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571A - beverage server - Google Patents

beverage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571A
KR20210150571A KR1020217037550A KR20217037550A KR20210150571A KR 20210150571 A KR20210150571 A KR 20210150571A KR 1020217037550 A KR1020217037550 A KR 1020217037550A KR 20217037550 A KR20217037550 A KR 20217037550A KR 20210150571 A KR20210150571 A KR 2021015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ank
beverage container
pi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이타 요시와라
도모히로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5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4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relating to shape or materials, e.g. bag-in-box packages [BIB],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서버(100)는, 음료 용기(1)를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음료 용기(1)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33)와, 음료 용기(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탱크(5)로서,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1)를 갖는 탱크(5)와,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에 음료를 보내기 위한 배관(41)을 구비한다. 배관(41)은, 탱크(5)와 음료 용기(1) 사이에 밸브(V)를 갖는다.The beverage server 100 includes a support part 31 fo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1 , a cooling device 33 f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 1 , and a tank 5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1 . ), a tank 5 having a heater 51 for heating the beverage, and a pipe 41 for sending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 The pipe 41 has a valve V between the tank 5 and the beverage container 1 .

Description

음료 서버beverage server

본 발명은, 음료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erver.

종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 서버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의 음료 서버는, 냉각실에 배치된 공통의 음료 용기로부터, 냉수 코크 및 온수 코크 양쪽 모두에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온수 코크는, 가열 히터를 갖는 고온 탱크를 통해 냉각실 내의 음료 용기와 접속되어 있다. 냉수 코크는, 직접적으로 또는 저온 탱크를 통해 음료 용기와 접속되어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beverage server for supplying a beverage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2). The beverage server of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such that beverages are supplied to both the cold water coke and the hot water coke from a common beverage container disposed in the cooling chamber. The hot water cok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oling chamber through a high-temperature tank having a heating heater. The cold water cok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either directly or via a cold tank.

특허문헌 2의 음료 서버에서는, 냉각실에 마련된 3개의 접속부 각각에 음료병이 접속되어 있다. 3개의 접속부는 각각 냉수용 코크, 온수용 코크, 및, 냉차용 코크에 접속되어 있다. 온수용 코크는, 가열 히터를 갖는 온수 탱크를 통해 냉각실 내의 음료병에 접속되어 있다. 냉수용 코크 및 냉차용 코크는 각각 직접적으로 음료병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beverage server of Patent Document 2, a beverage bott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hree connecting portions provided in the cooling chamber. The three connect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ck for cold water, the cock for hot water, and the cock for cold vehicle. The hot water cork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bottle in the cooling chamber through a hot water tank having a heating heater. The cock for cold water and the cock for cold tea are respectively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nk bottl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766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2766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46429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4464290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온음료는, 우선, 냉각된 음료 용기로부터 냉음료로서 공급되고, 계속해서, 히터를 갖는 탱크에서 따뜻해진다. 그러나, 히터의 능력에 따라서는, 탱크 내의 온음료로부터의 열이 냉각된 음료 용기로 전달되어, 음료 용기의 냉각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a hot beverage is first supplied as a cold beverage from a cooled beverage container, and then warmed in a tank having a heater. However,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the heat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at from the hot beverage in the tank is transferred to the cooled beverage container, thereby lower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냉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음료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erv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음료 용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와, 음료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탱크로서,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갖는 탱크와,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를 보내기 위한 배관을 구비하고, 배관은, 탱크와 음료 용기 사이에 밸브를 갖는 음료 서버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tank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the tank having a heater for heating the beverage, and a tank from the beverage container. A beverage server having a pipe for sending the beverage to the furnace, the pipe having a valve between the tank and the beverage container.

본 개시의 일 양태의 음료 서버에서는, 냉각되는 음료 용기와 가열되는 탱크 사이에 있어서, 배관에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할 때 이외에는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탱크 내의 온음료로부터의 열이 음료 용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의 냉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beverage server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valve is provided in the pipe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cooled and the tank to be heated. Thus, by closing the valve other than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hot beverage in the tank to the beverage contain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음료 서버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여도 좋고, 배관은,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기체 유입 구멍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음료 서버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가 보충될 때에, 음료 용기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본 양태에서는, 위쪽의 음료 용기로부터 아래쪽의 탱크로 음료를 보내기 위한 배관에,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기체 유입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로부터 음료 서버의 외부로 음료가 주출(注出)되면, 음료 용기 및 배관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가 보충됨과 더불어, 기체 유입 구멍으로부터 음료 용기로 기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음료 서버는,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를 보충할 때에 음료 용기에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음료 용기에 전용 캡을 부착하는 것이나 음료 용기마다 구멍을 뚫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beverage server may use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as the beverage source, and the piping may have a gas inlet hole that permits passage of gas but does not allow passage of beverage. In this case, since the beverage server uses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as a beverage source, when a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a configuration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beverage container is required. In this aspect, the piping for sending a beverage from an upper beverage container to a lower tank is provided with a gas inlet hole which permits the passage of gas and does not permit passage of the beverage. Therefore, when a beverage is poured out of the beverage server from the tank, the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pipe, and gas is supplied from the gas inlet hole to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lied Therefore, the beverage server of this aspect does not require attaching a dedicated cap to the beverage container or drilling a hole for each beverage container in order to introduce ga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when refill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by a simple configuration.

배관의 하단은,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기체 유입 구멍은, 탱크의 내부 위치에 있어서 배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음료 용기의 교환시에 음료 용기를 지지부에 배치할 때에, 음료 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압박될 가능성이 있다. 압박력에 따라서는, 음료가 음료 용기로부터 배관으로 압출되어, 기체 유입 구멍으로부터 음료가 샐지도 모른다. 본 양태에서는, 기체 유입 구멍이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체 유입 구멍으로부터 샌 음료를 탱크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tank, and the gas inlet hole may be provided in the pipe at an internal position of the tank.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upon exchang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press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pressing force, the beverage may be extrud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pipe, and the beverage may leak from the gas inlet hol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as inlet hole is located inside the tank, the beverage leaking from the gas inlet hole can be guided into the tank.

