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87A -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87A
KR20210149487A KR1020200066593A KR20200066593A KR20210149487A KR 20210149487 A KR20210149487 A KR 20210149487A KR 1020200066593 A KR1020200066593 A KR 1020200066593A KR 20200066593 A KR20200066593 A KR 20200066593A KR 20210149487 A KR20210149487 A KR 2021014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vider
input
content
data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487A/ko
Publication of KR2021014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3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bjects detected or recognised in the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2Query for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이 적어도 하나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며,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프로젝터(Proje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개인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일반인이나, 전문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회사가 제작하여 네트워크에 업로드하는 다양한 웹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사용자들도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기존의 지상파 방송 등의 TV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컨텐츠 공급자에 의해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웹 컨텐츠를 시청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컨텐츠 공급자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컨텐츠(예: 카메라를 통해 녹화되는 비디오 데이터, 마이크를 통해 녹음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달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공급자의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수신할 수 있어,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는 컨텐츠 공급자의 컨텐츠를 마치 TV 방송과 같이 시청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를 개인 방송(personal broadcasting)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한편,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웹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만 표시되므로,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트리밍 서비스에 직접 접속해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개인 방송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 사용자가 특정 스트리밍 서비스에 접속하여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를 검색하더라도,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해당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정보는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개인 방송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개인 방송들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이 적어도 하나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입력신호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응답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공급자가 현재 개인 방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현재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컨텐츠 검색과 관련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공급자 각각이 이용하는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됨에 따라, 컨텐츠 검색 시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개인 방송에 대한 정보를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직접 접속해서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5b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원격제어장치(200), 서버(40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500,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2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300)를 경유하여, 서버(400) 및/또는 외부 서버(500, 6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 및 외부 서버(500, 600) 역시, 네트워크(300)를 경유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 600)는, 컨텐츠 공급자가 업로드한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외부 서버(500)는, 컨텐츠 공급자가 업로드한 웹 컨텐츠를 저장하고, 저장된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CP(Content Provider) 서버일 수 있고, 제2 외부 서버(600)는, 컨텐츠 공급자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즉,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스트리밍 플랫폼(Live streaming platform)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500, 6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영역에 위치하거나 서로 분리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500, 600)는 하나의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구분되는 제1 서버 및 제2 서버에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4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웹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표 1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서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의 명칭(이하, 채널 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채널 명 각각에 매칭된 스트리밍 서비스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번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D' 서비스
1 마잉 TV 마잉마잉
2 펭귄TV 펭귄튜브
3 슈키님 슈키월드 슈키월드
4 베이커 베이커 T1
5 네글자 네글자 튜브 네글자 TV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40)와 메모리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믹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포맷터, 오디오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301 동작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사용자 입력(이하,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키워드는, 컨텐츠의 제목, 장르, 세부 카테고리 등 컨텐츠 관련 키워드 및/또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채널 명 등 컨텐츠 공급자에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컨텐츠의 세부 카테고리인 "마인크래프트"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마인크래프트"를 포함하는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컨텐츠 관련 키워드인 "마인크래프트"가 포함된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마인크래프트"의 음절 또는 음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각각 수신하여, 검색 입력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채널 명인 "펭귄 TV 시청"을 포함하는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부(160)의 마이크를 통해 "펭귄 TV 시청"을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가 수신한 검색 입력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는, 컨텐츠 공급자 관련 키워드인 "펭귄 TV"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302 동작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신호에는, 검색 입력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가 적어도 포함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303 동작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서버(400)로부터 입력신호의 전송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신호는,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CP 서버에 대한 정보, 웹 컨텐츠의 제목, 장르, 세부 카테고리,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 업로드된 날짜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00)에 전송된 입력신호에 "마인크래프트"가 검색 키워드로 포함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예: 제1 외부 서버(500))에 저장된 웹 컨텐츠 중, 컨텐츠의 장르가 게임이고, 제목 또는 세부 카테고리에 "마인크래프트"가 포함된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응답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00)에 전송된 입력신호에 "펭귄 TV"가 검색 키워드로 포함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예: 제1 외부 서버(500))에 저장된 웹 컨텐츠 중,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업로드한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응답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304 동작에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검색 입력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 및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채널 명이 포함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305 동작에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즉,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제공자(이하,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채널 명이 복수 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채널 명 각각에 대하여 개인 방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에 매칭된 스트리밍 서비스의 URL을 통해,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306 동작에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텐츠 공급자의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 중, 특정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CP 서버를 확인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해당 CP 서버에 특정 웹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공급자의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컨텐츠 공급자의 개인 방송을 제공하는 실시간 스트리밍 플랫폼 서버를 확인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해당 스트리밍 플랫폼 서버에 특정 컨텐츠 공급자가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S307 동작에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으나,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S308 동작에서,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검색 키워드에 대하여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실시하여, 웹 크롤링의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로부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정보(예: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 채널 명에 매칭된 스트리밍 서비스의 URL 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S304 동작과 S307 동작 사이에 S308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307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S308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또는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출력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마인크래프트"가 포함된 검색 입력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마인크래프트"에 관한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41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마인크래프트" 관련 컨텐츠 공급자 중, 개인 방송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마인크래프트"에 관한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410)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마인크래프트" 관련 컨텐츠 공급자 중, 개인 방송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421, 423)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421, 423)은, 