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806A -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806A
KR20210148806A KR1020200130361A KR20200130361A KR20210148806A KR 20210148806 A KR20210148806 A KR 20210148806A KR 1020200130361 A KR1020200130361 A KR 1020200130361A KR 20200130361 A KR20200130361 A KR 20200130361A KR 20210148806 A KR20210148806 A KR 20210148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discharge
cartridge
uni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802B1 (ko
Inventor
정지원
박병찬
고호성
윤필립
Original Assignee
알고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고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고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58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46590A1/ko
Priority to KR1020210043401A priority patent/KR20210148883A/ko
Publication of KR2021014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Abstract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양제 카트리지를 복수 개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Nutrition supplement cartridge and nutrition supplement dispenser including a plurality of nutrition supplement cartridge}
본 개시는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영양제 시장이 성장하고 이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영양제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영양제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맞춤형 영양제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이용자들의 건강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양성분을 도출하는 단계, 및 해당 영양성분을 만족하는 영양제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중 세 번째인 영양제의 제공 단계에 있어서, 종래에는 영양제를 공장에서 조합 및 소분포장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맞춤형 영양제의 경우 건강정보의 수집 및 분석이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않아, 일 단위로 변화하는 이용자의 건강정보를 즉시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장의 최소생산수량으로 인해 상당 기간(예를 들어 1개월)을 한 단위로 하여 맞춤형 영양제를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소비자가 직접 이용하는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즉, 가정, 사무실, 공공장소 등에 다양한 영양제들이 보관된 디스펜서를 설치한 후, 수집/분석된 이용자의 건강정보를 디스펜서에 전송하면 디스펜서에서 영양제를 바로 조합하여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이용자의 건강정보가 즉시 반영되며, 매일 다른 조합의 영양제를 처방할 수 있어 기존 공장 생산형 맞춤형 영양제의 단점을 상당 부분 보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에 사용될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로서, 영양제가 원활하게 토출되는 영양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에 사용될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로서, 영양제의 손상 가능성이 저감된 영양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에 사용될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로서, 영양제를 필요한 양 만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사용자 별로 필요한 종류의 영양제를 필요한 양 만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에서 상기 영양제 토출부로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 로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토출 로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우측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로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좌측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 로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토출 로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우측 측면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로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좌측 측면 내벽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섭입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 형성부와 상기 섭입 방지부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카트리지는 상기 토출 로터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 로터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 로터 및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각각은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기어는 상기 토출 로터의 상기 기어부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상기 기어부 사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카트리지는 전면에 상기 영양제 보관부 및 상기 영양제 토출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부; 및 후면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부의 상기 전면을 덮는 본체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섭입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의 상기 수용홈 형성부 및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섭입 방지부는 상기 본체 덮개부의 후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기어는 상기 본체 덮개부의 전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 로터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 형성부와 연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토출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에 부딪히는 볼록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 형성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하부 내벽에 설치되는 진동판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전면 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형성부는 상기 수용홈 형성부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 형성부의 후면에 상기 걸림 형성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전면 측에 설치되는 진동판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형성부는 상기 수용홈 형성부의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요소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생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하부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 로터는 외부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는 동력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카트리지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 내의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카트리지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 내의 영양제의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수용홈들의 각각은 하나의 영양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양제 카트리지를 복수 개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디스펜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영양제가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디스펜서는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와 연통되는 영양제 토출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된 영양제는 상기 영양제 토출 통로를 통해 영양제 디스펜서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디스펜서는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와 상기 영양제 토출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에 설치되어 영양제의 토출량을 검출하는 영양제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의 토출성이 향상되고, 영양제의 손상 가능성이 저감되며, 영양제를 필요한 양 만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사용자 별로 필요한 종류의 영양제를 필요한 양 만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토출 로터 및 섭입 방지요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8 및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도 22 및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2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분해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보관통의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3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및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8 내지 40은 서로 결합된 체결부, 토출 로터, 및 토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문서에 기재된 각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대체물(alternatives) 및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합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권리 범위는 이하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구비한다", "구비할 수 있다", "가진다", "가질 수 있다" 등과 같은 표현들은, 대상이 되는 특징(예: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다른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표현들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A, B, 및 C," "A, B, 또는 C," "A, B, 및/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각각의 나열된 항목 또는 나열된 항목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B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1) A, (2) A 중 적어도 하나, (3) B, (4) B 중 적어도 하나, (5)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 (6)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7) B 중 적어도 하나 및 A, (8) A 및 B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고, 이 표현은 해당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어떤 구성요소(예컨대,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표현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뿐 