A KR 20210151411 A KR20210151411 A KR 20210151411A KR 1020200068194 A KR1020200068194 A KR 1020200068194A KR 20200068194 A KR20200068194 A KR 20200068194A KR 20210151411 A KR20210151411 A KR 2021015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iking
ground
guide bar
lo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최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문 filed Critical 최종문
Priority to KR102020006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411A/en
Publication of KR2021015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4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iking device implemented so that a support such as a red pepper stand, a fence pipe, a stake, and the like can be easily driven into the ground with a simple structure. The support striking device comprises: a support body having a support fix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fixing the support; a guide bar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a load body having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guide bar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bar through the through hole to hi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Description

지지대 타격 장치{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Support striking device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지지대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고추대, 울타리 파이프,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구현한 지지대 타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ik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support striking device implemented so that a support such as a red pepper rod, a fence pipe, a pile, etc. can be easily driven into the ground with a simple structure.

고추, 토마토, 가지, 깨 등과 같은 농작물은 지지용 바(즉, 지지대)로 줄기를 지지해 주고 있으며, 이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때에는 작업자가 직접 망치 등으로 지지대를 땅에 대고 타격하여 박았다.Crops such as red pepper, tomato, eggplant, and sesame seeds support the stem with a support bar (ie, support). hit and hit

이와 같이 망치로 지지대를 땅에 박는 작업은, 힘들뿐 아니라, 지지대를 박는 깊이가 일정치 않고, 망치로 타격 시에 지지대가 부러지는 경우도 발생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지지대를 박기 위한 타격봉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타격봉은 내부에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었다.In this way, the work of driving the support into the ground with a hammer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epth of driving the support is not constant, and the support is broken when hitting with a hammer, which can lead to a safety accident. Accordingly, a striking rod for driving the support was developed and used, and the striking rod had a body in which a hollow was formed so that the support could be inserted therein, and a handle wa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be gripped by hands.

상술한 타격봉으로 지지대를 박고자 할 때에는, 본체의 내부로 지지대를 삽입한 다음에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타격판이 지지대를 타격해서 지면에 박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타격봉은 본체의 상부 타격판이 넓게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타격할 때, 본체의 상부 타격판의 중심이 지지대의 머리를 일정하게 타격하지 못하고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어, 타격판의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벗어나서 불안정하게 말뚝의 상부를 타격하게 되며, 이에 타격 시의 충격이 몸에 전달되어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When you want to drive the support with the above-described striking rod, insert the support into the main body and then hold the hand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while moving the main body up and down, the striking plate is configured to hit the support and drive it into the ground.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striking rod, since the upper striking plat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wide plane, when holding the handle and striking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center of the upper striking plate of the main body does not constantly strike the head of the support and the internal space In the flow, it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striking plate to one side and unstablely strikes the upper part of the pile.

상술한 타격봉으로 지지대를 지면에 박은 다음에 또 다른 지지대를 박기 위해서는, 타격봉을 지면에 내려놓고 지지대를 대강 지면에 박고 나서, 지면에 내려놓은 타격봉을 다시 들어 지지대를 타격봉의 내부에 삽입하고, 손잡이를 잡고 타격봉으로 타격하여 지면에 박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작업자는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허리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어 피로를 가중시키는 단점도 있었다.In order to drive another support rod after driving the support rod into the ground with the above-described striking rod, put the striking rod down on the ground and roughly drive the support rod into the ground, then lift the striking rod that was put down on the ground again and insert the support rod into the inside of the striking rod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handle and hitting it with a striking rod to drive it into the groun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has to repeat the operation of bending and straightening the wais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gives a lot of strain to the waist and aggravates fatigue.

