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578A - 결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578A
KR20210149578A KR1020210016221A KR20210016221A KR20210149578A KR 20210149578 A KR20210149578 A KR 20210149578A KR 1020210016221 A KR1020210016221 A KR 1020210016221A KR 20210016221 A KR20210016221 A KR 20210016221A KR 20210149578 A KR20210149578 A KR 2021014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ayment
vendor
communication terminal
pay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훈
Original Assignee
(주)엘이엠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엠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엘이엠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14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매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는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서버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서버에 대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제 장치 및 방법{PAYMEN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 시스템은 판매처 단말기(즉, POS 단말기), VAN 중계 서버 및 신용카드 결제 서버로 구성되며, 신용카드가 판매처 단말기에 인식되면 신용카드 정보가 VAN 중계 서버를 통해 신용카드 결제 서버로 전송되어 결제가 요청되고, VAN 중계 서버는 신용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신용카드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승인 정보를 판매처 단말기로 전달하여 결제가 승인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 시스템은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이 적용되어, 결제 통신 Transaction에서 발생되는 결과를 판매처 결제원 및 결제자에게 혼란없이 출력해 주기 위해, 판매처 단말기가 하나의 결제 통신 세션을 통해 결제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 결제자 각각이 동시에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각 결제자들은 선 결제자의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편의성이 수반된다.
한편, 전술한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과 달리, 판매처 단말기에서 출력된 식별코드(예: QR 코드)를 결제자의 단말기가 인식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입수한 후, 결제자의 단말기가 직접 결제 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이러한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에도, 판매처 단말기는 식별코드를 출력한 후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다음 결제자의 결제를 위한 결제 정보 생성 등의 프로세스로 진입하지 못하고 선 결제자의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2385호(2015. 04.2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결제자의 결제 진행을 위해 판매처에 구비된 판매처 결제 장치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결제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장치로 부가하여, 판매처의 운용에 필요한 기능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또는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경우 그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제 장치는 판매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는 결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서버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상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증키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로부터 배포된, 상기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에 저장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에 대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인증키를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상기 서버 간 미리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인증키가 상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요청이 승인되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이종으로서 상기 판매처의 운용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해당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인증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판매처 결제 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판매처 결제 장치와 상기 제2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각각 마스터 장치 및 서브 장치로 기능하되, 마스터 장치 및 서브 장치는 그 연결되는 대상이 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가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는 상기 판매처 또는 타 판매처의 광고 및 혜택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는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해당 결제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정보에 해당하되, 그 제공 여부는 상기 해당 결제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결제 프로세스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상기 결제 단말기가 인식하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제 정보 식별자는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를 인식하기 위한 제1 결제 정보 식별자와,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거부를 인식하기 위한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제공 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 중 상기 결제 단말기가 인식하는 결제 정보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1인 이상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한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연동 기능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호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동 조건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미리 정의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판매처 결제 장치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상호 간은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으며,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확립되어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표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동 기능은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에 대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판매처 결제 장치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제 방법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판매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에 마련되는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서버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상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매처에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마련된 상태에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서 해당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채용함으로써 해당 판매처에서의 결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선결 조건으로서 각 장치 간의 거리 기반의 연동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이 유지되면서도 판매처 결제 장치와의 효과적인 연동 기능을 보장하여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각각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및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분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인증키가 공유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인증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요청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서비스 이용 정보가 공유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각각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및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분담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인증키가 공유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인증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요청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서비스 이용 정보가 공유되는 방식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에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치는, 판매처에서의 결제 진행을 위해 판매자(판매처 계산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을 기반으로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함께 판매처에서 결제자의 결제 진행을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주문 내역 및 결제 금액)를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아 후술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결제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범용 단말기(예: 판매자가 소유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적용을 위해 별도로 제작된 전용 단말기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판매처에는 복수의 판매자가 존재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것과 같이 판매자로부터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입력된 결제 정보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 그리고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 송수신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 송수신되는 정보는 상기한 결제 정보를 포함하여 판매처 식별자, 인증키(판매자 아이디, 판매처 명칭, 사업주 식별자, 판매처 결제 장치(200) 기종 고유번호, 결제자 식별자, 서비스 이용자의 식별자(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태그한 이용자) 등, 후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화 번호, 결제 정보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어플리케이션은 본 실시예의 적용을 위해 별도 설계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종래의 결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상기한 각 기능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각 기능을 지원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것으로 한다.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된 결제 정보(즉,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된 결제 정보)를 결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결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입력받기 위해 키보드, 스캐너(예: QR 코드 스캐너, 바코드 스캐너, NFC 등) 및 음성/음파 인식 장치(예: 마이크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는 결제 정보를 결제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예: LCD 등) 및 음성/음파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입력부를 통해서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제자의 결제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내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거치되는 구조로,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자가 소지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결제자가 위치하는 테이블(예: 식당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다. 판매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소지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현실적 측면을 고려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복수의 결제자의 결제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내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와 서브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복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직접 연결된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로 정의되고, 서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인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에 연결되어 결제자에게 또 다른 User Interface를 동시에 제공하는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20)로 정의된다.
