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542A -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542A
KR20210148542A KR1020200065089A KR20200065089A KR20210148542A KR 20210148542 A KR20210148542 A KR 20210148542A KR 1020200065089 A KR1020200065089 A KR 1020200065089A KR 20200065089 A KR20200065089 A KR 20200065089A KR 20210148542 A KR20210148542 A KR 20210148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y gas
potential
corrosion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331B1 (ko
Inventor
공병근
조동현
김지은
정상훈
양주안
이지민
김성종
민경수
강정수
Original Assignee
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3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4Controlling or regulating desired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6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cathodic-protection apparatus
    • C23F13/08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inhibiting corrosion by cathodic protection; Manufacture thereof;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hereto
    • C23F13/22Monitor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2213/00Aspects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2213/30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object
    • C23F2213/32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측정하여 부식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정류기, 절연부 및 가변저항기를 순차적으로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부식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함체인 테스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되는 방식전위 조정부 및,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식전위 값들을 수신 및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며,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식전위 조정부로 전송하는 자동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Corrosion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of city gas piping}
본 발명은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측정하여 부식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정류기, 절연부 및 가변저항기를 순차적으로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부식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가스에 오일가스, 천연가스 등을 혼합하여 발열량을 조절한 가스를 도시가스라 하며, 이러한 도시가스는 지하에 매설된 배관을 통해 가정이나 산업용 시설 등에 공급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시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되는 배관은 주로 강관인 PLP(Polyethylene coated steel pipes)관 또는 플라스틱 관인 PE(Polyethylene pipes)관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PLP관은 재질의 특성상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식이 심화되는 경우에는 배관이 크게 손상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되어 육안으로의 점검이 불가능한 상태의 배관에 대한 부식방지 조치가 필요함과 동시에 배관 상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993호의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719호의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다중감시 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835호의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993호에는 지중 또는 수중 등과 같은 전해질 내에 매설된 금속 구조물의 부식 상태를 무선통신으로 원격 감시함과 동시에 그 감시 결과에 따라 방식전류를 무선통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719호에는 정압 설비의 원방 감시장치에 중압배관 및 저압배관의 감시선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릴레이부에 의한 선택적인 접속 및 단락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중압배관 및 저압배관 각각의 방식전위를 선택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량이 발생한 범위를 한정하여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835호에는 지하에 매설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지하 매설배관의 방식전위를 이동 차량의 운행을 통해 수집함으로써 이상전압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 중 일부는 방식전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배관에 대한 점검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구간의 배관에서 측정되는 방식전위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직접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다른 일부는 방식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류기에 대한 제어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방식전위에 대한 제어가 충분히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만으로는 배관의 부식관리에 있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를 자동화함과 동시에 방식전위에 대한 제어 수단을 다양화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된다 하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993호(2006. 03. 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719호(2015. 07. 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835호(2018. 08. 09.)
본 발명에 의한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종래의 발명들 중 일부는 방식전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배관에 대한 점검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구간의 배관에서 측정되는 방식전위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직접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다른 일부는 방식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류기에 대한 제어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방식전위에 대한 제어가 충분히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함체인 테스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되는 방식전위 조정부; 및,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식전위 값들을 수신 및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며,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로 전송하는 자동화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하나씩 담당하여 방식전류를 공급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정류기;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다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연부; 및,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과 그 일부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배관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양측에 설치된 배관 상호 간의 간섭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글(Google)의 텐서플로우(Tensorflow) 등 공지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자동화 처리부를 제어하여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된 방식전위 값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제어신호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는 기계 학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동화 처리부는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정상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제어신호를 방식전위 값의 변화에 따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 방식전위 조정부 및 자동화 처리부를 이용하여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특히,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 방식전위 조정부가 다수의 정류기와 하나 이상의 절연부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가변저항기로 