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618A - 당구용 장갑 - Google Patents

당구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618A
KR20210148618A KR1020200065690A KR20200065690A KR20210148618A KR 20210148618 A KR20210148618 A KR 20210148618A KR 1020200065690 A KR1020200065690 A KR 1020200065690A KR 20200065690 A KR20200065690 A KR 20200065690A KR 20210148618 A KR20210148618 A KR 2021014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unit
palm
index finger
billi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립
Original Assignee
유병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립 filed Critical 유병립
Priority to KR102020006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618A/ko
Publication of KR2021014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엄지부의 재봉선과 중지부의 재봉선을 각각 큐대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므로 큐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당구용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구용 장갑은 손바닥부와 손등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손바닥부의 한쪽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엄지부와,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검지부와,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검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중지부를 포함한다. 엄지부는 재봉선이 바깥쪽(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중지부는 재봉선이 바깥쪽(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당구용 장갑 {Glove for Billiards}
본 발명은 당구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큐대를 지지하는 엄지부와 중지부의 재봉선을 큐대와 접하지 않는 쪽에 형성하여 큐대의 이동이 원활한 당구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당구대 위에 놓인 하나의 공을 큐대를 사용 타격하여 다른 공을 맞추도록 하는 과정에서 규정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즐기는 경기로 알려져 있다.
당구에서 큐대로 공을 치기 위해서는 한손은 큐대의 손잡이쪽을 잡고, 다른 손은 당구대 위에서 큐대의 선단부쪽을 지지하는 자세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큐대의 선단부쪽을 지지하는 손의 경우에는 검지를 말아 엄지와 함께 큐대의 선단부를 관통하도록 감싸는 원형을 이루고, 손날부분을 당구대에 접하는 상태에서 약지와 소지, 중지가 펼쳐지는 상태로 각 손가락의 끝 부분이 당구대에 접하여 세워지는 지지하는 자세에서, 중지가 엄지와 검지가 만드는 원을 통과한 큐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큐대를 지지하는 손의 경우 큐대의 선단부가 미끄러지면서 접촉하므로, 피부가 큐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을 착용하기도 하며, 또한 미끄러지는 마찰력을 보다 줄이기 위해 장갑을 착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482호, 제20-0374383호, 제20-0298816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222호, 제20-2019-0000487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25769호 등에는 다양한 구조의 당구용 장갑에 대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당구용 장갑은 천을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손가락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재봉선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당구용 장갑은 손바닥 쪽과 손등 쪽으로 나누어 2개의 천조각을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다음, 재봉하여 제조하므로, 손가락 부분에는 양쪽으로 재봉선이 형성된다.
종래 당구용 장갑의 경우 큐대의 선단부가 접하는 엄지의 안쪽(검지쪽) 모서리와 중지의 안쪽(검지쪽) 모서리에 재봉선이 위치하므로, 큐대의 이동시에 재봉선이 저항체로 작용하여 큐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고, 계속되는 마찰로 재봉선이 닳아서 터지게 되므로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엄지부의 재봉선과 중지부의 재봉선을 각각 큐대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므로 큐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며 재봉선을 없앰으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당구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은 손바닥부와 손등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의 한쪽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엄지부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검지부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검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엄지부는 재봉선이 바깥쪽(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엄지부는 손바닥부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한다.
상기 중지부는 재봉선이 바깥쪽(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중지부는 상기 손등부 또는 손바닥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는 끝 부분이 모두 막힌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중 일부만 끝 부분이 절단,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에서 중지부의 끝 부분만을 절단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엄지부와 검지부, 중지부의 끝 부분 모두를 절단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통기성도 확보하고 손가락 끝 부분이 노출되어 지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에 의하면, 큐대의 선단부가 접하는 엄지부의 안쪽(검지부 쪽)과 중지부의 안쪽(검지부 쪽)에 재봉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큐대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사용자 원하는 큐대의 동작을 방해받지 않고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구성도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에 의하면, 엄지부와 검지부, 중지부의 끝 부분을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손가락 끝 부분이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지지점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을 손등 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을 손바닥 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을 사용자가 착용하고 큐대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을 손바닥 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을 손바닥 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당구용 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용 장갑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바닥부(12)와 손등부(14)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엄지부(20)와, 검지부(30)와, 중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약지와 소지에 대응하는 부위는 제거하고, 약지와 소지의 뿌리부분에 대응되는 부위에 하나의 관통구멍(1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18)을 형성하면, 큐대(2)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소지와 약지는 맨살인 상태로 당구대와 접하므로 접지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아니라, 접지 지점의 정확성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손목부위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시키도록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둘레조정부재(1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손목부위에는 탄성밴드 등을 설치하여 착용시에 쉽게 벗겨지지않도록 사용자의 손목에 손목부위가 밀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엄지부(20)는 상기 본체(10)의 손바닥부(12)의 한쪽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엄지부(20)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된다.
상기 검지부(30)는 상기 본체(10)의 손바닥부(12)와 손등부(14)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검지부(30)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된다.
상기 중지부(40)는 상기 본체(10)의 손바닥부(12)와 손등부(14)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지부(40)는 상기 검지부(30)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중지부(40)에는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된다.
상기 엄지부(20)는 재봉선(28)이 바깥쪽(검지부(30)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엄지부(20)는 손바닥부(12)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한다.
상기 중지부(40)는 재봉선(48)이 바깥쪽(검지부(30)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중지부(40)는 길이방향으로 재봉선(48)이 형성되지 않도록 원통형상(자루형상)으로 직조 또는 제조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지부(40)는 상기 손등부(14) 또는 손바닥부(1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지부(40)는 상기 본체(1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지부(30)는 상기 손등부(14) 또는 손바닥부(1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지부(30)는 상기 본체(1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엄지부(20)와 검지부(30), 중지부(40)는 끝 부분 모두를 절단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엄지부(20)와 검지부(30), 중지부(40)는 끝 부분 모두를 절단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통기성도 확보되고 손가락 끝 부분이 노출되어 지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지부(40)의 끝 부분만을 절단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엄지부(20)와 검지부(30) 및 중지부(40)의 끝 부분을 절단하지 않고 막힌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당구용 장갑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큐대(2)의 선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자세를 잡은 상태에서 큐대(2)의 선단부가 지나가며 접하는 엄지부(20)와 중지부(40)의 반대쪽으로 재봉선(28), (48)이 각각 위치하므로, 큐대(2)와 재봉선(28), (48)이 접하지 않게 되고, 큐대(2)의 이동이 방해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큐대(2)와 재봉선(28), (48)이 접하지 않으므로, 종래 재봉선이 규태와 자주 접촉하여 닳아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용 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 큐대, 10 - 본체, 12 - 손바닥부, 14 - 손등부, 16 - 둘레조정부재
18 - 관통구멍, 20 - 엄지부, 28 - 재봉선, 30 - 검지부, 40 - 중지부
48 - 재봉선