복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로 기능함과 동시에 서브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장치 및 서브 장치는 그 연결되는 대상이 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20)는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에 연결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를 기준으로는 서브 장치로 동작하지만,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20)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 연결된 경우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의 마스터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각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마스터 장치로 동작을 하지만, 동시에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서브 장치로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갖는 효과와 관련하여, 상황에 따라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를 마스터 장치로서, 그리고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20)를 서브 장치로서 컨트롤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하면서,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20)를 마스터 장치로서, 그리고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를 서브 장치로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이 수행되기 위한 전제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OS(예: Android OS)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서 배포되는 다양한 결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서도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OS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OS와 동일한 OS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설치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OS에서 동작하는 A Bank 어플리케이션, B Bank 어플리케이션 또는 C Pay 어플리케이션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는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기하는 연동 기능이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에 따라 연동 기능의 활성화는 결제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전제가 된다.
여기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설명하면, 상기의 통신 링크로는 유선 통신(USB 등), 무선 통신(블루투스, WiFi, NFC, RFID 등), 또는 비접촉 전자기 유도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가능 특성상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의 접속 및 이탈이 잦을 수 있으므로 비접촉 전자기 유도의 통신 방식이 통신 링크로서 효율적일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용 전력에너지 수신용 회로 또는 결제 정보 송출용 회로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보급되어 있어, 여기에 정보 수신용 회로의 부가가 가능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전자기 유도 회로를 부가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ⅰ)송신측에서 정보를 자기유도로 전송하기 위해 전기신호로 변조하고, ⅱ)변조 생성된 전기신호를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해 자성을 발생시키며, ⅲ)수신측에서 코일에 유도된 자성에 의해 전자유도로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ⅳ)수신측에서 생성된 전기신호에서 정보를 복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 유도 회로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휴대성과 관련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되는 경우,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전력 에너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송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전력 에너지 송출용 회로의 부가가 필요하며, 이 경우 전력 에너지 송출 전자기와 정보 교환용 전자기의 간섭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전술한 통신 링크에 WiFi, 블루투스 등의 RF 통신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위에서 설명한 통신 링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연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기의 통신 링크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에 미리 확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 활성화'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및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으로 구분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한다(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함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또는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으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1. 결제 프로세스
①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후술),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의 식별정보인 결제자 식별자(결제자의 전화번호 등 결제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QR 코드, 바코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데이터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를 획득하고, 획득된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가 복수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결제자가 각각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각각의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된 각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각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각각의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결제 단말기(300)에 출력되는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한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결제 단말기(300)에 출력되는 결제자 식별자를 입력부(예: QR 코드 스캐너, NFC 또는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결제자 식별자를 전달받아 구비된 출력 장치(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그 프로토콜의 제한으로 인해 결제 단말기(300)가 QR 코드, NFC 또는 바코드 형태의 결제자 식별자만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하지 않고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직접 전송받아 획득하여 구비된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결제 단말기(3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의 형태로서 결제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획득된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즉, 결제자가 결제 단말기(300)를 통해 결제자 식별자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또는 직접)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출력 장치(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결제자 식별자를 판매자가 스캐닝하면서 결제 정보를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시켜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의 입장에서 복수의 결제자의 결제 진행 시, 각각의 결제 단말기(300)에 출력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결제자 식별자를 일일이 스캐닝하여 인식해야 했던 불편의성이 제거될 수 있고, 각각의 결제자 입장에서는 결제 단말기(300)를 판매처 계산원에게 직접 제시할 필요가 없고 결제자가 위치한 테이블에 설치된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입력부에 결제자 식별자를 태깅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결제자 식별자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판매처 계산원을 위한 판매자용 인터페이스 유닛과 결제자를 위한 결제자용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결제자는 결제 단말기(300)를 결제자가 위치한 테이블에 설치된 결제자용 인터페이스 유닛의 입력부에 결제자 식별자를 태깅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결제자 식별자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획득되는 결제자 식별자를 출력하여 출력된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 또는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획득되는 결제자 식별자를 미리 결정된 타입의 결제자 식별자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변환 출력된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을 통해 결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한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전달받아 출력 장치를 통해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고, 복수의 결제자가 존재하는 경우, 결제자 각각이 소지한 각 결제 단말기(300)가 지원하는 결제자 식별자 생성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를 고려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한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결제자 식별자를 전달받아 미리 결정된 타입의 결제자 식별자로 변환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가 QR 코드, 바코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등)용 데이터 등 이종의 결제자 식별자를 전달하더라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종의 결제자 식별자를 미리 결정된 타입의 결제자 식별자(예: 바코드)로 