음료 서버가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음료 서버는, 음료 용기에 기체를 보내기 위한 급기관으로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급기관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탱크로부터 음료 서버의 외부로 음료가 주출되면, 음료 용기 및 배관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가 보충됨과 더불어, 급기관으로부터 음료 용기로 기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음료 서버는,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로 음료를 보충할 때에 음료 용기에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음료 용기에 전용 캡을 부착하는 것이나 음료 용기마다 구멍을 뚫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everage server uses a non-contractible beverage container as the beverage source, the beverage server further includes an air supply pipe for passing gas to the beverage container, allowing passage of the gas and not allowing passage of the beverage. may be provided. Even in this case, when the beverage is poured from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server, the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pipe, and gas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to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ly, the beverage ser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ttaching a dedicated cap to the beverage container or drilling a hole for each beverage container in order to introduce ga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when refill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by a simple configuration.

음료 서버는, 온음료용 제1 코크와, 냉음료용 제2 코크를 구비하여도 좋고, 제1 코크는, 탱크와 접속되며, 탱크로부터의 온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2 코크는, 탱크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와 접속되며, 탱크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로부터의 냉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음료 서버는, 제1 코크로부터의 온음료와, 제2 코크로부터의 냉음료를 포함하는 2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공통의 음료 용기로부터, 탱크(제1 코크) 및 제2 코크 양쪽 모두에 음료가 공급된다. 이 음료 용기는, 냉각 장치에 의해 차가워진다. 이 때문에, 제2 코크에 공급되는 냉음료 내 및 탱크에 공급되는 음료 내의 미생물을 저감할 수 있다.The beverage server may include a first coke for hot drinks and a second coke for cold drinks, the first coke is connected to the tank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ly hot drinks from the tank, and the second cok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ly the cold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In this case, the beverage server may supply two beverages including a hot beverage from the first coke and a cold beverage from the second coke. Further, in this case, beverages are supplied to both the tank (first coke) and the second coke from a common beverage container. This beverage container is cooled by a cooling device. For this reason, the microorganisms in the inside of the cold drink supplied to 2nd coke and the beverage supplied to a tank can be reduced.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음료 용기의 냉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음료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beverage serv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를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면의 축척은 변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scale of the drawings may be changed.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음료 서버(100)는, 제1 코크(2A)로부터 온음료를, 및, 제2 코크(2B)로부터 냉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 서버(100)는, 예컨대, 음료 용기(1)로서, 수축성의 음료 용기, 또는,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figured to supply a hot beverage from the first coke 2A and a cold beverage from the second coke 2B. The beverage server 100, for example, as the beverage container 1, a beverage container of shrinkage, or a beverage container of non-shrinkage can be used.

본 개시에 있어서 「수축성의 음료 용기」란, 음료의 주출에 따라 수축하는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수축성의 음료 용기」는 예컨대 BIB(Bag In Box)일 수 있다. BIB는 예컨대 종이제의 상자 내에 가요성 수지를 포함하는 용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란, 수축성의 용기와는 달리 음료의 주출에 따라 수축되지 않는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플라스틱병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100)는, 음료 용기(1)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actible beverage container" may mean a container that shrinks upon pouring of a beverage. The "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may be, for example, a Bag In Box (BIB). BIB may have, for example, a container containing a flexible resin in a box made of pap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may mean a container that is not contracted by pouring out a beverage, unlike a shrinkable container.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may be, for example, a plastic bottle formed of plastic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The beverag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use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as the beverage container 1 .

음료 용기(1)는, 음료를 주출하기 위한 입구부(11)를 갖는다. 입구부(11)는, 사용전에는 밀폐되어 있어도 좋다. 음료 용기(1)는, 사용시에, 입구부(11)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음료 서버(100)에 지지된다. 음료 용기(1)의 입구부(11)는, 음료 서버(100)의 니들(N)(상세하게는 후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 용기(1)는, 다양한 음료(예컨대, 물, 커피, 차, 또는, 청량음료수 등)를 수용할 수 있다. 음료 용기(1)의 용량은 예컨대 500 ㎖∼20 ℓ이다. 또한, 음료 용기(1)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1에서는 단순한 원통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예컨대 일반적인 페트병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The beverage container 1 has an inlet 11 for dispensing a beverage. The inlet part 11 may be sealed before use.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upported by the beverage server 100 such that the inlet portion 11 faces downward when in use. The inlet 11 of the beverage container 1 is configured so that a needle N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of the beverage server 100 can pass there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1 may accommodate various beverages (eg, water, coffee, tea, or soft drinks, etc.). The capacity of the beverage container 1 is, for example, 500 ml to 20 L. In addition, although the beverage container 1 is illustrated as a simple cylinder in FIG. 1 for easy understanding, it should be noted that, for example, i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general plastic bottle shape.

음료 서버(100)는, 제1 코크(2A)와, 제2 코크(2B)와, 냉각실(지지부)(31)과, 냉각 장치(33)와, 제1 배관(41)과, 제2 배관(42)과, 제3 배관(43)과, 탱크(5)와, 살균 히터(6)와,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음료 서버(100)는,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갖고 있어도 좋다.The beverage server 100 includes a first cock 2A, a second cock 2B, a cooling chamber (support part) 31 , a cooling device 33 , a first pipe 41 , and a second A pipe 42 , a third pipe 43 , a tank 5 , a sterilization heater 6 , and a control device 7 are provided. The beverage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냉각실(31)은, 음료 용기(1)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실(31)은, 탱크(5)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음료 용기(1)는, 탱크(5)의 위쪽에 배치된다. 냉각 장치(33)는, 냉각실(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실(31)은, 외부와 단열되어 있다. 냉각실(31)의 내부는, 저온(예컨대, 10℃ 이하)으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 용기(1) 내부의 음료는, 저온일 수 있다.The cooling chamber 31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nd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cooling chamber 31 is located above the tank 5 , and thus the beverage container 1 is disposed above the tank 5 . The cooling device 33 is provided inside the cooling chamber 31 , and the cooling chamber 31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The interior of the cooling chamber 31 may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eg, 10° C. or less), and thus,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may be low temperature.

제1 배관(41)은, 냉각실(31)의 음료 용기(1)와, 탱크(5)를 접속한다(상세하게는 후술). 제1 배관(41)의 한쪽 단부(상단)에는, 니들(N)이 접속되어 있다. 음료 용기(1)가 냉각실(31)에 배치되면, 니들(N)이 음료 용기(1)의 입구부(11)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료 용기(1) 내부의 음료가 제1 배관(41)으로 주출되고, 탱크(5)에 보충된다.The first pipe 41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1 of the cooling chamber 31 and the tank 5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 needle N is connected to one end (upper end) of the first pipe 41 .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disposed in the cooling chamber 31 , the needle N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let portion 11 of the beverage container 1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is poured out to the first pipe 41 and replenished to the tank 5 .

