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096A - polypropylene film - Google Patents

polypropylene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096A
KR20210148096A KR1020217028005A KR20217028005A KR20210148096A KR 20210148096 A KR20210148096 A KR 20210148096A KR 1020217028005 A KR1020217028005 A KR 1020217028005A KR 20217028005 A KR20217028005 A KR 20217028005A KR 20210148096 A KR20210148096 A KR 2021014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propylene
polypropylene film
ma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즈마 오카다
마사토시 오쿠라
고헤이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09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모두 400mN 이하이고,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모두 1.8GPa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 내열성, 품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A polypropylene film having both a thermal contraction force of 400 mN or less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t 140°C, and a Young's modulus in both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of 1.8 GPa or more. To provide a polypropylene film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quality.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필름polypropylene film

본 발명은 고온에서의 수축 특성, 및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생산성, 품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propylene film excellent in shrinkage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s and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s,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productivity, and quality.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투명성, 기계 특성, 전기 특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 용도, 이형 용도, 테이프 용도, 케이블 랩핑이나 콘덴서를 비롯한 전기 용도 등의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표면의 이형성이나 기계 특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제품이나 건축재나 광학 부재 등, 여러가지 부재의 이형 필름이나 공정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Since the polypropylene film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etc., it is used for various uses, such as a packaging use, a mold release use, a tape use, cable wrapping, and electrical uses including a capacitor|condenser. In particular, since it is excellent in surface relea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is used suitably as a release film of various members, such as a plastics product, a building material, and an optical member, and a process film.

이형용 필름에 대한 요구 특성은 그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데, 사용되는 방법의 하나로서, 피착체에 접합한 후에, 140 내지 150℃의 가열 롤이나 오븐 등의 고온 공정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 내열성이 우수한 PET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PET 필름은 이형성이 부족하고,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내열성이 우수하고 이형성을 겸비한 필름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The properties required for the release film ar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thereof. As one of the methods used, after bonding to an adherend, a high-temperature process such as a heating roll or oven at 140 to 150° C. may be passed in some cases. In this case, PET film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has been used in many cases so far, but PET film lacks releasability and may not satisfy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have.

고온에서의 수축력이 큰 경우,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융점이 약 160℃로 낮아, 140 내지 150℃ 정도의 수축력을 억제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When the shrinkage force at high temperature is large, when bonding to the adherend and passing through the heating step, the shrinkage may cause peeling from the adherend or curling in some cases. In particular, polypropylene has a low melting point of about 160°C,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uppress the shrinkage force of about 140 to 150°C.

내열화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열처리 온도를 매우 높게 하고, 배향을 완화시킴으로써, 120℃에서의 수축력을 낮게 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4에는 이완 처리에서의 열처리 온도를 높게 하고, 배향을 완화시킴으로써, 열 수축률을 낮게 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폴리프로필렌 원료의 분자량을 낮게 함으로써 열 수축률을 낮게 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가로 연신 후의 이완율을 매우 크게 함으로써, 140℃에서의 수축력을 낮게 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As a means of heat-resistance, the example in which the shrinkage force in 120 degreeC was made low by making the heat processing temperature very high, and relaxing an orientation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Further, Patent Documents 3 and 4 describe examples of lowering the thermal shrinkage rate by increasing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relaxation treatment and relaxing the orientation. Moreover, in patent document 2, the example of making low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by making the molecular weight of a polypropylene raw material low is described. Moreover, the example in which the shrinkage force in 140 degreeC was made low by making the relaxation rate after transverse stretching very large in patent document 5 is described.

일반적으로, 수축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배향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낮으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점착 도공하고, 고온의 오븐 중에서 점착층을 건조시킬 때에 주름이 생기는 등 품위 상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가로 연신 후의 이완율을 매우 크게 함으로써, 140℃에서의 수축력을 낮게 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lower the shrinkage force, a method of lowering the orientation of the polypropylene film is used, but when the polypropylene film has low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a problem may occur. For example, when adhesive coating is applied to a polypropylene film and an adhesive layer is dried in a high-temperature oven, a problem in quality, such as wrinkles, may arise. Moreover, the example in which the shrinkage force in 140 degreeC was made low by making the relaxation rate after transverse stretching very large in patent document 5 is described.

이상으로부터, 고온에서의 수축력은 낮게 하고, 한편으로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는 유지할 것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온의 기계 강도를 높이려고 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배향을 높일 필요가 있고, 그 배향이 완화될 때에 수축력이 발생하여 수축력이 커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수축력과 기계 강도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이며,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였다.From the above, it is required to lower the shrinkage force at high temperature and maintain the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When it is relieved, a contractile force may be generated and the contractile force may become large. That is, shrinkage force and mechanical strength are a trade-off relationship, and it was difficult to make them compatible.