변환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다양한 결제자 식별자에 대하여 하나의 타입의 스캐닝 장비를 통해 결제자 식별자를 태깅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획득한 결제자 식별자를 토대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비스와의 연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 중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A Pay(예: 카드사) 결제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로서 A Pay 결제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 B Bank(예: 은행사) 결제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 C 결제 통합 중계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 전자 지급 결제 대행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 VAN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 및 전자 금융 보조업 서비스에 따른 결제자 식별자를 생성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 중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연동 결제자 식별자와 매칭되도록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원하는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판매처에서 결제 수행 시 판매처 계산원이 구매 결제자에게 결제 방식을 직접 확인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결제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②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후술),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 정보 식별자(결제 금액, 주문 내역, 결제자 식별자, 판매처 식별자와 같은 결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결제자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결제 단말기(3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된 심볼로서, QR 코드, 바코드, 문자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를 생성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가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하여(스캔 또는 태깅)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도록 결제 정보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단말기(30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의해 출력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획득하여(예: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태깅하여 획득) 결제 서버(400)로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정보 식별자의 생성 및 출력과 관련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복수의 결제 정보 식별자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입력된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검색 키(Primary Key)를 생성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달한 후,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전달받은 검색 키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복수의 결제 정보 식별자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검색 키(Primary Key)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전달받은 검색 키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추출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가 복수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결제자 각각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각 결제 정보의 식별정보인 결제 정보 식별자를 각 결제자별로 각각 생성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각 결제자가 소지한 각 결제 단말기(300)가 각각의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하여 각 결제자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결제 정보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결제 정보 식별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이 경우, 결제자의 결제 단말기(3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하여 결제 서버(400)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제 정보의 입력은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수행되고, 결제 정보 식별자의 출력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수행되는 실시예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다양한 위치 또는 방향으로 배치 및 거치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결제 정보 식별자의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활용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그 고유 User Interface를 통해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에 충실하도록 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상호 분담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펌웨어(Firm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업데이트가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능은, 결제 정보 식별자의 출력에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설치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위 경우 결제 정보 식별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다수 결제자가 동시에 결제하는 그룹 결제의 경우 각 결제자들에게 발생하였던 결제 불편의성을 해소될 수 있다.
2.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즉 상기의 연동 기능의 활성화는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의 선결 조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 기능은 ⅰ)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그리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과 ⅱ)후술하는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그 활성화가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및 연동 조건에 따라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자로부터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입력된 결제 정보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 그리고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 송수신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본 실시예의 결제 장치의 하위 구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어플리케이션은 결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만큼 서버와 연동하여 기능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서버에 대하여 인증될 필요가 있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은 서버(500)에 대하여 인증이 완료된 경우 그 기능이 활성화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은 그 기능이 활성화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된다(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서버(500)와 결제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결제 서버(400)를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인증 서비스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동일할 수 있는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과 결제 프로세스는 동일한 서버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그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은 서버(500)에 대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가 결정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키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서버(500)에 인증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인증 객체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인증키는 결제 보안을 위해 해당 판매처에 대하여만 유효한 식별자여야 하므로, 인증키에는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판매처 식별자로는 판매자 아이디, 판매처 명칭, 사업주 식별자(사업자 등록번호)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판매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내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종 고유번호 내지 일련번호, 또는 Provisioning(즉,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식별자, 계정에 관련된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과정에서 Provisioning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인증정보도 판매처 식별자로 채용될 수 있다. 인증키는 판매처 식별자로 채용될 수 있는 위의 각 정보가 단독 또는 조합/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인증키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서버(500)로부터 배포된,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수신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미리 공유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인증키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대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인증키(예: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기종 고유번호 내지 일련번호)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500)로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미리 공유될 수 있다.