제2 배관(42)은, 냉각실(31)의 음료 용기(1)와, 제2 코크(2B)를 접속한다. 제2 배관(42)은,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와 접속되어 있고,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로부터의 냉음료를 제2 코크(2B)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배관(42)은, 음료 용기(1)와 탱크(5) 사이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접속되어 있다. 살균 히터(6)는, 제2 배관(42)에 배치되어 있다. 살균 히터(6)는, 제2 배관(42) 내부의 음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pipe 42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1 of the cooling chamber 31 and the second cock 2B. The second pipe 42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and supplies the cold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second cock 2B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is configured to do so.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ipe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41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tank 5 . The sterilization heater 6 is arranged in the second pipe 42 . The sterilization heater 6 is configured to heat the beverage inside the second pipe 42 .

탱크(5)는, 음료 용기(1)로부터의 음료를 저류한다. 탱크(5)는, 음료 용기(1)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탱크(5)는, 저류한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1)를 갖고 있다. 또한, 탱크(5)는, 외부로부터의 기체[예컨대, 탱크(5) 주위의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52)를 갖고 있다. 흡기구(52)는, 받아들여진 기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tank 5 stores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tank 5 is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tank 5 has a heater 51 for heating the stored beverage. In addition, the tank 5 has an intake port 52 for receiving gas from the outside (eg, air around the tank 5 ). The intake port 52 may include a filter (not shown)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received gas.

제3 배관(43)은, 탱크(5)와 제1 코크(2A)를 접속한다. 제3 배관(43)의 한쪽 단부(하단)는, 탱크(5)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탱크(5) 내부의 음료의 액위(液位)(L)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보다 높은 위치의 보다 고온의 음료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hird pipe 43 connects the tank 5 and the first cock 2A. One end (lower end) of the third pipe 43 is designed to be disposed inside the tank 5 , more specifically,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liquid level L of the beverage inside the tank 5 .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 higher temperature beverage at a higher position.

제어 장치(7)는, 음료 서버(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제2 코크(2B) 및 밸브(V)(상세하게는 후술)와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여도 좋고, 이들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제어 장치(7)는, 히터(51) 및 살균 히터(6)와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여도 좋고, 이들의 온오프 및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어 장치(7)는, 온음료 공급 모드, 냉음료 공급 모드, 살균 모드, 및, 대기 모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어 장치(7)는, 온음료 공급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을 갖고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7)는, 냉음료 공급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소정의 간격(예컨대, 수시간, 1일 혹은 수일, 또는, 1주일 혹은 수주일)으로, 살균 모드를 자동적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어 장치(7)는, 살균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어 장치(7)는, 온음료 공급 모드, 냉음료 공급 모드 및 살균 모드가 실행되고 있을 때 이외에는 대기 모드여도 좋다.The control device 7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beverage server 100 .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may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ck 2A, the second cock 2B, and the valve V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y wire or wirelessly, and control their opening and closing. It may be configured to do so. In additio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may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heater 51 and the sterilization heater 6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mprised so that these ON/OFF and temperature may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may have a hot beverage supply mode, a cold beverage supply mode, a sterilization mode, and a standby mode.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may have a button for starting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Similarly, the control device 7 may have a button for starting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Further, the control device 7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tart the sterilization mo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g, several hours, one day or several days, or one week or several weeks).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control device 7 may have a button for starting the sterilization mode. The control device 7 may be in a standby mode except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and the sterilization mode are being executed.

제어 장치(7)는 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조작부 등을 가져도 좋다. 프로세서는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대신에 독립된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펌웨어가 사용되어도 좋다. 메모리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의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컨대,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k Read Only Memory)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가반형(可搬型) 기록 매체로부터 공지된 셋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인스톨되어도 좋다. 조작부는,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작부는, 그 밖의 구성 요소(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및/또는, 버튼 등)를 포함하여도 좋다.The control device 7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memory, and/or an operation unit. The processor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a plurality of CPUs (Central Processing Units). A separate integrated circuit, microprocessor, and/or firmware may be used in place of the processor. The memory may include, for example, a read only memory (ROM) such as a flash memory, and a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memory may store various programs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program is stored in memory using, for example, a known setup program from a computer-readable port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or DVD-ROM (Digital Versatile Disk Read Only Memory). It may be installed in The manipulation unit may have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touch panel.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e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or a button, etc.).

계속해서, 제1 배관(4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first pipe 4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배관(41)의 다른 쪽 단부(하단)는, 탱크(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배관(41)의 다른 쪽 단부에는, 평판(배플판이라고도 부를 수 있음)(41b)이 부착되어 있고, 평판(41b)은, 탱크(5)의 바닥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탱크(5)의 바닥부에 공급된 음료가 쉽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고, 탱크(5) 내부의 음료를 히터(51)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The other end (lower end) of the first pipe 41 is disposed inside the tank 5 . Specifically, a flat plate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affle plate) 41b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41 , and the flat plate 41b is disposed near the bottom of the tank 5 , hav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everage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tank 5 is prevented from rising easily, and the beverage inside the tank 5 can be efficiently heated by the heater 51 .

제1 배관(41)은, 음료 용기(1)와 탱크(5) 사이에 밸브(V)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V)는 제1 배관(41) 및 제2 배관(42)의 접속부와, 탱크(5) 사이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V)는 예컨대 전자 밸브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V)의 개폐는 예컨대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The first pipe 41 has a valve V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tank 5 . More specifically, the valve V is provided in the first pipe 41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ipe 41 and the second pipe 42 and the tank 5 . The valve V may b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V is controlled by,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