상술한 타격봉으로 지지대를 타격하면 타격봉의 상부면에 힘이 가해져서 상부면이 자주 파손되어 새로운 타격봉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When the support is hit with the above-described striking rod,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riking rod, and the upper surface is frequently damaged, and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it must be replaced with a new striking r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4123호(2015.11.05. 공개)는 깨, 가지, 토마토, 고추 등의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용 말뚝을 타격하는 타격봉을 지지용 말뚝에 손쉽게 삽입하여 지면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박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용 말뚝 박기 타격봉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지지용 말뚝을 내부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의 양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타격봉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면에 삽입구를 형성하여 지지용 말뚝을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본체 내부의 상측에 타격망치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깨, 가지, 토마토, 고추 등과 같은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말뚝을 지면에 간단하게 박을 수 있게 타격봉의 본체 일측면에 삽입구를 형성함으로서, 타격봉을 본체의 내부에 간단하게 삽입한 후 타격망치를 이용하여 타격할 수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124123 (published on November 5, 2015) easily inserts a striking rod that strikes a support stake that supports the stem of crops such as sesame, eggplant, tomato, and red pepper into the support stake to easily insert the ground In the striking rod having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ormed so as to be able to insert the supporting pile into the internal space, the striking rod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triking rod for supporting the pile for driving accurately vertically to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ile can be easily inserted by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is configured by mounting a hammer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by forming an insertion hole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striking rod so that a support pile for supporting crops such as sesame, eggplant, tomato, pepper, etc. can be simply driven into the ground, the striking rod is easi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fter insertion, it can be hit using a hammer.

한국등록특허 제10-1781470호(2017.10.17. 등록)는 지면과 근거리 위치에서 말뚝 외경부를 통하여 타격력이 전달되어 길이가 길거나 상부가 절곡 성형된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단부 직접 타격이 어려운 말뚝을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한 말뚝 박기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틸팅암; 틸팅암 단부에서 작용축을 중심으로 종 방향으로 선회 작동되면서 말뚝에 파지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 파지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 타격부재의 타격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파지부는 일측이 개방되는 파지홈과, 파지홈 내측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말뚝 외주면을 파지하는 패드부가 설치되어, 파지부 기울어짐에 의해 말뚝이 파지되도록 구비되고, 틸팅암은 탄성체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고, 파지부는 타격부재의 타격력이 가해지면, 타격부가 위치된 일단부가 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말뚝에 파지된 상태로 하 방향으로 타격력이 전달되어 말뚝이 박히고, 타격부재를 들어 올리면, 틸팅암에 의해 파지부 일단이 상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파지력이 해제되어 말뚝을 타고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틸팅암 상에서 선회 작동되는 파지부가 말뚝에 끼우고 타격부재의 타격력이 가해지면 틸팅암의 관절운동에 파지부가 기울어지면서 말뚝을 파지된 상태로 하 방향 타격력을 전달하고, 타격부재를 들어 올리면 탄성체에 의해 틸팅암이 상방향으로 선회되어 기울어진 파지부가 수평 또는 역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파지 위치가 말뚝 상측으로 이동하여 타격력이 다시 전달되는 작동을 반복하여 말뚝 박기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지면과 근거리 위치에서 말뚝 외경부를 통하여 타격력이 전달되므로 길이가 길거나 상부가 절곡 성형된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단부 직접 타격이 어려운 말뚝을 간편하게 박을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1470 (registered on October 17, 2017) provides a simple method for a pile that is difficult to hit directly at the upper end, including a greenhouse support that is long or bent at the upper part because the striking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at a location close to the ground. Disclosed is a piling device f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tilting arm; a gripper provided to be gripped by a pile while pivo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axis of action at the end of the tilting arm; It is formed on the grip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iking portion provided to transmit the striking force of the external striking member, and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groove having one side open, and a pad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the inside of the gripping groove to grip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is installed. , is provided so that the pile is gripped by the inclination of the gripper, the tilting arm is provided so that an elastic force to be transferred upward by an elastic body acts, and the gripper is provided with the striking force of the striking member being applied to the gripper, one end at which the striking part is located is downwardly As it is tilted, the striking force is transmit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being gripped by the pile, and the pile is driven. When the gripper operated by turning on the tilting arm is inserted into the pile and the striking force of the striking member is applied, the gripper is inclined to the joint motion of the tilting arm to apply the downward striking force while gripping the pile. When the striking member is lifted, the tilting arm is rotated upward by the elastic body, and the inclined gripping part is rotated horizontally o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moves upward while the gripping position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pile, repeating the operation in which the striking force is transmitted again In this way, the piling operation is made quickly, and in particular, since the striking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at a position close to the ground, it is easy to drive a pile that is difficult to hit directly at the upper end, including a greenhouse support with a long length or a bent upper part.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41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4123 한국등록특허 제10-1781470호Korean Patent No. 10-178147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고추대, 울타리 파이프,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구현한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dis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upport striking device implemented so that supports such as red pepper sticks, fence pipes, piles, etc. can be easily driven into the ground with a simple structur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지지대의 상단을 삽입받아 지지대를 지지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고정홈을 하면에 구비한 지지체; 하단이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연결 설치된 안내바; 및 상기 안내바를 관통시켜 주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하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내바의 안내에 따라 상하 운동하여 상기 지지체의 상면을 타격하는 하중체를 포함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having a support fixing groove on the lower surfac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o support and fix the support; a guide bar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guide bar,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bar through the through hole to provide a support striking device including a load body that strike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중체의 상면 타격에 의해서 발생되는 타격력을 지지고정홈 내에 지지 고정한 지지대에 전달하여 지지대를 지면에 박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striking force generated by the hitt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 body to the support fixed in the support fixing groove to drive the support to the grou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고정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상단을 잡아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대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it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x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ixing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고정부재는, 지지대 삽입 시에 지지대의 상단 크기에 맞게 압축되어 지지대의 상단을 잡아 주고, 지지대를 뺄 시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메모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fixing member is compressed to fit the size of the top of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inserted, and hold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emory foam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support is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바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하중체의 상하 운동을 안내해 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guide bar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ad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바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바는, 하단이 상기 지지체 상면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바는, 상기 하중체의 상승 시에 상기 하중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상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at the upper end for preventing the load body from falling out when the load body is rais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중체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ad bod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중체는, 가운데 부분에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ad bod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midd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중체는, 외부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 작업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ad bod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ti-slip member for preventing the operator from slipping when holding the work with one h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중체에 반발력을 제공해서 상기 하중체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striking devi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body that provides a repulsive force to the load body so that the load body ri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또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or spr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고정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통보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지지체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통보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카운팅하여 지지대 설치 개수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strik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xing groove, detect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sensor for notifying a detection signal; and an indica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unting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notifi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displaying the number of supports install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 타격 장치는, 상기 하중체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중체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낙하시켜 상기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체가 지면에 대해 수평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stri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 body, and whether the load body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as to hit the support body by dropping the load bod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vel for displaying.