인증키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공유된 상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인증키가 서버(500)에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요청이 승인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판매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서버(500)로 인증키를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할 경우, 서버(5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미리 공유되어 저장하고 있는 인증키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된 인증키를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제1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판매처에 대하여만 그 기능이 유효하게 활성화되어 결제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인증 과정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본 실시예의 결제 장치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도 있고, 판매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이종(異種)으로서 판매처의 운용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해당 서버에 대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이를테면, 판매처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해당 판매처의 사업자 계좌가 개설된 은행 어플리케이션이 예시로서 적용될 수 있다(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서버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서버(500)와 기능적으로 분리되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업체가 동일할 수 있는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은 동일한 서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제1 어플리케이션이 다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플랫폼형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하나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국한되지 않고 판매처 운용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즉,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2 어플리케이션 또한 서버에 대한 인증이 요구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해당 서버에 대하여 인증이 수행되는 구성을 채용하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인증키(즉, 해당 판매처의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된)를 통해 인증이 수행되기 때문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의 편의성이 개선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도 해당 판매처에 대하여만 그 기능이 유효하게 활성화되어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로서 미리 저장하여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즉,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각각 상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인증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인증이 로그인을 의미하는 경우를 상정할 때,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각각 독립적으로 인증되어 그 기능이 모두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공유함으로써,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가 공유된 인증키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이종인 제2 및 제3 어플리케이션 간의 인증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구성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다른 은행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과 제3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3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은 상호 독립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제2 및 제3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판매처의 계정으로 인증/로그인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위한 인증 서버는 각각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제공을 위해 연동되는 제1 및 제2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A Pay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이 B Pay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 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저장된 인증키는 각각 제1 및 제2 서버로 전송되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그 실행 화면을 전체 출력 영역으로 출력하는 전체 출력 모드로 가동된다. 판매자는 주문정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보하고,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전용 단말기로서 기능을 한다.
한편, 인증을 요청하는 주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인증키를 수신하고 서버(500)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처의 마케팅 어플리케이션, 매출 및 정산 관리, 또는 고객 대기 관리, 예약 관리, 매장 방문 및 출입 관리 등의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가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결제 정보를 통해 해당 결제자의 고객 혜택 관련 프로세스(예: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마일리지 적립, 쿠폰 증정 등)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된 마일리지 또는 쿠폰이 제1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결제 정보에 적용되어 결제 금액 할인 등과 같은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송수신 방식으로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제공을 위해 연동되는 각각의 서버를 제1 및 제2 서버로 정의할 때, 제1 및 제2 서버가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예를 들어 Restful API와 같은 API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간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상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매개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록체인(Block Chain)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공유 기법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에 설치된 경우,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OS에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Deep Link 등으로 데이터 정보로서의 리소스(Resource)의 위치를 외부 서버가 아닌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로 하여,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들이 외부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에 위치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이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는 고객의 식별자(전체 식별자 또는 부분 식별자(예: 고객의 이름/연령/주소/배송지/배달지 등의 정보, 전화번호 전체 또는 일부 등) 또는 혜택 정보일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이 마케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는 판매처 마케팅 정보일 수 있다.