아니라,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3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은 문맥에 따라, "~하도록 설정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양제"는 생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다양한 영양 성분들을 포함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영양제는 일반 식품이나 의약품(예컨대, 일반 의약품 및 전문 의약품) 등과 같이 생체에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물질로 대체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등한(substantially equivalent)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해당 구성요소가 그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전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후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영양제 카트리지(1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 본체 덮개부(110), 토출 로터(120), 섭입 방지요소(130), 보조 기어(140), 진동요소(150), 기어 덮개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도 4 및 5를 더 참조하면, 카트리지 본체부(100)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102),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104), 및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제 보관부(102)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서 보았을 때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상부 측에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으며, 상부 내벽(102a), 측면 내벽(102b), 후면 내벽(102c), 및 하부 내벽(102d)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는 영양제 토출부(104)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내벽(102b)의 하부 및 하부 내벽(102d)은 영양제 토출부(104)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측면 내벽(102b)의 상부 및 후면 내벽(102c)는 수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부(102)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에서는 영양제가 중력에 의해 영양제 토출부(104)를 향해 굴러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될 수 있다. 영양제는 1mm 내지 10mm의 지름을 갖는 구형 영양제일 수 있다. 영양제는 펠렛(pellet) 또는 비드렛(beadlet) 형상의 정제, 연질 캡슐, 및/또는 경질 캡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제는 정제로 제조되는 비타민C, 복합 비타민B, 비타민D, 또는 마그네슘이거나, 심리스(seamless) 연질 캡슐로 제조되는 오메가3 또는 유산균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내벽(102b)의 수직한 상부와 경사진 하부를 연결하는 코너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내벽(102b), 후면 내벽(102c), 및 하부 내벽(102d)을 연결하는 코너부도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서 영양제가 코너부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 영양제 보관부(102)의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습도 조절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습도 조절부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상부 내벽(102a), 측면 내벽(102b), 후면 내벽(102c), 또는 하부 내벽(10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습도 조절부는 예를 들어 제습제 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부(102) 내의 적정한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영양제가 변성 내지 산패되거나 영양제끼리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 잔량 측정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잔량 측정부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상부 내벽(102a), 측면 내벽(102b), 후면 내벽(102c), 또는 하부 내벽(10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잔량 측정부는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초음파와 같은 거리 측정 기술 또는 무게 측정 기술 이용하여 영양제 보관부(102) 내 영양제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의 하부에는 영양제 토출부(10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영양제 토출부(104)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영양제 보관부(102)에 보관되는 영양제는 영양제 토출부(104)를 거쳐 영양제 카트리지(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영양제 토출부(104)는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 및 영양제 토출 홈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는 후술할 토출 로터(120)의 후면 측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원형의 홈부일 수 있다.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의 중앙에는 토출 로터(120)의 후면의 중앙에 형성된 후면 측 회전축 홈(120h)과 결합되는 핀(105p)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는 제1 홈부(105a) 및 제1 홈부(105a)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홈부(105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홈부(105b)를 포함할 수 있다.
영양제 토출 홈부(106)는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영양제 토출 홈부(106)는 후술할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a)에 형성된 영양제 토출 홈부(116)와 함께 영양제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영양제 보관부(102)에서 영양제 토출부(104)로 연결되는 부분(즉,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와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의 상방의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측면 내벽(102b)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가 형성되는 위치는 토출 로터(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장착되는 토출 로터(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토출 로터(120)의 우측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양제 보관부(102)의 우측 측면 내벽(102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장착된 토출 로터(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토출 로터(120)의 좌측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양제 보관부(102)의 좌측 측면 내벽(102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는 후술할 섭입 방지요소(130)의 후면 측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홈부일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를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토출 로터(120)는 수용홈 형성부(122), 기어부(124), 연결부(126), 및 걸림 형성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형의 연결부(126)를 기준으로, 전면 측에는 기어부(124)가 위치할 수 있으며, 후면 측에는 수용홈 형성부(122)와 걸림 형성부(128)가 위치할 수 있다.
수용홈 형성부(122)는 연결부(126)의 후면 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홈 형성부(122)의 외주면에는 영양제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들(122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홈들(122a)의 각각은 하나의 영양제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124)는 연결부(126)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부(124)의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어부(124)의 내주면에는 영양제 카트리지(10) 외부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는 동력 결합부(1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결합부(125)는 전면 측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도록 (다시 말해, 동력 결합부(125)의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동력 결합부(125)의 내주면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동력 장치가 동력 결합부(125)에 결합될 때 보다 용이하게 동력 결합부(125)에 삽입 내지 결합될 수 있다.
걸림 형성부(128)는 연결부(126)의 후면 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걸림 형성부(128)에는 토출 로터(120)가 회전할 때 진동요소(150)에 작용하여 진동요소(150)를 진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걸림부들(128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걸림부들(128a)은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들(128a)은 외주면이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들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걸림부들(128a)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볼록부들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걸림 형성부(128)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 형성부(122)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걸림 형성부(128)는 수용홈 형성부(122)와 연결부(126)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토출 로터(120)의 후면의 중앙에는 후면 측 회전축 홈(120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토출 로터(120)를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장착할 때, 토출 로터(120)의 후면 측이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는 토출 로터(120)의 후면 측의 수용홈 형성부(122) 및 걸림 형성부(128)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의 중앙에 형성된 핀(105p)은 토출 로터(120)의 후면 측 회전축 홈(120h)에 결합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122a)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130)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섭입 방지요소(13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로터(120)의 상방에 배치되어 토출 로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122a)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낼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 내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섭입 방지요소(130)가 회전요소인 도 6 및 7의 실시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섭입 방지요소(130)는 섭입 방지부(132), 기어부(134), 및 연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형의 연결부(136)를 기준으로, 전면 측에는 기어부(134)가 위치할 수 있으며, 후면 측에는 섭입 방지부(132)가 위치할 수 있다.