본 발명의 효과로는, 간단한 구조로 고추대, 울타리 파이프,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구현한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대를 박는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타격 시에도 지지대가 부러지지 않아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상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대의 상단을 일정하게 타격할 수 있고, 중심 부분이 안정하게 지지대의 상단을 타격하여 타격 시의 충격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힘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upport striking device implemented to easily drive a support such as a red pepper stand, a fence pipe, a stake, etc. into the ground with a simple structure, it is not difficult for the operator, and the depth of driving the support is constant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ecause the support does not break even when struck As a result, the impact at the time of hitting is not transmitted to the operator, so it does not take much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를 지면에 박은 다음에 또 다른 지지대를 박을 때에도 작업자가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지지대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편리하고 정확하게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할 필요가 없어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아 피로가 덜 하며, 작업의 연속성으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driving another support after driving the support into the ground, the operator can hold the support with one hand and hit the support with the other hand, so that the support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driven into the ground. Not only that, there is no need for the operator to repeat the operation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waist, so there is no strain on the waist, so fatigue is reduc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continuity of the work.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지지대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suppor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ample.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fixing member shown in FIG. 2 .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stri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amp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는 지지대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ample,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fixing member in FIG. Her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 타격 장치(100)는, 지지체(110), 안내바(120), 하중체(130)를 포함한다.1 to 3 , the support striking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 110 , a guide bar 120 , and a load body 130 .

지지체(110)는, 안내바(120)를 상면에 연결 설치하며, 고추대, 울타리 파이프,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의 상단을 삽입받아 지지대를 지지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고정홈(111)을 하면에 구비하며, 하중체(130)의 상면 타격에 의해서 발생되는 타격력을 해당 지지고정홈(111) 내에 지지 고정한 지지대에 전달하여 지지대를 지면에 박도록 해 준다.The support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fixing groove 111 on the lower surface to connect and install the guide bar 120 to the upper surface, and to receive the upper end of a support such as a red pepper stand, a fence pipe, a stake, and the like to support and fix the support. , by transferring the striking force generated by the hi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 body 130 to the support fixed in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to drive the support into the ground.

일 실시 예에서, 지지체(110)는, 금속 재질이나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having rigidity.

일 실시 예에서, 지지체(110)는, 지지고정홈(111)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상단을 잡아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대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고정홈(111) 내부로 삽입 가능한 지지대라면, 지지대의 상단 폭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지지대를 타격하여 편리하고 정확하게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1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ixing member 112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to hold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ccordingly, if it is a suppor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accurately drive the support into the ground by hitting various support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지지대고정부재(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를 지지고정홈(111) 내부로 삽입 시에 지지대의 상단 크기에 맞게 압축되어 지지대의 상단을 잡아 주고, 지지대를 지지고정홈(111) 내부로부터 빼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메모리폼 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fixing member 112 is compressed to fit the size of the top of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to hol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is fixed to the support fixing groove ( 111) It may be memory foam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removed from the inside.

