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51A -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 Google Patents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51A
KR20180107851A KR1020170036657A KR20170036657A KR20180107851A KR 20180107851 A KR20180107851 A KR 20180107851A KR 1020170036657 A KR1020170036657 A KR 1020170036657A KR 20170036657 A KR20170036657 A KR 20170036657A KR 20180107851 A KR20180107851 A KR 2018010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xing
striking
tool
f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순연
Original Assignee
곽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순연 filed Critical 곽순연
Priority to KR102017003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851A/en
Publication of KR2018010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for inserting a pile (m) and installing the pile (m) in the ground includes: a fixing unit (10) which has fixing grooves (11)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while having predetermined gaps in a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pile (m); a striking unit (20) which is extended from a side of the fixing unit (10)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install the pile (m); and a handle unit (30)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unit (100) having the striking unit (20) in an extended form to fix the pile (m) and the installation tool. The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can serve for the original purpose and fix the side periphery part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fixing pile to prevent the pile from being released when installing the fixed pile and enhance the work efficiency. Various accidents, including collisions with workers, can be prevented by maximizing the friction with the workers and preventing slipping as well as enhancing reliability and overall balance when installing the pile through the handle unit.

Description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본 발명은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말뚝의 외측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가 손쉽게 말뚝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ile pour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pile pouring tool that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pile a pile by firmly fixing an outer side of a pile.

통상적으로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말뚝을 필요로 하는 작물이 있는데 대표적인 고추의 경우 말뚝을 지면에 타설하여 수직으로 고정시킨 후, 고추를 재배하기 마련인데, 상기 말뚝은 말뚝을 당에 대고 작업자가 망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추대의 상부에 타격을 가하여 말뚝을 타설하였다. Generally, there are crops that require piles for cultivation of crops. In the case of representative peppers, piles are placed on the ground and fixed vertically, and then peppers are grown. The piles are piles, And the pile was pour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pottery bar by using the tool of Fi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 시에 자칫 작업자의 손을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잦은 타격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가 쌓이는 문제점과 더불어, 잦은 타격으로 인해 말뚝의 상부가 훼손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method, when a tool such as a hammer is used, a worker's hand is often injured, and a fatigue of a worker is frequently accumulated due to frequent hitt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is damaged Or breakage.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말뚝을 보다 용이하게 타설할 수 있는 다양한 타설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variety of casting tools have been used to facilitate the piling of such piles.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First of all,

공개번호 20-2012-0007503호(실) 내부가 빈 원통형의 봉; 및 상기 봉의 상부측에서 내부에 고정설치된 원통형의 타격부재로 구성된 말뚝박기용 봉이 관한 기술이다. No. 20-2012-0007503 (room) An empty hollow cylindrical rod; And a cylindrical strik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at the upper side of the rod.

공개번호 10-2014-0001041호(특) 내부에 삽입공간부이 형성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가 삽입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몸통; 일정 두께를 갖고, 상기 몸통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삽입공간부를 폐쇄시키며,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를 타격하고 지면에 설치하고, 상기 몸통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타격블럭; 및 일단이 상기 타격블럭의 돌출부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몸통의 하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절곡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블럭에는 상기 몸통의 삽입공간부와 연통되는 환기구가 최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의 설치 시, 상기 삽입공간부의 기체가 배출되거나 외부의 기체가 유입되는 지주 타설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Open No. 10-2014-0001041 (especially) A trunk for inserting an inserting space into which an inserting space to be installed is inserted and guided; A striking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to close the insertion space portion and striking a strut to be installed and being provid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outside the body; And a handle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riking block and is bent downward so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striking block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sts is formed to allow the gas in the insertion space to be exhausted or the outside gas to flow in the support.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말뚝을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부를 중앙에 끼워 작업자가 손으로 손잡이부분을 잡고 상,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타설도구 또는 타설장치와의 연속적으로 마찰력을 발생시켜 말뚝을 타설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연속적으로 마찰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말뚝과 타설도구 또는 타설장치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등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작업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밖에 없고, 잦은 진동 등이 전달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generally have a pile plac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pile is placed on the ground, the operator grips the handle with his or her hand and continuously moves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continuously generate frictional force with the pile or pile device, It is a technology to put. However, due to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the friction generated by the pile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 vibration generated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pile and the piling device or the pil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 which inconveniences the work.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s inevitably lowered.