일본 특허 공개 제2003-04101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041017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165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51657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2518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125184 국제 공개 제2016/006578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06578 국제 공개 제2014/148547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4/148547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 3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기계 강도가 낮고,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점착 필름을 고온에서 반송할 때에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4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고온에서의 열 수축이 높아,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고온에서의 필름의 강성이 낮아, 점착 필름을 고온에서 반송할 때에 흐름 방향으로 필름이 늘어나고, 폭 수축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s 1 and 3 mentioned above, when mechanical strength was low and conveying a polypropylene film and an adhesion film at high temperature,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wrinkles arise. In addition, in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2 and 4, there were problems such as high thermal shrinkage at high temperature, peeling from an adherend, or curling. Moreover, 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5, the rigidity of the film in high temperature was low, when conveying an adhesive film at high temperature, there existed a problem, such as a film extending in a flow direction, and width contraction becoming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즉, 열 수축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실온 및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하며, 고온 환경 하에서 이형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olypropylene film that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despite low thermal shrinkage force, and can be suitably used as a release film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모두 400mN 이하이고,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모두 1.8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ermal contraction force of 400 mN or less at 140° C. in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and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and orthogonal there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oung's modulus in all directions is 1.8 GPa or more.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열 수축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실온 및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하며, 고온 환경 하에서 이형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ow thermal shrinkage force, it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and can be suitably used as a release film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모두 400mN 이하이고,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모두 1.8GPa 이상이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a thermal contraction force of 400 mN or less at 140° 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and a Young's modulus in both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of 1.8 GPa or more.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350m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100mN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95mN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두 30mN 이하이다.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400mN을 초과하는 경우,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100mN 정도가 하한이다. 또한, 여기서 열 수축력이란 폭 4㎜에 있어서의 열 수축력을 말하며, 그 측정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more preferably all 350 mN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all 100 mN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all 95 mN or less, and most preferably all 30 mN or less. am.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a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exceeds 400 mN in at least one side, peeling or curling occurs from the adherend due to shrinkage when bonding to the adherend and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rocess or there are cases where Although the lower limit of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degree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ctually, about -100 mN is a lower limit. In additio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here means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in width 4mm,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the method shown in an Examp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배향축 방향이란, 필름면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0°로 한 경우에, 해당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 30°, 45°, 60°, 75°, 90°, 105°, 120°, 135°, 150°, 165°의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방향에서 영률을 측정했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는 방향을 말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있어서 「길이 방향」이란,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후, 「M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며, 「폭 방향」이란, 상기한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후, 「T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필름 샘플이 릴, 롤 등의 형상인 경우에는 필름 권취 방향이 길이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필름의 외관으로부터는 어느 방향이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인지가 불분명한 필름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필름 평면 상의 임의의 직선을 기준으로 15°간격으로 선을 긋고, 그 각 선에 평행하게 슬릿상의 필름편을 샘플링하여 인장 시험기로 영률을 구하여, 최대의 영률을 부여하는 방향을 그의 주배향축 방향으로 간주한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샘플의 폭이 150㎜ 미만으로 인장 시험기로는 영률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광각 X선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α정 (110)면의 결정 배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하기의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필름 길이 및 폭 방향으로 한다. 즉,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X선을 입사하고, 2θ=약 14°(α정 (110)면)에 있어서의 결정 피크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고, 얻어진 회절 강도 분포의 회절 강도가 가장 높은 방향을 주배향축 방향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cipal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15°, 30°, 45°, 60°, 75°, 90°, When the Young's modulus is measured in each direction forming an angle of 105°, 120°, 135°, 150°, and 165°, it refers to the direction showing the highest value. Here, in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longitudinal direction"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direction in a film manufacturing process (it may be referred to as "MD" hereafter), and "width direction" is an above-described film It is a directio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D")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in a manufacturing process. When a film sample is in the shape of a reel, a roll, etc., it can be said that the film winding direction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ilm in which it is not clear which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low direction in the film manufacturing process from the appearance of the film, for example, a line is drawn at 15° intervals based on an arbitrary straight line on the film plane. , a slit-shaped film piece is sampled parallel to each line, the Young's modulus is obtained with a tensile test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ximum Young's modulus is given is regarded as the direction of its main orientation axis. Although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ample width is less than 150 mm and the Young's modulus cannot be obtained with a tensile tester, the crystal orientation of the α crystal (110) plane of the polypropylene film by wide-angle X-rays is measured as follows, It is set as the film length and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following judgment criteria. That is, X-rays are incid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and the crystal peak at 2θ = about 14° (α crystal (110) plane) is scan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obtained diffraction intensity distribution has the highest diffraction intensity. The direction is set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2.0G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2.3GPa 이상이다.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1.8GPa을 하회하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점착 도공하고, 고온의 오븐 중에서 점착층을 건조할 때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10GPa 정도가 상한이다.More preferably, all of the Young's modulu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are 2.0 GPa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all of the Young's modulus is 2.3 GPa or more. When the Young's modulu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less than 1.8 GPa in at least one side, wrinkles may occur when adhesive coating is applied to a polypropylene film and drying the adhesive layer in a high-temperature oven.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Young's modulu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bstantially about 10 GPa is the upper limit.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 및 영률의 값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고결정성이며, 냉크실렌 가용부가 낮고, 고융점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세로 연신 시의 예열 롤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연신 전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한 뒤에, 고배향 연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In order to make the values of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nd Young's modulus at 140°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within the above ranges,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particularly It is effective to use a raw materi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with a low cold xylene soluble part, and to set the preheat roll temperature at the time of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range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homogenize the crystalline state before stretching, and then perform high orientation stretching.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가 모두 116℃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12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13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두 142℃ 이상이다.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가 116℃ 미만인 경우,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160℃ 정도가 상한이다.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의 값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고결정성이며, 냉크실렌 가용부가 낮고, 고융점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세로 연신 시의 예열 롤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연신 전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하는 것, 가로 연신 후의 열처리 공정에서 필름의 완화를 적절하게 촉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emperature of 116° C. or higher, more preferably all 124° 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all of the temperatures when the heat shrinkage force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20 mN or higher. are all 132°C or higher, most preferably all 142°C or higher. When the temperature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becomes 20 mN or more in at least one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less than 116 ° C. Curls may occur.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temperature when a thermal contraction force will be 20 mN or mor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160 degreeC is an upper limit substantially. In order to make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is 20 mN or more within the above rang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particularly high crystallinity and low cold xylene soluble portion, It is effective to use a raw material with a high melting point, to set the preheat roll temperature d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to equalize the crystal state before stretching, and to appropriately promote relaxation of the film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horizontal stretching .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최대점 응력은 모두 80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100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120MPa 이상이다.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120℃에서의 최대점 응력이 80MPa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점착 도공하고, 고온의 오븐 중에서 점착층을 건조할 때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최대점 응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300MPa 정도가 상한이다. 최대점 응력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고결정성이며, 냉크실렌 가용부가 낮고, 고융점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세로 연신 시의 예열 롤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연신 전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한 뒤에, 고배향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연신 후의 열처리 온도, 및 이완율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필요 이상으로 필름의 배향을 완화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point stress at 120° 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is preferably 80 MPa or more, more preferably 100 MPa° C.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all 120 MPa or more. am. When the maximum point stress at 120°C is less than 80 MPa in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ere is a case where wrinkles occur when adhesive coating is applied to a polypropylene film and drying the adhesive layer in a high-temperature oven have. Although the upper limit of maximum point stres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ctually, about 300 MPa is an upper limit. In order to make the maximum point stres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particularly high crystallinity, low cold xylene soluble part, and high melting point raw material is us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reheat roll temperature at the time of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carry out high orientation stretching after making the crystal state before extending|stretching uniform.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heat processing temperature after lateral stretching and a relaxation rate into the ranges mentioned later, and not to relieve|moderate the orientation of a film more than necessary.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적어도 편면의 최대 돌기 조도 St가 2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이상이다. 필름 양면의 St가 2000㎚ 미만인 경우,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이형성이 부족하여, 피착체가 변형되거나 파막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St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30000㎚ 정도가 상한이다. St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캐스트 온도를 고온화하여, 캐스트 공정에서 미연신 필름 중에 β정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maximum projection roughness St of at least one side of 2000 nm or more, more preferably 4000 n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6000 nm or more. When St on both surfaces of a film is less than 2000 nm, the releasability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to-be-adhered body is insufficient, and a to-be-adhered body may deform|transform or break into a film. Although the upper limit of S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30000 nm is an upper limit substantially. In order to make St into the above range, it is effective to set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n the range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make the film forming conditions in the range to be described later, and in particular to increase the casting temperature to high temperature to form β crystals in the unstretched film in the casting process. .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6.0%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다.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6.0% 이상인 경우, 피착체와 접합할 때에 깔끔하게 접합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공기가 혼입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0.1% 정도가 하한이다.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가로 연신 시의 예열, 연신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조정하고,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을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s for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said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less than 6.0 %, More preferably, it is less than 4.0 %, More preferably, it is less than 2.0 %. When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6.0% or more, it becomes difficult to join neatly at the time of joining with a to-be-adhered body, peeling from a to-be-adhered body, or air may mix.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ubstantially about 0.1% is the lower limit. In order to make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within the above rang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in particular, the preheating and stretching temperatures at the time of transverse stretching are adjusted to the ranges described later, , it is also effective to increase the lateral draw ratio.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95mN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m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N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N 이하이다.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95mN을 초과하는 경우,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100mN 정도가 하한이다.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세로 연신 시의 예열 롤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연신 전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한 뒤에, 고배향 연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아울러 가로 연신 시의 예열 온도, 연신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예열 온도를 고온화하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균일하게 예열하고, 예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응력 연신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hermal contraction force of 95 mN or less at 140° 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more preferably 60 mN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0 mN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0 mN or less. is below.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C.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exceeds 95 mN, when bonding to the adherend and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rocess, the case may be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or curled due to shrinkage have. Although the lower limit of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degree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id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ctually, about -100 mN is a lower limit. In order to make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within the above rang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set to the range described later, especially the preheat roll at the time of longitudinal stretching It is effective to make temperature into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carry out high orientation stretching after uniformizing the crystal state before extending|stretching.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to set the preheating temperature and the stretch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transverse stretching to the ranges described later, to increase the preheating temperature, to preheat the polypropylene film uniformly, and to perform high stress stretchin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eheating temperature.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영률(GPa)에, 필름의 두께(㎛)를 곱셈한 값이 1.5(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G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G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다.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영률에 필름의 두께를 곱셈한 값은, 고온 환경 하에서의 필름의 강성과 상관성이 높고, 해당 값이 1.5 미만인 경우,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반송 중의 필름이 흐름 방향으로 늘어나고, 필름의 폭 수축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영률에 필름의 두께를 곱셈한 값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30 정도가 상한이다.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영률에 필름의 두께를 곱셈한 값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또한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세로 연신 시의 예열 롤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연신 전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한 뒤에, 고배향 연신하는 것, 가로 연신 시의 예열, 연신 온도를 후술하는 범위로 조정하고, 고온에서 균일하게 예열하고, 저온에서 고배향 연신하는 것, 이완율을 너무 크게 취하지 않고, 배향을 너무 완화시키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In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Young's modulus (GPa) at 120° C.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by the thickness (μm) of the film is preferably 1.5 (GPa·μ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is 3.0 (GPa-micrometer)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4.0 (GPa-micrometer) or more, Most preferably, it is 5.5 or more.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by the Young's modulus at 120°C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rigidity of the film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When passing, the film in conveyance stretches in a flow direction, and the width contraction of a film may become large. The upper limit of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by the Young's modulus at 120°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ubstantially about 30 is the upper limit. In order to make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by the Young's modulus at 120°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to be within the above rang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the film is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the film forming conditions are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especially The preheating roll temperature at the time of longitudinal stretching shall be in the range described later, and after homogenizing the crystal state before stretching, high orientation stretching, preheating during transverse stretching, and stretching temperature are adjusted to the ranges described later, and uniformly preheated at a high temperature It is effective not to take too large a relaxation rate and not to relax an orientation too much to perform high orientation stretching at low temperature, and to not relax too much.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해당 층의 전체 100질량%에 있어서, 냉크실렌 가용부(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한 함유량은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가장 바람직한 함유량은 95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이다. 여기서 CXS란, 시료를 크실렌으로 완전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석출시켰을 때에 크실렌 중에 용해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성분을 말하며, 입체 규칙성이 낮거나, 분자량이 낮다는 등의 이유로 결정화되기 어려운 성분에 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성분이 많이 수지 중에 포함되어 있으면 필름의 열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의 CXS는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에 있어서의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50질량%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부족하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점착 도공하고, 고온의 오븐 중에서 점착층을 건조할 때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에 있어서 CXS가 3.5%를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경우, 열 수축력이 커져서,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적어도 1층의 CXS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0.1% 정도가 하한이다. CXS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CXS가 낮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at least one layer is 5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f polypropylene whose cold xylene soluble part (CXS) is 3.5 % or less in 100 mass % of total of the said lay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containing below, more preferable content is 7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more preferable content is 9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Most preferable content is 95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Here, CXS refers to a polyolefin component dissolved in xylene when the sample is completely dissolved in xylene and then precipitated at room temperature, and is a component that is difficult to crystallize due to low stereoregularity or low molecular weight. It is thought that When many of these components are contained in resin, the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of a film may be inferior. Therefore, as for CXS of the polypropylene contained in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2.0 %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1.5 % or less is still more preferable. It i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when content of the polypropylene whose CXS in at least 1 layer is 3.5 % or less is less than 50 mass %, the mechanical strength in high temperature of a polypropylene film runs short.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adhesive coating is applied to a polypropylene film and an adhesion layer is dried in high temperature oven, wrinkles may arise. In addition, in a laminated configuration of two or more layers, when at least one layer contains 50%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of polypropylene having a CXS exceeding 3.5% in at least one layer,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becomes large, and it joins with an adherend and passes through a heating step When it does, it may peel from a to-be-adhered body by shrinkage, or curl may generate|occur|produce. Although the lower limit of at least one layer of CX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0.1 % is a lower limit substantially. In order to make CXS into the said range, it is effective to mak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a film into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use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with especially low CXS.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기만 하면, 단층 구성이든 적층 구성이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은, 적층 구성의 각 층 중에서 가장 두께가 큰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층 구성의 내층이,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o whether it has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laminated structure as long as it contains polypropylene, but as described above,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at least one layer is CX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containing 5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of polypropylene which is 3.5 %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containing 5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of polypropylene whose CXS is 3.5 % is the largest layer among each layer of laminated constitution.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layer of a three-layer structure is a layer containing 5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of CXS of 3.5 % or less polypropylene.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시차 주사 열량계 DSC로 25℃로부터 250℃까지 20℃/min으로 승온하고, 계속하여 250℃로부터 25℃까지 20℃/min으로 강온했을 때의 결정화 피크 온도(Tc)가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 이상이다. Tc는 결정화의 용이함과 상관이 있고, Tc가 높을수록 결정화되기 쉬운 것을 나타낸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용융 압출 후의 냉각 드럼 상에서 고화될 때에 결정화되어 구정을 형성한다. Tc가 높을수록 미연신 시트에 치밀한 구정이 수많이 생성되고, 그에 수반하여, 2축 연신 후의 필름의 표면 형상도 돌기가 미세화된다. 피착체에 타흔(打痕) 전사시키지 않고, 이형성이 양호해지는 돌기가 미세화된 표면을 얻는 관점에서, Tc는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Tc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125℃ 정도가 상한이다. Tc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원료 조성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특히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이나, 분자량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c의 값을 구함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각 층으로 분리하고, 각 층에 대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지만, 각 층으로 분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필름 전체로서 평가하고, 그 값을 대푯값으로 간주한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minated configuration of two or more layers, and at least one layer is heated from 25°C to 250°C at 20°C/min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then from 250°C to 25°C at 20°C/mi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ystallization peak temperature (Tc) when temperature-falling is 11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12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14 degreeC or more. Tc correlates with the ease of crystallization, and the higher the Tc, the easier it is to crystallize. The polypropylene film crystallizes to form spheroids when solidified on a cooling drum after melt extrusion. The higher the Tc, the more dense spherulites are produced in the unstretched sheet, and with it, the surface shape of the film after biaxial stretching also becomes finer. From a viewpoint of obtaining the surface with the processus|protrusion with which the releasability becomes favorable without making it transfer to a to-be-adhered body, and obtaining the refinement|miniaturization of Tc, it is so preferable that Tc is high.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c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125 degreeC is an upper limit substantially. In order to make Tc into the said range, it is effective to mak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of a film into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use a branched polypropylene and polypropylene raw material with high molecular weight especially. In obtaining the value of Tc,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polypropylene film into each layer and evaluate each layer, but whe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nto each layer, the film as a whole is evaluated, and the value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value.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0.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는, 두께는 1㎛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 이상 3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두께는 다른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압출기의 스크루 회전수, 미연신 시트의 폭, 제막 속도, 연신 배율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s adjusted suitably according to a use, and limitation in particular is not carried out, It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y that they are 0.5 micrometer or more and 100 micrometers or less. In order to make 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thickness is more preferably 1 µm or more and 40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 µm or more and 30 µ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6 µm or more and 30 µm or less.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by the number of screw rotations of the extruder, the width of the unstretched sheet, the film forming speed, the draw ratio, and the lik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reduce other physical properties.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원료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lthough the raw material of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기만 하면, 단층 구성이든 적층 구성이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CXS가 3.5% 이하인 원료(이하, 원료로서 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폴리프로필렌 원료 A로 한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A의 CXS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폴리프로필렌 원료 A의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원료 A가 포함되는 층을 100질량%로 했을 때에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CXS를 충족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로 하기 위해서는, 수지를 얻을 때의 촉매 활성을 높이는 방법, 얻어진 수지를 용매 혹은 올레핀 모노머 자체로 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o whether it has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laminated structure as long as it contains polypropylene, but as described above,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at least one layer is CX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containing 50 mass % or more and 100 mass % or less of polypropylene which is 3.5 % or less. In order to obtain a polypropylene film having such a layer (a layer containing 50%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of polypropylene having a CXS of 3.5% or less), a raw material having a CXS of 3.5% or less (hereinafter, a polypropylene having a CXS of 3.5% or less as a raw material) is obtaine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CXS of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more preferably 2.0 %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 % or less. The content of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preferably 50 mass % or more, more preferably 70 mass %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90 mass % or more, when the layer containing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100 mass %, 95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mass % or more. In order to obtain a polypropylene raw material satisfying such CX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talytic activity when obtaining a resin or a method of washing the obtained resin with a solvent or an olefin monomer itself can be used.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A는 강도나 내열성의 관점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Moreover, as for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a viewpoint of intensity|strength or heat resistance to homopolypropylene is used preferably.

