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967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967A
KR20210150967A KR1020210046649A KR20210046649A KR20210150967A KR 20210150967 A KR20210150967 A KR 20210150967A KR 1020210046649 A KR1020210046649 A KR 1020210046649A KR 20210046649 A KR20210046649 A KR 20210046649A KR 20210150967 A KR20210150967 A KR 2021015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nnector
connector body
bas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영준
박현상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21231122.3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5732524U/en
Publication of KR2021015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9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assembly may comprise: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shield which surrounds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which can be caught on the first connector body;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base, a second connector body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second shield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which can be caught on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nvenience may be improved.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되는 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specifically, to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hield to be assembled.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부품의 일 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자 부품 또는 센서 등의 많은 전기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전기 부품들은 케이블 및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기 부품 또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사람이 감전될 수 있을 정도의 고전압 및/또는 고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또는 커넥터의 경우, 감전 또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쉴드가 마련될 수 있다.A connector is a kind of part that selectively connects or blocks an electrical connection. BACKGROUND ART In general, many electric parts such as electronic parts or sensors are installed in automobiles, and these electric par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ic parts or power sources through cables and connectors. In the case of a cable or connector through which a high voltage and/or high current that can be electric shock to a person flows, a shiel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or noise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커넥터를 통해 두 개의 전기 부품이 서로 연결될 경우, 전기 부품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커넥터를 통해 누설되면 인근 전기 부품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오작동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오작동은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또한, 외부의 전자파 노이즈는 전기 부품의 이상 작동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when two electrical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when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components leak through the connector, they may interfere with nearby electrical components and cause a malfunction. There is a risk that such a malfunction may cause the device to malfunction. In addition, external electromagnetic noise may cause abnormal opera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감전 또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다이캐스팅(die casting)과 같은 정밀 주조법으로 금속의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전체를 금속으로 제조할 경우,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생산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커넥터 바디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되, 감전 또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쉴드를 채용하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쉴드의 형상을 간단하게 제작하여, 쉴드에 생산에 발생하는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or noise, a metal connector may be manufactured by a precision casting method such as die casting. However, when the entire connector is made of metal, the cost may be excessiv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cost in the production of connector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employs a shiel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or noise is required. In addition, by simply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shield,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cost incurred in the production of the shield.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쉴드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shiel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second connector base, a second connector body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connector capable of being caught on and including a second shiel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제 1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may include: a first shield body surface-contacting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걸림 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locking arm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is lockable on the second connector body.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체결되는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하다.When the first shield move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ield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 is hookable to the first connector body.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하부 파트; 및 상기 하부 파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외면을 마주하고, 상기 제 1 걸림 암을 지지하는 상부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lower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n upper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supporting the first locking arm.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may include a first w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may include a second shield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는, 상기 제 1 쉴드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쉴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base may include a base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hield, and the first shield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hole for accommodating the base protrusion.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홈; 및 상기 메인 홈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2 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body may include: a main groov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hield; and an auxiliary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oove and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hield.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쉴드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may include a second shield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마련되는 연장 바디; 및 상기 연장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접촉 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n extension body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contact arm connected to the extension body,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2 외측 걸림 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2 내측 걸림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may include: a second outer locking arm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engaging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inner locking arm protruding inward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상기 제 2 날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체결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쉴드에 오버랩될 수 있다.The second wing may overlap the first shiel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바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바디 암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body may include a body arm engageable to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shield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body arm.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쉴드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제 1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쉴드의 일면에 접촉 가능한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shiel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second connector base, a second connector body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 second connector hookable to and including a second shiel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wherein the first shield includes: a first shield body surface-contacting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wherein the second shield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being a second shield body;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contactab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

