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332A -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332A
KR20210147332A KR1020200064391A KR20200064391A KR20210147332A KR 20210147332 A KR20210147332 A KR 20210147332A KR 1020200064391 A KR1020200064391 A KR 1020200064391A KR 20200064391 A KR20200064391 A KR 20200064391A KR 20210147332 A KR20210147332 A KR 2021014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arboxylic acid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acid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0620B1 (en
Inventor
김경연
김형모
김성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20B1/en
Priority to JP2021083240A priority patent/JP7282124B2/en
Priority to PCT/KR2021/006204 priority patent/WO2021241931A1/en
Priority to EP21174589.8A priority patent/EP3916036A1/en
Priority to US17/326,489 priority patent/US20210380757A1/en
Priority to CN202110592503.2A priority patent/CN113736069B/en
Publication of KR2021014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strength and processability by comprising a specific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an improve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strength, and processability as compared with polylactic acid, which is a natural biodegradable polymer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film, a packaging material, and a nonwoven fabric.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구현예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생활 용품 특히, 일회용 제품의 처리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재료는 저렴하면서 가공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필름, 섬유, 포장재, 병, 용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들을 제조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사용된 제품의 수명이 다하였을 때 소각 처리시에는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고, 자연적으로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종류에 따라 수백 년이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ecently, as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processing various household items, in particular, disposable products is required. Specifically, polymer materials are inexpensive and have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processability, so they are widely used to manufacture various products such as films, fibers, packaging materials, bottles, and containers.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takes hundreds of years for the material to be discharged and completely decomposed in nature.

이러한 고분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훨씬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은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식물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유래되므로 쉽게 얻을 수 있어 널리 활용되어 왔으나, 폴리유산은 낮은 내열 온도, 낮은 성형성 등의 물성적인 한계와 늦은 생분해 속도로 인해 그 사용 용도가 제한적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olymers, research on biodegradable polymers that decompose in a much faster tim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Polylactic acid (PLA) is a natural biodegradable polymer that is derived from plant biomass resources and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it can be obtained easily. Therefore, its use is limited.

특히, 부직포는 직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한 뒤 합성 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최근에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티슈, 행주, 포장재, 마스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폴리유산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 유연성이 낮고 뻑뻑하여 사용감이나 착용감이 매우 좋지 않다. In particular, the nonwoven fabric is made into a felt shape by arranging fibers in parallel or in an irregular direction without going through a weaving process and bonding them with a synthetic resin adhesive. Recently, disposable tissues, dishcloths, packaging materials, masks, etc. Although it is widely use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nonwoven fabric with polylactic acid, it has low flexibility and is stiff, so the feeling of use or wearing is not very good.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79770호는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방사를 통해 제조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개시하고 있으나,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은 서로 상용성이 좋지 않아 가공성이 낮고, 피시 아이(fish eye)와 같은 움푹 파인 결함이 생길 수 있어 부직포의 품질이 낮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0079770 discloses a 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flexibility by being manufactured through polylactic acid and polypropylene blend spinning, but polylactic acid and polypropylene have poor compatibility with each other, so processability is low, and fish eye The qual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low because dent defects such as fish eyes may occur.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7977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79770

따라서, 구현예는 생분해성, 유연성, 강도 및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strength and processability,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wherein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The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from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wherein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s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their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rivatives,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예비 중합체를 중축합 반응을 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로부터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을 방사하여 부직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preparing a prepolymer by esterify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preparing a polymer by subjecting the prepolymer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preparing pellets from the polymer; and spinning the pellets to prepare a nonwoven layer,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includes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특정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강도, 가공성 및 유연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Since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pecific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trength, processability, and flexibility can all be improved without inhibiting biodegradability, so it is applied to more diverse fields and has excellent properties can exert

특히,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층을 포함함으로써, 사용감 및 착용감이 좋으며 피시 아이와 같은 결함이 거의 없으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he feeling and wearing comfort are good, and the quality is excellent because there are almost no defects such as fish eyes.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는 포장재, 마스크, 행주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에 적용시 착용감이 매우 우수하다. Therefore,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can be easily applied to products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masks, and dishcloths, and 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a mask, it is very comfortable to wear.