폴리프로필렌 원료 A는 융점이 1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16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융점이 155℃ 미만인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고, 피착체와 접합하여 가열 공정을 통과할 때에 수축에 의해 피착체로부터 박리되거나, 컬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melting|fusing point of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155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160 degreeC or more and 165 degreeC or more are still more preferable. When melting|fusing point is less than 155 degreeC, heat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when it joins with a to-be-adhered body and passes through a heating process, it may peel from a to-be-adhered body or curl may arise by shrinkage|contraction.

폴리프로필렌 원료 A는 메소펜타드 분율이 0.9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7 이상이다. 메소펜타드 분율은 핵자기 공명법(NMR법)으로 측정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상의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해당 수치가 높을수록 결정화도가 높고, 융점이 높아지고,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메소펜타드 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입체 규칙성이 높은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n-헵탄 등의 용매로 얻어진 수지 파우더를 세정하는 방법이나, 촉매 및/또는 조촉매의 선정, 조성의 선정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As for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t is preferable that a mesopentad fraction is 0.94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0.97 or more. The mesopentad fraction is an index indicating the stereoregularity of the crystal phase of polypropylene measur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method). desirable.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on the upper limit of the mesopentad fraction. In order to obtain a resin with high stereoregularity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washing the resin powder obtained with a solvent such as n-heptane, a method of selecting a catalyst and/or a cocatalyst, and a method of appropriately selecting a composition are preferably employed. .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 A로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가 1 내지 10g/10분(230℃, 21.18N 하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10분(230℃, 21.18N 하중)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g/10분(230℃, 21.18N 하중)의 범위의 것이, 제막성이나 필름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멜트 플로 레이트(MFR)를 상기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Further, as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more preferably, the melt flow rate (MFR) is 1 to 10 g/10 min (230°C, 21.18 N load), more preferably 1 to 8 g/10 min (230° C., 21.18 N load). loa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4 to 8 g/10 min (230°C, 21.18 N load), from the viewpoints of film forming properties and film strength. In order to make melt flow rate (MFR) into the said value,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etc. are employ|adopted.

폴리프로필렌 원료 A로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불포화 탄화수소에 의한 공중합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되고, 중합체가 블렌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이나 블렌드물을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공중합된 블렌드물의 경우),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알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량 또는 블렌드량은 치수 안정성의 점에서, 공중합량에서는 1mol% 미만으로 하고, 블렌드량에서는 10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etc. by another unsaturated hydrocarbon may be contain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and the polymer may be blended.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such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or a blend, for example, ethylene, propylene (in the case of a copolymerized blend), 1-butene, 1-pentene, 3-methylpentene-1, 3-methylbutene-1, 1 -Hexene, 4-methylpentene-1, 5-ethylhexene-1, 1-octene, 1-decene, 1-dodecene, vinylcyclohexene, styrene, allylbenzene, cyclopentene, norbornene, 5-methyl- 2-norbornene etc. are mentioned. From the viewpoint of dimensional stability, the amount of copolymerization or blending is preferably less than 1 mol% in terms of copolymerization, and less than 10% by mass in terms of blending.

폴리프로필렌 원료 A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 성분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다. 에틸렌 성분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결정성이 저하되고,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쉬운데, 에틸렌 성분의 함유량이 10질량%을 초과하면, 강도가 저하되거나, 내열성이 저하되어서 열 수축률이 악화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압출 공정 중에서 수지가 열화되기 쉬워져, 필름 중의 피시 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ethylene component contained in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10 mass %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 mass %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3 mass % or less. Although crystallinity falls so that there is much content of an ethylene component, it is easy to improve transparency, when content of an ethylene component exceeds 10 mass %, intensity|strength may fall or heat resistance may fall and thermal contraction rate may deteriorate. In addition, the resin tends to deteriorate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and fish eyes in the film are likely to occur in some cases.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원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첨가제, 예를 들어 결정 핵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미끄럼제, 대전 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충전제, 점도 조정제, 착색 방지제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To the polyolefin raw material used for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dditives such as a crystal nucleating agent, antioxidant, heat stabilizer, slip agent, antistatic agent, antiblocking agent, filler, viscosity You can also contain a regulator, a coloring inhibitor, etc.