서로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이템(421)은 'A'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개인 방송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아이템(423)은 'C'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개인 방송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영상표시장치(100)는,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으나,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과, 검색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채널 명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 중 특정 채널 명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채널 명에 매칭된 스트리밍 서비스의 URL을 확인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의 특정 채널 명에 대응하는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또는 채널 명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출력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펭귄 TV"가 포함된 검색 입력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에 업로드한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51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521)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에 업로드한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510)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개인 방송 중이 아닌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펭귄 TV"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에 대응하는 아이템(531)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및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통신부(410), 저장부(420) 및/또는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420)는, 제어부(4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420)는, 제어부(43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43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4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4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420)는, 딥 러닝 등 머신 러닝을 통해 기 학습된 데이터, 모델,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4의 저장부(420)가 제어부(43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430) 내에 저장부(4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42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표 1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서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 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채널 명 각각에 매칭된 스트리밍 서비스의 U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서버(4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서버(4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와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500, 6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S701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S702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웹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예: 제1 외부 서버(500))에 저장된 웹 컨텐츠 중, 입력신호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예: 제1 외부 서버(500))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CP 서버에 대한 정보, 웹 컨텐츠의 제목, 장르, 세부 카테고리,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 업로드된 날짜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S703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00)는, 입력신호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 및 적어도 하나의 CP 서버(예: 제1 외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채널 명이 포함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400)는, S704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채널 명이 복수 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버(400)는, 복수의 채널 명 각각에 대하여 개인 방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400)는, S705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데이터와, 개인 방송 중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제1 응답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응답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텐츠 공급자의 개인 방송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S706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포함되어 있으나, 제1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데이터만 포함된 제2 응답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응답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S707 동작에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에 추가하여, 개인 컨텐츠 공급자 데이터베이스(42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서버(400)가 S703 동작과 S706 동작 사이에 S707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S706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S707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공급자가 현재 개인 방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현재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컨텐츠 검색과 관련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공급자 각각이 이용하는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됨에 따라, 컨텐츠 검색 시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개인 방송에 대한 정보를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직접 접속해서 개인 방송 중인 컨텐츠 공급자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및 서버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 및 서버에 각각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이 적어도 하나 포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컨텐츠를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제2 아이템이 함께 포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서 사용되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에 포함된 상기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채널 명이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채널 명에 대응하는 제3 아이템을 상기 제2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에 적어도 하나 추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3 아이템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채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포함된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한 웹 크롤링(Web Crawling)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 명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 명이 적어도 하나 검색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명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명이 사용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입력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응답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응답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응답신호에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서 사용되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의 채널 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채널 명이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채널 명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2 응답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신호에 포함된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한 웹 크롤링(crawling)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AP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서비스 각각에 대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 명을 검색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가 사용하는 채널 명이 적어도 하나 검색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명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명이 사용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검색을 위한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공급자 중,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중인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컨텐츠 공급자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제1 컨텐츠 공급자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이 포함된 화면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00066593A 2020-06-02 2020-06-02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20210149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93A KR20210149487A (ko) 2020-06-02 2020-06-02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93A KR20210149487A (ko) 2020-06-02 2020-06-02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87A true KR20210149487A (ko) 2021-12-09

Family

ID=7886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593A KR20210149487A (ko) 2020-06-02 2020-06-02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4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79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user-input information related to media content
CN102467234A (zh) 在多媒体装置中提供显示图像的方法和多媒体装置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US201700110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ws content
US20160286263A1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7002670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roadcast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20220043627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9076265B (zh) 提供爬取功能的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1167165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10149487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7609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949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컨텐트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US98262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program
US11922936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50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23206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5245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US12003315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30209147A1 (en) Server and system comprising same
US202301798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0415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19547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3582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23017713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