안내바(120)는, 하단이 지지체(110)의 상면에 연결 설치되고, 하중체(130)에 구비된 관통공(131)에 관통되어, 하중체(13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해 준다.The guide bar 120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10 and penetrates through a through hole 131 provided in the load body 130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ad body 130 .

일 실시 예에서, 안내바(120)는, 금속 재질이나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bar 1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having rigidity.

일 실시 예에서, 안내바(120)는, 하단이 지지체(110) 상면의 가운데 부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안내바(120)가 지지체(110) 상면의 가운데 부분 말고 다른 부분(예를 들어, 상면 좌측, 상면 우측, 상면 전측, 상면 후측 등)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bar 120, the lower end may be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Of cour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guide bar 120 may be fixedly installed in other parts (eg, upper left, upper right, upper front, upper rear, etc.) other than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

일 실시 예에서, 안내바(120)는, 하중체(130)의 상승 시에 하중체(1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121)를 상단에 구비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guide bar 120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121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bar 120 to prevent the load body 130 from falling out when the load body 130 is raised.

하중체(130)는, 안내바(120)를 관통시켜 주기 위한 관통공(131)을 구비하며, 해당 관통공(131)을 통해 안내바(12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운동하여 지지체(110)의 상면을 타격해 준다.The load body 130 includes a through hole 131 for passing the guide bar 120 through,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bar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to support the support body 110 . hits the top surface of

일 실시 예에서, 하중체(130)는, 망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중 및 강성을 가진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ad body 130 serves as a hammer,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having a load and rigidity.

일 실시 예에서, 하중체(130)는, 가운데 부분에 관통공(131)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관통공(131)이 하중체(130)의 가운데 부분 말고 다른 부분(예를 들어, 좌측, 우측, 상면 전측, 상면 후측 등)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In an embodiment, the load body 130 may include a through hole 131 in the middle portion. Of course, it should be well understood that the through-hole 131 may be fixedly installed in other portions (eg, left, right, upper front, upper rear, etc.) o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ad body 130 .

일 실시 예에서, 하중체(130)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ad body 130 may be formed so that an operator can hold it with one hand.

일 실시 예에서, 하중체(130)는, 외부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 작업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ad body 130 may further include an anti-slip member 132 tha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prevents the operator from slipping while holding it with one han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지대 타격 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로 고추대, 울타리 파이프,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대를 박는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타격 시에도 지지대가 부러지지 않아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상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대의 상단을 일정하게 타격할 수 있고, 중심 부분이 안정하게 지지대의 상단을 타격하여 타격 시의 충격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힘이 많이 들지 않는다.The support striking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so that supports such as red pepper sticks, fence pipes, stakes, etc. can be easily driven into the ground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operator is not difficult, as well as the depth of driving the support It can be done uniformly, and the support is not broken even when hitting, so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t does not require a lot of force because the impact when striking is not transmitted to the operato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지대 타격 장치(100)는, 지지대를 지면에 박은 다음에 또 다른 지지대를 박을 때에도 작업자가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하중체(130)를 잡아 지지대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편리하고 정확하게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할 필요가 없어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아 피로가 덜 하며, 작업의 연속성으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In the support striking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driving another support after driving the support into the ground, the operator holds the support with one hand and the load body 130 with the other hand to hold the support. By making it possible to strike, not only can the support be driven into the groun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but there is no need for the operator to repeat the work of bending and straightening the waist, so there is less fatigue as it does not strain the lower back, and work continuity work efficiency is im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타격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stri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 타격 장치(100)는, 지지체(110), 안내바(120), 하중체(130), 탄성체(140), 감지센서(150), 표시기(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체(110), 안내바(120), 하중체(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support striking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 110 , a guide bar 120 , a load body 130 , an elastic body 140 , a detection sensor 150 , and an indicator 160 . Here, the support 110 , the guide bar 120 , and the load body 13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탄성체(140)는, 지지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하중체(130)로 지지체(110)를 타격한 후에 하중체(130)에 반발력을 제공해서 쉽게 하중체(1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해 준다.The elastic body 1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10 , and provides a repulsive force to the load body 130 after the operator strikes the support body 110 with the load body 130 , so that the load body 130 easily allows you to rise

일 실시 예에서, 탄성체(140)는, 고무, 스프링 등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astic body 140 may be rubber, a spring, or the like.