섭입 방지부(132)는 연결부(136)의 후면 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섭입 방지부(132)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섭입 방지부(132)는 회전을 통해 영양제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낼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부(132)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어부(134)는 연결부(136)의 전면 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부(134)의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130)의 전면의 중앙에는 전면 측 회전축 홈(130h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섭입 방지요소(130)의 후면의 중앙에는 후면 측 회전축 홈(130h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130)를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 장착할 때, 섭입 방지요소(130)의 후면 측이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는 섭입 방지요소(130)의 후면 측의 섭입 방지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의 중앙에 형성된 핀(107p)이 섭입 방지요소(130)의 후면 측 회전축 홈(130hb)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섭입 방지요소(130)의 전면 측 회전축 홈(130ha)에는 후술할 기어 덮개부(160)의 후면(160b)에 형성된 섭입 방지요소 결합 핀(163p)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기어(140)의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조 기어(14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전면 측 회전축 홈(140ha) 및 후면 측 회전축 홈(140hb)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기어(140)의 전면 측 회전축 홈(140ha)에는 후술할 기어 덮개부(160)의 후면(160b)에 형성된 보조 기어 결합 핀(164p)이 결합될 수 있고, 보조 기어(140)의 후면 측 회전축 홈(140hb)에는 후술할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110a)에 형성된 핀(114p)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로터(120)와 회전요소인 섭입 방지요소(130)는 보조 기어(140)를 통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기어(140)는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와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출 로터(120)와 섭입 방지요소(13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토출 로터(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보조 기어(1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섭입 방지요소(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토출 로터(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보조 기어(1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섭입 방지요소(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와는 별개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요소(130)는 영양제 카트리지(10) 외부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조 기어(140)는 생략될 수 있다.
토출 로터(120), 섭입 방지요소(130), 및 보조 기어(140)가 결합되었을 때,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 및 보조 기어(140)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 로터(120)의 연결부(126)와 섭입 방지요소(130)의 연결부(136)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 형성부(122)와 섭입 방지요소(130)의 섭입 방지부(132)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를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 보관된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진동요소(15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 그리고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방에 설치되어, 영양제 보관부(102)에서 영양제 토출부(104)로 연결되는 부분(즉,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와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진동요소(150)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상을 갖는 진동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보관부(102) 내에 보관된 영양제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 내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진동요소(150)가 진동판인 도 8 및 9의 실시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d)에 설치되는 진동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요소(150)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d)에 대응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요소(150)의 하면에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d)에 형성된 홈(102h)에 삽입되는 돌출부(15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돌출부(154)가 홈(102h)에 삽입됨으로써 진동요소(150)가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d)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보관부(102)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요소(150)는 측면 내벽(102b) 또는 전면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진동요소(150)는 회전하는 토출 로터(120)와 연동하여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진동요소(150)는 토출 로터(120)가 회전할 때 토출 로터(120)의 걸림 형성부(128)와 연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생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요소(150)는 진동요소(150)의 전면 측 단부(150a)에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진동 생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생성부(152)는 토출 로터(120)가 회전할 때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부들(128a)과 부딪히며 진동할 수 있으며(즉, 진동 생성부(152)가 걸림부들(128a)에 걸려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는 동작을 반복), 이에 따라 진동요소(150)의 전면 측 단부(150a)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토출 로터(120)와는 별개로 진동요소(15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생성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생성요소는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진동요소(150)는 이러한 진동 생성요소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도 10은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시인성을 위하여, 도 10 및 11에서, 토출 로터와 섭입 방지요소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 기어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11에서, 토출 로터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영양제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되어 있는 영양제는 생략되어 있다.
도 4 내지 11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 및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 각각 토출 로터(120) 및 섭입 방지요소(13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b)에 진동요소(105)가 설치될 수 있다.
영양제 보관부(102)에 보관된 영양제(미도시)는 중력에 의해 영양제 토출부(104)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영양제 토출부(104)에 장착된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122a)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영양제 사이의 간섭(예를 들어, 영양제 사이의 끼임 현상)으로 인해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및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에서 영양제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거나 수용홈(122a) 내에 영양제가 균일하게 (즉, 하나의 수용홈(122a) 내에 하나의 영양제가 존재하도록) 수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진동요소(150)가 제공되어 영양제 보관부(102)에서 영양제 토출부(104)로 연결되는 부분(즉,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와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영양제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토출 로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토출 로터(120)의 걸림 형성부(128)와 진동요소(150)의 전면 측 단부(150a)에 형성되어 있는 진동 생성부(152)가 연동하여 진동요소(150)의 전면 측 단부(150a)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부(102)에서 영양제 토출부(104)로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영양제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하여 영양제 사이의 끼임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및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에서의 영양제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 질 수 있으며, 수용홈(122a) 내에 영양제가 보다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다.