또한, 제1 배관(41)은, 음료 용기(1)에 기체(예컨대, 공기)(G)를 유입시키기 위한 기체 유입 구멍(41a)을 갖고 있다. 또한, 음료 용기(1)로서, 수축성의 음료 용기(예컨대, BIB)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체 유입 구멍(41a)은 불필요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기체 유입 구멍(41a)은, 탱크(5) 내부의 위치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 유입 구멍(41a)은, 제1 배관(41)의 벽면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 유입 구멍(41a)은,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표면 장력에 의해 제1 배관(41)의 내부를 흐르는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배관(41)은, 내경 5∼10 mm를 갖는 한편, 기체 유입 구멍(41a)은, 직경 0.5∼3 mm(예컨대, 직경 1 mm 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음료 용기(1)가 냉각실(31)에 수용되어 음료 용기(1)에 다른 요소(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외부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가 기체 유입 구멍(41a)으로부터 제1 배관(41)의 외부로 새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예컨대, 음료 용기(1)의 교환시에 사용자로부터 음료 용기(1)에 가해지는 압박력에 따라서는, 음료가 기체 유입 구멍(41a)으로부터 샐지도 모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Further, the first pipe 41 has a gas inlet hole 41a for introducing a gas (eg, air) G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 beverage container 1, when a contractible beverage container (eg, BIB) is used, the gas inlet hole 41a is unnecessary. The gas inlet hole 41a is provided in the first pipe 41 at a position inside the tank 5 . The gas inlet hole 41a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pipe 41 . The gas inlet hole 41a is configured to allow passage of gas, but not allow passage of a beverage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pipe 41 due to surface tension. For example, the first pipe 41 may have an inner diameter of 5 to 10 mm, while the gas inlet hole 41a may have a diameter of 0.5 to 3 mm (eg, about 1 mm in diamet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not allowing the passage of beverage" means that the beverage container 1 is accommodated in the cooling chamber 31 and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from another element (eg, a user). In this non-applied state, it may mean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from the gas inlet hole 41a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41 ,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exchanged,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the user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everage may leak from the gas inlet hole 41a depending o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it.

계속해서, 음료 서버(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음료 서버(100)는, 온음료 공급 모드, 냉음료 공급 모드 및 살균 모드가 실행되고 있을 때 이외에는 대기 모드여도 좋다. 음료 서버(100)가 대기 모드일 경우, 제1 코크(2A), 제2 코크(2B) 및 밸브(V) 전부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음료 서버(100)가 대기 모드일 경우, 히터(51)는 켜져 있고, 살균 히터(6)는 꺼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음료 서버(100)에 있어서, 음료의 이동은 없다. 또한, 탱크(5)의 히터(51)로부터의 열도, 밸브(V)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탱크(5)로부터 음료 용기(1)로 열은 전달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server 100 may be in a standby mode except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and the sterilization mode are being executed. When the beverage server 100 is in the standby mode, all of the first cock 2A, the second cock 2B and the valve V are closed. 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server 100 is in standby mode, the heater 51 is turned on, and the sterilization heater 6 is turned off. In this state, in the beverage server 100, there is no movement of the beverage. In addition, since the heat from the heater 51 of the tank 5 is also cut off by the valve V, heat is not transmitted from the tank 5 to the beverage container 1 .

온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온음료 공급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이 눌려져도 좋다. 온음료 공급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및 밸브(V)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및 제1 배관(41)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탱크(5) 내부의 온음료가 제3 배관(43)으로 압출되어, 제1 코크(2A)로부터 온음료가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 내부로부터 기체 유입 구멍(41a)을 통해 제1 배관(41)으로 진입하여, 제1 배관(41)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됨과 더불어, 음료 용기(1)로부터 제1 배관(41)을 통해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된다. 상기한 버튼이 해제되면, 온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어도 좋다. 온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및 밸브(V)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의 음료의 보충이 정지된다.In the case of supplying the hot beverage, as described above, a button for starting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may be pressed.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is started,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first cock 2A and the valve V. By this operation, the hot beverage inside the tank 5 is extruded into the third pipe 43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first pipe 41, and the first cock 2A Hot drinks are provided from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irst pipe (41) from the inside of the tank (5) through the gas inlet hole (41a), the gas (G) in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irst pipe (41) In addition to the inflow, the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through the first pipe 41 . When the above button is released,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may end.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first cock 2A and the valve V again. By this operation, replenishmen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is stopped.

냉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냉음료 공급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이 눌려져도 좋다. 냉음료 공급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밸브(V)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내부의 냉음료가, 제2 배관(42)을 통해 제2 코크(2B)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 내부로부터 기체 유입 구멍(41a)을 통해 제1 배관(41)으로 진입하여, 제1 배관(41)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된다. 상기한 버튼이 해제되면, 냉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어도 좋다. 냉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밸브(V)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로부터 제2 코크(2B)로의 음료의 공급이 정지된다.When supplying a cold drink, the button for starting a cold drink supply mode may be press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is started,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second cock 2B and the valve V. By this operation, the cold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upplied from the second cock 2B through the second pipe 42 .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irst pipe (41) from the inside of the tank (5) through the gas inlet hole (41a), the gas (G) in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irst pipe (41) is brought in When the above button is released,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may be ended. Whe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second cock 2B and the valve V again. By this operation,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second cock 2B is stopped.

살균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또는, 살균 모드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실행되어도 좋다. 살균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 장치(7)는, 살균 히터(6)를 켠다. 살균 히터(6)로부터의 열은, 제2 배관(42) 및 제1 배관(41)을 통해 니들(N)로 향하여, 니들(N)이 살균된다. 살균 모드는, 소정의 기간(예컨대, 1분 혹은 수분, 또는, 1시간 또는 수시간) 뒤에, 자동적으로 종료되어도 좋다. 살균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살균 히터(6)를 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rilization mode may be execu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when a button for starting the sterilization mode is pressed. When the sterilization mode is started, the control device 7 turns on the sterilization heater 6 . The heat from the sterilization heater 6 is directed to the needle N through the second pipe 42 and the first pipe 41 , and the needle N is sterilized. The sterilization mode may be automatically end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eg, one minute or several minutes, or one hour or several hours). When the sterilization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turns off the sterilization heater 6 .

이상과 같은 음료 서버(100)에서는, 냉각되는 음료 용기(1)와 가열되는 탱크(5) 사이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할 때 이외에는 밸브(V)를 폐쇄함으로써, 탱크(5) 내의 온음료로부터의 열이 음료 용기(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의 냉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beverage server 100 as described above, a valve V is provided in the first pipe 41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1 to be cooled and the tank 5 to be heated. Therefore, by closing the valve (V) except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hot beverage in the tank (5) 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1 can be maintained.

