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133A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133A
KR20210150133A KR1020200067118A KR20200067118A KR20210150133A KR 20210150133 A KR20210150133 A KR 20210150133A KR 1020200067118 A KR1020200067118 A KR 1020200067118A KR 20200067118 A KR20200067118 A KR 20200067118A KR 20210150133 A KR20210150133 A KR 2021015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word
key
esti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구
Original Assignee
박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구 filed Critical 박용구
Priority to KR102020006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133A/ko
Publication of KR2021015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디스플레이부에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 문자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이 있으면, 종료 키 입력 이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 추정 단어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를 이용하여 적은 개수의 문자키로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Mobile terminal and inputting charact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를 이용하여 적은 개수의 문자키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등을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전면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더라도 그 크기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크기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은 문자입력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입력키는 커져서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한글 입력시 최대 5번의 추가 입력이 필요하고,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등이 사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쿼티(QWERTY) 문자입력창을 사용하는 방식은, 빠르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지만, 문자입력창의 각 입력키 표시되는 영역이 매우 작아서 가시성이 떨어지고, 문자입력시 오타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나 기타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기기에서, 전체 문자키의 개수를 줄이고, 각 문자키의 크기를 크게 하여, 입력시 오타를 방지하면서도도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를 이용하여 적은 개수로 문자키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상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종료 키 입력 이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단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료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리턴 키 입력, 문장부호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추정 단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추정 단어 중 하나를 추천 단어로 표시하고, 나머지 단어는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메모리,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상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문자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종료 키 입력 이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 단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를 이용하여 적은 개수의 문자키로도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한된 공간에 할당되는 각 문자키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가시성을 높이고, 문자 입력시 오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겹받침과 같은 경우, 겹받침을 이루는 자음 중 앞의 자음 하나만 입력하면 되고, 단자음이나 ㄲ,ㄸ,ㅃ,ㅆ,ㅉ 등과 같은 쌍자음, 사용상 혼동이 있는 이중 모음을 동일한 문자키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맞춤법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이 등도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사용되는 문자입력창을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음향 입출력부(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부(150), 센싱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이나 터치 조작 등에 의해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음향 입출력부(130)는 통화 모드나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입출력부(13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센싱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센싱부(160)는 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활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이어폰, 헤드셋 등과 같은 오디오 출력기기, 유선이나 무선 데이터 포트 등이 있다. .
제어부(180)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햅택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사용하는 문자입력창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문자입력창(200)은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어 있으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자모음 문자키가 포함된다. 예컨대, 자음 'ㅍ'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203)로 모음 'ㅓ'를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인 문자입력의 경우에도, 하나의 문자키로 'ㄱ'과 'ㄲ'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ㄱ'은 해당 문자키만을 사용해서 입력하고, 'ㄲ'을 입력할 때는 해당 문자키와 'shift'와 같은 특수키를 함께 사용해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문자입력창(200)은, 다른 키 사용 없이 자모음 문자키만을 사용하여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고, 단어 입력이 끝나면,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단어를 추정한다.
또한,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자모음 문자키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문자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쿼티(Qwerty) 자판의 경우, 자음 입력을 위한 14개의 입력키와, 모음을 입력을 위한 10개의 입력키로 구성되어, 총 24개의 입력키가 필요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입력창(200)의 경우, 14개의 입력키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키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각각의 문자키의 크기를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어 입력이 끝나면, 표준어에 맞게 단어를 조합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등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문자, 메신저, 메일 등과 같은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S30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자모음 문자키를 포함하는 문자입력창(200)을 표시한다(S305).
즉,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문자입력창은,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된다.
다음으로 키 입력이 있으면(S310), 제어부(180)는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 입력이면(S315), 문자를 입력받는다(S320).
문자키도 아니고, 종료 키 입력도 아닌 경우에는(S325), 제어부(180)는 해당 입력키에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S330). 이와 같은 입력키에는 기능키나, 한영 전환키, 기호 문자 전환키, 삭제 키, 실행 키 등이 있다.
그리고, 종료 키 입력은,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키 입력으로, 스페이스 키 입력, 리턴 키 입력, 문자부호 키 입력 등이 있다. 그리고, 문자부호에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가운뎃 점(ㆍ) 쌍점(:), 쌍반점(;), 빗금(/), 큰따옴표(" "), 작은따옴표(' '),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붙임표(-), 줄표(--), 물결표(~), 줄임표(.....) 등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된 키가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인 경우, 제어부(180)는 종료 키 입력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한다(S340).