도 1은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마스크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mask manufactured us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ask of FIG. 1 taken along X-X', respectively.
4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구현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gist of the invention is not chang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물성 값,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 범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numerical ranges indicating physical property values, dimensions, etc.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odified by the term "about" in all cas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actually applied.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wherein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The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디올 성분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The diol component includes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구체적으로, 상기 디올 성분은 상기 디올 성분 총 몰수를 기준으로 95 몰% 이상, 98 몰% 이상, 99 몰% 이상 또는 100 몰%의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이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성, 유연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디올 성분이 1,4-부탄디올로만 구성되는 경우, 생분해성, 유연성 및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ol component may include 95 mol% or more, 98 mol% or more, 99 mol% or more, or 100 mol% of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diol component. When the diol component includes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and strength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when the diol component is composed of only 1,4-butanediol,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and strength can be maximized.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산일 수 있다.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Specifically, the first dicarboxylic acid may be terephthalic acid or dimethyl terephthalic acid.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총 몰수를 기준으로 45 몰% 이상, 50 몰% 이상, 55 몰% 이상, 60 몰% 이상, 70 몰% 이상, 45 몰% 내지 80 몰%, 45 몰% 내지 75 몰% 또는 50 몰% 내지 70 몰%의 제 1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45 mol% or more, 50 mol% or more, 55 mol% or more, 60 mol% or more, 70 mol% or more, 45 mol% to 80 mol%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ole %, 45 mole % to 75 mole % or 50 mole % to 70 mole %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또는 숙신산일 수 있다.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Specifically,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may be adipic acid or succinic acid.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총 몰수를 기준으로 45 몰% 이상, 50 몰% 이상, 55 몰% 이상, 60 몰% 이상, 70 몰% 이상, 45 몰% 내지 80 몰%, 45 몰% 내지 75 몰% 또는 50 몰% 내지 70 몰%의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45 mol% or more, 50 mol% or more, 55 mol% or more, 60 mol% or more, 70 mol% or more, 45 mol% to 80 mol%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ole %, 45 mole % to 75 mole % or 50 mole % to 70 mole % of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상기 디올 성분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몰비는 1 내지 2 :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올 성분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몰비는 1 내지 1.8 : 1, 1.1 내지 1.8 : 1 또는 1.3 내지 1.6 : 1일 수 있다.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몰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황변과 같은 변색 없이 생분해성, 강도 및 가공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olar ratio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1 to 2:1. For example, the molar ratio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1 to 1.8:1, 1.1 to 1.8:1, or 1.3 to 1.6:1. When the molar ratio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atisfies the above range, biodegradability, strength, and processability can all be improved without discoloration such as yellowing.

또한,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의 몰비는 0.5 내지 2 :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의 몰비는 0.5 내지 1.5 : 1, 0.7 내지 1.3 : 1 또는 0.8 내지 1.2 : 1일 수 있다.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제 2 디카르복실산의 몰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생분해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ar ratio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may be 0.5 to 2:1. For example, the molar ratio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may be 0.5 to 1.5:1, 0.7 to 1.3:1, or 0.8 to 1.2:1. When the molar ratio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satisfies the above range, biodegradability and processability may be improved.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나노 셀룰로오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및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또는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가 강도 및 열적 특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성, 강도 및 열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nano-cellulose. Specifically,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one or more kinds of nano cellul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nanocrystals, cellulose nanofibers and microfibrillated cellulose, and the cellulose nanocrystals or cellulose nanofibers have strength and thermal properties.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By further including the nano-cellulose in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ility, strength and thermal properties may be further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는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프로필 셀룰로오스, 부틸 셀룰로오스, 펜틸 셀룰로오스, 헥실 셀룰로오스 및 사이클로헥실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nano cellulose is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methyl cellulose, ethyl cellulose, propyl cellulose, butyl cellulose, pentyl cellulose, hexyl cellulose an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hexyl cellulose.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직경은 1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직경은 1 nm 내지 95 nm, 5 nm 내지 90 nm, 10 nm 내지 80 nm, 1 nm 내지 50 nm, 5 nm 내지 45 nm, 10 nm 내지 60 nm, 1 nm 내지 10 nm, 10 nm 내지 30 nm 또는 15 nm 내지 50 nm일 수 있다. The nano-cellulose may have a diameter of 1 nm to 100 nm.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nano-cellulose is 1 nm to 95 nm, 5 nm to 90 nm, 10 nm to 80 nm, 1 nm to 50 nm, 5 nm to 45 nm, 10 nm to 60 nm, 1 nm to 10 nm, 10 nm to 30 nm or 15 nm to 50 nm.