이에, 또다른 형태의 기술로써, 등록번호 20-1999-0019000호(특) 몸체의 상단 내부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완충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재의 상, 하측에 스페이서를 설치한 완충부를 형성하며, 몸체의 하단에 상기 몸체와 일체로 되는 중량체와 이 중량체의 하단에 다짐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인삼밭 기둥지주 타설구에 관한 기술이다. Accordingly, as another type of technology, registration No. 20-1999-0019000 (special) has a cushioning material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n upper part of a body, and a cushioning part provided with spacers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ushioning material A weight body integrated with the body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compaction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t body.

상기한 종래 기술은 말뚝을 일측방향에서 끼워 고정시킨 후, 작업자가 발로 밟아 말뚝을 타설하는 타설구이다. 그러나, 상기 타설구는 말뚝과 타설구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중량체에 별도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자칫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타격 시 미끄러지게 되면 타설구의 몸체 상부와 사용자의 신체와 부딪힘 및 말뚝이 타설구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a piercing tool in which a pile is fixed by being fitted in one direction and then pushed by a worker to pile the pile. However, since the peg and the peg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that maximizes the extra friction force on the weight, if the user slides on the peg using the fo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may collide with the user's body and the pile may be detached from the piercing hole, which may cause various safety accid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말뚝을 타설함에 있어서 말뚝을 고정하되,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정홈이 상, 하부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성하여, 하나의 고정홈은 말뚝은 한쪽 외측을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고정홈은 말뚝은 다른 한쪽 외측을 고정하여, 타격시 말뚝이 어느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타측에 말뚝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와 손잡이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타격 시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주며 말뚝이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말뚝을 타격 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상기 타격부의 일측에 작업자의 발과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방지토록 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말뚝 타설도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unit in which a pile is fixed at the time of piling a pile on the ground, and a fixing groove formed to b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as to have a firm fixing force, The pil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and the other fixing groove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le so that the pi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in any direction during impact. The striking part and the grip part for striking the pile on the other side are formed to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so as to balance the entire striking effect and ensure the stability of the pile so as to ensure the safety when striking the pile, A plurality of non-slip projections are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worker's foot that abuts against the feet, thereby preventing slippage It came up over the various safety focuses on providing portable peg placement tools that can be prevented to complete the technical task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외력으로 힘을 가하여 말뚝(m)을 타설하기 위한 타격부(20); 상기 타격부(20)가 구성된 고정부의 타측에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pile driving device for piling a pile on a ground by inserting piles (m),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m) (10) having a fixing groove (11) formed therein; A striking part 2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applying a force with an external force to pile the pile m; A handle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art of the striking part 20 for fixing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As a technical feature.

상기 고정부(10)는 측면이“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은 말뚝(m)이 외측이 삽입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말뚝(m)의 외측과 마찰을 높이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찰돌기(13)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portion 10 has a side surface formed in a " C " shape, One or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11 so as to allow the pile m to be inserted out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11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pile m. .

상기 고정홈(11)은 말뚝(m)을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말뚝(m)의 외측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groove 1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space which is opened in an opened direction is gradually enlarged so as to prevent fri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pile m when the pile m is inserted and fixed. do.

상기 타격부(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타격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미끄럼방지돌기(25)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itting portion 20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en hitting the hitting portion.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 끝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꺾임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handle 30 is formed to be long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 one side and to be fol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0 by hand.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 pile placing device for inserting a pile (m) into a ground and having a fixing groove (11) formed in a different direction to fix the pile (m) (10); A grip portion 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elongated to fix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As a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말뚝 타설도구에 의하면, 말뚝 타설도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말뚝을 고정 시 일측 외주와 타측외주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서로 다른방향으로 연장된 타격부와 손잡이부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한 채로 말뚝을 타설이 가능하여 상기 말뚝의 이탈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타격부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로 인해 작업자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미끄럼방지를 통한 작업자와의 부딪힘 등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를 통해 말뚝 타설 시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주고 안정감을 더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pile plac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ile is fixed while keep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ile driving tool, the pile is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pile can be poured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in a state of being stably fixed by the handle, so that the pile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pile an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Further, since the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 with the operator through slip prevention by maximizing the frictional force,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o add a balance to the overall balance when the pile is poured through the hand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sectio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상의 말뚝 타설도구의 변형된 구조를 가지되, 말뚝(m)의 외주 양측을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고정시킨 후,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타격부(20)를 타격할 수 있되, 사용자가 타설도구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타격부(20)의 다른 방향에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타격 시 흔들림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여 사용자와의 부딪힘 등을 억제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도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dified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ile driving tool and can fix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m at different heights and hitting the striking part 20 using the user's fee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user from shaking or the like through the grip portion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triking portion 20 so that the user can stably secure and support and balance the striking means, And provides a portable pile driving tool to prevent possible safety accidents.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외력으로 힘을 가하여 말뚝(m)을 타설하기 위한 타격부(20); 상기 타격부(20)가 구성된 고정부의 타측에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된다. 1 to 3, there is shown a pile placing device in which a pile (m) is inserted and placed on a ground surface. (10) having fixing grooves (11)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fixing the fixing portions (10); A striking part 2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applying a force with an external force to pile the pile m; A handle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art of the striking part 20 for fixing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10)는 말뚝(m)의 일측 외주와 타측 외주를 각각 끼워 고정시키되, 말뚝(m)의 외주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고정토록 하고, 상기 타격부(20)와 손잡이부(30)는 상기 고정부(10)에서 연장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타격부(20)를 하부로 타격하여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 말뚝(m)을 지면으로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20)를 타격부(20)에 의해 작용하는 반대방향으로 밀림시켜 타설도구의 안정적인 타설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xing portion 10 fixes one side outer periphery and the other side periphery of the pile m, respectively, and fix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m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grip portion 30 extend from the fixed portion 10 and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striking portion 20 is struck downward and the pile m fixed by the fixed portion 10 is grounded It is possible to stably insert the pouring tool by pushing the pulling part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acting by the striking part 20 at the same time as the pouring is performed and the overall balance can be maintained.