상기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체결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may overlap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further includes a first w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wherein the second shield includes the seco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일체형 쉴드가 아닌 조립이 되는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쉴드 자체의 형상을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의 비용이 감소하고, 제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hield that is assembled rather than an integral shield, and thus the shape of each shield itself is simply form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manufacturing convenienc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와 다른 각도로 도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커넥터 베이스 및 제 2 커넥터 바디를 생략하여 도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커넥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점선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ch is shown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second connector base and a second connector body are omit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tted line portion of FIG. 7 .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와 다른 각도로 도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ch is shown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서로 체결되는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는 z축 방향으로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 각각은 서로 다른 전기 부품에 연결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전기 부품은 커넥터 어셈블리(1), 다시 말하면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에 의해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1)는 어느 하나의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T)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1)에 체결되는 다른 커넥터(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T)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2 , the connector assembly 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0 and a second connector 200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fastened in such a way that they move toward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Each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different electrical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 ,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 may be physically and/or electrically connected by For example, the connector assembly 1 may include at least one terminal 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electrical component. For example, another connector (not shown)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pt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200)가 제 1 커넥터(1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어셈블리(1)가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커넥터(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00)가 제 2 커넥터(2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어셈블리(1)가 조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0 is fixed, the second connector 20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0 to assemble the connector assembly 1 . As anothe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200 is fixed, the first connector 10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nnector 200 to assemble the connector assembly 1 .

커넥터 어셈블리(1)는 감전 및/또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쉴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10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1 쉴드(120)를 포함하고, 제 2 커넥터(200)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 제 2 커넥터 바디(212) 및 제 2 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1 may have a shield structure for reducing electric shock and/or noise.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a first shield 120 ,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ase 211 and a second connector body 212 . )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included.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2 커넥터 바디(212)는 서로 탈착 가능할 수 잇고,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들 중에서,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들은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는 구성들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되, 금속 재질의 쉴드를 마련함으로써, 감전 및/또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으로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may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nector assembly 1 , most components except for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formed of a non-metal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connector assembly 1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easy to manufacture for components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but by providing a metal shield, electric shock and/or noise are reduced It can be done, but it can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제 1 쉴드(12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장착되고, 제 2 쉴드(220)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 및 제 2 커넥터 바디(212)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서로 이격되고,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 12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 In a state in which the 200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가 조립 가능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쉴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태(미도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역시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As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are provided in an assemblable form,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when compared to a state in which the shield is integrally configured (not shown) , may be relatively easy to manufacture.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also be manufactured relatively simply. .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커넥터 베이스 및 제 2 커넥터 바디를 생략하여 도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커넥터의 절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제 1 커넥터(100), 제 2 커넥터(200) 및 부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1 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200)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 제 2 커넥터 바디(212) 및 제 2 쉴드(213)를 포함할 수 있다. 부쉬(300)는 제 2 커넥터(200)에 체결될 수 있다.3 to 5 , the connector assembly 1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0 , a second connector 200 , and a bush 300 . The first connector 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a first shield 120 . The second connector 2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base 211 , a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a second shield 213 . The bush 30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

제 1 커넥터 바디(110)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바디(110)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바디(110)는 외면에 제 1 쉴드(120)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홈(111)과, 제 2 쉴드(220)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홈(112)과, 제 2 커넥터 바디(212)에 걸림 가능한 바디 암(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body 110 may have a hollow therei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may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ncludes at least one main groove 111 for supporting the first shield 120 and at least one auxiliary groove 112 for supporting the second shield 220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It may include a body arm 113 hookable to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메인 홈(111)은 제 1 쉴드(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메인 홈(111)은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표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홈(111)은 제 1 쉴드(120)의 제 1 걸림 암(1223)을 수용하여, 제 1 쉴드(120)가 +z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메인 홈(111)은 제 1 커넥터 바디(110) 중 +y 방향을 향하는 면과 -y 방향을 향하는 면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 및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The main groove 111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hield 120 . The main groove 111 may be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main groove 111 may accommodate the first locking arm 1223 of the first shield 120 to assist the first shield 120 from moving in the +z direction. The main grooves 111 are shown to be provided in each of the +y-direction side and the -y-direction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respectively, but the number and location thereof are not limited thereto.

보조 홈(112)은 메인 홈(111)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2 쉴드(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보조 홈(112)은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표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홈(111)은 제 2 쉴드(220)의 제 2 내측 걸림 암(224)을 수용하여, 제 2 쉴드(220)가 +z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보조 홈(112)은 제 1 커넥터 바디(110) 중 +y 방향을 향하는 면과 -y 방향을 향하는 면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 및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The auxiliary groove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oove 111 and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hield 220 . The auxiliary groove 112 may be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main groove 111 may accommodate the second inner locking arm 224 of the second shield 220 to assist the second shield 220 not to move in the +z direction. The auxiliary grooves 112 are shown to be provided in each of the +y-direction surface and the -y-direction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respectively, but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auxiliary grooves are not limited thereto.