또한, 음료 서버(100)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1)를 사용하고, 제1 배관(41)은,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기체 유입 구멍(41a)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서버(100)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1)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될 때에, 음료 용기(1)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음료 서버(100)에서는, 위쪽의 음료 용기(1)로부터 아래쪽의 탱크(5)로 음료를 보내기 위한 제1 배관(41)에,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기체 유입 구멍(41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5)로부터 제1 코크(2A)를 통해 음료 서버(100)의 외부로 음료가 주출되면, 음료 용기(1) 및 제1 배관(41)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됨과 더불어, 기체 유입 구멍(41a)으로부터 음료 용기(1)에 기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음료 서버(100)는, 음료 용기(1)에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음료 용기(1)에 전용 캡을 부착하는 것이나 음료 용기(1)마다 구멍을 뚫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1)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server 100 uses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1 as a beverage source, and the first pipe 41 has a gas inlet hole ( 41a).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everage server 100 uses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1 as a beverage source, when a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the beverage container 1 A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introduce air into the In the beverage server 100, gas inflow that permits the passage of gas and does not allow passage of the beverage into the first pipe 41 for sending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above to the tank 5 below. A hole 41a is provided. Therefore, when a beverage is poured from the tank 5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cock 2A,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first pipe 41,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1) to the tank 5, gas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the gas inlet hole 41a. Accordingly, the beverage server 100 does not require attaching a dedicated cap to the beverage container 1 or drilling a hole for each beverage container 1 in order to introduce ga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refore,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1 can be us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음료 서버(100)에서는, 제1 배관(41)의 하단은, 탱크(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체 유입 구멍(41a)은, 탱크(5) 내부의 위치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음료 용기(1)의 교환시에 음료 용기(1)를 냉각실(31)에 배치할 때에, 음료 용기(1)가 사용자에 의해 압박될 가능성이 있다. 압박력에 따라서는, 음료가 음료 용기(1)로부터 제1 배관(41)으로 압출되어, 기체 유입 구멍(41a)으로부터 음료가 샐지도 모른다. 음료 서버(100)에서는, 기체 유입 구멍(41a)이 탱크(5)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체 유입 구멍(41a)으로부터 샌 음료를 탱크(5)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server 100 ,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41 is disposed inside the tank 5 , and the gas inlet hole 41a is located inside the tank 5 , and the first pipe (41)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disposed in the cooling chamber 31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replac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everage container 1 is press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pressing force, the beverage may be extrud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first pipe 41 and the beverage may leak from the gas inlet hole 41a. In the beverage server 100 , since the gas inlet hole 41a is located inside the tank 5 , the beverage leaked from the gas inlet hole 41a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tank 5 .

또한, 음료 서버(100)는, 온음료용 제1 코크(2A)와, 냉음료용 제2 코크(2B)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코크(2A)는, 탱크(5)와 접속되며, 탱크(5)로부터의 온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코크(2B)는,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와 접속되며,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로부터의 냉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서버(100)는, 제1 코크(2A)로부터의 온음료와, 제2 코크(2B)로부터의 냉음료를 포함하는 2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서버(100)는, 공통의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제1 코크(2A)] 및 제2 코크(2B) 양쪽 모두에 음료를 공급한다. 이 음료 용기(1)는, 냉각 장치(33)에 의해 차가워진다. 이 때문에, 제2 코크(2B)에 공급되는 냉음료 내 및 탱크(5)에 공급되는 음료 내의 미생물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음료를 히터(51)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음료 내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는 있지만, 살균된 미생물이 많은 경우에는, 온음료의 풍미가 변화할 수 있다. 음료 서버(1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5)에 공급되는 음료 내의 미생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5)에서 가열되는 온음료의 풍미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server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ck 2A for hot drinks and a second cock 2B for cold drinks, and the first cock 2A is connected to the tank 5, It is configured to supply hot beverage from the tank 5 , the second cock 2B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and the beverage container 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 is configured to supply cold beverages from Accordingly, the beverage server 100 may supply two beverages including a hot beverage from the first coke 2A and a cold beverage from the second coke 2B. Also, the beverage server 100 supplies beverages from the common beverage container 1 to both the tank 5 (first coke 2A) and second coke 2B. This beverage container 1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33 . For this reason, microorganisms in the cold drink supplied to the 2nd cock 2B and the drink supplied to the tank 5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although the microorganisms in the beverage can be sterilized by heating the beverage with the heater 51, when there are many sterilized microorganisms, the flavor of the hot beverage may change. In the beverage server 100 , as described above, since microorganisms in the beverage supplied to the tank 5 can be reduced, a change in flavor of the hot beverage heated in the tank 5 can be prevented.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음료 서버(200)는, 음료 용기(1)에 기체를 보내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기체 유입 구멍(41a) 대신에 제4 배관(급기관)(44)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기한 음료 서버(100)와 상이하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everage server 200 is a configuration for sending gas to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beverage server ( 100) is different.

제4 배관(44)은, 음료 용기(1)와 탱크(5)를 접속하고, 탱크(5) 내부로부터 음료 용기(1)에 기체(예컨대, 공기)(G)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배관(44)의 한쪽 단부(상단)에는, 니들(N2)이 접속되어 있다. 음료 용기(1)가 냉각실(31)에 배치되면, 니들(N2)이 음료 용기(1)의 입구부(11)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탱크(5) 내부의 기체(G)가 음료 용기(1)에 공급된다.The fourth pipe 44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tank 5 and is configured to send a gas (eg, air) G from the inside of the tank 5 to the beverage container 1 . A needle N2 is connected to one end (upper end) of the fourth pipe 44 . Whe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disposed in the cooling chamber 31 , the needle N2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let portion 11 of the beverage container 1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as G inside the tank 5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

제4 배관(44)은, 탱크(5)의 상부(상면)에 접속되어 있고, 탱크(5)의 상부에 있는 기체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배관(44)은,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표면 장력에 의해 니들(N2)로부터의 음료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음료를 보내기 위한 제1 배관(41)은, 내경 5∼10 mm를 갖는 한편, 기체를 보내기 위한 제4 배관(44)은, 내경 0.5∼3 mm(예컨대, 내경 2 mm 정도)를 가질 수 있다. 제4 배관(44)의 내경이 너무 큰 경우(예컨대, 3 mm보다 큰 경우), 제4 배관(44)에 물이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4 배관(44)의 내경이 너무 작은 경우(예컨대, 0.5 mm보다 작은 경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하는 기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 음료가 공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The 4th pipe 44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upper surface) of the tank 5,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gas in the upper part of the tank 5 may be received. The fourth pipe 44 is configured to allow passage of gas, but not allow entry of the beverage from the needle N2 due to surface tension. For example, the first pipe 41 for sending a beverage has an inner diameter of 5 to 10 mm, while the fourth pipe 44 for sending a gas has an internal diameter of 0.5 to 3 mm (eg, about 2 mm internal diameter). ca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pipe 44 is too large (eg, larger than 3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ater enters the fourth pipe 44 . In additio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pipe 44 is too small (eg, smaller than 0.5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low rate of the gas entering the fourth pipe 44 is not sufficient, an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no beverage is supplied to the tank 5 .