먼저, 상기 고정부(10)는 도 1,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고정판(10a)과 하부고정판(10b)이 상, 하부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상, 하부고정판(10a, 10b)의 일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10c)이 구성된다. 1, 3, and 4,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connecting plate 10c for interconnecting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즉, 상기 상부고정판(10a)에는 오른쪽 방향에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판(10b)에는 왼쪽 방향에 고정홈(11)이 형성되어, 말뚝(m)을 양측에서 잡아 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상, 하부고정판(10a, 10b)가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고정홈(11)도 이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That is, the upper fixing plate 10a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11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lower fixing plate 10b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11 in the left direction to hold the pile m from both sides As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xing grooves 11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by stably fix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여기서, 상기 고정홈(11)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m)이 외측이 삽입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말뚝(m)의 외측과 마찰을 높이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찰돌기(13)가 형성되어, 상기 말뚝(m)을 고정부(10)의 개방된 방향에서 삽입한 후, 외주 일측을 상부고정판(10a)에 형성된 고정홈(11)에 끼우고, 다른 외주 일측을 하부고정판(10b)에 형성된 고정홈(11)에 끼운 후 말뚝(m)의 상부를 지면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자연스레 상기 고정홈(11)의 마찰돌기(13)와 상기 말뚝(m)의 외주가 밀착되어 상기 마찰돌기(13)가 말뚝(m)의 외측을 파고들어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5 or 6, the fixing groove 11 is open at one side to allow the pile m to be inserted outside, and at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3 are formed so that the pile m is inserted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 formed in the upper fixing plate 10a, When the upper part of the pile m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after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id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 formed in the lower fixing plate 10b, the friction protrusion 13 of the fixing groove 11 and the pile m ) Of the pile (m) tightly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e (m).

이때, 상기 말뚝(m)의 경우 나무 재질의 말뚝(m)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찰돌기(13)의 경우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마찰돌기(13)가 돌출되면서도 끝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In this case, the pile m is formed of a pile m made of wood, and the friction protrusions 13 are formed as a plurality of piles. The friction protrusions 13 are protruded, Respectively.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11)은 말뚝(m)을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말뚝(m)의 외측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말뚝(m)이 삽입됨에 있어서 자연스런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pile m is inserted and fixed, the fixing groove 11 is gradually opened in a direction of opening so as to prevent fri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pile m. So that the pile m can be inserted naturally when the pile is inserted.

다시 말해, 말뚝(m)을 상기 고정홈(11)으로 외주를 삽입할 시, 최초,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말뚝(m)의 외주가 상기 고정홈(11)의 내부 양측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고정홈(11)의 마찰돌기(13)와 맞닿을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m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m at the first inserted portion is prevented from touching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11, So that it can fin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ubbing protrusion 13 of the fixing groove 11.

상기 말뚝(m)을 고정부(10)에 삽입할 시에는, "ㄷ“자 형상에서 개방된 방향으로 말뚝을 삽입시키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일측과 외주타측을 각각의 고정홈(11)으로 인입시키고 말뚝(m)의 상부를 손잡이부(30) 방향으로 밀게 되면 자연스레 상기 말뚝(m)이 고정되게 된다. When the pile m is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portion 10, the pile is inserted in a " C " -shape opening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le are fixed to the respective fixing grooves 11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m is pushed toward the pull part 30, the pile m is naturally fixed.