바디 암(113)은 암 바디(1131)와, 암 바디(1131)에 단부로부터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암(113)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암 바디(1131)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바디(110)가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측으로 진입할 경우, 다시 말하면, 제 1 커넥터 바디(110)가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바디 암(113)은 제 2 쉴드(220)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형되고, 제 2 쉴드(220)의 수용 홀(227)이 마련된 위치에서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바디 암(113)은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걸림 파트(2122)에 걸릴 수 있다.The body arm 113 may include an arm body 1131 and an arm head 1132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arm body 1131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arm 113 , the arm body 1131 may be deform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enters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that is, while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moves in the +z direction, the body arm 113 is pressed by the second shield 220 to be de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to be restored back to its original shape at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hole 227 of the second shield 220 is provided. can The restored body arm 113 may be caught by the engaging part 2122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제 1 쉴드(12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둘러싸고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 가능하다. 제 1 쉴드(120)는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상측에서부터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쉴드(120)가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쉴드(120)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쉴드(12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 1 쉴드(120)는, 제 1 쉴드 바디(121), 제 1 연장부(122), 제 1 날개(123) 및 쉴드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120 surrounds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is hookable to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first shield 12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n a manner that, for example, moves in the -z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ield 120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movement of the first shield 120 may be restricted. For example, while the first shield 120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stricted. The first shield 120 may include a first shield body 121 , a first extension part 122 , a first wing 123 , and a shield hole 125 .

제 1 쉴드 바디(12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쉴드 바디(121)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에 면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쉴드 바디(121)의 상면, 다시 말하면 제 1 쉴드(120) 중 +z 방향을 향하는 표면은 제 2 커넥터 베이스(211)의 하면, 다시 말하면 제 2 커넥터 베이스(211) 중 -z 방향을 향하는 표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제 1 쉴드 바디(121)의 하면은 전자 장치(미도시)의 금속 표면에 접촉하여 쉴드 기능을 강화 할 수 있다. . 제 1 쉴드 바디(1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둘러쌀 수 있다.The first shield body 121 may have a plate shape. The first shield body 121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ield body 121 ,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z direction of the first shield 120 , i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 that is, one of the second connector bases 211 . Surface contact is possible with a surface facing in the -z direc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ield body 121 may contact the metal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o strengthen the shield function. . The first shield body 121 may surround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제 1 연장부(122)는 제 1 쉴드 바디(121)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일면을 커버하고, 제 2 쉴드(220)에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122)는, 제 1 쉴드 바디(121)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파트(1221)와, 하부 파트(12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파트(1222)와, 상부 파트(1222)에 연결되는 제 1 걸림 암(1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파트(1221)는 제 1 쉴드 바디(121)로부터 비스듬하게, 예를 들어 30도 내지 60도 각도로 연장될 수 있고, 상부 파트(1222)는 하부 파트(1221)의 단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122 extends from the first shield body 121 , covers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can contact the second shield 220 .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122 may include a lower part 1221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121 , an upper part 1222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lower part 1221 , and an upper part ( A first locking arm 1223 connected to 1222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lower part 1221 may extend obliquely from the first shield body 121 , for example at an angle of 30 to 60 degrees, and the upper part 1222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lower part 1221 . It may extend vertically upwards.

하부 파트(12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쉴드(120)가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따라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하부 파트(12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 중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바디(11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체결 방향인 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파트(12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 중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체결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에 걸릴 수 있다. 하부 파트(1221)가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릴 경우, 제 1 쉴드(120)는 더 이상 -z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파트(1221)가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에 따라, 제 1 쉴드(120)가 -z 방향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lower part 1221 is hookable to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For example, while the first shield 120 moves in the -z direction along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lower part 1221 catches the relatively thick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can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z-axis direction that is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for example, an x-axis direction or a y-axis direction. may have a relatively thick shape. The lower part 1221 may be caught on a relatively thick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When the lower part 1221 is caught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first shield 120 may no longer move in the -z direction. As the lower part 1221 is caught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 phenomenon in which the first shield 120 is separated in the -z direction may be prevented.

상부 파트(1222)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면을 마주하고, 제 1 걸림 암(1223)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 파트(1222)는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바디(110) 중 +y 방향을 향하는 면 및/또는 -y 방향을 향하는 면을 마주할 수 있다. 상부 파트(1222)는 제 1 걸림 암(1223)을 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part 1222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support the first locking arm 1223 . The upper part 1222 may face, for example, a surface facing the +y direction and/or a surface facing the -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upper part 1222 may support the first locking arm 1223 .