또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길이는 5 nm 내지 1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길이는 5 nm 내지 1 ㎛, 10 nm 내지 150 nm, 20 nm 내지 300 nm, 200 nm 내지 500 nm, 100 nm 내지 10 ㎛, 500 nm 내지 5 ㎛, 300 nm 내지 1 ㎛, 1 ㎛ 내지 10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nano-cellulose may be 5 nm to 10 μm.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nano-cellulose is 5 nm to 1 μm, 10 nm to 150 nm, 20 nm to 300 nm, 200 nm to 500 nm, 100 nm to 10 μm, 500 nm to 5 μm, 300 nm to 1 μm, may be 1 μm to 10 μm.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직경 및 길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강도, 특히 인열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nano-cellulose satisfy the above ranges, strength, in particular, tear strength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2.5 중량%, 0.05 중량% 내지 2 중량%, 0.07 중량% 내지 1.8 중량% 또는 0.07 중량% 내지 1.2 중량% 일 수 있다. 나노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생분해성 및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nano-cellulose may be 0.01 wt% to 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nano-cellulose may be 0.01 wt% to 2.5 wt%, 0.05 wt% to 2 wt%, 0.07 wt% to 1.8 wt%, or 0.07 wt% to 1.2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When the content of nano-cellulose satisfies the above range, biodegradability and strength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티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 삼산화안티몬, 디부틸틴옥사이드,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안티모니아세테이트, 칼슘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옥사이드, 게르마늄메톡사이드, 게르마늄에톡사이드, 테트라메틸게르마늄, 테트라에틸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게르마늄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germanium-based catalyst. Specifically,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is titanium isopropoxide, antimony trioxide, dibutyltin oxide, tetrapropyl titanate, tetrabutyl titanate, tetraisopropyl titanate, antimony acetate, calcium acetate and magnesium acetate. One or more titanium-based catalys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one or more germanium-based catalys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rmanium oxide, germanium methoxide, germanium ethoxide, tetramethyl germanium, tetraethyl germanium and germanium sulfide may be included. .

또한,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내지 1,000 pp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내지 800 ppm, 150 ppm 내지 700 ppm, 200 ppm 내지 500 ppm 또는 250 ppm 내지 450 ppm의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황변과 같은 변색 없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catalyst may be 100 ppm to 1,000 ppm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s 100 ppm to 800 ppm, 150 ppm to 700 ppm, 200 ppm to 500 ppm or 250 ppm to 450 ppm of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germanium-based catalys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include When the content of the catalyst satisfies the above range, processability can be improved without discoloration such as yellowing.

생분해성 부직포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from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wherein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s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their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rivatives,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may include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도 1은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1)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마스크를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의 용도가 마스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은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가 적용된 마스크를 예시한 것이다. 1 shows a mask 1 manufactured us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ask of FIG. 1 taken along X-X', respectively. The use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not limited to the mask, and FIG. 1 illustrates a mask to which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applied.