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상기와 같은 판매처 운용 정보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받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가 광고 및 혜택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판매처의 광고 미디어 컨텐츠 및 혜택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판매처와 계약관계(예: 납품 관계, 협력 관계)에 있는 타 판매처의 광고 미디어 컨텐츠 및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고 및 혜택 정보는 전술한 것과 같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거나,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출력 장치(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에서 결제 정보 식별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결제 정보 식별자가 출력되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출력부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출력 장치를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되는 대상으로 활용하는 실시예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결제 정보 식별자를 결제 단말기(300)가 스캔 또는 태깅하여 인식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 예를 들어 결제 정보 식별자를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결제 단말기(300)가 획득하는 방식의 경우를 고려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출력되는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판매처가 아닌 타 판매처의 광고 및 혜택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타 판매처의 광고 및 혜택 정보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 서버(전술한 제2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및 혜택 정보는 상기의 서비스 서버의 보유 데이터에 따라 해당 결제자에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매처에서 결제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연관된 광고 및 혜택이 결제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해당 판매처에서 판매하는 음식과 연계하여 이용하기 좋은 디저트의 판매처 또는 펍(Pub)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이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제자의 결제 정보 중 주문 내역을 획득하고, 주문 내역 상의 음식과 연계하여 이용하기 좋은 디저트의 판매처 또는 펍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후, 전달받은 정보가 광고 및 혜택 정보로서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결제자가 동의하는 경우, 광고 및 혜택 정보는 결제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파악되는 결제자의 위치에 근접한 타 판매처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 및 혜택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위치 정보는 결제자 단말(300)의 GPS를 통해 파악되는 실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고, 결제자가 이용하는 온라인 주문 서비스에 등록된 배송/배달 주소에 해당할 수도 있다.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되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출력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출력 장치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입력(touch input)이 가능한 경우, 광고 및 혜택 정보와 함께 결제자가 소정 사항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제자는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 및 혜택 정보를 결제 단말기(300)로 수신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결제 단말기(300)로 수신할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결제자에게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결제자의 상황 또는 의사에 따라서는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제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 전술한 결제 정보 식별자는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로 구분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또는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1 결제 정보 식별자는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를 인식하기 위한 결제 정보 식별자에 해당하고,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는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거부를 인식하기 위한 결제 정보 식별자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결제 정보 식별자를 생성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전달하여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자는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결제 단말기(300)를 통해 제1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하고, 광고 및 혜택 정보를 거부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 단말기(300)를 통해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출력된 상태에서 결제 단말기(300)가 제1 결제 정보 식별자를 인식한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결제 단말기(300)에 획득된 제1 결제 정보 식별자는 소정의 중계 서버(결제 서버에 해당할 수도 있고, 광고 및 혜택 정보 제공을 위한 별도의 전처리 서버에 해당할 수도 있다)로 전달되고, 중계 서버는 제1 결제 정보 식별자를 기반으로 결제자가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동의하였음을 인식하여 서비스 서버(광고 및 혜택 제공 서버)로 광고 및 혜택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해당 결제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스터마이징된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으로서, 중계 서버가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결제자를 식별하고,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제공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를 확인한 후, 해당 결제자에게 적합한 광고 및 혜택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위 구성은 중계 서버 및 서비스 서버가 해당 결제자를 식별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자 식별 방식 및 결제자 익명/가명 방식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결제자 식별 방식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계 서버가 결제자 식별자(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 또는 결제 정보 식별자(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를 수신하고,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제공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동의 여부는, 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 전술한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를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고, 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결제 단말기(300)를 통해 그 동의 여부가 입력되어 중계 서버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확인될 수 있다), 결제자의 개인 정보(결제자의 동의 하에 결제 단말기(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를 기반으로 해당 결제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결제자에 대한 정보와 광고 및 혜택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결제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결제자에게 적합한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자 익명/가명 방식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계 서버가 결제자 식별자 또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수신하고,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제공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결제자를 완전하게 식별 또는 특정하는 것이 아닌, 제한적으로 식별(예: 30대 남성)하고, 제한적으로 식별된 정보와 광고 및 혜택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 방식에서는 중계 서버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한적으로 식별된 결제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절한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주문 입력 시, 또는 결제 요청 결과 메시지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제공받은 결제자는 결제 단말기(300)에 설치된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광고 및 혜택 정보를 상기한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거나, 광고 및 혜택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및 판매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상기한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광고 및 혜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된 출력 시간을 관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즉 상기의 출력 시간을 tracking하고, 해당 광고 및 혜택 정보가 출력되어야 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및 혜택 정보를 노출 및 제공하는 판매처와, 이를 발주하는 판매처 간의 광고 및 혜택 제공 거래에 따른 광고 및 혜택 발생 내역, 비용 정산, 수익 정산 등의 기능과, 광고 컨텐츠의 선택, 송신 및 수신 등의 기능을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결제 서비스에 해당하는 제1 서비스와 광고 제공 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서비스가 제공될 때 각 서비스 이용 정보가 공유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제2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직접 공유하는 방식(제1, 제2 서비스 정보 공유 I)과 결제 서비스 Server와 주문/예약 서비스 Server가 Restful API 등의 통신 프로토콜로 공유(제1, 제2 서비스 정보 공유 II)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각 결제자들의 결제 정보들 중, 하나의 단체 결제(예: 동일 테이블을 이용한 결제자들의 결제, 하나의 서비스의 분할 결제)로 분석될 수 있는 결제 정보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제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결제자들을 임시 구매자 단체로 형성할 수 있다. 