제4 배관(44)은, 탱크(5)와 음료 용기(1) 사이에 제2 밸브(V2)를 갖고 있다. 제2 밸브(V2)는 예컨대 전자 밸브일 수 있다. 제2 밸브(V2)의 개폐는 예컨대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The fourth pipe 44 has a second valve V2 between the tank 5 and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second valve V2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valv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valve V2 is controlled, for example, by the control device 7 .

계속해서, 음료 서버(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음료 서버(200)가 대기 모드일 경우, 제1 코크(2A), 제2 코크(2B), 밸브(V) 및 제2 밸브(V2) 전부가 폐쇄되어 있다.When the beverage server 200 is in the standby mode, all of the first cock 2A, the second cock 2B, the valve V and the second valve V2 are closed.

온음료 공급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밸브(V), 및, 제2 밸브(V2)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및 제1 배관(41)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탱크(5) 내부의 온음료가 제3 배관(43)으로 압출되어, 제1 코크(2A)로부터 온음료가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 내부로부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하여, 제4 배관(44)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됨과 더불어, 음료 용기(1)로부터 제1 배관(41)을 통해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된다. 온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밸브(V), 및, 제2 밸브(V2)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로의 기체(G)의 유입이 정지되고,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의 음료의 보충도 정지된다.I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first cock 2A, the valve V, and the second valve V2. By this operation, the hot beverage inside the tank 5 is extruded into the third pipe 43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first pipe 41, and the first cock 2A Hot drinks are provided from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ourth pipe (44) from the inside of the tank (5), while the gas (G) flow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ourth pipe (44), the beverage container (1) ) to the tank 5 through the first pipe 41 is replenished with beverage.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first cock 2A, the valve V, and the second valve V2 again. By this operation, the inflow of the gas G from the fourth pipe 44 to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topped, and replenishmen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is also stopped.

냉음료 공급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제2 밸브(V2)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내부의 냉음료가, 제2 배관(42)을 통해 제2 코크(2B)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 내부로부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하고, 제4 배관(44)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된다. 냉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제2 밸브(V2)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로의 기체(G)의 유입이 정지되고, 음료 용기(1)로부터 제2 코크(2B)로의 음료의 공급도 정지된다.I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second cock 2B and the second valve V2. By this operation, the cold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upplied from the second cock 2B through the second pipe 42 .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ourth pipe (44) from the inside of the tank (5), the gas (G) flow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ourth pipe (44). Whe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second cock 2B and the second valve V2 again. By this operation, the inflow of the gas G from the fourth pipe 44 to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second cock 2B is also stopped.

살균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밸브(V)만을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탱크(5)로부터 제1 배관(41)을 통해 열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제2 밸브(V2)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로의 기체(G)의 유입은 정지되고, 따라서,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의 음료의 보충도 정지된다. 따라서, 탱크(5)의 히터(51)로부터의 열이, 제1 배관(41)을 통해 효율적으로 니들(N1)로 향한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살균 히터(6)를 켠다. 살균 히터(6)로부터의 열은, 제2 배관(42) 및 제1 배관(41)을 통해 니들(N1)로 향한다. 살균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밸브(V)를 다시 폐쇄하고, 살균 히터(6)를 끈다.In the sterilization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only the valve V. By this operation, hea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tank 5 through the first pipe 41 , but since the second valve V2 is closed, the gas from the fourth pipe 44 to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inflow of (G) is stopped, and thus the replenishmen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is also stopped. Accordingly, the heat from the heater 51 of the tank 5 is efficiently directed to the needle N1 through the first pipe 41 .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7 turns on the sterilization heater 6 . The heat from the sterilization heater 6 goes to the needle N1 through the second pipe 42 and the first pipe 41 . When the sterilization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valve V again and turns off the sterilization heater 6 .

이상과 같은 음료 서버(200)라도, 냉각되는 음료 용기(1)와 가열되는 탱크(5) 사이에 있어서, 제1 배관(41)에 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할 때 이외에는 밸브(V)를 폐쇄함으로써, 탱크(5) 내의 온음료로부터의 열이 음료 용기(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1)의 냉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Even in the beverage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a valve V is provided in the first pipe 41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1 to be cooled and the tank 5 to be heated. Therefore, by closing the valve (V) except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hot beverage in the tank (5) 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1 can be maintained.