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장착된 토출 로터(12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토출 로터(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홈(122a)에 수용된 영양제(A)가 영양제 토출부(104)의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에서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122a)에 수용된 영양제(A)는 토출 로터(120)의 회전에 의해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를 통과하여 영양제 토출부(104)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영양제 토출구를 통해 영양제 카트리지(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토출 로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수용홈(122a)으로부터 영양제(A)가 하나씩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토출 로터(120)의 회전을 제어하여 영양제(A)의 토출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제 토출구에는 영양제(A)의 토출량(즉, 토출되는 영양제(A)의 수량)을 검출하는 영양제 검출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제 검출 센서는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일 수 있으며, 영양제(A)의 토출량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제 검출 센서는 영양제 카트리지(10)가 아닌 디스펜서 본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가 제1 홈부(105a) 및 제2 홈부(105b)를 포함하고 걸림 형성부(128)가 수용홈 형성부(122)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걸림 형성부(128)는 제2 홈부(105b)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걸림 형성부(128)의 두께는 제2 홈부(105b)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수용홈 형성부(122)의 두께는 제1 홈부(105a)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토출 로터(120)가 장착되었을 때,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면은 제2 홈부(105b)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수용홈 형성부(122)의 외주면은 제1 홈부(105a)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105a)의 직경은 제2 홈부(105b)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 홈부(105a)의 내주면과 수용홈 형성부(122)의 외주면 사이에는 보다 넓은 공간(예를 들어, 제2 홈부(105b)의 내주면과 걸림 형성부(128) 사이의 공간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홈(122a)에 수용된 영양제가 부분적으로 수용홈(122a)의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영양제가 수용홈(122a)과 제1 홈부(105a)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토출 로터 및 섭입 방지요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을 위하여, 도 12에는 토출 로터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영양제 외에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되어 있는 영양제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토출 로터의 구성 중 수용부 형성부와 걸림 형성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섭입 방지요소의 구성 중 섭입 방지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영양제 간의 간섭에 의하여, 토출 로터(120)가 회전할 때, 수용홈(122a)에 수용된 영양제(A)뿐만 아니라, 수용홈(122a)의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B)도 토출 로터(1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토출 로터(120)의 회전 방향과 맞닥뜨리는 측(즉, 토출 로터(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우측, 토출 로터(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좌측)에 있는 측면 내벽(102b)의 하부와 토출 로터(120) 사이에 수용홈(122a) 외부의 영양제가 섭입되어 영양제가 손상되거나 토출 로터(120)의 회전이 방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섭입이란 수용홈(122a)의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B)가 측면 내벽(102b) 하부의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의 공간으로 끼어 들어가려는 (혹은 밀려 들어가려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영양제 보관부(102)에서 영양제 토출부(104)로 연결되는 부분(즉,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와 영양제 토출부(104)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122a)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130)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의 상방에, 특히 토출 로터(120)의 회전 방향과 맞닥뜨리는 측의 상방(토출 로터(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우측 상방, 토출 로터(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좌측 상방)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요소(130)는 토출 로터(120)의 회전 방향과 맞닥뜨리는 측의 측면 내벽(102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130)는 측면 내벽(102b)의 하부와 토출 로터(120) 사이로 섭입되려는 수용홈(122a)의 외부의 영양제(B)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입 방지요소(130)의 섭입 방지부(132)는 토출 로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용홈(122a)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B)를 영양제 보관부(102) 측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양제(B)가 측면 내벽(102b)의 하부와 토출 로터(120) 사이에 섭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를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3,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체 덮개부(11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덮개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이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 본체 덮개부(110)가 결합되면, 영양제 보관부(102)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상부 내벽(102a), 측면 내벽(102b), 후면 내벽(102c), 하부 내벽(102d)과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체 덮개부(110)는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 영양제 토출 홈부(116), 및 전면 홈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은 본체 덮개부(110)를 관통하도록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부(110a)에서 후면부(110b)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은 토출 로터(120)가 삽입되는 원형의 구멍일 수 있으며,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에는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와 연결부(126)가 삽입될 수 있으며,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 형성부(122)와 걸림 형성부(128)는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본체부(100), 본체 덮개부(110), 및 토출 로터(120)가 결합되었을 때, 토출 로터(120)의 수용홈 형성부(122)와 걸림 형성부(128)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토출 로터 장착 홈부(105)에 배치되고,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와 연결부(126)는 본체 덮개부(110)의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은 본체 덮개부(110)를 관통하도록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부(110a)에서 후면부(110b)로 연장될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은 섭입 방지요소(130)가 삽입되는 원형의 구멍일 수 있으며,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에는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와 연결부(136)가 삽입될 수 있으며, 섭입 방지요소(130)의 섭입 방지부(132)는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본체부(100), 본체 덮개부(110), 및 섭입 방지요소(130)가 결합되었을 때, 섭입 방지요소(130)의 섭입 방지부(132)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섭입 방지요소 장착 홈부(107)에 배치되고,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와 연결부(136)는 본체 덮개부(110)의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는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110a)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는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및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과 연결되도록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과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는 보조 기어(1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원형의 홈부일 수 있다.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의 중앙에는 보조 기어(140)의 후면의 중앙에 형성된 후면 측 회전축 홈(140hb)과 결합되는 핀(114p)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에 장착된 보조 기어(140)는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에 삽입된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 및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에 삽입된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와 결합될 수 있다.
영양제 토출 홈부(116)는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영양제 토출 홈부(116)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 형성된 영양제 토출 홈부(106)와 함께 영양제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체 덮개부(110)에 영양제 토출 홈부(116)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영양제 토출 홈부(106)가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이 영양제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홈부(118)는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1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홈부(118)는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는 전면 홈부(118) 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토출 로터(120)의 기어부(124) 및 섭입 방지요소(130)의 기어부(134)가 각각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 및 섭입 방지요소 삽입 구멍(113)으로부터 돌출되어 전면 홈부(118)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조 기어 장착 홈부(114)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보조 기어(140)의 후면 측 회전축 홈(140hb)와 결합되는 핀(114p)은 전면 홈부(118)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에는 결합 홈(109)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덮개부(110)에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결합 홈(109)에 대응되도록 결합 구멍(119)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부(100)와 본체 덮개부(110)는 결합 홈(109) 및 결합 구멍(119)에 결합되는 볼트(미도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덮개부를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덮개부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3, 15, 및 16을 참조하면, 기어 덮개부(160)는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 홈부(118)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덮개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 덮개부(160)가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 홈부(118)에 삽입될 수 있다.