구성됨에 따라 방식전위에 대한 제어 수단이 다양화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더 나아가, 각각의 제어 수단에 의한 방식전위의 제어에 따른 결과를 자동으로 학습하고 다음 제어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방식전위에 대한 제어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방식전위 조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절연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과 그 주변에 방식전위 측정부가 설치되고, 방식전위 조정부를 구성하는 정류기, 절연부 및 가변 저항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기계 학습부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본 발명은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인 테스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되는 방식전위 조정부(200); 및,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방식전위 값들을 수신 및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며,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로 전송하는 자동화 처리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관리대상이 되는 도시가스 배관은 관리범위 내의 지형과 다른 배관들이 매설된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지하에 매설될 수 있으며, 매설된 형태와 길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수의 구간으로 임의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로 구분된 다수의 구간 각각의 형태 및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것이며, 각 구간의 직상부 또는 배관으로부터의 거리가 30㎝ 이내인 임의의 위치에는 기준전극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기준전극을 이용하여 주변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측정하는 방식전위 측정부(100)가 하나씩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식전위 측정부(100)는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장치이며, 함체인 테스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전위 측정부(1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과 기준전극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식전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및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며, 임의로 구분된 다수의 구간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진 다수의 개체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방식전위 측정부(100)를 구성하는 측정 장치로는 EPR(Electronic poly recorder) 또는 SD-21 등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식전위 측정부(100)에 의한 방식전위의 측정은 사용자 등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발생하게 되며, 측정된 방식전위 값은 즉시 NB-IoT, Cat M.1 등의 통신 방식으로 자동화 처리부(300)로 전송되어 해당 도시가스 배관의 자동화 관리를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방식전위 값이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 전송될 때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방식전위 측정부(100) 각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번호 또는 식별신호 등이 함께 전송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주변에는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설치되며, 이를 방식전위 조정부(200)라 통칭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하나씩 담당하여 방식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정류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다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과 그 일부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배관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양측에 설치된 배관 상호 간의 간섭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를 이용하여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 중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조정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절연부(220)를 이용하여 방식전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가변 저항부(230)를 이용하여 방식전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구간에 상기 가변 저항부(230)가 설치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변 저항부(230)에 의한 방식전위의 조정은 제한적으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류기(210)는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에 하나씩 매칭된 상태로 변환에 의한 방식전류를 도시가스 배관에 공급함으로써 그 배관 표면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류기(210)에 의한 교류의 직류로의 변환 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정류기(210)의 일측에는 정류기(21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고, 전압, 전류 및 전위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된 전압, 전류 및 전위 각각을 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정류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정류 제어부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직접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부(220)는 절연용 장치이며,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구조적으로 연결한 상태로 전기적으로는 절연시키나 필요에 따라서는 연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실현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2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부도체 이음매인 절연 조인트(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절연 조인트(221)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도시가스 배관의 양측 구간에 각각 연결된 전위측정용 리드선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본딩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딩부(222)를 제어하는 본딩 제어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220)는 부도체 이음매인 절연 조인트(221)의 구성에 의해 다수의 정류기(210)가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하나씩 담당하여 각 구간의 방식전위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에는 본딩부(222)에 의한 전위측정용 리드선 간의 연결을 통해 각각의 정류기(210)가 서로 연계하여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부(230)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저항값의 변경이 가능한 장치이며,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과 그 일부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배관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에 설치된 배관 상호 간의 작용에 의한 음극간섭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한다.
즉, 상기 가변 저항부(23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과 그 일부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배관 상호 간의 음극간섭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되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 저항부(230)는 공지의 가변저항기 및,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가변저항기를 제어하는 저항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변 저항부(230) 내부에서 저항값이 변경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자동화 관리를 위한 장치이며,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방식전위 값들을 수신 및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며,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식전위 조정부(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방식전위 값을 수신하는 통신 장치, 수신된 방식전위 값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수신 또는 저장된 방식전위 값을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및 생성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며, 생성된 제어신호는 통신 장치를 통해 방식전위 조정부(200)로 전송된다.