또한, 음료 서버(200)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1)를 사용하고, 음료 서버(200)는, 음료 용기(1)에 기체를 보내기 위한 제4 배관(44)으로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제4 배관(44)을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탱크(5)로부터 음료 서버(200)의 외부로 음료가 주출되면, 음료 용기(1) 및 제1 배관(41)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됨과 더불어,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에 기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음료 서버(200)는,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 음료를 보충할 때에 음료 용기(1)에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음료 용기(1)에 전용 캡을 부착하는 것이나 음료 용기(1)마다 구멍을 뚫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1)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server 200 uses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1 as a beverage source, and the beverage server 200 serves as a fourth pipe 44 for sending gas to the beverage container 1 , A fourth pipe 44 that permits the passage of and does not allow the passage of beverages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when a beverage is poured from the tank 5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server 200 ,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first pipe 41 ,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 In addition to replenishing the beverage with the furnace, gas is suppli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the fourth pipe 44 . Accordingly, the beverage server 200 is configured to attach a dedicated cap to the beverage container 1 in order to introduce ga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when replenish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 or beverage. It is not necessary to drill a hole for each container 1 . Therefore, the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1 can be us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음료 서버(200)는, 온음료용 제1 코크(2A)와, 냉음료용 제2 코크(2B)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코크(2A)는, 탱크(5)와 접속되며, 탱크(5)로부터의 온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코크(2B)는,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와 접속되며, 탱크(5)를 통하지 않고 음료 용기(1)로부터의 냉음료를 공급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 서버(200)는, 제1 코크(2A)로부터의 온음료와, 제2 코크(2B)로부터의 냉음료를 포함하는 2개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서버(200)는, 공통의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제1 코크(2A)] 및 제2 코크(2B) 양쪽 모두에 음료를 공급한다. 이 음료 용기(1)는, 냉각 장치(33)에 의해 차가워진다. 이 때문에, 제2 코크(2B)에 공급되는 냉음료 내 및 탱크(5)에 공급되는 음료 내의 미생물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음료를 히터(51)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음료 내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는 있지만, 살균된 미생물이 많은 경우에는, 온음료의 풍미가 변화할 수 있다. 음료 서버(2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5)에 공급되는 음료 내의 미생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5)에서 가열되는 온음료의 풍미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server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ck 2A for hot drinks and a second cock 2B for cold drinks, and the first cock 2A is connected to the tank 5, It is configured to supply hot beverage from the tank 5 , the second cock 2B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and the beverage container 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5 . ) is configured to supply cold drinks from Accordingly, the beverage server 200 may supply two beverages including a hot beverage from the first coke 2A and a cold beverage from the second coke 2B. In addition, the beverage server 200 supplies beverages from the common beverage container 1 to both the tank 5 (the first coke 2A) and the second coke 2B. This beverage container 1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33 . For this reason, microorganisms in the cold drink supplied to the 2nd cock 2B and the drink supplied to the tank 5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although the microorganisms in the beverage can be sterilized by heating the beverage with the heater 51, when there are many sterilized microorganisms, the flavor of the hot beverage may change. In the beverage server 200 , as described above, since microorganisms in the beverage supplied to the tank 5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the flavor of the hot beverage heated in the tank 5 .

다음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beverag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서버(3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음료 서버(300)는, 제4 배관(44)이 탱크(5)의 외부로부터 음료 용기(1)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 및, 흡기구(52)를 갖는 제5 배관(53)이 음료 용기(1)와 동등한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한 음료 서버(200)와 상이하다. 음료 서버(300)에서는, 제4 배관(44)이 탱크(5)의 외부로부터 음료 용기(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G)가 탱크(5)의 외부로부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한다. 이 때문에, 탱크(5)는, 음료로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음료는 제5 배관(53) 내에도 수용되고, 제5 배관(53) 내의 음료의 액위(L)는, 음료 용기(1) 내의 음료의 액위와 동등하다. 제5 배관(53)에는, 살균 히터(8)가 설치되어 있다. 살균 히터(8)는 예컨대 살균 히터(6)와 동일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7)는, 살균 히터(8)와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여도 좋고, 살균 히터(8)의 온오프 및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verage serv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beverage server 300 , the fourth pipe 44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5 , and the fifth pipe 53 having the intake port 52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 In that it extends to the same height as 1), it is different from the beverage server 200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erver 300 , since the fourth pipe 44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5 , the gas G i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5 to the fourth pipe 44 . enter into For this reason, the tank 5 can be filled with a beverage. Accordingly, the beverage is also accommodated in the fifth pipe 53 , and the liquid level L of the beverage in the fifth pipe 53 is equal to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fifth pipe 53 is provided with a sterilization heater 8 . The sterilization heater 8 may be the same as the sterilization heater 6,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may communicate with the sterilization heater 8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and temperature of the sterilization heater 8 .

계속해서, 음료 서버(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온음료 공급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밸브(V), 및, 제2 밸브(V2)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및 제1 배관(41) 내부의 음료의 무게에 의해, 탱크(5) 내부의 온음료가 제3 배관(43)으로 압출되어, 제1 코크(2A)로부터 온음료가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의 외부로부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하여, 제4 배관(44)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됨과 더불어, 음료 용기(1)로부터 제1 배관(41)을 통해 탱크(5)로 음료가 보충된다. 온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1 코크(2A), 밸브(V), 및, 제2 밸브(V2)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로의 기체(G)의 유입이 정지되고, 음료 용기(1)로부터 탱크(5)로의 음료의 보충도 정지된다.I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first cock 2A, the valve V, and the second valve V2. By this operation, the hot beverage inside the tank 5 is extruded into the third pipe 43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first pipe 41, and the first cock 2A Hot drinks are provided from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ourth pipe (44)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5), along with the gas (G) flow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ourth pipe (44), the beverage container ( Beverage is replenished from 1) to the tank 5 through the first pipe 41 . When the hot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first cock 2A, the valve V, and the second valve V2 again. By this operation, the inflow of the gas G from the fourth pipe 44 to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topped, and replenishmen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tank 5 is also stopped.

냉음료 공급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제2 밸브(V2)를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음료 용기(1) 내부의 냉음료가, 제2 배관(42)을 통해 제2 코크(2B)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기체(G)가 탱크(5)의 외부로부터 제4 배관(44)으로 진입하고, 제4 배관(44)을 통해 음료 용기(1)에 기체(G)가 유입된다. 냉음료 공급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제2 코크(2B), 및, 제2 밸브(V2)를 다시 폐쇄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제4 배관(44)으로부터 음료 용기(1)로의 기체(G)의 유입이 정지되고, 음료 용기(1)로부터 제2 코크(2B)로의 음료의 공급도 정지된다.I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the second cock 2B and the second valve V2. By this operation, the cold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upplied from the second cock 2B through the second pipe 42 . In addition, the gas (G) enters the fourth pipe (44)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5), the gas (G) flow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fourth pipe (44). When the cold beverage supply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second cock 2B and the second valve V2 again. By this operation, the inflow of the gas G from the fourth pipe 44 to the beverage container 1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 to the second cock 2B is also stopped.

살균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상기한 음료 서버(200)와 마찬가지로, 밸브(V)만을 개방한다. 또한, 살균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7)는, 살균 히터(6) 및 살균 히터(8)를 켠다. 살균 히터(6)로부터의 열은, 제2 배관(42) 및 제1 배관(41)을 통해 니들(N1)로 향한다. 또한, 살균 히터(8)로부터의 열에 의해, 제5 배관(53)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7)는, 밸브(V)를 다시 폐쇄하고, 살균 히터(6) 및 살균 히터(8)를 끈다.In the sterilization mode, the control device 7 opens only the valve V, similarly to the beverage server 2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the sterilization mode, the control device 7 turns on the sterilization heater 6 and the sterilization heater 8 . The heat from the sterilization heater 6 goes to the needle N1 through the second pipe 42 and the first pipe 41 .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fth pipe 53 can be sterilized by the heat from the sterilization heater 8 . When the sterilization mode ends, the control device 7 closes the valve V again, and turns off the sterilization heater 6 and the sterilization heater 8 .