기어 덮개부(160)는 토출 로터 대응 구멍(16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로터 대응 구멍(162)은 기어 덮개부(160)를 관통하도록 기어 덮개부(160)의 전면부(160a)에서 후면부(160b)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로터 대응 구멍(162)은 토출 로터 삽입 구멍(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 로터 대응 구멍(162)를 통해 토출 로터(120)의 동력 결합부(125)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카트리지(10) 외부의 동력 장치가 토출 로터 대응 구멍(162)를 통해 토출 로터(120)의 동력 결합부(125)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 덮개부(160)의 후면(160b)에는 섭입 방지요소(130)의 전면 측 회전축 홈(130ha)과 결합되는 섭입 방지요소 결합 핀(163p) 및 보조 기어(140)의 전면 측 회전축 홈(140ha)과 결합되는 보조 기어 결합 핀(164p)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 홈부(118)에는 결합 홈(118a)이 형성될 수 있고, 기어 덮개부(160)에는 본체 덮개부(110)의 전면 홈부(118)에 대응되도록 결합 구멍(169)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덮개부(110)와 기어 덮개부(160)는 결합 홈(118a)과 결합 구멍(169)에 결합되는 볼트(미도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영양제 카트리지(10)에는 디스펜서 본체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70)가 제공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영양제 카트리지(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70)는 영양제 카트리지(10)의 전면(10a)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영양제 카트리지(10)에 보관된 영양제의 종류, 영양제 보관부(102) 내의 영양제의 잔량, 및/또는 영양제의 토출량 등의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디스펜서 본체부와 연결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이거나, 영양제 카트리지(10)에 보관된 영양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도 17 내지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에 대한 도면으로,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양제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구성 중 진동요소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양제 카트리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양제 카트리지의 구성과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도 17 내지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양제 카트리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8 및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8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전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분해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후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분해도이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영양제 카트리지(1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 본체 덮개부(110), 토출 로터(120), 섭입 방지요소(130), 보조 기어(140), 진동요소(150), 기어 덮개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본체부의 전면도이다. 도 22 및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를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보조 기어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요소의 전면도이다. 도 2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 섭입 방지요소, 및 진동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 덮개부를 후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25를 더 참조하면, 진동요소(15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영양제 보관부(102)의 전면과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판일 수 있다. 진동요소(150)의 상부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전면(100a)의 상부 및 본체 덮개부(110)의 후면(110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요소(15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의 결합 홈(109) 및 본체 덮개부(110)의 결합 구멍(119)에 대응되는 결합 구멍(15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동요소(150)는 카트리지 본체부(100)와 본체 덮개부(11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영양제 보관부(102)의 하부 내벽(102d)에는 홈(도 4 및 5의 102h)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17 내지 2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토출 로터(120)의 걸림 형성부(128)는 수용홈 형성부(122)의 전면 측, 즉 수용홈 형성부(122)와 연결부(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들(128a)은 걸림 형성부(128)의 후면에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2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들(128a)은 걸림 형성부(128)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볼록부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들(128a)은 걸림 형성부(128)의 후면에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걸림 형성부(128)의 지름은 수용홈 형성부(122)의 지름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부들(128a)은 수용홈들(122a)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에서 보았을 때,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보관부(102)의 측면 내벽(102b)에 대응되는 형상의 측부(15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진동요소(150)는 토출 로터(120)의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부분(156a)과 섭입 방지요소(130)의 섭입 방지부(132)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을 부분(156b)을 포함하는 하부(156)를 가질 수 있다.