제 1 걸림 암(1223)은,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 가능하다. 제 1 걸림 암(1223)은, 상부 파트(1222)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파트(1222)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향해 근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 암(1223)은 상부 파트(1222)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걸림 암(1223)은, 제 1 쉴드(120)가 제 1 커넥터 바디(11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 파트(1222)와 나란해지는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1 걸림 암(1223)은, 메인 홈(111)에 위치했을 때,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제 1 걸림 암(1223)은 메인 홈(111)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arm 1223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to be hook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first locking arm 122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z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1222 , and has a shape that approaches toward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s it moves away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222 . can have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arm 1223 may have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1222 . The first locking arm 1223 is pressed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while the first shield 120 moves along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part 1222 . may be temporarily deformed. When the first locking arm 1223 is positioned in the main groove 111 , the pressure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s released, and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e first locking arm 1223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in groove 111 .

하부 파트(1221) 및 제 1 걸림 암(1223)에 의해, 제 1 쉴드(120)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방향(+z 방향) 및 제 2 방향(-z 방향)으로 이동 시,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 가능하다.By the lower part 1221 and the first locking arm 1223 , the first shield 120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in the first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z direction), it is possible to be caught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제 1 날개(123)는, 제 1 쉴드 바디(121)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연장부(122)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타면을 커버하고, 제 2 쉴드(220)에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122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쉴드 바디(121) 중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파트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 1 날개(12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파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1 날개(123)는,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노이즈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wing 123 extends from the first shield body 121 ,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122 ,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shield 220 . contac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1222 may extend from two parts facing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among the first shield body 12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wing 123 may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It can extend from two part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wing 123 may improve noise block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

쉴드 홀(125)은 제 1 쉴드 바디(1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쉴드 홀(125)은 제 2 커넥터 베이스(2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는 제 1 쉴드(1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2111)를 포함하고, 쉴드 홀(125)은 해당 베이스 돌기(2111)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돌기(2111)는, 커넥터 어셈블리(1)가 전자 장치(미도시)에 체결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방향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돌기(2111)는 제 2 커넥터 바디(212)를 기준으로 한 쪽 방향에만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베이스 돌기(2111)를 전자 장치에 정렬시키는 방식으로, 커넥터 어셈블리(1) 및 전자 장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The shield hole 125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shield body 121 . The shield hole 125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may include a base protrusion 2111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hield 120 , and the shield hole 125 may receive the corresponding base protrusion 2111 . have. The base protrusion 2111 may have a direction display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1 is fastened to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the base protrusion 2111 may be provided only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a user aligns the base protrusion 2111 with the electronic device in a manner that the connector assembly 1 . and electronic devices may be aligned.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는,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체결 방향인 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게 펼쳐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는, 커넥터 어셈블리(1)가 전자 기기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를 통과하여 커넥터 어셈블리(1)와 전자 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는, 제 1 쉴드(1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2111)와, 고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홀(2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spread wide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may assist the connector assembly 1 to be easily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to fix the connector assembly 1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may include a base protrusion 2111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hield 120 and a base hole 2112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mber.

제 2 커넥터 바디(212)는, 제 2 커넥터 베이스(2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 바디(212)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 바디(212)는, 제 2 쉴드(220)의 접속 파트(225)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 홈(2121)과,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바디 암(113)에 걸림 가능한 걸림 파트(2122)와, 제 2 쉴드(220)의 제 2 외측 걸림 암(223)에 걸림 가능한 바디 단차(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쉴드(220)는 바디 단차(2123)에 걸림으로써, +z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211 .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includes a body groove 2121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art 225 of the second shield 220 and a locking part that can be hooked on the body arm 113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It may include 2122 and a body step 2123 that can be hooked on the second outer locking arm 223 of the second shield 220 . Since the second shield 220 is caught by the body step 2123 , movement in the +z direction may be restricted.