구체적으로, 도 2는 부직포층(100)의 일면에 항균성 코팅층(200)이 형성된 생분해성 부직포(2)를 예시하고 있고, 도 3은 부직포층(100)의 양면에 항균성 코팅층(200)이 형성된 생분해성 부직포(2)를 예시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는 내면 또는 외면에 항균성 코팅층(200)이 형성된 마스크(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내면 및 외면에 항균성 코팅층(200)이 형성된 마스크(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Specifically, FIG. 2 illustrates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2 having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20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100 , and FIG. 3 is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100 .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2) is illustrated. More specifically, FIG.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1 having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2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outer surfac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1 having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2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outer surface. have.

이와 같이,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한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항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를 식품이나 의료용 포장재로 사용시 식품이 변질되거나 의료용 제품에 미생물이 성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may further improve antibacterial properties by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loc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refore, when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s used as a food or medical packag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ood deterioration or growth of microorganisms in medical products.

상기 항균성 코팅층은 상기 항균성 코팅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은나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은나노의 함량은 상기 항균성 코팅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8 중량%, 0.5 중량% 내지 3 중량%, 0.7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0.8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은나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항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를 식품 포장재로 사용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may include silver nanoparticles in an amount of 0.5 wt%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silver nano may be 0.5 wt% to 8 wt%, 0.5 wt% to 3 wt%, 0.7 wt% to 2.5 wt%, or 0.8 wt% to 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have. When the content of nano-silv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ntibacterial properties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ncluding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used as a food packaging material, deterioration of food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부직포층의 두께는 0.1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의 두께는 0.1 mm 내지 5.0 mm, 0.1 mm 내지 3.0 mm, 0.1 mm 내지 0.5 mm, 0.5 mm 내지 3.0 mm, 0.5 mm 내지 1.0 mm 또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layer may be 0.1 mm to 10 mm.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layer may be 0.1 mm to 5.0 mm, 0.1 mm to 3.0 mm, 0.1 mm to 0.5 mm, 0.5 mm to 3.0 mm, 0.5 mm to 1.0 mm, or 1.0 mm to 2.0 mm.

또한, 상기 항균성 코팅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1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성 코팅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700 nm, 20 nm 내지 500 nm, 20 nm 내지 100 nm, 50 nm 내지 500 nm 또는 90 nm 내지 500 nm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may be 10 nm to 1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may be 10 nm to 700 nm, 20 nm to 500 nm, 20 nm to 100 nm, 50 nm to 500 nm, or 90 nm to 500 nm.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의 두께는 0.1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의 두께는 0.1 mm 내지 5.0 mm, 0.1 mm 내지 3.0 mm, 0.1 mm 내지 0.5 mm, 0.5 mm 내지 3.0 mm, 0.5 mm 내지 1.0 mm 또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may be 0.1 mm to 10 mm. For example, the biodegradable nonwoven may have a thickness of 0.1 mm to 5.0 mm, 0.1 mm to 3.0 mm, 0.1 mm to 0.5 mm, 0.5 mm to 3.0 mm, 0.5 mm to 1.0 mm, or 1.0 mm to 2.0 mm.

상기 부직포층의 평균 기공 크기는 200 ㎛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지포층의 평균 기공 크기는 180 ㎛ 이하, 160 ㎛ 이하, 10 ㎛ 내지 200 ㎛, 50 ㎛ 내지 200 ㎛, 100 ㎛ 내지 180 ㎛ 또는 130 ㎛ 내지 160 ㎛일 수 있다. 부직포층의 평균 기공 크기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통기성 및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nonwoven layer may be 200 μm or less. For example,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sub-foam layer may be 180 μm or less, 160 μm or less, 10 μm to 200 μm, 50 μm to 200 μm, 100 μm to 180 μm, or 130 μm to 160 μm. When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nonwoven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ir permeability and flexi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부직포층의 인장강도는 30 MPa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의 인장강도는 33 MPa 이상, 35 MPa 이상, 30 MPa 내지 60 MPa, 33 MPa 내지 55 MPa 또는 33 MPa 내지 53 MPa일 수 있다.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30 MPa or more. For exampl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nonwoven layer may be 33 MPa or more, 35 MPa or more, 30 MPa to 60 MPa, 33 MPa to 55 MPa, or 33 MPa to 53 MPa.