임시 구매자 단체에 속하는 각 결제자들의 결제 정보는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각 결제자들에게 적합한 광고 및 혜택 정보가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및 혜택 정보의 관리 기능과 함께, 주문 또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특히, 제2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판매처(제1 판매처로 표기한다)가 아닌 타 판매처(제2 판매처로 표기한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결제자를 위한 주문, 예약 안내, 예약 처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은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판매처에 위치한 결제자에게, 제2 판매처의 이용을 위한 예약 기능을 안내하거나, 제2 판매처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주문 기능을 안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은 결제자가 소지한 결제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제1 판매처에서 결제를 이행한 결제자의 정보는 제2 판매처에 대한 주문 또는 예약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가 제1 및 제2 판매처에 대하여 (광고 및 혜택 정보와, 주문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처 운용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현된 상태에서, 결제자의 정보로서 결제자의 전화번호가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서버에 의해 획득된 후, 획득된 결제자의 전화번호가 제2 판매처에 대한 결제자의 예약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판매처에서 복수의 결제자가 그룹 결제를 한 경우, 결제에 참여한 결제자의 수가 제2 판매처에서의 예약 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주문 또는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2 판매처의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제1 판매처로의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어플리케이션은 예약 안내, 예약 요청 발신/수신/관리, 및 주문 수신/발신 기능을 판매자 및 결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결제 기능을 담당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판매처의 판매처 운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결제 서비스에 해당하는 제1 서비스와 주문/예약 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서비스가 제공될 때 각 서비스 이용 정보가 공유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판매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범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따라서 판매자의 개인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판매처에서의 결제 및 판매처 운용을 지원하는 판매처 운용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인 용도로 활용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제한될 수도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화 어플리케이션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자가 상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인증되어 판매처 운용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지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중지 내지 제한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예: 통화 수신 시 통화 불가 자동 안내 발송, 수신 전화 알림음 미출력 등). 나아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운용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수발신 전화번호가 개인 용도인 제1 전화번호와는 상이한 제2 전화번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전화번호는 업무용 전화번호로서, 제1 전화번호로 통화 수신된 경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제한되고, 제2 전화번호로 통화 수신된 경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정상 수행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전술한 것과 같이 판매처에는 복수의 판매자가 존재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현재 어떠한 판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되어 동작하고 있는지 기록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기종 고유번호(즉, 전술한 인증키)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기종 고유번호와 판매자의 아이디를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즉,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로그인)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과정에서 판매자의 아이디가 서버(500)로 전송됨으로써,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즉, 후술하는 연동 조건이 충족된 후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소지한 판매자가 특정되어 서버(500)에 기록될 수 있다(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기종 고유번호와 판매자의 아이디가 서버(500)로 전송될 때 판매자의 패스워드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의 아이디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해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판매자의 패스워드 또한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위 구성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판매자의 아이디만이 저장되며 판매자의 패스워드는 저장되지 않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저장된 판매자의 아이디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판매자의 아이디를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며, 미 수신된 패스워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판매자의 아이디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서버(500)로 전송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로그인)이 수행될 수도 있다.
②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1인 이상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한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각각 복수 개 마련되어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이동이 잦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통신 이탈 및 접속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 상호 정확히 통신 연결되어야 할 상대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호 간의 통신 연결되어야 할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연동 조건을 설명하며, 연동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1 어플리케이션(그리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것을 전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상호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활성화될 수 있다.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연동 조건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에 미리 정의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상호 간에 신호(비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될 수도 있고,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복수인 경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연동 조건 충족 여부 판단을 위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비콘 신호로서, 일정 지향성과 일정 강도로 송신되는 음파 혹은 블루투스 전파 신호일 수 있다.