추정 단어의 생성은 조합한 단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어 사전에 존재하는 단어인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연어 치리 기법에 의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영어와 같은 언어는, 알파벳 하나만 달라져도 다른 단어가 되기 쉽지만, 한글의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으로 글자가 이루어지 때문에, 80% ~ 90% 정보만 입력되어도 후보 단어군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정 단어의 생성에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ㄱㅅ', 'ㄴㅈ' 등과 같은 겹받침의 경우에도, 겹받침을 이루는 자음 중에서 앞의 자음 하나만 입력되면 단어의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음이 입력되었는지, ㄲ,ㄸ,ㅃ,ㅆ,ㅉ 등과 같은 쌍자음이 입력되었는지 등도 추정할 수 있다.
추정 단어가 한 개인 경우에는(S345),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영역에 생성한 추정 단어를 표시한다(S350)
만일 추정 단어가 복수인 경우(S345), 복수의 단어 중에서 문장 앞부분 문맥 등으로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단어를 추전 단어로 표시하고, 나머지 단어는 후보 단어로 표시한다(S355).
사용자가 후보 단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360), 선택된 후보 단어를 최종 추정 단어로 표시하고(S365), 그렇지 않으면 추천 단어를 최종 추정 단어로 표시한다(S370).
표시된 추정 단어는, 미리 설정된 키 입력에 따라 사용된다(S325, S330).
이와 같은 과정은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35).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자모음 문자키에 의해서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창(410)과 문자입력창(4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제1 표시창(420)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문자입력 화면(400)에는 전송된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440)과 후보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창(460)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자입력 화면(400)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문자입력키가 입력되고, 스페이스 키와 같은 종료 키가 입력된 경우, 각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추정하면, '실다', 혹은 '싫다', 혹은 '시??' 등이 입력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만일, 문장 앞부분 문맥상 '싫다'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창(420) '싫다'를 표시하고, 제2 표시창(460)에는 후보 단어인 '실다'를 표시하면, '시??' 등의 단어는 없으므로, '시??' 등은 후보 단어로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문자입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까만' 혹은 '가만' 이 입력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므며, 두 단어 모두 존재하는 단어이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창(420)에는 문맥상 적합하다고 판단된 '까만'을 표시하고, 제2 표시창(460)에 후보 단어로 '가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제2 표시창(460)에 표시되는 후보 단어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등에 의해 선택하면, 제1 표시창(420)에서 대응하는 단어가 후보 단어로 교체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몇개의 자모음 문자키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맞춤범에 맞는 단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철자가 틀린 문자를 수정할 수도 있다. .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문자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무자 입력 방법은 푸시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키보드나 문자 입력 장치, 및 기타 문자 입력이 필요한 다양한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통신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음향 입출력부 140 : 메모리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센싱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에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상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종료 키 입력 이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단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키 입력은, 스페이스 키 입력, 리턴 키 입력, 문장부호 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추정 단어 중 하나를 추천 단어로 표시하고, 나머지 단어는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후보 단어를 최종 추정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어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어사전를 조회하여 생성하거나, 자연어 처리 기법에 의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특정 기능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기능키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문자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디스플레이부;
    메모리;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키가 배열되며, 상기 문자키 중에는 특정 자음과 특정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자모음 문자키가 하나 이상 포함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문자키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는 과정;
    단어 입력의 종결을 의미하는 종료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종료 키 입력 이전에 입력된 문자키에 설정된 자음과 모음을 참조하여 추정되는 추정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추정 단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추정 단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추정 단어 중 하나를 추천 단어로 표시하고, 나머지 단어는 후보 단어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후보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후보 단어를 최종 추정 단어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200067118A 2020-06-03 2020-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210150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18A KR20210150133A (ko) 2020-06-03 2020-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18A KR20210150133A (ko) 2020-06-03 2020-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33A true KR20210150133A (ko) 2021-12-10

Family

ID=7886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118A KR20210150133A (ko) 2020-06-03 2020-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1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394B1 (ko)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저장 매체
US8605039B2 (en) Text input
US20090198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 phrase input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416181A (zh) 在线预测文本词典
US8996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rase replacement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2322606B1 (ko) 오타 수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21015013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JP201118699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20030086425A (ko) 극동어를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2331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90024296A (ko) 여섯 키를 이용한 알파벳 및 한글 매핑 방법
CN106649291B (zh) 韩文音译方法及装置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1053934B1 (ko)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KR100356271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28038B1 (ko) 무선 단말에서 빠른 타자 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CN110580126B (zh) 一种虚拟键盘和基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