상기 부직포층의 인열강도는 400 N/c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의 인열강도는 450 N/cm 이상, 500 N/cm 이상, 550 N/cm 이상, 400 N/cm 내지 1,500 N/cm, 450 N/cm 내지 1,300 N/cm, 500 N/cm 내지 1,200 N/cm 또는 550 N/cm 내지 1,100 N/cm일 수 있다. The tear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400 N/cm or more. For example, the tear strength of the nonwoven layer is 450 N/cm or more, 500 N/cm or more, 550 N/cm or more, 400 N/cm to 1,500 N/cm, 450 N/cm to 1,300 N/cm, It may be 500 N/cm to 1,200 N/cm or 550 N/cm to 1,100 N/cm.

또한, 상기 부직포층의 파단신도는 40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의 파단신도는 450% 이상, 500% 이상, 550% 이상, 400% 내지 900%, 450% 내지 800% 또는 550% 내지 750%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ongation at break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400% or more. For example, the elongation at break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450% or more, 500% or more, 550% or more, 400% to 900%, 450% to 800%, or 550% to 750%.

상기 부직포층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파단신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적용이 용이함은 물론,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satisfy the above ranges,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to products in various fields and improve lifespan.

상기 부직포층의 초기탄성모듈러스는 200 kgf/mm2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층의 초기탄성모듈러스는 180 kgf/mm2 이하, 160 kgf/mm2 이하, 60 kgf/mm2 내지 200 kgf/mm2, 80 kgf/mm2 내지 180 kgf/mm2, 85 kgf/mm2 내지 160 kgf/mm2일 수 있다. 부직포층의 초기탄성모듈러스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마스크와 같이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는 제품에 적용했을 때 착용감이 우수하다.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nonwoven layer may be 200 kgf/mm 2 or less. For example,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nonwoven layer is 180 kgf/mm 2 or less, 160 kgf/mm 2 or less, 60 kgf/mm 2 to 200 kgf/mm 2 , 80 kgf/mm 2 to 180 kgf/mm 2 , 85 kgf/mm 2 to 160 kgf/mm 2 may be. Since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flexibility can be improved, and 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products that contact the skin for a long time, such as a mask, the wearing comfort is excellent.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예비 중합체를 중축합 반응을 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로부터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을 방사하여 부직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preparing a prepolymer by esterify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preparing a polymer by subjecting the prepolymer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preparing pellets from the polymer; and spinning the pellets to prepare a nonwoven layer,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includes

도 4는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S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4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a method ( S100 ) of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먼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한다(S110). First, a prepolymer is prepared by esterify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S110) .

상기 디올 성분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The description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단계 S110은 상기 조성물에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계 촉매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1).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전에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계 촉매를 상기 조성물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촉매 또는 상기 게르마늄계 촉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step S110 may include adding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germanium-based catalyst to the composition (S111). Specifically,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germanium-based catalyst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befor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The description of the titanium-based catalyst or the germanium-based catalys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단계 S110은 상기 조성물에 셀룰로오스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2).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전에 셀룰로오스를 상기 조성물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In addition, the step S110 may include the step of adding cellulose to the composition (S112). Specifically, befor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ellulose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The description of the cellulose is as described above.

이 때, 상기 단계 S112에서 투입되는 셀룰로오스는 상기 디올 성분에 분산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올 성분이 1,4-부탄디올이고, 상기 단계 S112에서 투입되는 셀룰로오스가 1,4-부탄디올에 분산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llulose input in step S112 may be cellulose dispersed in the diol component. For example, the diol component may be 1,4-butanediol, and the cellulose input in step S112 may be cellulose dispersed in 1,4-butanediol.