한편, 상기 타격부(20)는 실질적을 고정부(10)에 말뚝(m)을 삽입시킨 후 말뚝(m)을 지면에 타설하기 위해 타격하는 구성으로써,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의 연결판(10c)의 하부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3)의 일측에 연결 또는 연장되는 일측에는 사용자가 타격이 가능토록 타격판(21)이 구성된다. The striking part 20 is configured to substantially strik the pile m in order to place the pile m on the ground after the pile m is inserted into the fixed part 10, An extension portion 2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late 10c of the fixing portion 10 is formed and a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3 connected to or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3 is provided with a hitting The plate 21 is constituted.

여기서, 상기 타격판(2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타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미끄럼방지돌기(25)가 형성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25)의 경우 도 1,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되 서로 교차되지 않으며 서로 반대방향의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맞닿을 시 전체적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토록 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25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iking plate 21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hits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25. In the case of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25,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but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diagonally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prevent slippage as a whole when the user's fee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돌기(25)는 본 발명에서 도시되는 형상 및 방향과 달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를 이루는 원호,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The non-slidable protrusions 2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rcs, polygons, and the lik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hape and direction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 do not.

상기 연장부(23)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연결판(10c)의 하부 일측에서 연장되되, 하부고정판(10b)의 전면으로 꺾임되게 형성되고, 끝단이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판(2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5, the extended portion 23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0c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to be bent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10b, O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king plate 21 as shown in Fig.

상기 연장부(23)의 타격판(21)을 지지하는 위치는 상기 고정부(10)의 중앙부분에 위치되어, 하기될 손잡이부(30)의 꺾임된 부분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중앙부분에 위치되어, 말뚝(m)을 타격 시, 타격부(20)와 손잡이부(30)가 양쪽에서 타격과 밀림을 통해 말뚝(m)이 고정부(1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 position for supporting the striking plate 21 of the extension portion 23 is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Thus, when striking the pile m, the stake m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from the stationary portion 10 through striking and pivoting of the striking portion 20 and the grip portion 30 from both sides, .

상기 손잡이부(3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게 형성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 끝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꺾임되게 형성되며, 타격부(20)에 외력을 가하여 타격 시 타설도구가 상기 타격부(20)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and 7 to 10, the handle 30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in an upward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So that the hitting unit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lined toward the side of the hitting unit 2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hitting unit 20 when the hitting unit 20 is hit.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10)에 일측에서 연장되되, 타격부(20)가 형성된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20)에 외력을 가하여 말뚝(m)을 지면에 타설 시, 상기 손잡이부(30)의 꺾임된 부분을 밀림하여 타설도구의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줌과 동시에 말뚝(m)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pile m is pushed onto the groun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striking portion 20, the staking portion 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aking portion 10 where the striking portion 20 is formed. The pivoted portion of the pivot 30 can be pushed to balance the pivoting tool as well as to prevent the deviation of the pile m.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30)의 꺾임된 부분은 상기 타격부(20)의 타설판(21) 또는 연장부(23)의 끝부(타설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처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folded portion of the handle 3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ed portion 21 of the striking portion 20 or the end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23 Structure.

즉, 고정부(10)에 고정된 말뚝(m)을 타설할 시, 상기 손잡이부(30)와 타격부(20)를 동시에 사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20)를 하부로 타격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30)를 왼쪽방향으로 밀림하게 되면 자연스레 말뚝(m)이 지면으로 타설되게 된다. 10, when the pile m fixed to the fixing part 10 is poured, the handle 30 and the striking part 20 are used simultaneously to move the striking part 20 to the lower part And when the handle 30 is pushed in the left direction, the pile m is naturally pushed into the ground.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설도구는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pou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e (m) inserted therein and piercing the pile. The pile (m) is spaced upward and downward (10) having fixing grooves (11)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 grip portion 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elongated to fix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May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말뚝 타설도구에 의하면, 말뚝 타설도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말뚝을 고정 시 일측 외주와 타측외주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된 상태에서 말뚝을 타설할 시 상기 말뚝의 이탈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타격부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로 인해 작업자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미끄럼방지를 통한 작업자와의 부딪힘 등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를 통해 말뚝 타설 시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주고 안정감을 더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pile plac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ile is fixed while keep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ile driving tool, the pile is fixed in a fixed state by fixing the outer periphery on one side and the outer periphery on the other side at a fix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deviation of the pile, and by maximizing the friction force with the worker due to a large number of non-slip projections on the striking part,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bump against the worker through slip prevention can be prevented An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adds a sense of stability to the overall balance when piling a pile through the handle.