감지센서(150)는, 지지체(110)의 지지고정홈(111)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고정홈(111)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표시기(160)에 통보해 준다.The detection sensor 150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of the support 110 , detects the support inserted into the support fixing groove 111 , and notifies the indicator 160 of a detection signal.

표시기(160)는,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감지센서(150)로부터 통보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숫자를 카운팅하여 지지대 설치 개수를 표시해 준다.The indicator 16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 and counts the nu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notified from the detection sensor 150 to display the number of support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지대 타격 장치(100)는, 수평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upport striking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level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수평계는, 하중체(130)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지지체(110)에 의해 지지대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땅에 박힐 수 있도록, 하중체(130)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낙하시켜 지지체(110)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중체(130)가 지면에 대해 수평인지의 여부를 표시해 준다.The level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 body 130 , and the load body 130 is vertically dropp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body 110 can be embedded in the grou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o indicate whether the load body 130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as to strik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지지대 타격 장치
110: 지지체
111: 지지고정홈
112: 지지대고정부재
120: 안내바
121: 걸림부재
130: 하중체
131: 관통공
132: 미끄럼방지부재
140: 탄성체
150: 감지센서
160: 표시기
100: support strike device
110: support
111: support fixing groove
112: support fixing member
120: information bar
121: locking member
130: load body
131: through hole
132: non-slip member
140: elastic body
150: detection sensor
160: indicator

Claims (5)

지지대의 상단을 삽입받아 지지대를 지지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고정홈을 하면에 구비한 지지체;
하단이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연결 설치된 안내바; 및
상기 안내바를 관통시켜 주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하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내바의 안내에 따라 상하 운동하여 상기 지지체의 상면을 타격하는 하중체를 포함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
a support having a support fixing groove on its lower surfac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fixing the support;
a guide bar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support striking device comprising a load body having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guide bar,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bar through the through hole to hi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중체의 상면 타격에 의해서 발생되는 타격력을 지지고정홈 내에 지지 고정한 지지대에 전달하여 지지대를 지면에 박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A support stri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striking force generated by the strik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 body to the support fixed in the support fixing groove to drive the support in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Support stri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고정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상단을 잡아 고정해 주기 위한 지지대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xing groove, the support h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ixing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체는,
외부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잡고 작업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타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bod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support support stri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member for preventing the operator from slipping when working with one hand.
KR1020200068194A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KR20210151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94A KR20210151411A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94A KR20210151411A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11A true KR20210151411A (en) 2021-12-14

Family

ID=789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194A KR20210151411A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41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23A (en) 2014-04-28 2015-11-05 김경희 Piling for support rods hit crops
KR101781470B1 (en) 2016-06-24 2017-11-20 정도야 Pil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23A (en) 2014-04-28 2015-11-05 김경희 Piling for support rods hit crops
KR101781470B1 (en) 2016-06-24 2017-11-20 정도야 Pi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4591B2 (en) Pile measuring system
KR1002556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ing piles into or out of the ground
US5337836A (en) Ground rod installation tool
US9394664B2 (en) Hydraulic breaker hammer casing assembly for pile driving
US20040206860A1 (en) Removable sign support system
US20020053261A1 (en) Shingle lifting tool
KR20100012645U (en) a hammer for a red pepper support
KR20210151411A (en) Apparatus for driving support bar into ground
KR20110029964A (en) A supporting pole hammer for the red pepper
KR200449637Y1 (en) A apparatus of hitting
US6364031B1 (en) Rod driving and extracting tool and methods
JP2007077659A (en) Pil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US7063172B1 (en) Grounding rod driving device
KR20180107851A (en)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CN218713135U (en) Slope monitoring protection device
CN215329869U (en) Soft foundation treatment equipment
KR102029091B1 (en) Crop standing rod striking tool
US20030070821A1 (en) Slide hammer stake driver
CN211285553U (en) Drill rod detection equipment
KR20140066334A (en) Hammer with guide-hole
KR101296666B1 (en) Hammer for elastic wave prospecting
KR200475809Y1 (en) Setting tool of ginseng field support
KR101781470B1 (en) Piling device
KR20110002147U (en) Machine for hammering piles
KR200494340Y1 (en) Pipe stri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