진동요소(150)의 하부에는 진동 생성부(15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요소(150)의 하부(156) 중 걸림 형성부(128)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부분(156a)에 하측으로 돌출된 진동 생성부(15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 생성부(152)는 토출 로터(120)가 회전할 때 걸림 형성부(128)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들(128a)과 부딪히며 진동할 수 있으며(즉, 걸림부들(128a)에 걸려 튀어올랐다가 내려가는 동작을 반복), 이에 따라 진동요소(150)의 하부가 전후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26 내지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28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본체부(20)는 카트리지 삽입부(210), 영양제 토출 통로(220), 복수의 동력 장치(230), 복수의 통신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외부 통신 수단(260), 제어부(270), 및 전력 공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삽입부(210)에는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가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각각은 도 1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10)일 수 있다.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에는 각각 다른 성분의 영양제가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카트리지 삽입부(210)의 하방에는 영양제 토출 통로(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영양제 토출 통로(220)는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각각의 영양제 토출구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로부터 토출된 다양한 종류의 영양제는 영양제 토출 통로(220)를 거쳐 최종 토출구(222)를 통해 디스펜서 본체부(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최종 토출구(222)의 하방에는 컵 받침대(22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제 토출 통로(220)와 각각의 영양제 카트리지(1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221)에 각각의 영양제 카트리지(10)로부터 토출되는 영양제의 토출량(즉, 토출되는 영양제의 수량)을 검출하는 영양제 검출 센서(예를 들어, 포토 인터럽터)가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영양제 토출 통로(22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토출구(222)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로부터 토출된 영양제는 최종 토출구(222)를 향해 굴러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영양제 토출 통로(220)에 이송 수단(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부(20)에는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토출 로터(120)와 결합되는 복수의 동력 장치(230)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동력 장치(230)는 카트리지 삽입부(210) 내부에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토출 로터(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 장치(230)는 상술하여 설명한 동력 결합부(도 1, 6, 및 17의 125)를 통해 대응되는 영양제 카트리지(10)의 토출 로터(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로터(120)는 동력 장치(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동력 장치(230)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일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부(20)에는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통신부(170)와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부(240)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부(240)는 카트리지 삽입부(210) 내부에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의 통신부(1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후술할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영양제 카트리지(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영양제 카트리지(10)에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부(20)의 외측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가 제공될 수 있다. 영양제 디스펜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제 디스펜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영양제 디스펜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에 의해 최종 토출구(222)로부터 제공되는 영양제와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의 명령 등을 입력 받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예컨대, 터치 패드, 키보드, 마이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영양제 디스펜서의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에너지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센서들(예컨대, 터치 센서 및 모션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목소리 등)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생체 인식 센서,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컨대, 근전도, 뇌파 등)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출력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QLED(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유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수단(260)은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통신 수단(260)은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영양제 디스펜서에서 행해진 영양제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통신 수단(260)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와 같은 무선 통신 규약, 및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와 같은 유선 통신 규약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영양제 디스펜서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복수의 동력 장치(230), 통신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외부 통신 수단(26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외부 통신 수단(260) 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영양제의 종류 및 양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력 장치(230)의 회전 정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10)로부터 토출되는 영양제의 종류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80)는 영양제 디스펜서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80)는 복수의 동력 장치(230), 복수의 통신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외부 통신 수단(260), 및 제어부(270)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 본체부(20)는 음료 보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보관부에는 가루, 액상 원액과 같은 음료 베이스 또는 완제품 음료가 보관될 수 있다. 음료 보관부에 보관된 음료 베이스 또는 완제품 음료는 최종 토출구(222)를 통해 디스펜서 본체부(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양제 카트리지(10)의 일부 구성은 영양제 카트리지(10)가 아닌 디스펜서 본체부(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제 보관부(102) 및 통신부(17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 즉 영양제 토출부(104), 토출 로터(120), 섭입 방지요소(130), 보조 기어(140), 및/또는 진동요소(150)는 영양제 카트리지(10)가 아닌 디스펜서 본체부(2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9 내지 4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9 내지 4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디스펜서의 분해도이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영양제 디스펜서는 영양제 보관통(300), 체결부(310), 지지 플레이트(320), 토출 로터(330), 토출 플레이트(340), 토출 통로부(350), 동력 장치(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 보관통의 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영양제 보관통(300)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양제 보관통(300)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301) 및 본체부(301)의 상부 측 개구부를 덮는 상부 덮개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01)의 내부에는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부(302)는 본체부(301)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부 덮개부(302)는 본체부(301)와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부(301)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부(301)의 하부(301a)는 본체부(301)의 다른 부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01)의 하부 측 개구부는 찢어질 수 있는 시일(미도시)에 의해 봉인될 수 있다.