Claims (4)

  1. 손바닥부와 손등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의 한쪽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엄지부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검지부와,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와 손등부가 접하는 손목 반대쪽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검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부는 재봉선이 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중지부는 재봉선이 검지부의 반대쪽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당구용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엄지부는 손바닥부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연결 설치하는 당구용 장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지부는 상기 손등부 또는 손바닥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당구용 장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의 끝 부분은 모두 막힌 형상이거나,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중 하나 이상의 끝 부분이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당구용 장갑.
KR1020200065690A 2020-06-01 2020-06-01 당구용 장갑 KR20210148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690A KR20210148618A (ko) 2020-06-01 2020-06-01 당구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690A KR20210148618A (ko) 2020-06-01 2020-06-01 당구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618A true KR20210148618A (ko) 2021-12-08

Family

ID=788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690A KR20210148618A (ko) 2020-06-01 2020-06-01 당구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86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732B2 (en) Glove for conforming to hands of various sizes
US3581312A (en) Basketball training glove
US5462280A (en) Golf grip training device
US4573220A (en) Billiard glove
US2293347A (en) Golf glove
US2266716A (en) Rubber glove
US2447951A (en) Glove
US5140709A (en) Golf glove
US20120283049A1 (en)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546209A (en) Novelty glove for animated figures
US2379430A (en) Golfer's glove
US2092318A (en) Golf glove
KR20210148618A (ko) 당구용 장갑
KR101815083B1 (ko) 당구큐용 보조기
US2244445A (en) Hand protector
US6742190B1 (en) Bridging glove
US9669282B2 (en) Baseball glove and liner
JP5476640B2 (ja) 野球またはソフトボール用捕球具
US6973674B2 (en) Combination of an improved golf glove with a golf tee
KR101790568B1 (ko) 당구용 오른손 그립장갑
KR200215471Y1 (ko) 골프장갑
KR200471482Y1 (ko) 당구용 장갑
US5141225A (en) Billiards and pool cue guide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KR200294378Y1 (ko) 야구글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