이들 중에서 산화 방지제의 종류 및 첨가량의 선정은 산화 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즉, 이러한 산화 방지제로서는 입체 장해성을 갖는 페놀계의 것이며, 그 중 적어도 1종은 분자량 500 이상의 고분자량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구체예로서는 여러가지 것을 들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BHT: 분자량 220.4)과 함께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등록 상표) 1330: 분자량 775.2) 또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등록 상표) 1010: 분자량 1177.7)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화 방지제의 총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원료 전량에 대하여 0.03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가 너무 적으면 압출 공정에서 폴리머가 열화되어서 필름이 착색되거나, 장기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산화 방지제가 너무 많으면 이들 산화 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해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 내지 0.9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질량%이다.Among these, selection of the type of antioxidant and the amount to be added is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bleed-out of the antioxidant. That is, as such an antioxidant, it is a phenol-type thing which has steric hindrance, and at least 1 sort(s) of it is a high molecular weight type thing of molecular weight 500 or more is preferable. Although various things can be mentioned as the specific example, For example, 2,6-di-t-butyl-p-cresol (BHT: molecular weight 220.4) together with 1,3,5-trimethyl-2,4,6-tris(3) ,5-di-t-butyl-4-hydroxybenzyl)benzene (for example,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1330 manufactured by BASF: molecular weight 775.2) or tetrakis [methylene-3 (3,5-di-t-) It is preferable to use 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for example, "Irganox" (trademark) 1010 by BASF Corporation: molecular weight 1177.7) etc. together. As for the total content of these antioxidants, the range of 0.03-1.0 mass %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polyolefin raw material whole quantity. If there is too little antioxidant, the polymer may deteriorate in the extrusion process, resulting in coloration of the film or poor long-term heat resistance. When there are too many antioxidants, transparency may fall by the bleed-out of these antioxidants. A more preferable content is 0.05-0.9 mass %, Especially preferably, it is 0.1-0.8 mass %.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층이 적어도 1층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층 중의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층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에 0.05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화 피크 온도(Tc)를 고온화하고, 용융 압출한 수지 시트의 냉각 공정에서 생성되는 구정 사이즈를 작게 제어하고, 2축 연신 후의 필름 표면 요철의 급준한 고저차를 저감시킨 치밀하고 미세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다. 한편,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has at least 1 layer or more of layers containing branched polypropylene. When content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in the layer containing branched polypropylene resin makes the whole layer 100 mass %, 0.05-10 mass % is preferable. A dense and fine surface with a high crystallization peak temperature (Tc) of the polypropylene film, controlling the size of spheroids generated in the cooling process of the melt-extruded resin sheet to be small, and reducing the steep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film after biaxial stretching From a viewpoint of forming an unevenness|corrugation, the minimum of content of branched polypropylene resin becomes like this. More preferably, it is 0.5 mass %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 mass %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content of branched polypropylene resin becomes like this. More preferably, it is 8 mass %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 mass %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 핵제를 첨가할 수 있다. α정 핵제(디벤질리덴소르비톨류, 벤조산나트륨 등), β정 핵제(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칼륨, 벤조산마그네슘, N,N'-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디카르복사미드 등의 아미드계 화합물,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등) 등이 예시된다. 단, 상기 별종의 핵제의 과잉 첨가는 연신성의 저하나 보이드 형성 등에 의한 투명성이나 강도의 저하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첨가량은 통상 0.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 crystal nucleating agent can be added to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used for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go against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α tablet nucleating agent (dibenzylidene sorbitol, sodium benzoate, etc.), β tablet nucleating agent (1,2-hydroxystearate potassium, magnesium benzoate, N,N'-dicyclohexyl-2,6-naphthalenedicarboxamide) Amide compounds, such as quinacridone compounds, etc.) etc. are illustrated. However, since excessive addition of the above-mentioned different type of nucleating agent may cause a decrease in transparency or strength due to a decrease in stretchability or void formation, etc., the amount added is usually 0.5% by mass or less, preferably 0.1%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0.05 mass % or less.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술한 원료를 사용하여, 2축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방법으로서는, 인플레이션 동시 2축 연신법, 스텐터 동시 2축 연신법, 스텐터 축차 이축 연신법의 어느 것에 의해서든 얻어지지만, 그중에서도 제막 안정성, 두께 균일성, 필름의 고강성과 치수 안정성을 제어하는 점에 있어서 스텐터 축차 이축 연신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s biaxially stretched using the above-mentioned raw material. The biaxial stretching method is obtained by any of the inflation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the stenter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and the stente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method, but among them, film forming stability, thickness uniformity, high rigid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tenter successive biaxial stretching method in terms of controll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lthough one aspec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먼저, 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80질량부와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20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B층(기층 (II))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A층(표층 (I))용의 단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00 내지 2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7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한다. 그리고, 폴리머관의 도중에 설치한 필터로 이물이나 변성 폴리머 등을 제거한 후, 멀티 매니폴드형의 A층/B층/A층 복합 T 다이로 적층하고, 캐스팅 드럼 상에 토출하여, A층/B층/A층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때, 적층 두께비는 1/8/1 내지 1/60/1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적어도 1층의 CXS가 3.5% 이하인 층이나 Tc가 112℃ 이상인 층이 적어도 1층이 형성되고, 내열성, 및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First, 80 parts by mass of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and 20 parts by mass of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layer B (base layer (II)), and polypropylene raw material A is added to layer A (surface layer (I)) ) is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use, and melt extrusion is performed at 200 to 280°C, more preferably 220 to 280°C, still more preferably 240 to 270°C. Then,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r modified polymers with a filte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olymer tube, laminated with a multi-manifold type A-layer/B-layer/A-layer composite T die, and discharged on a casting drum, A-layer/B A laminated unstretched sheet having a layer structure of layer/layer A is obtained. In this case, the lamination thickness ratio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1 to 1/60/1. By setting it as the said range, at least 1 layer of a layer whose CXS is 3.5% or less, or a layer whose Tc is 112 degreeC or more is formed, and it can obtain the film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또한, 캐스팅 드럼은 표면 온도가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층/B층의 2층 적층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캐스팅 드럼에 대한 밀착 방법으로서는 정전 인가법, 물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밀착 방법, 에어 나이프법, 프레스 롤법, 수중 캐스트법 등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지만, 평면성이 양호하고 또한 표면 조도의 제어가 가능한 에어 나이프법이 바람직하다. 에어 나이프의 에어 온도는 40 내지 100℃이고, 분출 에어 속도는 130 내지 150m/s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막 하류측에 에어가 흐르도록 에어 나이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asting drum preferably has a surface temperature of 40 to 120°C, preferably 60 to 120°C, more preferably 80 to 110°C. Moreover, it is not cared also as a two-layer laminated structure of A-layer/B-layer. As a method of adhesion to the casting drum, any of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method, an adhesion method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an air knife method, a press roll method, an underwater casting method, etc. may be used, but air with good flatness and controllable surface roughness The knife method is preferred. The air temperature of the air knife is 40 to 100° C., and the blowing air velocity is preferably 130 to 150 m/s. Moreover, in order not to generate|occur|produce vibration of a film,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an air knife suitably so that air may flow to a film forming downstream.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세로 연신 공정에 도입된다. 세로 연신 공정에서는, 먼저 복수의 10℃ 이상 160℃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15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155℃ 이하로 유지된 금속 롤에 미연신 시트를 접촉시켜서 예열시키고, 주속차를 마련한 롤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4 내지 8배로 연신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연신 온도는 100℃ 이상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130℃ 이하이다. 세로 연신의 예열 공정에서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미연신 필름 중의 β정이 α정으로 전이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온도는 예열 온도와 비교하여 저온으로 함으로써, 고응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 연신 공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의 결정 상태를 균일화하고, 또한 고응력으로 연신함으로써,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열 수축력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연신 배율은 3배 이상 6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4배 이상 5.5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obtained unstretched sheet|seat is introduce|transduced into a longitudinal stretch process. I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step, first, the unstretched she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metal roll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0° C. or higher and 160° C. or lower, preferably 140° C. or higher and 158° C. or lower, more preferably 145° C. or higher and 155° C. or lower to preheat, After extending|stretching 4 to 8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rolls provided with the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it cools to room temperature.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100°C or more and 150°C or less, preferably 100°C or more and 140°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10°C or more and 130°C or less. By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in the preheating step of longitudinal stretching, the β-crystal in the unstretched film transitions to the α-crystal, and the crystalline state in the polypropylene film can be homogenized. In addition, by setting the stretching temperature to be lower than the preheating temperatur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with a high stress. Thus, by uniformizing the crystal state in a polypropylene film in a longitudinal stretching process and extending|stretching at high stress, it is excellent in the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and a polypropylene film with low thermal contraction force can be obtained. 3 times or more and 6 times or less are preferable, and, as for a draw ratio, 4 times or more and 5.5 times or less are still more preferable.

이어서 세로 1축 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예열한 후, 폭 방향으로 7 내지 13배로 가로 연신한다. 이때, 예열 온도를 고온화하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균일하게 예열하고, 예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응력 연신함으로써, 고온에서의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열 수축력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예열 온도는 165 내지 1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3 내지 180℃이다. 또한, 가로 연신 온도는 155 내지 1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6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60℃이다.Then, the longitudinal uniaxially stretched film is guided by a tenter, the end of the film is gripped with a clip, preheated, and then transversely stretched 7 to 13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by increasing the preheating temperature, uniformly preheating the polypropylene film, and stretching the polypropylene film under high stres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preheating temperature, a polypropylene film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and low thermal shrinkage can be obtained. From this, a preheating temperature is 165-18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170-18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173-180 degreeC. Moreover, the transverse stretching temperature is 155-17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155-165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155-160 degreeC.

계속되는 열처리 및 이완 처리 공정에서는 클립으로 폭 방향을 긴장 파지한 채 폭 방향으로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의 이완율로 이완을 부여하면서, 140℃ 이상 17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160℃ 미만의 온도에서 열 고정하고, 클립으로 폭 방향을 긴장 파지한 채 80 내지 100℃에서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와인더 공정에서 필름 에지부를 슬릿하고, 필름 제품 롤을 권취한다. 17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를 행하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배향이 완화되어버려 기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온 영역에서의 기계 강도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또한, 20% 이상의 이완율로 이완 처리를 행하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배향이 완화되어버려 기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온 영역에서의 기계 강도의 저하가 현저해진다.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and relaxation treatment process, while tension is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a clip and relaxed at a relaxation rate of 2 to 20%, more preferably 8 to 18%,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to 15%, 140 ℃ or more and less than 170 ℃, more preferably, heat-fixed at a temperature of 140 ℃ or more and less than 160 ℃, and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tenter through a cooling process at 80 to 100 ℃ while holding the t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a clip , Release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slit the film edge part in a winder process, and wind up the film product roll. When heat processing is performed at high temperature of 170 degreeC or more, the orientation of a polypropylene film may be relieve|moderated, and the fall of mechanical strength may be caused. In particular, the fall of the mechanical strength in a high temperature region becomes remarkable. In addition, when the relaxation treatment is performed at a relaxation rate of 20% or more, the orientation of the polypropylene film is relaxed, which may lead to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In particular, the fall of the mechanical strength in a high temperature region becomes remarkable.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포장용 필름, 표면 보호 필름, 공정 필름, 위생용품, 농업용품, 건축용품, 의료용품 등 여러가지 용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 공정 필름,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polypropylene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ackaging films, surface protection films, process films, hygiene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construction products, and medical products. , It can be used preferably as a process film and a release film, Especially preferably, it can use as a release film.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점착 필름용의 도공 기재(기재 필름)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그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층을 갖는 점착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Next, the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as a coating base material for adhesion films (base film) is demonstrated.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can be set as the adhesive film which has an adhesive layer on the at least single side|surface.

본 발명의 점착 필름 중의 점착층에 사용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무계, 비닐 중합계, 축합 중합계, 열경화성 수지계, 실리콘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고무계의 점착제로서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계,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계,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계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중합계의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계,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축합 중합계의 점착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를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 수지계의 점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used for the adhesive layer in the adhesive film of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rubber type, a vinyl polymerization type,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type, a thermosetting resin type, a silicone type, etc. can be used. Among them, examples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 a butadiene-styrene copolymer system, a butadiene-acrylonitrile copolymer system, and an isobutylene-isoprene copolymer system. As a vinyl polymerization type adhesive, an acryl type, a styrene type, a vinyl acetate-ethylene copolymer type|system|group, a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type|system|group, etc. are mentioned. Moreover, as an adhesive of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system, a polyester system is mentioned. Moreover, an epoxy resin type, a urethane resin type, etc. are mentioned as a thermosetting resin type adhesive.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후성, 내열성, 내습열성, 기재 밀착성 등을 고려하면, 아크릴계 점착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소껭 가가꾸(주) 제 "SKdyne"(등록 상표) 1310, 1435, SKdyne 1811L, SKdyne 1888, SKdyne 2094, SKdyne 2096, SKdyne 2137, SKdyne 3096, SKdyne 1852 등을 적합한 예로서 들 수 있다.Among these, it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when a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heat-and-moisture resistance, adhesiveness to a base material, etc. are considered, an acrylic adhesive is used suitably. As a specific example of such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Kdyne" (registered trademark) 1310, 1435, SKdyne 1811L, SKdyne 1888, SKdyne 2094, SKdyne 2096, SKdyne 2137, SKdyne 3096, SKdyne 1852, etc. manufactured by Soken Chemical Co., Ltd. are suitable examples. can be heard