도 17은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두 개의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가 존재하는 경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예시를 보이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와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다(후술).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제1 및 제2 비콘 신호 중 제1 비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와의 관계에서만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로 결정된다. 나아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제1 및 제2 비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가 모두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수신 강도가 더 큰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거리가 더 가까운(최소인)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 경우,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강도와 함께 소정의 식별 정보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결정에 더 고려될 수도 있다. 즉,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태에서, ⅰ)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식별자(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판매자 식별자 등)와 매칭되는 경우, 또는 ⅱ)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식별자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가 비콘 신호로부터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자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또는 ⅲ)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식별자와 함께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자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해당 장치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두 개의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와 하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예시를 보이고 있다.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와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다(후술). 이때,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제1 및 제2 비콘 신호 중 제1 비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의 관게에서만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결정된다. 나아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제1 및 제2 비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가 모두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수신 강도가 더 큰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즉,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거리가 더 가까운(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다. 마찬가지로, 비콘 신호의 수신 강도와 함께 소정의 식별 정보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결정에 더 고려될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판매자 식별자 등)가 포함된 상태에서, ⅰ)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와 매칭되는 경우, 또는 ⅱ)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와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가 비콘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또는 ⅲ)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와 함께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식별자와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해당 장치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예시를 설명하였다.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방법도 채용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태깅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되었더라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되지 않을 경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NFC 또는 RFID가 적용될 수 있으며, 즉 NFC 또는 RFID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접촉하여 태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거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광을 발생시키고, 나머지 다른 장치에서 광센서를 통해 근접을 인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에서 광 반송수단에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광 펄스 변조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상호 간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을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그리고,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미리 확립되어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처에 위치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이라도, 연동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활용되는 통신 링크가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 미리 확립되어 있을 수 있다(즉,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에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통신 링크를 통해 상호 연결만 되어 있는 상태로서,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경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와 같이 미리 확립되어 있는(즉, 미리 연결되어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reemptive 상시 연결 방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됨에 따라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이 불필요하게 해제되고 다시 연결되는 단속성을 방지하고 연속성을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결제 프로세스 진행 상의 신속성 및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의 인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통신 링크의 잦은 연결 및 해제로 인한 사용자의 인증상의 번거로움 내지 비효율성이 해소될 수 있다.
이러한 Preemptive 상시 연결 방식의 효율성은 판매자에게 시각적으로 연동 가능한 상황에 대한 인디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하나 이상은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 예: LED 점등)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예시에서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즉,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인디케이션을 표출하거나, 도 18의 예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즉,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인디케이션을 표출하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Preemptive 상시 연결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비콘 신호를 수신되거나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대한 거치상태가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전체 화면 모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비콘 신호 수신상태 혹은 거치 상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그 내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화면 모드에 의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용 단말기(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Emulation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거치 시 판매처 운용 모드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작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확인 방법은 기계식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운용방식에 따라 신호 수신 범위 조건 충족 여부 판단을 위한 비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의 해제를 설정하거나 비콘 신호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 판매처의 운용 상황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판매처 내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 특정되지 않고,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주문 및 결제 처리)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여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에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최소 거리를 형성하거나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됨에 따라,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결제 서버(400)로 주문 및 결제 요청이 진행되고 그에 따른 주문 및 결제 처리 관련 이벤트 메시지가 결제 서버(400)로부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또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에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와 최소 거리를 형성하거나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됨에 따라,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결제 서버(400)로 주문 및 결제 요청이 진행되고 그에 따른 주문 및 결제 처리 관련 이벤트 메시지가 결제 서버(400)로부터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로 각각 전송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판매처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예를 들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용 이벤트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용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판매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을 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에서는 연동 조건을 신호 수신 범위 조건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연동 조건은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복수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미리 정의된 연동 정보에 따른 조건일 수 있다. 상기의 연동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이 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의 매핑 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매핑 정보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의 판매자 식별자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의 인증키가 활용될 수 있다. 도 22는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마련된 상태에서 서버 비연동 방식으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어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와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동 정보를 토대로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10, 120)는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210, 220)와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가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와 최소 거리를 형성하거나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에 거치됨에 따라,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 및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제 정보 식별자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120) 또는 제1 판매처 결제 장치(210)를 통해 출력되어 결제 단말기(300)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결제자 단말기 결제 요청 방식).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서버(500)에 대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수행된다(S100). S100 단계에서 활용되는 인증키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서버(500)로부터 배포된,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수신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저장하는 방식, 및 제1 어플리케이션이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대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인증키를 판매처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500)로 전송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 판매처 결제 장치(200) 및 서버(500) 간 미리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100 단계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인증키가 서버(500)에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요청이 승인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이종으로서 판매처의 운용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해당 서버에 대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과정이 S100 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복수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인증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S100 단계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다(S200).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은 1인 이상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한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각각에 설치되고,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S200 단계에서 연동 기능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상호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조건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간에 미리 정의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S200 단계에서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도 있고,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가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가 입력된다(S300). S200 단계 및 S300 단계는 각각 S100 단계 이후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S200 단계 및 S300 단계의 시계열적 순서는 상기한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S200 단계를 통해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판매처 결제 장치(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동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아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400).