또는, 상기 단계 S112에서 투입되는 셀룰로오스는 물에 분산된 후, 다시 상기 디올 성분에 재분산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룰로오스를 물에 분산시킨 후, 이를 상기 디올 성분에 다시 분산시킴으로써 2번의 분산 단계를 거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ellulose input in step S112 may be cellulose re-dispersed in the diol component after being dispersed in water. Specifically, after dispersing the cellulose in water, it may be cellulose that has undergone two dispersion steps by dispersing it again in the diol component.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디올 성분과 동일한 디올 성분에 나노 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킨 후 상기 조성물에 투입함으로써, 분산성을 향상시켜 강도, 특히 인열강도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such, by dispersing the nano-cellulose in the same diol component as the diol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nd then adding it to the composition, dispersibility can be improved to maximize strength, particularly tear strength.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전에 상기 단계 S110의 조성물에 실리카, 칼륨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첨가제, 및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핀, 인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ditives such as silica, potassium or magnesium, and stabilizers such as trimethyl phosphate, triphenyl phosphate, trimethyl phosphine, phosphoric acid or phosphorous acid is added to the composition of step S110 befor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an be put into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250℃ 이하에서 0.5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240℃ 이하, 235℃ 이하, 180℃ 내지 250℃, 185℃ 내지 240℃ 또는 200℃ 내지 240℃에서 부산물인 물과 메탄올이 이론적으로 90%에 도달할 때까지 상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0.5 시간 내지 4.5 시간, 0.5 시간 내지 3.5 시간 또는 1 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250° C. or less for 0.5 to 5 hours. Specifically,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at 240 ° C. or less, 235 ° C. or less, 180 ° C. to 250 ° C., 185 ° C. to 240 ° C. or 200 ° C. to 240 ° C. At normal pressure until the by-product water and methanol theoretically reach 90% can be performed in For exampl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for 0.5 hours to 4.5 hours, 0.5 hours to 3.5 hours, or 1 hour to 3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예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1,5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1,500 내지 8,500, 1,500 내지 6,500 또는 2,000 내지 5,500일 수 있다. 상기 예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축중합 반응에서 중합체의 분자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olymer may be 1,500 to 10,000. 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olymer may be 1,500 to 8,500, 1,500 to 6,500, or 2,000 to 5,500.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olymer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creas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i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이후, 상기 예비 중합체를 중축합 반응을 하여 중합체를 제조한다(S120). Thereafter, the prepolymer is subjected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to prepare a polymer (S120) .

상기 중축합 반응은 180℃ 내지 280℃ 및 1.0 Torr 이하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축합 반응은 190℃ 내지 270℃, 210℃ 내지 260℃ 또는 230℃ 내지 255℃에서 수행될 수 있고, 0.9 Torr 이하, 0.7 Torr 이하, 0.2 Torr 내지 1.0 Torr, 0.3 Torr 내지 0.9 Torr 또는 0.4 Torr 내지 0.6 Torr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5 시간 내지 4.5 시간, 2 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5 시간 내지 3.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180° C. to 280° C. and 1.0 Torr or less for 1 hour to 5 hours. For example,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190°C to 270°C, 210°C to 260°C, or 230°C to 255°C, and 0.9 Torr or less, 0.7 Torr or less, 0.2 Torr to 1.0 Torr, 0.3 Torr to 0.9 Torr or 0.4 Torr to 0.6 Torr, and may be carried out for 1.5 hours to 4.5 hours, 2 hours to 4 hours, or 2.5 hours to 3.5 hours.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 전에 상기 예비 중합체에 실리카, 칼륨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첨가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핀, 인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안정화제, 및 안티모니트리옥사이드, 삼산화안티몬 또는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와 같은 중합 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additives such as silica, potassium or magnesium, a stabilizer such as trimethyl phosphate, triphenyl phosphate, trimethyl phosphine, phosphoric acid or phosphorous acid, and antimony trioxide, antimony trioxide or tetrabutyl to the prepolymer before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merization catalyst such as titanate may be additionally added.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40,00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43,000 이상, 45,000 이상 또는 50,000 내지 70,000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강도 및 가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may be 40,000 or more. 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may be 43,000 or more, 45,000 or more, or 50,000 to 70,000. 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satisfies the above range, strength and proces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후, 상기 중합체로부터 펠릿(pellet)을 제조한다(S130). Thereafter, a pellet is prepared from the polymer (S130) .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130은 상기 중합체를 15 ℃ 이하, 10℃ 이하 또는 6℃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중합체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ep S130 may include cooling the polymer to 15° C. or less, 10° C. or less, or 6° C. or less, and cutting the cooled polymer.