또한, 상기한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경화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키우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점착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이다. 0.1질량부보다 적으면 건조로 내에서 점착제층의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뒷뜯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10질량부를 초과하면, 잉여가 된 경화제가 기판으로 이행되거나 고온 시에 가스화되어 오염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uring agent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Specific examples of the curing agent include, in the case of 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2,4-tolylene diisocyanate, 2,6-tolylene diisocyanate, 1,3-xyl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di Phenylmethane-4-4'-diisocyanate, diphenylmethane-2-4'-diisocyanate, 3-methyl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4-4 '-diisocyanate, diskiurohexylmethane-2-4'-diisocyanate, lysine isocyanate, etc. are mentioned. The mixing ratio of a hardening|curing agent is 0.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adhesives, Preferably it is 0.5-5 mass parts. When it is less than 0.1 mass part, hardening of an adhesive layer in a drying furnace will become inadequate, and a tear may generate|occur|produce. When it exceeds 10 parts by mass, the surplus curing agent may migrate to the substrate or may be gasified at a high temperature to cause contamination.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피착체(유리나 기능 필름)의 재질에 따라,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금속 불활성제 등을 적절히 첨가 배합해도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a to-be-adhered body (glass or a functional film), you may add and mix|blend an antioxidant, a ultraviolet absorber, a silane coupling agent, a metal deactivator, etc. to an acrylic adhesive suitably.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점착 필름은, 점착층의 두께 d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점착층의 두께 d가 2.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의 배면과 점착층 표면의 미끄럼성이 악화되어서 권취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건조로에서의 점착층의 건조가 불충분해지고, 뒷뜯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뒷뜯김이란, 기재 필름의 편면에 점착층의 용액을 도공 후, 건조로 내에서 건조·경화하여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이형 필름을 개재하지 않고 롤 형으로 권취한 후, 사용 시에 점착 필름을 권출할 때, 기재 필름의 배면에 점착층의 일부가 이행되어버리는 현상을 가리킨다. 점착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점착층의 용액의 고형분 농도나 각종 도공 방법에 있어서의 도공 두께 조정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점착층의 두께는 너무 얇으면 안정된 도공이 곤란하거나, 점착력이 너무 낮아서 피착체에 점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0.1㎛ 정도가 하한이다.As for the adhesion film using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of an adhesion layer is 2.0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 micrometer or less. When the thickness d of an adhesion layer exceeds 2.0 micrometers, the slipperiness|lubricacy of the back surface of a base film and the surface of an adhesion layer may deteriorate, and winding-up may become difficult. Moreover, drying of the adhesion layer in a drying furnace may become inadequate, and tearing may generate|occur|produce. Tear-off is after coating the solution of th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drying and curing in a drying furnace, winding the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ll shape without intervening a release film, and then removing the adhesive film during use When unwinding, it points out the phenomenon to which a part of adhesion layer migrates to the back surface of a base film. A well-known technique can be used for the method of making the thickness of an adhesion layer into the said range, and it is controllable by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of an adhesion layer, or coating thickness adjustment in various coating methods.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oo thin, stable coating may be difficult, or the adhesive force may not be adhered to the adherend due to too low a thickness, so about 0.1 µm is the lower limit.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점착 필름은, 아크릴판에 접합한 후의 180°박리력이 200m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N/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mN/25㎜ 이하이다. 박리력이 200mN/25㎜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의 배면과 점착층 표면의 미끄럼성이 악화되어서 권취가 곤란해지는 경우나 뒷뜯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박리력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점착층의 조성이나 두께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는 것, 또한 필름의 원료 조성이나 제막 조건을 후술하는 범위로 하고, 기재 필름의 표면 조도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박리력이 10mN/25㎜ 미만이면, 피착체와의 접합 후, 반송 중 등에 점착 필름이 박리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하한은 10mN/25㎜ 정도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180 degree peeling force after bonding the adhesive film using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to an acrylic board is 200 mN/25 mm or less. The peeling force is more preferably 100 mN/25 m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80 mN/25 mm or less. When peeling force exceeds 200 mN/25 mm, the slipperiness|lubricacy of the back surface of a base film and the surface of an adhesion layer deteriorates, the case where winding-up becomes difficult, or tearing may generate|occur|produce. In order to make peeling force into the said range, it is effective to make the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an adhesive layer into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make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film forming conditions of a film into the range mentioned later, and to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of a base film. If the peeling force is less than 10 mN/25 mm, the lower limit is about 10 mN/25 mm since the adhesive film may peel during conveyance after bonding with the adherend.

다음으로 점착층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layer is demonstrate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먼저, 점착층용의 도포제를 준비한다. 도포제는, 상술한 점착제나 경화제 등의 첨가제를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코터에서의 건조 온도나 도포제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메탄올이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tert-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이소프로필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아세틸아세톤, 아세틸아세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First, a coating agent for an adhesive layer is prepared. The coating agent can be used by dissolving additives, such as the adhesive and hardening|curing agent mentioned above in a solvent. The solv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coater or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agent.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n-butanol, tert-butanol,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1-methoxy-2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propanol,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cyclohexanone, tolue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isopropyl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diacetyl acetone, and acetyl acetone is used. can

도포제 중의 고형분 농도는 도포제의 점도나 점착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인데,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a coating agent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a coating agent, or the thickness of an adhes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20 mass %.

이어서, 코터에 상술한 기재 필름을 반송시켜서, 점착층용의 도포제를 도공한다. 여기서, 점착층을 도공하는 면은 기재 필름의 어느 쪽의 면이든 상관없지만, 도공면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등의 전처리에 의해 도포제와의 습윤성을 향상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 필름의 배면은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식(도공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타바 방식, 닥터 블레이드 방식, 그라비아 방식, 다이 방식, 나이프 방식, 리버스 방식, 딥 방식 등 기존의 도공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 두께는 2.0㎛ 이하로 박막이며, 박막의 도공층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관점에서 그라비아 방식이나 리버스 방식이 바람직하다.Next, the base film mentioned above is conveyed to a coater, and the coating agent for adhesion layers is coated. Here, the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coated may be any surface of the base film, but it is preferable to improve the wettability with the coating agent by pre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on the coated surface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releasability, it is preferable not to perform pre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on the back surface of a base film. The coating method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 coating methods such as a metabar method, a doctor blade method, a gravure method, a die method, a knife method, a reverse method, and a dip method can be adop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a thin film of 2.0 μm or less, and the gravure method or the reverse metho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obtaining the coating layer of the thin film.

기재 필름에 점착층용의 도포제를 도공 후, 건조로로 유도하여 도포제 중의 용매를 제거하여 점착 필름을 얻는다. 여기에서의 건조 온도는 기재 필름의 내열성이나 용제의 비점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인데, 6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미만이면, 점착층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뒷뜯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17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이 변형되어 평면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은 15 내지 6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15초 미만이면, 점착층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뒷뜯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60초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After coating the coating agent for adhesive layers on a base film, it guides to a drying furnace, removes the solvent in a coating agent, and obtains an adhesive film. Although the drying temperature here is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heat resistance of a base film, and the boiling point of a solv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60-170 degreeC. If it is less than 60 degreeC, hardening of an adhesive layer may not fully advance and tearing may generate|occur|produce. When it exceeds 170 degreeC, a base film may deform|transform and planarity may deteriorate. In addition,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15 to 60 seconds. If it is less than 15 seconds, hardening of an adhesive layer may not fully advance and tearing may generate|occur|produce. When it exceeds 60 second, since productivity will fall, it is unpreferable.

건조 후의 점착 필름을, 그의 점착면에 이형 필름 등을 접합하지 않고 권취기로 권취하여 점착 필름 롤을 얻는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상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점착층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고, 기재 필름의 배면과 점착층 표면의 미끄럼성도 양호한 점에서, 이형 필름을 개재하지 않고 권취하더라도 뒷뜯김이나 권취 시의 주름 발생 등의 문제가 없어, 품위가 좋은 점착 필름 롤을 얻을 수 있다.The adhesion film after drying is wound up with a winder, without bonding a release film etc. to the adhesion surface, and an adhesion film roll is obtained. Since the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rdening of the adhesive layer is sufficiently advanced, and the slip property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also good, so even if it is wound without intervening a release film, tearing or winding is performed. There is no problem, such a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wrinkles, and the adhesive film roll with good quality can be obtained.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포장용 필름, 표면 보호 필름, 공정 필름, 위생용품, 농업용품, 건축용품, 의료용품 등 여러가지 용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 공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ackaging films, surface protection films, process films, hygiene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construction products, and medical products. It can be used suitably as a protective film and a process film.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내열성, 품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광학 부재나 반도체 제조 공정 등, 매우 높은 품위를 요구하는 이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polypropylene film of this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quality, it can use suitably as a release film which requires very high quality, such as an optical member and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measured and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1) 필름 두께(1) Film thickness

마이크로 두께계(안리쓰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을 10㎝ 사방으로 샘플링하고, 임의로 5점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It measured using the micro thickness meter (made by Anritsu Corporation). The film was sampled at 10 cm square, arbitrarily measured at 5 points,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2) 열 수축력,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2) Heat shrinkage force, the temperature when the heat shrinkage force becomes 20mN or more

TMA(SII·나노테크놀로지(주)사제/형식 TMA/SS6100)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 방향(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력 곡선을 측정하였다.Using TMA (manufactured by SII Nanotechnology Co., Ltd./model TMA/SS6100), the heat shrinkage force curve in the measurement directio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 샘플: 폭 4㎜×길이 20㎜(a) Sample: width 4 mm x length 20 mm

(b) 온도 프로그램: 30℃로부터 가열 레이트 10℃/min로 승온(b) Temperature program: Raise the temperature from 30°C to a heating rate of 10°C/min

<열 수축력><Heat shrinkage force>

해당 열 수축력 곡선으로부터 140℃의 열 수축력(mN)을 판독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 평균을 구하였다.The heat shrinkage force (mN) at 140°C was read from the heat shrinkage force curve.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3 times, and the average was calculated|required.

<열 수축 개시 온도><Heat shrink start temperature>

상기 열 수축력 곡선에 있어서, 승온 과정에서 열 수축력이 20mN이 될 때의 온도를 판독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 평균을 구하였다.I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curve, the temperature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becomes 20 mN during the temperature increase process was rea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3 times, and the average was calculated|required.

(3) 영률(3) Young's modulus

영률은 가부시키가이샤 오리엔테크사제 필름 강신도 측정 장치(AMF/RTA-100)를 사용하여, 23℃, 65%RH에서 측정하였다. 샘플을 측정 방향(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 25㎝, 측정 방향과 직각의 방향: 1㎝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원래 길이 100㎜, 인장 속도 300㎜/분으로 신장하고, 영률은 JIS-Z1702(1994)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The Young's modulus was measured at 23 degreeC and 65 %RH using the film elongation measuring apparatus (AMF/RTA-100) by the Orientec Corporation. The sample was cut into a size of measuring direction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25 c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asurement direction: 1 cm, stretched with an original length of 100 mm and a tensile rate of 300 mm/min, and Young's modulu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JIS-Z1702 (1994).