이때, 방식전위의 정상범위 값은 -0.85V/cse 내지 -2.5V/cse의 범위가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범위라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를 더욱 한정하여 -1.0V/cse 내지 -1.5V/cse의 범위를 방식전위의 정상범위 값으로 기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상기 정류기(210) 및 상기 절연부(22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가변 저항부(230)를 마지막 순서로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리대상이 되는 도시가스 배관은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상태로 각 구간을 담당하는 정류기(210)가 배정되고, 각 구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부(220)가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정류기(210)를 1차로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나,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절연부(220)를 2차로 제어하여 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리대상이 되는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에 다른 배관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다른 배관과의 사이에 가변 저항부(230)가 설치되므로, 상기 가변 저항부(230)가 설치된 구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상기 정류기(210)를 1차로 제어하고 상기 절연부(220)를 2차로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나,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가변 저항부(230)를 3차로 제어하여 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에 의한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의 제어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계 학습의 결과에 따르도록 구성되며, 이는 데이터가 누적됨에 따라 동일한 상황에서의 대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계 학습을 실현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글(Google)의 텐서플로우(Tensorflow) 등 공지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를 제어하여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된 방식전위 값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제어신호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는 기계 학습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연계되어, 본 발명은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가 상기 기계 학습부(400)에 의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정상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제어신호를 방식전위 값의 변화에 따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계 학습부(400)에 의한 기계 학습과 학습에 의한 결과를 이용하여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방지 관리를 최적화 할 수 있게 되며, 기계 학습부(400)에 의한 기계 학습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 중 어느 하나의 정류기(210)를 제외한 다른 정류기(210)의 작동을 모두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가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 중 다른 하나의 정류기(210)를 제외한 다른 정류기(210)의 작동을 모두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가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정류기(21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각각의 정류기(210)가 단독으로 작동할 때 각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 중 어느 하나의 정류기(210)와 다른 하나의 정류기(210)를 제외한 다른 정류기(210)의 작동을 모두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가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 중 어느 하나의 정류기(210)와 또 다른 하나의 정류기(210)를 제외한 다른 정류기(210)의 작동을 모두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가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정류기(210)의 작동을 한 쌍씩 실시하여 각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동시에 작동하는 정류기(210)의 개수를 늘려가며 각 정류기(210)의 작동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의 변화 등을 학습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정류기(210)를 동시에 작동시킬 때 각 정류기(210)의 출력을 다양하게 조정해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 학습부(400)가 상기 다수의 정류기(210) 각각의 출력을 조정하는 주기는 3 내지 5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모든 정류기(210)에 대한 출력의 조정이 6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한 과정들이 다시 반복되도록 하되, 상기 본딩 제어부(223)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정류기(210)와 절연부(220)의 동시 작동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의 변화 등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한 과정들이 다시 반복되도록 하되, 상기 가변 저항부(230)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정류기(210)와 가변 저항부(230) 동시 작동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의 변화 등을 학습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정류기(210)와 절연부(220) 그리고 가변 저항부(230) 동시 작동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의 변화 등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 학습부(400)가 하나 이상의 정류기(210)와 절연부(220)를 동시에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정류기(210)와 절연부(220) 그리고 가변 저항부(230)를 동시에 제어하는 모든 과정은 90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정들을 통해 학습된 결과는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에 대한 방식전위의 조정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과정들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학습은 1 내지 2년을 주기로 반복되는 것이 권장되고, 상기한 과정들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부분 학습은 일정한 주기의 제한없이 수시로 진행되는 것이 권장된다.
다만, 상기 기계 학습부(400)는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를 이용한 방식전위의 조정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들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학습의 주기를 더 단축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방식전위 측정부
200 : 방식전위 조정부
→ 210 : 정류기
→ 220 : 절연부
→ 221 : 절연 조인트
→ 222 : 본딩부
→ 223 : 본딩 제어부
→ 230 : 가변 저항부
300 : 자동화 처리부
400 : 기계 학습부

Claims (5)

  1. 함체인 테스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방식전위 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되는 방식전위 조정부(200); 및,