상기 커팅 단계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펠릿 커팅기라면 제한 없이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펠릿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cutting step may be perform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pellet cutter used in the art, and the pellets may have various shapes.

이후, 상기 펠릿을 방사하여 부직포층을 제조한다(S140). Thereafter, the pellets are spun to prepare a non-woven fabric layer (S140) .

상기 방사는 멜트블로운(meltblown), 스펀본드(spundbond), 플래쉬스펀(flashspun), 전기방사(electro-spining) 또는 습식(wet-laid) 공법일 수 있고, 멜트블로운이 기공 크기 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pinning may be a meltblown, spundbond, flashspun, electro-spining or wet-laid method, and melt blown is preferable in terms of pore siz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멜트블로운 공법은 고분자를 고속으로 방사하는 공법으로서, 기공 크기가 작고 고도의 필터 성능을 갖는 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어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위생 제품이나 전기적 특성 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비표면적이 크고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다. Specifically, the melt blown method is a method of spinning a polymer at a high speed, and it can produce a nonwoven fabric with a small pore size and high filter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of large and weak strength.

그러나,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멜트블로운 공법을 사용하더라도 생분해성, 유연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강도를 갖는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duce a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strength without degrading biodegradability, flexibility, and processability even when the melt blown method is used.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130은 상기 펠릿을 180℃ 내지 260℃, 185℃ 내지 240℃ 또는 190℃ 내지 230℃에서 30 m/min 내지 100 m/min, 30 m/min 내지 70 m/min 또는 70 m/min 내지 100 m/min의 방사 속도로 방사하여 부직포층을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p S130 is 30 m / min to 100 m / min, 30 m / min to 70 m / min or 70 m at 180 ° C. to 260 ° C., 185 ° C. to 240 ° C. or 190 ° C. to 230 ° C. A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prepared by spinning at a spinning speed of /min to 100 m/min.

또한, 상기 단계 S140은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항균성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S141).In addition, the step S140 may further include coating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S141).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140에서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항균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항균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은 그라비아 코팅, 슬롯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함침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ally, by coating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in step S140 to form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can be obtained. The coating may be performed by gravure coating, slot coating, comma coa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or impregnation coa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항균성 조성물은 상기 항균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은나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은나노의 함량은 상기 항균성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8 중량%, 0.5 중량% 내지 3 중량%, 0.7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0.8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은나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항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를 식품 포장재로 사용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may include silver nanoparticles in an amount of 0.5 wt%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silver nano may be 0.5 wt% to 8 wt%, 0.5 wt% to 3 wt%, 0.7 wt% to 2.5 wt%, or 0.8 wt% to 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e. When the content of nano-silv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ntibacterial properties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ncluding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used as a food packaging material, deterioration of food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examples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Preparation of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실시예 1Example 1

1,4-부탄디올 1.4 몰, 아디프산 0.5 몰 및 디메틸테레프탈산 0.5 몰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티타늄계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제조사: CAMEO Chemicals) 300 ppm을 투입한 후, 220℃ 및 상압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여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예비 중합체를 제조했다. 1.4 mol of 1,4-butanediol, 0.5 mol of adipic acid, and 0.5 mol of dimethyl terephthalic acid were mixed, and 300 ppm of tetrabutyl titanate (manufacturer: CAMEO Chemicals), a titanium-based catalyst, was added to the mixture, then 220° C. and atmospheric pressure. A prepoly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was prepared by performing an esterification reaction in