한편,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상호 간은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으며, S200 단계를 통해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S400 단계에서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미리 확립되어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상호 간의 통신 링크는 S100 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미리 확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200 단계에서 연동 기능은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대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후 S400 단계에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200) 중,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판매처 결제 장치(200)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판매처 결제 장치(200)를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판매처에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마련된 상태에서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서 해당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채용함으로써 해당 판매처에서의 결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선결 조건으로서 각 장치 간의 거리 기반의 연동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이 유지되면서도 판매처 결제 장치와의 효과적인 연동 기능을 보장하여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동 통신 단말기
110, 120: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
200: 판매처 결제 장치
210, 220: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
300: 결제 단말기
400: 결제 서버
500: 서버

Claims (18)

  1. 판매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는 결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판매처 결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은,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서버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상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로부터 배포된, 상기 판매처에만 유효한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에 저장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에 대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는 인증키를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상기 서버 간 미리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인증키가 상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요청이 승인되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이종으로서 상기 판매처의 운용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인증키를 통해 해당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인증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제1 및 제2 판매처 결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판매처 결제 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판매처 결제 장치와 상기 제2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각각 마스터 장치 및 서브 장치로 기능하되, 마스터 장치 및 서브 장치는 그 연결되는 대상이 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판매처의 운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가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판매처 운용 정보는 상기 판매처 또는 타 판매처의 광고 및 혜택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는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는 해당 결제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정보에 해당하되, 그 제공 여부는 상기 해당 결제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프로세스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결제 정보 식별자를 상기 결제 단말기가 인식하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제 정보 식별자는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동의를 인식하기 위한 제1 결제 정보 식별자와,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출력에 대한 결제자의 거부를 인식하기 위한 제2 결제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및 혜택 정보의 제공 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제 정보 식별자 중 상기 결제 단말기가 인식하는 결제 정보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1인 이상의 판매자가 각각 소지한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판매처 내에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연동 기능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호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연동 조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조건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간에 미리 정의된 형태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판매처 결제 장치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로 결정되어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상호 간은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링크가 미리 확립되어 있으며,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 간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대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대상 판매처 결제 장치는 상기 확립되어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이 충족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표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능은 상기 신호 수신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에 대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각각의 판매처 결제 장치 중, 상호 간의 거리가 최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판매처 결제 장치에 거치된 상태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판매처 결제 장치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장치.
  18. 판매처의 식별 정보인 판매처 식별자가 반영되어 판매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판매처에 마련되는 판매처 결제 장치, 및 서버 간 미리 공유되어 있는 인증키를 통해 상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결제자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판매처 결제 장치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된 결제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결제자의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KR1020210016221A 2020-06-02 2021-02-04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210149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42 2020-06-02
KR20200066442 2020-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578A true KR20210149578A (ko) 2021-12-09

Family

ID=7882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221A KR20210149578A (ko) 2020-06-02 2021-02-04 결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49578A (ko)
WO (1) WO20212467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798A (ko) * 2008-02-13 2009-08-18 (주) 테이블포스 모바일을 통한 실시간 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과과금방법
KR20140106323A (ko) * 2013-02-26 2014-09-03 방은숙 무선단말기와 연동되는 pos시스템
KR101649995B1 (ko) * 2015-05-10 2016-08-22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의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124052A (ko) * 2018-04-25 2019-11-04 장길훈 결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결제 방법, 결제 서버
KR101974458B1 (ko) * 2018-07-13 2019-05-02 한국전자영수증 주식회사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787A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743B2 (en) Communication of orders and payments in a drive through using wireless beacons
US20180144337A1 (en) Nfc paired bluetooth e-commerce
US11412344B2 (en) Merchant item and service return processing using wireless beacons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US20160335620A1 (en) Vending machine transactions
US20030172028A1 (en) Authorization of payment for a commercial transaction via a bluetooth enabled device
KR20100117639A (ko) 송금 방법, 송금 장치 및 송금액 수신 방법
WO2015060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etion of item delivery and transactions using a mobile remote beacon
US9407665B2 (en) Contract broker for secure ad-hoc personal data sharing
US202401194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ctless and secure data transfer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42021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이용한 다이렉트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24052A (ko) 결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결제 방법, 결제 서버
KR20130141242A (ko)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64872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49578A (ko) 결제 장치 및 방법
KR101837833B1 (ko)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50591A (ko) 오프라인 대리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자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50582A (ko)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1976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쇼핑몰 서버,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85281B1 (ko) 모바일 메신저와 연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0735B1 (ko) 오프라인 거래를 온라인화하는 데이터 핸들링 방법 및 오프라인 거래를 온라인화하는 데이터 핸들링을 행하는 리얼점의 중간 제어 장치
KR20170059646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50232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35252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비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