10 : 고정부
10a : 상부고정판 10b : 하부고정판 10c : 연결판
11 : 고정홈 13 : 마찰돌기
20 : 타격부 21 : 타격판 23 : 연장부
25 : 미끄럼방지돌기
30 : 손잡이부
m : 말뚝
10:
10a: upper fixing plate 10b: lower fixing plate 10c: connecting plate
11: Fixing groove 13: Friction projection
20: striking part 21: striking plate 23:
25: Slip prevention projection
30: Handle portion
m: pile

Claims (6)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외력으로 힘을 가하여 말뚝(m)을 타설하기 위한 타격부(20);
상기 타격부(20)가 구성된 고정부의 타측에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A pile placing tool for inserting a pile (m) into a ground,
(10) having fixing grooves (11)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fix the pile (m), the fixing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triking part 2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applying a force with an external force to pile the pile m;
A handle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art of the striking part 20 for fixing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Wherein the pil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고정판(10a)과 하부고정판(10b)이 상, 하부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상, 하부고정판(10a, 10b)의 일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10c)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11)은 말뚝(m)이 외측이 삽입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는 말뚝(m)의 외측과 마찰을 높이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찰돌기(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10)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10a and 10b, (10c)
One or more friction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groove 11 so as to increase the fri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pile m. A portable pile putting too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은 말뚝(m)을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말뚝(m)의 외측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groove 11 is formed such that a space opened in an opened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when the pile m is inserted and fixed so as to prevent fri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pile m. Portable pile driving to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타격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미끄럼방지돌기(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iking part (20) so as to prevent a user from slipping when hit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 끝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꺾임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30) is formed to be long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is inclined to one side, an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 can be held by a user.
말뚝(m)을 삽입하여 지면에 타설하는 말뚝 타설도구에 있어서,
상,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상기 말뚝(m)을 고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1)을 갖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길게 형성되어, 타설도구와 말뚝(m)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타설 도구.















A pile placing tool for inserting a pile (m) into a ground,
(10) having fixing grooves (11)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fix the pile (m), the fixing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grip portion 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elongated to fix the pouring tool and the pile m; Wherein the pil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KR1020170036657A 2017-03-23 2017-03-23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KR201801078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57A KR20180107851A (en) 2017-03-23 2017-03-23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57A KR20180107851A (en) 2017-03-23 2017-03-23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51A true KR20180107851A (en) 2018-10-04

Family

ID=6386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57A KR20180107851A (en) 2017-03-23 2017-03-23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8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76A (en)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Insertion hole of agricultural supporting stick
KR102076496B1 (en) * 2018-10-18 2020-02-13 우장하 Agricultural pillar inserting outlet
JP2023014415A (en) * 2021-07-12 2023-01-27 大森 亜希子 Tool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pill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676A (en)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Insertion hole of agricultural supporting stick
KR102076496B1 (en) * 2018-10-18 2020-02-13 우장하 Agricultural pillar inserting outlet
JP2023014415A (en) * 2021-07-12 2023-01-27 大森 亜希子 Tool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pill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7851A (en) Portable pile Installation tool
CA2272914C (en) An improved striking tool
US4533112A (en) Curb stake with integral support
KR101958972B1 (en) Insertion hole of agricultural supporting stick
US4986371A (en) Safety deflector for air hammer and concrete breaker
US20050155310A1 (en) Landscape stake system
US7121357B1 (en) Method of inserting a grounding rod
KR20090011439U (en) A apparatus of hitting
KR200475809Y1 (en) Setting tool of ginseng field support
US9440347B1 (en) Tool implement with integrated stake puller
KR101913638B1 (en) Hitting device for slab form fixing pin
KR200474120Y1 (en) A hammer
JPH0118302Y2 (en)
KR200408487Y1 (en) Connection tool for construction slab finishing board
KR102568018B1 (en) Fixing and recovery hammer for form separator
JP3057675B2 (en) Tree support construction method
KR20110034062A (en) Device for fixing nails
KR200442996Y1 (en) A peg for a fixed mast
KR102266185B1 (en) nail holding jig
KR20150067947A (en) Pile machine for inserting a support fixture
KR100820059B1 (en) Construction work apparatus of micro pile and the method thereof for load instant
US20170044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retaining wall and repairing existing fence
KR20220002583U (en) Hammer for Pepper Support
KR20230163809A (en) Handle cap for driving in a post
JP2954835B2 (en) How to install p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