이상과 같은 음료 서버(300)는, 음료 서버(200)의 상기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beverage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ffect of the beverage server 200 .

음료 서버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 of the beverage server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탱크(5)에는, 음료 용기(1)가 하나만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음료 용기(1)가 탱크(5)에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탱크(5)에 복수의 제1 배관(41)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관(41)의 상단을 복수로 분기시켜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one beverage container 1 is connected to the tank 5 .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1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5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pipes 41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5 .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you may branch the upper end of the 1st piping 41 into plurality.

1 : 음료 용기 2A : 제1 코크
2B : 제2 코크 5 : 탱크
31 : 냉각실(지지부) 33 : 냉각 장치
41 : 제1 배관(배관) 41a : 기체 유입 구멍
44 : 제4 배관(급기관) 51 : 히터
100 : 음료 서버 200 : 음료 서버
300 : 음료 서버 G : 기체
V : 밸브
1: beverage container 2A: first cock
2B: second cock 5: tank
31: cooling chamber (support) 33: cooling device
41: first pipe (pipe) 41a: gas inlet hole
44: fourth pipe (supply pipe) 51: heater
100: beverage server 200: beverage server
300: beverage server G: gas
V : valve

Claims (5)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음료 용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와,
상기 음료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탱크로서,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갖는 탱크와,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 상기 탱크로 음료를 보내기 위한 배관
을 구비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탱크와 상기 음료 용기 사이에 밸브를 갖는 것인 음료 서버.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
A tank disposed below the beverage container, the tank having a heater for heating the beverage;
piping for directing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ank
to provide
The pipe, the beverage server having a valve between the tank and the beve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서버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배관은,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상기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기체 유입 구멍을 갖는 것인 음료 서버.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verage server, using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as a beverage source,
The pipe, while allowing the passage of gas, beverage server that has a gas inlet hole that does not allow the passage of the bever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하단은, 상기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체 유입 구멍은, 상기 탱크의 내부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음료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pipe is disposed inside the tank,
The said gas inlet hole is provided in the said piping in the inside position of the said tank, The beverag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서버는, 음료원으로서 비수축성의 음료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음료 서버는,
상기 음료 용기에 기체를 보내기 위한 급기관으로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또한 상기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급기관
을 더 구비하는 것인 음료 서버.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verage server, using a non-shrinkable beverage container as a beverage source,
The beverage server,
An air supply pipe for sending gas to the beverage container, which permits the passage of gas while also not allowing the passage of the beverage.
A beverage serv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음료용 제1 코크와,
냉음료용 제2 코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크는, 상기 탱크와 접속되며, 상기 탱크로부터의 온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코크는, 상기 탱크를 통하지 않고 상기 음료 용기와 접속되며, 상기 탱크를 통하지 않고 상기 음료 용기로부터의 냉음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음료 서버.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rst coke for hot beverages;
2nd coke for cold drinks
to provide
The first cock is connected to the tank and is configured to supply hot beverage from the tank,
The second cock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and is configured to supply cold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ank.
KR1020217037550A 2019-05-21 2020-05-21 beverage server KR2021015057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5211 2019-05-21
JPJP-P-2019-095211 2019-05-21
PCT/JP2020/020188 WO2020235654A1 (en) 2019-05-21 2020-05-21 Beverage ser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571A true KR20210150571A (en) 2021-12-10

Family

ID=7345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550A KR20210150571A (en) 2019-05-21 2020-05-21 beverage serv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0235654A1 (en)
KR (1) KR20210150571A (en)
CN (1) CN114072353A (en)
WO (1) WO2020235654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661A (en) 2004-07-15 2006-02-02 Fuji Techno Kk Drink server and connection therefor
JP4464290B2 (en) 2005-02-18 2010-05-19 フジテクノ株式会社 Beverage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600A1 (en) * 1998-11-09 2000-05-12 Dietal Sa COOLER ASSEMBLY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5072039B2 (en) * 2008-12-16 2012-11-14 フジテクノ株式会社 Beverage server
JP5633018B2 (en) * 2010-03-12 2014-12-03 一雄 古市 Beverage server
JP5904717B2 (en) * 2010-05-10 2016-04-20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Drinking water server
JP5529317B1 (en) * 2013-03-26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JP2016153308A (en) * 2013-06-19 2016-08-25 興和株式会社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JP2015110434A (en) *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Drinking water dispenser
JP6271108B1 (en) * 2017-07-18 2018-01-31 優 塩谷 Beverage server and beverage server c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661A (en) 2004-07-15 2006-02-02 Fuji Techno Kk Drink server and connection therefor
JP4464290B2 (en) 2005-02-18 2010-05-19 フジテクノ株式会社 Beverage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2353A (en) 2022-02-18
JPWO2020235654A1 (en) 2020-11-26
WO2020235654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6588A1 (en) Device for Cooling A Hot Liquid Foodstuff To A Drinking Temperature
KR20120001758A (en) Beverage dispenser
CN104781617A (en) Storage boiler
KR100975240B1 (en) Dispenser for drinking water
JP2013133166A (en) Water server and water supply method for the same
JP2014201322A (en) Water server
CN209219971U (en) A kind of intelligent drinking machine
JP2001153523A (en) Drink water heater and drink water cooler and drink water heater/cooler
KR20210150571A (en) beverage server
JP4964224B2 (en) A device for cooling hot liquid foods to drinking temperature
JPWO2014061121A1 (en) Beverage extractor
WO2020235656A1 (en) Beverage server
JP2008128630A (en) Quenching device for liquid packaging container
KR950031889A (en) Droplet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low temperature liquid
JP4464290B2 (en) Beverage server
KR200425269Y1 (en) A vending machine for coffee using purifed water
JP2017154807A (en) Beverage supply machine
CN105398695A (en) Liquid storage container
JP2005170432A (en) Drink server
JP2018177285A (en) Beverage feeder
WO2019131683A1 (en) Water serve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water server
JP2016199327A (en) Water server and water supply method of the same
KR20170047851A (en) Soda maker serving cold wat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JP5059963B1 (en) Air bleeding structure of container and water server using the same
KR20070067052A (en) The method which manufactures the city-water with the drinking water of cool and hot water and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