영양제 보관통(300)에는 영양제 보관통(300) 내의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습도 조절부(304)가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 조절부(304)는 상부 덮개부(302)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습도 조절부(304)는 예를 들어 제습제 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통(300) 내의 적정한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영양제가 변성 내지 산패되거나 영양제끼리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영양제 보관통(300)에는 잔량 측정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량 측정부(306)는 상부 덮개부(302)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잔량 측정부(306)는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초음파와 같은 거리 측정 기술 또는 무게 측정 기술 이용하여 영양제 보관통(300) 내 영양제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체부(301)의 하부(301a)에는 인식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인식표는 영양제 보관통(300) 내에 보관된 영양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표는 영양제 보관통(300) 내에 보관된 영양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도 32 내지 3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2 내지 34를 참조하면, 체결부(3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310)의 상부(310a)는 영양제 보관통(300)의 하부(301a)와 결합되어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10)의 상부(310a)가 영양제 보관통(300)의 하부(301a)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영양제 보관통(300)의 하부 측 개구부가 시일에 의해 봉인되어 있는 경우, 체결부(310)가 영양제 보관통(300)의 하부(301a) 측에 결합될 때 해당 시일은 체결부(310)의 상부(310a)의 벽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체결부(310)의 상부(310a)에는 영양제 보관통(300)의 하부(301a)의 인식표에 담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표 스캔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310)의 하부(310b)에는 벽의 일부가 체결부(3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2)의 외측벽(312a)은 체결부(31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3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2)의 내측벽(312b)은 체결부(3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312)의 상부는 상부벽(312c)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12)의 하부 측 개구부는 돌출부(312)만큼 막혀 있을 수 있다. 도 33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 관점에서, 돌출부(312)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310)의 상부(310a)의 외측벽에는 리브(31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9 및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0)는 지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리브(314)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32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310)가 지지 플레이트(320)에 결합되었을 때, 돌출부(312)는 지지 플레이트(3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5 및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로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5 및 36을 참조하면, 토출 로터(330)는 로터 본체부(332) 및 로터 본체부(332)의 하면에 형성된 회전 축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본체부(332)는 그 상면에 체결 홈(336)이 형성된 컵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체결 홈(336)에는 체결부(310)의 하부(310b)가 삽입될 수 있다. 토출 로터(330) 상에 체결부(310)와 영양제 보관통(300)이 결합되었을 때, 서로 연통되는 영양제 보관통(300)의 내부 공간, 체결부(310)의 내부 공간, 및 체결 홈(336)의 내부 공간에 영양제가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영양제 보관통(300)의 내부 공간, 체결부(310)의 내부 공간, 및 체결 홈(336)의 내부 공간은 영양제 보관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된 공간으로서, 영양제 보관부에 보관된 영양제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들(예를 들어, 수용홈들(336b)을 갖는 베이스(336a), 영양제 토출구(342)를 갖는 토출 플레이트(340) 등)이 배치되는 공간은 영양제 토출부로 정의될 수 있다.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에는 영양제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들(336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용홈들(336b)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는 수용홈 형성부로 정의될 수 있다. 수용홈들(336b)은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를 관통하는 관통홀들일 수 있다. 수용홈들(336a) 각각의 지름은 하나의 영양제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홈들(336b)은 원형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홈들(336b)의 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토출 플레이트(340)는 영양제 토출구(342) 및 회전 축 삽입 구멍(344)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제 토출구(342)는, 토출 플레이트(340) 상에 토출 로터(330) 및 체결부(310)가 결합되었을 때, 체결부(310)의 돌출부(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310), 토출 로터(330), 및 토출 플레이트(340)가 결합되었을 때, 체결부(310)의 돌출부(312)와 토출 플레이트(340)의 영양제 토출구(34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회전 축 삽입 구멍(344)은 토출 플레이트(34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8 내지 40은 서로 결합된 체결부, 토출 로터, 및 토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8은 서로 결합된 체결부, 토출 로터, 및 토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서로 결합된 체결부, 토출 로터, 및 토출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0은 서로 결합된 체결부, 토출 로터, 및 토출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바라면 평면도이다.
도 32 내지 40을 참조하면, 토출 플레이트(340) 상에 토출 로터(33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로터(330)의 회전 축부(334)가 토출 플레이트(340)의 회전 축 삽입 구멍(344)에 삽입됨으로써, 토출 로터(330)가 토출 플레이트(34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토출 로터(330) 상에는 체결부(31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에 체결부(310)의 하부(310b)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부(310)가 토출 로터(33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플레이트(340) 상에 체결부(310)가 결합되었을 때, 체결부(310)의 돌출부(312)가 토출 플레이트(340)의 영양제 토출구(342)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도 39 및 40 참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체결부(310)의 하부 측 개구부를 통해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들(336b) 중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양제 보관통(300)에 보관되어 있던 영양제가 체결부(310)를 통과하여 노출되어 있는 수용홈들(336b) 내로 들어갈 수 있다.
토출 로터(330)는 회전 축부(334)에 연결되는 동력 장치(도 29 및 30의 3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장치(360)는 전동 모터일 수 있다.
토출 로터(330) 상에 체결부(310)가 결합되었을 때, 체결부(310)의 하부(310b)의 단부는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로터(330)가 회전할 때, 수용홈들(336b)의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즉,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 상에 적층된 영양제)는 체결부(310)의 돌출부(312)의 내측벽(312b)에 막혀 체결부(3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수용홈들(336b) 내에 수용된 영양제들은 돌출부(312)의 내측벽(312b)의 아래를 통과하여 체결부(310)의 외부(즉, 돌출부(312)의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보았을 때, 토출 플레이트(340)의 영양제 토출구(342)를 통해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들(336b) 중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310)의 돌출부(312)가 토출 플레이트(340)의 영양제 토출구(342)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므로, 영양제 토출구(342)에 의해 노출되는 수용홈들(336b)은 도 39에서 돌출부(312)에 의해 가려진 수용홈들(336b)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12)의 내측벽(312b)의 아래를 통과하여 체결부(310)의 외부(즉, 돌출부(312)의 아래)로 이동한 수용홈들(336b) 내의 영양제들은 영양제 토출구(3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 상에는 섭입 방지요소(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입 방지요소는 돌출부(312)의 내측벽(312b)에 제공되어, 수용홈들(336b)의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를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섭입 방지요소는 도 1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섭입 방지요소(13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 작동 방식을 가질 수 있다.