제 2 쉴드(220)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221)와, 제 2 쉴드 바디(221)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쉴드(120)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 2 연장부(222)와, 제 2 쉴드 바디(2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커넥터 바디(212)에 걸림 가능한 제 2 외측 걸림 암(223)과, 제 2 쉴드 바디(22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림 가능한 제 2 내측 걸림 암(224)과,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외측에 노출되는 접속 파트(225)와, 제 1 날개(123)에 연결되는 제 2 날개(226)와, 바디 암(113)을 수용 가능한 수용 홀(227)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 220 includes a second shield body 221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221 and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 120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2 , the second outer locking arm 223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shield body 221 and capable of being hooked on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the second shield body 221 on the inside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locking arm 224 protruding to and hookable to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connection part 22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the first wing 123 . It may include a second wing 226 to be formed, and a receiving hole 227 for accommodating the body arm 113 .

제 2 쉴드 바디(221)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쉴드 바디(221)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hield body 2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The second shield body 22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제 2 연장부(222)는 제 2 쉴드 바디(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 1 쉴드(120)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222)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마련되는 연장 바디(2221)와, 연장 바디(2221)에 연결되고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쉴드(120)에 접촉되는 접촉 암(2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22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econd shield body 221 and cover the first shield 120 from the outsid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2 includes an extension body 2221 provided in a state of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body 2221 and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It may include a contact arm 2222 spaced apart from th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120 .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일차적으로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222)의 접촉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이차적으로 제 1 날개(123) 및 제 2 날개(226)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날개(123) 및 제 2 날개(226)는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조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primarily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22 .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wing 123 and the second wing 226 . In other words, the first wing 123 and the second wing 226 may assist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

제 2 외측 걸림 암(223)은 제 2 쉴드(220)가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내측 걸림 암(224)은,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보조 홈(112)에 수용되어,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릴 수 있다. 제 2 내측 걸림 암(224)은, 제 1 커넥터 바디(110)로부터 제 2 쉴드(220)가 분리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second outer locking arm 223 may block the second shield 220 from moving in the +z direction. The second inner locking arm 224 may be received in the auxiliary groove 112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to be caught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second inner locking arm 224 may assist in preventing the second shield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접속 파트(225)는 제 2 커넥터 바디(212)의 상단에 걸림 가능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접속 파트(225)는, 제 1 커넥터(100)가 연결되는 전자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25 may b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 and a part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part 22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100 is connected.

제 2 날개(226)는, 제 2 쉴드 바디(221)로부터 연장되고, 제 2 연장부(222)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쉴드(120)에 접촉될 수 있다. 제 2 날개(226)는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체결 방향인 z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제 1 쉴드(120)에 오버랩될 수 있다.The second wing 226 may extend from the second shield body 221 ,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222 , and contact the first shield 120 . The second wing 226 may overlap the first shield 120 in an x-axis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a z-axis direction that is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

수용 홀(227)은 제 2 쉴드 바디(2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hole 227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shield body 221 .

부쉬(300)는 베이스 홀(2112)에 체결될 수 있다. 부쉬(300)는 제 2 커넥터 바디(212)를 전자 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미도시)를 감쌀 수 있다. 부쉬(300)는 볼트에 의해 제 2 커넥터 바디(212)가 변형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The bush 300 may be fastened to the base hole 2112 . The bush 300 may surround a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bush 300 may reduce or prevent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from being deformed by the bolt.

커넥터 어셈블리(1)는, 일체형 쉴드가 아닌 조립이 되는 쉴드, 다시 말해서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쉴드 자체의 형상을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의 비용이 감소하고, 제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1 includes a shield that is assembled rather than an integral shield, that is,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so that the shape of each shield itself is simply formed. This can be reduced, and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can be improved.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파트(12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걸릴 수 있고, 제 1 쉴드 바디(121)는 제 2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파트(1222)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걸림 암(1223)은 제 1 커넥터 바디(110)에 마련된 메인 홈(111)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lower part 1221 may be caught by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the first shield body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he upper part 1222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the first locking arm 1223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in groove 111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점선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tted line portion of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 바디(110) 및 제 2 커넥터 바디(212)가 서로 연결될 경우, 제 1 쉴드(120) 및 제 2 쉴드(2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날개(123) 및 제 2 쉴드 바디(221)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 2 날개(226)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극을 이루며 이격될 수 있고, 제 1 날개(1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날개(123) 및 제 2 날개(226)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7 and 8 , when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2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hield 120 and the second shield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wing 123 and the second shield body 221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The second wing 22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with a predetermined gap,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ing 123 . The first wing 123 and the second wing 226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제 1 날개(123)는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에 걸림 가능한 제 1 날개 경사 파트(1231)와, 제 1 날개 경사 파트(1231)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커넥터 바디(110)의 외측면을 마주하는 제 1 날개 메인 파트(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날개 경사 파트(1231)는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 바디(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wing 123 includes a first wing inclined part 1231 hookable to a relatively thick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and the first wing inclined part 1231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or body 110 . It may include a first wing main part 1232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wing inclined part 12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body 110 .