(4) 120℃에서의 영률(4) Young's modulus at 120°C

120℃에서의 영률은, 가부시키가이샤 오리엔테크사제 필름 강신도 측정 장치(AMF/RTA-100)를 사용하여, 120℃로 가열된 오븐 중에 척째 투입하고, 1분간 가열한 후, 인장 속도를 300㎜/분으로 하여 필름의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샘플을 측정 방향(주배향축 직교 방향): 25㎝, 측정 방향과 직각의 방향: 1㎝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원래 길이 100㎜, 인장 속도 300㎜/분으로 신장하고, JIS-Z1702(1994)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The Young's modulus at 120 ° C., using a film elongation measuring device (AMF/RTA-100)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put in an oven heated to 120 ° C., heated for 1 minute, and then the tensile rate was set to 300 mm /min, the film was subjected to a tensile test. The sample was cut to a size of 25 cm in the measurement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orientation axis): 1 c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asurement direction, and stretched at an original length of 100 mm and a tensile rate of 300 mm/min, JIS-Z1702 (1994). )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stipulated in

(5) 120℃에서의 최대점 응력(5) Maximum point stress at 120°C

120℃에서의 최대점 응력은, 가부시키가이샤 오리엔테크사제 필름 강신도 측정 장치(AMF/RTA-100)를 사용하여, 120℃로 가열된 오븐 중에 척째 투입하고, 1분간 가열한 후, 인장 속도를 300㎜/분으로 하여 필름의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샘플 파단 시의 하중값을 판독하고, 시험 전의 시료의 단면적(필름 두께×폭(10㎜))으로 나눈 값을 파단 강도의 응력으로서 산출하고, 측정은 각 샘플 5회씩 행하고, 그의 평균값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파단 강도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필름 두께는 상기 (1)에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The maximum point stress at 120 ° C., using a film elongation measuring apparatus (AMF/RTA-100)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was put in an oven heated to 120 ° C., and after heating for 1 minute, the tensile rate was determined The tensile test of the film was done at 300 mm/min. The load value at breakage of the sample is read, and the value divid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film thickness x width (10 mm)) of the sample before the test is calculated as the stress of breaking strength, and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5 times for each sample, and the average value is evaluated. was done. In addition, as the film thickness used for calculating the breaking strength, the value measured in (1) above was used.

(6) 최대 돌기 조도(St)(6) Maximum asperity roughness (St)

측정은 (주)료카 시스템 VertScan2.0 R5300GL-Lite-AC를 사용하여 행하고, 부속된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촬영 화면을 다항식 4차 근사로 면 보정하여 표면 형상을 구하였다. 또한, 최대 돌기 조도(St)란, 측정 영역 내의 높이 최댓값(Peak)과 높이 최솟값(Valley)의 차를 나타낸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측정은, 필름의 양면에 대해서 각각 n=3(측정 횟수=3회)으로 행하고, 각각의 면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각 면의 St로서 채용하였다. 또한, 필름의 양면의 St의 값 중, 큰 쪽의 값을 표에는 기재한다.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Ryoka System VertScan2.0 R5300GL-Lite-AC, and the surface shape was obtained by surface correction of the shooting screen by polynomial quaternary approximation with the attached analysis software. In addition, maximum protrusion roughness St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maximum value (Peak) and height minimum value (Valley) in a measurement area|region.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Measurement was per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film at n = 3 (number of measurements = 3 times), and the average value of each surface was obtained, thereby employing as St of each surface.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larger one is described in a table|surface among the values of St of both surfaces of a film.

제조원: 가부시키가이샤 료카 시스템Manufacturer: Ryoka System, Ltd.

장치명: VertScan2.0 R5300GL-Lite-ACDevice Name: VertScan2.0 R5300GL-Lite-AC

측정 조건: CCD 카메라 SONY HR-57 1/2인치Measurement conditions: CCD camera SONY HR-57 1/2 inch

대물 렌즈: 5xObjective Lens: 5x

중간 렌즈: 0.5xMedium Lens: 0.5x

파장 필터: 530㎚ whiteWavelength filter: 530nm white

측정 모드: WaveMeasurement mode: Wave

측정 소프트웨어: VS-Measure Version5.5.1Measurement software: VS-Measure Version5.5.1

해석 소프트웨어: VS-Viewer Version5.5.1Analysis software: VS-Viewer Version5.5.1

측정 영역: 1.252㎜×0.939㎜.Measurement area: 1.252 mm x 0.939 mm.

(7) 두께 불균일(7) thickness unevenness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준비하고, 필름을 10㎜ 폭으로 잘라내고, 주배향축 방향으로 50㎜ 간격으로 20점 측정하였다. 얻어진 20점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또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절댓값)를 구하고, 최솟값과 최댓값의 차의 절댓값을 평균값으로 나눈 값을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23℃ 65%RH의 분위기 하에서 접촉식의 안리쓰(주)제 전자 마이크로미터(K-312A형)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A polypropylene film was prepared, the film was cut out to a width of 10 mm, and 20 points were measured at intervals of 50 mm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obtained 20 points of data was obtained, and the difference (absolute valu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was obtained,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by the average value was defined as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of the film. In addition,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the contact-type Anritsu Co., Ltd. electron micrometer (K-312A type) in the atmosphere of 23 degreeC 65 %RH.

(8) 결정화 피크 온도(Tc)(8) crystallization peak temperature (Tc)

시차 주사 열량계(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 제 EXSTAR DSC6220)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중에서 3mg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각 층에 대하여 25℃로부터 250℃까지 20℃/min으로 승온하고, 5분간 유지하였다. 계속하여 250℃로부터 25℃까지 20℃/min으로 강온한다. 이 강온 시에 얻어지는 발열 커브의 피크 온도를,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화 온도(Tc)로 하였다. 또한 복수의 피크 온도를 관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80℃부터 130℃의 영역에서 가장 고온의 온도를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결정화 온도(Tc)로 하였다.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Seiko Instruments Co., Ltd. EXSTAR DSC6220),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25° C. to 250° C. at 20° C./min for each layer of 3 mg polypropylene film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held for 5 minutes. Then, it temperature-falls from 250 degreeC to 25 degreeC at 20 degreeC/min. The peak temperature of the exothermic curve obtained at the time of this temperature fall was made into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of a polypropylene film. In addition, when several peak temperature could be observed,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area|region of 80 degreeC - 130 degreeC was made into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of a polypropylene film.

(9) 가열 후의 컬 평가(9) Curl evaluation after heating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두께 40㎛의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제오노아 필름"(등록 상표)을 폭 100㎜, 길이 100㎜의 정사각형으로 샘플링하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A면과 "제오노아 필름"이 접촉하도록 겹치고, 그것을 2매의 아크릴판(폭 100㎜, 길이 100㎜)에 끼우고, 2kg의 하중을 가하고, 23℃의 분위기 하에서 1시간 정치 후, 120℃의 오븐 중에서 1시간 가열하고, 접합 샘플을 취출하였다. 제오노아 필름측을 아래로 하여 바닥에 두고, 컬링된 접합 샘플의 높이를 정규로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 polypropylene film and a 40 µm thick "Zeonoa Film"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were sampled in a 100 mm wide and 100 mm long square, and the A side of the polypropylene film and the "Zeonoa Film" were They are overlapp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andwiched between two acrylic plates (width 100 mm, length 100 mm), a load of 2 kg is applied, and after standing in an atmosphere of 23° C. for 1 hour, heated in an oven at 120° C. for 1 hour, and joined. A sample was taken. The Zeonoa film side wa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height of the curled bonding sample was measured regularly, and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valuated.

S: 컬링된 접합 샘플의 높이가 5㎜ 미만이다.S: The height of the curled joint sample is less than 5 mm.

A: 컬링된 접합 샘플의 높이가 5㎜ 이상 10㎜ 미만이다.A: The height of the curled bonding sample is 5 mm or more and less than 10 mm.

B: 컬링된 접합 샘플의 높이가 10㎜ 이상 15㎜ 미만이다.B: The height of the curled bonding sample is 10 mm or more and less than 15 mm.

C: 컬링된 접합 샘플의 높이가 15㎜ 이상이다.C: The height of the curled bonding sample is 15 mm or more.

(10) 점착층을 갖는 점착 필름의 평면성(10) Planarity of an adhesive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코어에 권취한 500㎜ 폭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필름을 1m만큼 권출하고, 프리 텐션(필름의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늘어뜨린 상태) 및 필름 폭 전체에 불균일 없이 균일하게 1kg/m, 및 3kg/m의 텐션을 부가하고, 주름이나 움푹 파임과 같은 평면성 불량 개소의 유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The adhesive film having a 500 mm width adhesive layer wound on the core is unwound by 1 m, and uniformly 1 kg / m, and 3 kg without pre-tension (the state dang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film) and the entire width of the film. A tension of /m was add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reas with poor flatness such as wrinkles or dents was visually confirmed.

S: 프리 텐션에서 평면성 불량의 개소가 없다.S: There is no location of flatness defect in pre-tension.

A: 프리 텐션에서는 평면성 불량의 개소가 보이고, 1kg/m 폭의 텐션에서는 사라지는 것.A: Points with poor flatness are seen in pre-tension, and disappears in tension of 1 kg/m width.

B: 1kg/m 폭의 텐션에서는 평면성 불량의 개소가 보이고, 3kg/m 폭의 텐션에서는 사라지는 것.B: Points with poor planarity are seen with a tension of 1 kg/m width, and disappearing with a tension of 3 kg/m width.

C: 3kg/m 폭의 텐션에서도 평면성 불량의 개소가 사라지지 않는 것.C: The point where the flatness defect does not disappear even with a tension of 3 kg/m width.

(9) 점착층을 갖는 점착 필름의 폭 수축성(9) Width shrinkability of adhesive film having adhesive layer

500㎜ 폭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점착층용의 도포제를 도공 후, 100℃의 건조로로 유도하고, 30초간 200N의 장력으로 반송하고, 도포제 중의 용매를 제거하여 점착 필름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과 점착 필름의 폭을 메이저로 측정하고, 이하의 식을 바탕으로 폭 수축률을 산출하였다.After coating the coating agent for the adhesion layer on the polypropylene film of 500 mm width, it guide|induced to a 100 degreeC drying furnace, conveyed with the tension|tensile_strength of 200N for 30 second, the solvent in the coating agent was removed, and the adhesive film was obtained. The width of the polypropylene film and the width of the adhesive film were measured with a maser, and the width shrinkag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폭 수축률(%)=(500-점착 필름 폭)/500×100Width shrinkage (%) = (500-adhesive film width)/500×100

산출한 폭 수축률을 바탕으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Based on the calculated width contraction rate, the following references|standards evaluated.

S: 폭 수축률이 0.5% 미만이다.S: Width contraction rate is less than 0.5 %.

A: 폭 수축률이 0.5% 이상 1.0% 미만이다.A: Width contraction rate is 0.5 % or more and less than 1.0 %.

B: 폭 수축률이 1.0% 이상 2.0% 미만이다.B: Width contraction rate is 1.0 % or more and less than 2.0 %.

C: 폭 수축률이 2.0% 이상이다.C: Width contraction rate is 2.0 % or more.