토출 로터(330)의 체결 홈(336)의 베이스(336a) 상에는 영양제 보관부 내에 보관된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요소(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요소는 체결부(310)의 하부(310b)의 내부 측벽에 제공되어, 수용홈들(336b)의 외부에 적층된 영양제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진동요소는 도 1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요소(15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및 작동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 29 및 30을 다시 참조하면, 토출 플레이트(340)의 하면에 토출 통로부(350)가 결합될 수 있다. 토출 통로부(350)는 영양제 토출구(342)의 하측에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영양제 토출구(342)로부터 토출된 영양제는 토출 통로부(3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토출 플레이트(340)의 아래에는 동력 장치(360)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 장치(360)는 토출 로터(330)의 회전 축부(33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토출 로터(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2)

  1.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키는, 영양제 카트리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에서 상기 영양제 토출부로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토출 로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우측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로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좌측 상방에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토출 로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우측 측면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로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좌측 측면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섭입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 형성부와 상기 섭입 방지부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 로터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 기어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 및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각각은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기어는 상기 토출 로터의 상기 기어부와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상기 기어부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
  9. 제8 항에 있어서,
    전면에 상기 영양제 보관부 및 상기 영양제 토출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부; 및
    후면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부의 상기 전면을 덮는 본체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섭입 방지요소는 섭입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의 상기 수용홈 형성부 및 상기 섭입 방지요소의 섭입 방지부는 상기 본체 덮개부의 후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기어는 상기 본체 덮개부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11.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키는, 영양제 카트리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의 상방에 배치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토출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 형성부와 연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생성부를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토출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에 부딪히는 볼록부인, 영양제 카트리지.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 형성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하부 내벽에 설치되는 진동판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전면 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형성부는 상기 수용홈 형성부의 후면 측에 위치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걸림 형성부의 후면에 상기 걸림 형성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요소는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전면 측에 설치되는 진동판이고,
    상기 진동 생성부는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영양제 카트리지.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형성부는 상기 수용홈 형성부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21.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요소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생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22.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 보관부의 하부는 상기 영양제 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갖는, 영양제 카트리지.
  23.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로터는 외부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는 동력 결합부를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24.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 보관부 내의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25.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 보관부 내의 영양제의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카트리지.
  26.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홈들의 각각은 하나의 영양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영양제 카트리지.
  27.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따른 영양제 카트리지를 복수 개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디스펜서.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와 연통되는 영양제 토출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된 영양제는 상기 영양제 토출 통로를 통해 영양제 디스펜서의 외부로 토출되는, 영양제 디스펜서.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와 상기 영양제 토출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에 설치되어 영양제의 토출량을 검출하는 영양제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31.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 적층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보관부 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섭입 방지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키는, 영양제 디스펜서.
  32. 복수의 영양제가 보관되는 영양제 보관부;
    영양제 보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양제 토출부;
    영양제 토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영양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 형성부를 포함하는 토출 로터; 및
    상기 영양제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로터는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영양제를 상기 영양제 토출부의 하부로 토출시키는, 영양제 디스펜서.
KR1020200130361A 2020-06-01 2020-10-08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KR10234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5849 WO2021246590A1 (ko) 2020-06-01 2020-11-12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 장치
KR1020210043401A KR20210148883A (ko) 2020-06-01 2021-04-02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046 2020-06-01
KR20200066046 2020-06-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401A Division KR20210148883A (ko) 2020-06-01 2021-04-02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806A true KR20210148806A (ko) 2021-12-08
KR102345802B1 KR102345802B1 (ko) 2022-01-03

Family

ID=788677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332A KR102356202B1 (ko) 2020-06-01 2020-10-08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 장치
KR1020200130361A KR102345802B1 (ko) 2020-06-01 2020-10-08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332A KR102356202B1 (ko) 2020-06-01 2020-10-08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6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87A1 (ko) * 2022-02-09 2023-08-17 알고케어 주식회사 카트리지 모듈 관리를 위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406Y1 (ko) * 2000-08-26 2001-02-15 김재원 약제 포장기
KR20130021763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 시스템
KR2014009493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인포피아 롤링 회전되는 드럼이 내장된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JP2015012893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8458B2 (en) * 2011-04-25 2015-12-2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ill dispenser
KR20140102007A (ko) * 2013-02-13 2014-08-21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1695B1 (ko) * 2016-04-01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6482708B1 (ja) * 2018-07-23 2019-03-13 ドリコス株式会社 ユーザに適するサプリメント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406Y1 (ko) * 2000-08-26 2001-02-15 김재원 약제 포장기
KR20130021763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 시스템
KR2014009493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인포피아 롤링 회전되는 드럼이 내장된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JP2015012893A (ja) *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02B1 (ko) 2022-02-07
KR102345802B1 (ko) 2022-01-03
KR20210148805A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US10013534B2 (en) Pill dispensing system for monitoring compliant receipt of pills by a patient
US9901515B2 (en) Smart cap for medication container
US8963710B2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container conversion
EP2579830B2 (en) Tablet dispenser
US10945917B2 (en)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aking-out of contained object from blister pack, detection method therefor,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345802B1 (ko) 영양제 카트리지 및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US10565853B2 (en) Container with content monitoring and reporting capabilities
KR101684854B1 (ko) 보호자 알림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스마트약통 및 이를 포함하는 복용시간 알림시스템
US11053065B2 (en) Tablet and capsule dispensing assembly
US20180296441A1 (en) Smart Medication Bottle with Pill Dispense Detection and Pill Counting
CN113165773B (zh) 用于补水及补充的系统及装置
KR20210148883A (ko) 복수의 영양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영양제 디스펜서
WO2016205666A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2018022869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KR102247243B1 (ko) 스마트 약통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약복용 모니터링 방법
CN110944618A (zh) 通过装置及服药管理装置
KR102241567B1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090051912A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21029597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WO2016179537A2 (en) Smart cap for medication container
EP3473977B1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removal of accommodated object from blister pack, detecting method for same,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O2018044313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monitor a product package
US20230013732A1 (en) Smart pill bottle caps
CN104016052B (zh) 非机储片剂发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