제 2 날개(226)는 제 1 날개(123)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날개(226)는 제 1 날개(123)의 제 1 날개 경사 파트(1231)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날개 메인 파트(1232)는 제 1 날개 경사 파트(1231)의 단부에 대해서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 2 날개(226)에 밀착할 수 있다. 제 1 날개(123) 및 제 2 날개(226)는 서로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진동에도 제1, 2 쉴드의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e second wing 226 may press the first wing 123 . For example, the second wing 226 may press the first wing inclined part 1231 of the first wing 123 . In this case, the first wing main part 1232 may rotate counterclockwise about the y-axis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first wing inclined part 1231 ,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wing 226 . The first wing 123 and the second wing 22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stability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even in external vibration.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structures, devices,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re used.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even if it is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Claims (18)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쉴드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shiel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second connector base, a second connector body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 second connector that is engageable and includes a second shiel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제 1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hield is
a first shield bod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걸림 암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locking arm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체결되는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first shield move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ield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being hooked on the first connector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하부 파트; 및
상기 하부 파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외면을 마주하고, 상기 제 1 걸림 암을 지지하는 상부 파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lower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and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nd an upper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supporting the first locking ar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제 1 쉴드 바디와,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날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hield is
a first shield bod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 first w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shield is
a second shield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nd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는, 상기 제 1 쉴드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쉴드 홀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nector base includes a base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hield,
The first shield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hole for accommodating the base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홈; 및
상기 메인 홈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2 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or body,
a main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hield; and
and an auxiliary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hiel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쉴드의 일면을 접촉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hield is
a second shield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마련되는 연장 바디; 및
상기 연장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접촉 암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 extension body provid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nd a contact arm connected to the extension body,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2 외측 걸림 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2 내측 걸림 암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hield is
a second outer locking arm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engaging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nd a second inner locking arm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nector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hield is
and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체결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쉴드에 오버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wing overlaps the first shiel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바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바디 암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or body includes a body arm engageable on the second connector body,
The second shield includes a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body arm.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한 제 1 쉴드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에 걸림 가능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제 1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쉴드 바디; 및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쉴드의 일면에 접촉 가능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shield surrounding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second connector base, a second connector body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 second connector that is engageable and includes a second shield in contact with the first shield;
The first shield is
a first shield bod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or base;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The second shield is
a second shield body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and contactab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체결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overlap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는, 상기 제 1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제 1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쉴드는, 상기 제 2 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쉴드에 접촉되는 제 2 날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shield further includes a first wing extending from the first shield bod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contactable to the second shield;
The second shiel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hield bod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and contacting the first shield.
KR1020210046649A 2020-06-04 2021-04-09 Connector assembly KR202101509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231122.3U CN215732524U (en) 2020-06-04 2021-06-03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7766 2020-06-04
KR1020200067766 2020-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967A true KR20210150967A (en) 2021-12-13

Family

ID=788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49A KR20210150967A (en) 2020-06-04 2021-04-09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0967A (en)
CN (1) CN215732524U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732524U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0021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structure of device case
US10439348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CN111106580B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grounding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US10280967B2 (en) Fixing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175331B2 (en) Fuse unit mounting structure
KR20170127996A (en) Substrate Connector
US8672712B2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JPWO2018163247A1 (en) Control unit having press fit structure
KR20210150967A (en) Connector assembly
EP3751677B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JP2013218870A (en) O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US11296452B2 (en) Connector with holder that locks cover member
WO2014010374A1 (en) Fixing structure for fuse holder and fuse cover
JP7250535B2 (en) Encoders and motors with encoders
KR20210077273A (en) Terminal frame
KR20240000355A (en) Connector
KR20210157857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ng the same
KR102264994B1 (en) Earthing apparatus for connector block and earthing instrument
KR20220065502A (en) 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US20230369813A1 (en) Connection structure
JP2011019343A (en) Cover
JP687123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5179568A (en) Connector module, ma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nnector module and mating connector
KR20220001448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ng the same
KR20220155082A (en) Power block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