(실시예 1)(Example 1)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스미토모 가가꾸(주)사제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A(MFR: 7.5g/10분, 융점: 163℃, CXS: 1.0%) 98.5질량부와, 지글러 나타 촉매계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Profax PF-814)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주)프라임 폴리머사제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MFR: 4.0g/10분, 융점: 166℃, CXS: 1.7%) 98.5질량부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B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6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102℃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55℃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48℃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0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80℃에서 5초간 예열 후, 170℃에서 9.6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4%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7℃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surface layer (I), 98.5 mass parts of Sumitomo Chemical Co., Ltd.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A (MFR: 7.5 g/10 min, melting|fusing point: 163 degreeC, CXS: 1.0%), and Ziegler-Natta catalyst type branched chain 1.5 parts by mass of dry blend of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Profax PF-814) is f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as a raw material for the inner layer (II), homopolypropylene manufactured by Prime Polymer Co., Ltd. Raw material C (MFR: 4.0 g/10 min, melting point: 166° C., CXS: 1.7%) 98.5 parts by mass and 1.5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B are dry blended, and a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is supplied to, melt extrusion is performed at 260 ° C., and foreign matter is removed with a sintered filter of 20 µm cut, and then laminated at a thickness ratio of 1/10/1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102 ° C It was discharged to the casting drum in which the furnace surfac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nd it was made to closely_contact|adhere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and the unstretched sheet|sea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55° 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the rolls at 148° 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80° C. for 5 seconds, stretched 9.6 times at 170° C., and heat-treated at 167° C. while providing 14%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실시예 2)(Example 2)

프라임 폴리머(주)사제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MFR: 3.0g/10분, 융점: 164℃, CXS: 3.3%) 90질량부, 미쓰이 가가쿠(주)사제 4-메틸-1-펜텐계 중합체 「MX004」(융점: 230℃) 10질량부가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260℃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고,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상으로 커트하여 폴리프로필렌 원료 (1)을 얻었다.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98질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1) 2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98.5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6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2/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93℃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53℃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28℃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9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79℃에서 5초간 예열 후, 173℃에서 9.5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1%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48℃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Prime Polymer Co., Ltd.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MFR: 3.0 g/10 min, melting point: 164° C., CXS: 3.3%) 90 parts by mass, Mitsui Chemicals Co., Ltd. 4-methyl-1-pentene polymer 10 parts by mass of "MX004" (melting point: 230 ° C.) is supplied from the metering hopper to the twin screw extruder so that 10 parts by mass are mixed in this ratio, melt-kneaded at 260 ° C., discharged from the die in the form of strands, and cooled in a water bath at 25 ° C. It solidified and cut into chips to obtain a polypropylene raw material (1). 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8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and 2 parts by mass of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1)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the inner layer ( As a raw material for II), 98.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and 1.5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at 260° C. After melt extrusion and removal of foreign matter with a sintered filter of 20 μm cut, it was laminated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1/12/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t 93° C. It was discharged to the drum, and it was made to closely_contact|adhere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and the unstretched sheet|sea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53°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9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rolls at 128°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79°C for 5 seconds, stretched 9.5 times at 173°C, and heat-treated at 148°C while providing 11%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실시예 3)(Example 3)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98질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1) 2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70질량부,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30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8/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58℃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44℃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38℃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4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76℃에서 5초간 예열 후, 167℃에서 8.8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9%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3℃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8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A and 2 parts by mass of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1)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the inner layer ( As a raw material for II), 70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and 30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A are dry blended, f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and melted at 250° C. After extrud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ith a sintered filter having a cut of 20 µm, it was laminated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1/8/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t 58 ° C. was discharged to, and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44°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4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rolls at 138°C with a difference in circumferential speed.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76°C for 5 seconds, stretched 8.8 times at 167°C, and heat-treated at 163°C while giving 9%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실시예 4)(Example 4)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95.7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2.3질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1) 2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97.7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2.3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110℃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59℃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25℃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1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80℃에서 5초간 예열 후, 175℃에서 10.2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4%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4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5.7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2.3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nd 2 parts by mass of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1) are dry blended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is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of a single screw, and as a raw material for the inner layer (II), 97.7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and 2.3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re dry blended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It is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melt-extruded at 250° C., and foreign matter is removed with a sintered filter having a cut of 20 μm, followed by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1/10/1. It laminated|stacked, it discharged to the casting drum which controlled the surface temperature at 110 degreeC, it was made to adhere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and the unstretched sheet|sea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59°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1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the rolls at 125°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80° C. for 5 seconds, stretched 10.2 times at 175° C., and heat-treated at 140° C. while providing 14%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실시예 5)(Example 5)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98.5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100질량부를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65℃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52℃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32℃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6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77℃에서 5초간 예열 후, 169℃에서 6.8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6%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7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8.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and 1.5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the inner layer As a raw material for (II), 100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is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melt extrusion is performed at 250° C., and foreign matter is removed by a sintered filter having a cut of 20 μm. After removal, it is laminated at a thickness ratio of 1/10/1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discharged to a casting drum whose surface temperature is controlled at 65° C., and adhered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 an unstretched shee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52°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rolls at 132°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77° C. for 5 seconds, stretched 6.8 times at 169° C., and heat-treated at 170° C. while giving 16%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실시예 6)(Example 6)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95질량부, 메탈로센 촉매계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니혼 폴리프로사제 WAYMAX MFX3)를 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100질량부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55℃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46℃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33℃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4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76℃에서 5초간 예열 후, 166℃에서 7.8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1%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53℃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7㎛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and 5 parts by mass of a metallocene catalyst-based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WAYMAX MFX3 manufactured by Nippon Polypro Co., Ltd.) were dry blended to prepare the surface layer (I) layer 100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as a raw material for the inner layer (II) is f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and f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and melt extrusion is performed at 250 ° C. ,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ith a sintered filter with a cut of 20 μm, stacked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1/10/1, and discharged to a casting drum whose surface temperature is controlled at 55° C. , it was made to closely_contact|adhere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and the unstretched sheet|sea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46° 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4.4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rolls at 133° 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76°C for 5 seconds, stretched 7.8 times at 166°C, and heat-treated at 153°C while providing 11%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up around the core, and the 7-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공중합 조성이 프로필렌 성분 98.4질량부, 에틸렌 성분 1.6질량부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MFR: 2.0g/10분)를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80℃에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60℃의 냉각 롤 상에서 냉각 고화한 후, 141℃로 설정한 가열 롤 연신기에 의해 4.4배 세로 연신하고, 계속하여 162℃로 설정한 텐터 연신기로 9.2배 가로 연신하고, 가로 연신 후에 170℃에서 열처리하여, 30㎛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 polypropylene resin (MFR: 2.0 g/10 min) having a copolymer composition of 98.4 parts by mass of a propylene component and 1.6 parts by mass of an ethylene component is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extruded from a T-die at 280 ° C. After being cooled and solidified on a cold roll, 4.4 times longitudinally stretched by a heating roll stretching machine set at 141 ° C., then 9.2 times horizontally stretched by a tenter stretching machine set at 162 ° C. After transverse stretching, heat treatment at 170 ° C., 30 A ㎛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니혼 폴리프로(주)사제 「노바테크 SA4L」(MFR=5.0/10분)을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30℃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35℃에서 4.5배로 세로 연신하고, 계속하여 양단을 클립으로 집고, 열풍 오븐 중으로 유도하여 169℃에서 예열 후, 160℃에서 8.2배로 가로 연신하고, 계속하여 6.7%의 완화율로 완화시키면서 168℃에서 열처리하여 4㎛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Novatech SA4L" (MFR=5.0/10 min) manufactured by Nippon Polypro Co., Ltd. was suppli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extruded from a T-die at 250°C into a sheet, and cooled and solidified with a cooling roll at 30°C. Then, it is longitudinally stretched 4.5 times at 135° C., then both ends are clamped with clips, guided into a hot air oven, preheated at 169° C., stretched transversely at 8.2 times at 160° C., and continuously relaxed at a relaxation rate of 6.7% 168 It was heat-treated at ℃ to obtain a polypropylene film of 4㎛.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75질량부, 탄산칼슘 입자(산쿄 세훈(주) 제, 2480K, 입자경: 6㎛) 25질량부를 드라이 블렌드하고, 내층 (II)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표층 (I)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24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8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B/A/B 복합 T 다이로 1/5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30℃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에 토출하여 캐스트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복수의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40℃로 예열을 행하고,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6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65℃에서 3초간 예열 후, 160℃에서 8.0배로 연신하였다. 계속되는 열처리 공정에서, 폭 방향으로 10%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30℃에서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7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25 parts by mass of calcium carbonate particles (manufactured by Sankyo Sehun Co., Ltd., 2480K, particle diameter: 6 µm) are dry blended, and fed to a single screw melt extruder for inner layer (II),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is supplied to a single-axis melt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melt-extruded at 240° C., and foreign matter is removed with a sintered filter having an 80 μm cut, and then a feed block type B/A/B It laminated|stacked at the thickness ratio of 1/50/1 with composite T-die, it discharged to the cast drum which controlled the surface temperature at 30 degreeC, and obtained the cast sheet. Next, it preheated to 140 degreeC using several ceramic rolls, and extended|stretched 4.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wa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and after preheating at 165°C for 3 seconds, it was stretched 8.0 times at 160°C.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step,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160° C. while applying 10%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through a cooling step at 130° C., it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tenter, the clip at the end of the film is released, and the film is placed on the core. It wound up and obtaine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99.7질량부, β정 핵제인 N,N'-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아미드(신니혼 리카(주)제, NU-100)를 0.3질량부, 또한 산화 방지제인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제 IRGANOX(등록 상표) 1010, IRGAFOS(등록 상표) 168을 각각 0.1질량부씩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300℃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고,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상으로 커트하여 폴리프로필렌 원료 (2)를 얻었다.99.7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A, 0.3 parts by mass of N,N'-dicyclohexyl-2,6-naphthalenedicarboxamide (New Nippon Rica Co., Ltd., NU-100), which is a β-tablet nucleating agent, In addition, the antioxidants,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1010 and IRGAFOS (registered trademark) 168 manufactured by Ciba Specialty Chemicals, are supplied from a metering hopper to the twin-screw extruder so that 0.1 parts by mass each are mixed in this ratio, and melt-kneaded at 300 ° C., Discharged from the die in the form of strands, solidified by cooling in a water bath at 25°C, and cut into chips to obtain a polypropylene raw material (2).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D를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료 (2)를 표층 (I)층용의 단축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24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6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 복합 T 다이로 8/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90℃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에 토출하여 캐스트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복수의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25℃로 예열을 행하고,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4.6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65℃에서 3초간 예열 후, 160℃에서 8.0배로 연신하였다. 계속되는 열처리 공정에서, 폭 방향으로 10%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6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30℃에서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1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D is fed to a single-screw melt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and the polypropylene raw material (2) is fed to a single-screw melt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melt extrusion is performed at 240 ° C. ,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ith a sintered filter of 60 µm cut, it was laminated with a feed block type A/B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8/1, and discharged to a cast drum whose surfac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t 90° C. to obtain a cast sheet . Then, it preheated at 125 degreeC using several ceramic rolls, and extended|stretched 4.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wa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and after preheating at 165°C for 3 seconds, it was stretched 8.0 times at 160°C.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step,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160° C. while applying 10%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tenter through a cooling step at 130° C., the clip at the end of the film is released, and the film is applied to the core. It wound up and obtained the 1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표층 (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A를 98.5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여 표층 (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내층 (II)용의 원료로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원료 C를 98.5질량부, 상기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원료 B를 1.5질량부 드라이 블렌드하고, 내층 (II)층용의 단축의 1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고, 20㎛ 커트의 소결 필터로 이물을 제거 후, 피드 블록형의 A/B/A 복합 T 다이로 1/10/1의 두께비로 적층하고, 35℃로 표면 온도를 제어한 캐스팅 드럼에 토출하고, 에어 나이프에 의해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해당 시트를 세라믹 롤을 사용하여 153℃로 예열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148℃의 롤 사이에서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3.7배 연신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텐터식 연신기에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시켜서 도입하고, 180℃에서 5초간 예열 후, 178℃에서 7.2배로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16%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7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0℃의 냉각 공정을 거쳐서 텐터의 외측으로 유도하고, 필름 단부의 클립을 해방하고, 필름을 코어에 권취하여, 두께 25㎛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surface layer (I), 98.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A and 1.5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I) layer, and the inner layer As a raw material for (II), 98.5 parts by mass of the homopolypropylene raw material C and 1.5 parts by mass of the branched polypropylene raw material B are dry blended,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single screw extruder for the inner layer (II) layer, 250 Perform melt extrusion at ° C, remove foreign substances with a sintered filter of 20 μm cut, and then laminate with a feed block type A/B/A composite T die at a thickness ratio of 1/10/1, and control the surface temperature at 35 ° C. It was discharged to one casting drum, and it was made to closely_contact|adhere to the casting drum with an air knife, and the unstretched sheet|seat was obtained. Subsequently, the sheet was preheated to 153° C. using a ceramic roll, and stretched 3.7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between rolls at 148° C.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Next, the tenter type stretching machine is introduced by gripping the end with a clip, preheated at 180° C. for 5 seconds, stretched 7.2 times at 178° C., and heat-treated at 170° C. while giving 16% relax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It guide|induced to the outside of a tenter through a 100 degreeC cooling process, the clip of the film edge part was released, the film wa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25-micrometer-thick polypropylene film was obtained.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직쇄상 폴리프로필렌으로서 메소펜타드 분율이 98.5%이고,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2.6g/10분인 프라임 폴리머(주)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질량부에, Basell사제 분지쇄상 폴리프로필렌 수지(고용융 장력 폴리프로필렌 Profax PF-814 메소펜타드 분율 91.0%)를 0.5질량부 블렌드하고, 온도 250℃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수지 온도를 250℃에서 T형 슬릿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해당 용융 시트를 90℃로 유지된 직경 1m의 캐스팅 드럼 상에서, 에어 나이프 온도 90℃, 에어 속도 140m/s로 냉각 고화하였다. 이어서, 해당 시트를 서서히 140℃로 예열하고, 계속하여 145℃의 온도로 유지하고, 주속차를 마련한 롤 사이에 통과시켜서, 길이 방향으로 4.8배로 연신하였다. 그 때, 연신부에서 라디에이션 히터(출력 3.5kW)를 사용하여 열량을 보충하여 연신하였다. 계속하여 해당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고, 연신 온도 160℃에서 폭 방향으로 10배 연신하고, 이어서 폭 방향으로 토탈 23%의 이완율로 3단계로 이완하였다(제1 단계는 12.0%, 제2 단계는 9.0%, 제3 단계는 3.9%이다.). 열 고정 온도 150℃, 냉각 온도 140℃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실온에서 5초간 급랭하여, 필름 두께가 3.0㎛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s a linear polypropylene, the mesopentad fraction is 98.5%, and the melt mass flow rate (MFR) is 2.6 g/10 min. 100 parts by mass of a polypropylene resin manufactured by Prime Polymer Co., Ltd., a branched polypropylene resin manufactured by Basell Corporation (high 0.5 parts by mass of melt tension polypropylene Profax PF-814 mesopentad fraction 91.0%) is blended, fed to an extruder at a temperature of 250° C., and melt-extruded from a T-slit die at a resin temperature of 250° C. into a sheet, and the The molten sheet was cooled and solidified on a casting drum having a diameter of 1 m maintained at 90° C. at an air knife temperature of 90° C. and an air velocity of 140 m/s. Next, the sheet was gradually preheated to 140°C, then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45°C, passed between rolls provid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and stretched 4.8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at time, the stretching part was performed by supplementing the amount of heat by using a radiation heater (output 3.5 kW). Subsequently, the film was guided by a tenter, stretched 1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160° C., and then relaxed in three steps in the width direction at a total relaxation rate of 23% (12.0% in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in the second stage) is 9.0%, and the third stage is 3.9%). It heat-processed at the heat setting temperature of 150 degreeC, and the cooling temperature of 140 degreeC, and it quenched for 5 second at room temperature after that, and obtained the biaxially-oriented polypropylene film whose film thickness is 3.0 micrometers.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film.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또한, 표 중의 「주배향축 직교 방향」이란,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in the table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포장용 필름, 이형 필름, 공정 필름, 위생용품, 농업용품, 건축용품, 의료용품 등 여러가지 용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열성, 기계 강도, 이형성, 품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피착체와 접합한 후, 고온의 공정을 통과하는 이형 필름, 공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propylen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ackaging films, release films, process films, hygiene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construction products, and medical products. In particular, since it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releasability, and quality, i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release film or a process film that passes through a high-temperature process after bonding to an adherend.