    상기 다수의 방식전위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방식전위 값들을 수신 및 저장하고, 기 설정된 정상범위 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구간을 검출하며, 검출된 구간의 방식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로 전송하는 자동화 처리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전위 조정부(20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하나씩 담당하여 방식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정류기(210);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다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연부(220); 및,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일부 구간과 그 일부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배관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양측에 설치된 배관 상호 간의 간섭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되,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상기 정류기(210) 및 상기 절연부(22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가변 저항부(230)를 마지막 순서로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220)는,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각 구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부도체 이음매인 절연 조인트(221);
    상기 절연 조인트(221)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도시가스 배관의 양측 구간에 각각 연결된 전위측정용 리드선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본딩부(222); 및,
    자동화 처리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딩 장치를 제어하는 본딩 제어부(22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구글(Google)의 텐서플로우(Tensorflow) 등 공지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상태로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를 제어하여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수신된 방식전위 값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제어신호에 따른 결과를 학습하는 기계 학습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동화 처리부(300)는,
    상기 기계 학습부(400)에 의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도시가스 배관의 방식전위를 정상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방식전위 값의 변화에 따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0200065089A 2020-05-29 2020-05-29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42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89A KR102424331B1 (ko) 2020-05-29 2020-05-29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89A KR102424331B1 (ko) 2020-05-29 2020-05-29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542A true KR20210148542A (ko) 2021-12-08
KR102424331B1 KR102424331B1 (ko) 2022-07-25

Family

ID=7886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089A KR102424331B1 (ko) 2020-05-29 2020-05-29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86B1 (ko) * 2021-12-22 2022-03-29 주식회사 한솔이피씨 매설 배관에 대한 ac 간섭 완화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818A (ko) * 1998-11-23 2000-06-15 윤문수 원격 부식 감시 및 방식 제어시스템
KR20060018993A (ko) 2004-08-26 2006-03-03 주식회사 케이디 넷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KR101147928B1 (ko) * 2011-01-13 2012-05-18 우리전기방식 주식회사 간섭 전류 조절 장치
KR20150046577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다중감시 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 방법
KR101888835B1 (ko) 2017-01-11 2018-08-16 한국가스안전공사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15535A (ko) * 2018-03-22 2019-10-14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Ai 및 딥러닝 기반 스마트 es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818A (ko) * 1998-11-23 2000-06-15 윤문수 원격 부식 감시 및 방식 제어시스템
KR20060018993A (ko) 2004-08-26 2006-03-03 주식회사 케이디 넷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KR101147928B1 (ko) * 2011-01-13 2012-05-18 우리전기방식 주식회사 간섭 전류 조절 장치
KR20150046577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다중감시 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 방법
KR101541719B1 (ko) 2013-10-22 2015-08-04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다중감시 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 방법
KR101888835B1 (ko) 2017-01-11 2018-08-16 한국가스안전공사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15535A (ko) * 2018-03-22 2019-10-14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Ai 및 딥러닝 기반 스마트 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86B1 (ko) * 2021-12-22 2022-03-29 주식회사 한솔이피씨 매설 배관에 대한 ac 간섭 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331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265B2 (en) Automated cathodic protection monitor and control system
Renforth et al. Online partial discharge insulation condition monitoring of complete high-voltage networks
US20030074162A1 (en) Cathodic protection remo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695997A (zh) 埋地金属管道安全保护方法
JP4589206B2 (ja) 防食対象パイプラインの健全性評価装置、健全性遠隔評価システム、健全性評価方法、健全性評価プログラム
JP2008096398A (ja) 流電陽極方式によるカソード防食システム及びカソード防食方法、パイプライン健全性評価システム及び健全性評価方法
KR102424331B1 (ko)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관리 자동화 시스템
JP4095936B2 (ja) パイプラインのカソード防食管理装置、カソード防食管理プログラム、カソード防食管理システム
JP5297951B2 (ja) 防食データ解析システム
WO2007017685A2 (en) Pipe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495537B1 (ko) 배관상태 원격감시시스템
CN114878992A (zh) 一种管道绝缘监控方法及装置
US11408796B2 (en) Continuous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defects in a section of piping and a monitoring system fitted with at least two monitoring devices
US20130292265A1 (en) 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Ahmed et al. Designing in-house cathodic protection system to assess the long-term integrity of natural gas pipelines
JP4698318B2 (ja) 防食状態監視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948071B1 (ko) 측정 정밀도를 개선한 이중보온관 감시장치
US98409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sumer of a drill pipe with an operating voltage
CN206450751U (zh) 监视系统
RU2746108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коррозии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2551300B1 (ko) 도시가스 배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류기 수명 및 영향범위 분석 시스템
CN111996534A (zh) 一种管网腐蚀情况获取方法
Steennis et al. Smart Cable Guard for PD-online monitoring of MV underground power cables in Stedin’s network
KR20030067306A (ko) 무선전기방식측정기를 이용한 방식상태 진단방법
CN110863205A (zh) 线路管道阴极保护干扰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