Claims (12)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모두 400mN 이하이고,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모두 1.8GPa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A polypropylene film, wherein both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 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are 400 mN or less, and the Young's modulus in both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1.8 GPa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력이 20mN 이상이 될 때의 온도가 모두 116℃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whe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is 20 mN or more is 116°C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향축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최대점 응력이 모두 80MPa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ximum point stress at 120°C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lignment axis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s 80 MPa or mor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최대 돌기 조도 St가 200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ximum protrusion roughness St of at least one side is 2000 nm or mo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향축 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6.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thickness non-uniformity in the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is less than 6.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40℃에서의 열 수축력이 95mN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thermal contraction force at 140°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is 95 mN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120℃에서의 영률(GPa)에, 필름의 두께(㎛)를 곱셈한 값이 1.5(GPa·㎛)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Young's modulus (GPa) at 120°C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lignment axis direction by the thickness (μm) of the film is 1.5 (GPa·μ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 or more, a polypropylene fil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6㎛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polypropylen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at least 6 μm.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냉크실렌 가용부(CXS)가 3.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층인, 폴리프로필렌 필름.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t least one layer contains 50%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of polypropylene having a cold xylene soluble part (CXS) of 3.5% or less. layered, polypropylene film.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이며, 적어도 1층은, 시차 주사 열량계 DSC로 25℃로부터 250℃까지 20℃/min으로 승온하고, 계속하여 250℃로부터 25℃까지 20℃/min으로 강온했을 때의 결정화 피크 온도(Tc)가 11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필름.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it has a laminated configuration of two or more layers, wherein at least one layer is heated from 25°C to 250°C at 20°C/min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then from 250°C The polypropylene film whose crystallization peak temperature (Tc) when temperature-falling at 20 degreeC/min to 25 degreeC is 110 degreeC or mor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층을 갖는 점착 필름.The adhesive film which has an adhesive layer on at least single side|surface of the polypropylene film in any one of Claims 1-1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이형 필름.The release film using the polypropylene film in any one of Claims 1-10.
KR1020217028005A 2019-03-28 2020-03-25 polypropylene film KR202101480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195 2019-03-28
JPJP-P-2019-063195 2019-03-28
PCT/JP2020/013262 WO2020196602A1 (en) 2019-03-28 2020-03-25 Polypropylen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096A true KR20210148096A (en) 2021-12-07

Family

ID=7260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005A KR20210148096A (en) 2019-03-28 2020-03-25 polypropylene fil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0196602A1 (en)
KR (1) KR20210148096A (en)
CN (1) CN113490704B (en)
TW (1) TWI824130B (en)
WO (1) WO20201966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210693A1 (en) 2021-03-31 2022-10-06
JPWO2022210688A1 (en) 2021-03-31 2022-10-06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017A (en) 2001-07-31 2003-02-13 Tokuyama Corp Polypropylene thermoforming sheet laminating film
JP2014051657A (en) 2012-08-09 2014-03-20 Toyobo Co Ltd Polypropylene film
WO2014148547A1 (en) 2013-03-22 2014-09-25 東レ株式会社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WO2016006578A1 (en) 2014-07-09 2016-01-14 東レ株式会社 Polypropylene film and release film
JP2017125184A (en) 2016-01-07 2017-07-20 東レ株式会社 Polypropylene film and mold release fil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0419B (en) * 2004-04-22 2012-08-29 东丽株式会社 Microporous polypropylene film
JP6790398B2 (en) * 2015-03-27 2020-11-25 東レ株式会社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 film laminated film and film capacitors
WO2017022786A1 (en) * 2015-08-06 2017-02-09 東レ株式会社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roll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JP6988244B2 (en) * 2016-08-10 2022-01-05 東レ株式会社 Polypropylene film ro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017A (en) 2001-07-31 2003-02-13 Tokuyama Corp Polypropylene thermoforming sheet laminating film
JP2014051657A (en) 2012-08-09 2014-03-20 Toyobo Co Ltd Polypropylene film
WO2014148547A1 (en) 2013-03-22 2014-09-25 東レ株式会社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WO2016006578A1 (en) 2014-07-09 2016-01-14 東レ株式会社 Polypropylene film and release film
JP2017125184A (en) 2016-01-07 2017-07-20 東レ株式会社 Polypropylene film and mold releas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4130B (en) 2023-12-01
CN113490704B (en) 2023-10-31
CN113490704A (en) 2021-10-08
JPWO2020196602A1 (en) 2020-10-01
WO2020196602A1 (en) 2020-10-01
TW202102592A (en) 202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37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KR102517720B1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rolls
JP7205611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JP7235151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CN112888729B (en) Polypropylene film and release film
KR20210148096A (en) polypropylene film
JP7070426B2 (en) Laminated polypropylene film
JP6217693B2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N114502374B (en) Polyolefin film
WO2022210688A1 (en) Polypropylene film
WO2022210693A1 (en) Polypropylene film
JP7355172B2 (en) polyolefin film
JP2016064654A (en) Biaxial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6249044B2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JP2023095426A (en) Releas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nd release film
JP2023098108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for adhesive use and adhesive film
WO2020071291A1 (en) Polyolefin film and release film
JP2018031024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