상기 예비 중합체에 중축합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제조사: CAMEO Chemicals) 100 ppm을 첨가하고, 240℃로 승온한 후, 0.5 torr에서 3시간 동안 중축합 반응을 하여 5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A를 제조하고, 이를 5℃로 냉각한 후, 펠릿 커팅기로 커팅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100 ppm of tetrabutyl titanate (manufacturer: CAMEO Chemicals) as a polycondensation catalyst was added to the prepolyme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40° C., followed by polycondensation reaction at 0.5 torr for 3 hours. A poly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After preparing A, and cooling it to 5°C, it was cut with a pellet cutter to prepare pellets.

상기 펠릿을 멜트블로운 공법을 이용하여 220℃에서 50 m/min의 방사 속도로 방사하여 방사하여 평균 기공 크기가 150 ㎛이고, 두께 0.2 mm의 부직포층을 제조했다. The pellets were spun at a spinning speed of 50 m/min at 220° C. using a melt blown method to prepare a nonwoven layer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50 μm and a thickness of 0.2 mm.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은나노를 1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성 코팅 조성물을 스핀 코팅하여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항균성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0.2 mm의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0.2 mm in which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wa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was prepared by spin coating an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in an amount of 1 wt% on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중축합 반응시 1,4-부탄디올에 분산된 나노 셀룰로오스(직경 20 nm, 길이 200 nm) 0.1 중량%를 추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 wt% of nano cellulose (20 nm in diameter, 200 nm in length) dispersed in 1,4-butanediol during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additionally added. did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중축합 반응시 1,4-부탄디올에 분산된 나노 셀룰로오스(직경 20 nm, 길이 200 nm) 0.5 중량%를 추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5 wt% of nano cellulose (diameter 20 nm, length 200 nm) dispersed in 1,4-butanediol during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additionally added. di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중합체 A 대신에, 폴리유산 수지(4032D, 제조사: NatureWorks)를 사용하고, 항균성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olylactic acid resin (4032D, manufacturer: NatureWorks) was used instead of the polymer A, and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was not form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중합체 A 대신에, 폴리유산 수지(4032D, 제조사: NatureWorks) 및 폴리프로필렌(제조사: 한화토탈)을 190℃에서 트윈스크류를 이용하여 컴파운딩한 중합체 B를 사용하고, 항균성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Instead of the polymer A, polylactic acid resin (4032D, manufacturer: NatureWorks) and polypropylene (manufacturer: Hanwha Total) were compounded using twin screws at 190 ° C. Polymer B was used, and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was not formed. Except that,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평가예><Evaluation example>

평가예 1: 인장강도, 파단신도 및 초기탄성모듈러스Evaluation Example 1: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부직포를 길이 100 mm 및 폭 15 mm로 절단한 후, ASTM D 882에 따라, 인스트론(INSTRON)사의 만능시험기(4206-001, 제조사: UTM)을 이용하여 척간 간격이 50 mm가 되도록 장착하고 인장속도 200 mm/min의 속도로 실험한 후, 설비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였다. After cutting the nonwoven fabric to 100 mm in length and 15 mm in width, according to ASTM D 882,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4206-001, manufacturer: UTM) of INSTRON, it was moun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chucks was 50 mm and tension After testing at a speed of 200 mm/min,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program built into the facility.

평가예 2: 인열강도Evaluation Example 2: Tear strength

KPS M 1001-0806에 따라 부직포를 절단하고, 500 mm/min의 일정한 속도를 가하여 부직포가 절단될 때까지 걸리는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하기 식 1에 따라 인열강도를 계산하였다. The nonwoven fabric was cut according to KPS M 1001-0806, and the maximum load applied until the nonwoven fabric was cut by applying a constant speed of 500 mm/min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tear strength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평가예 3: 항균성Evaluation Example 3: Antibacterial

KS K0890 섬유재료의 항균시험법인 평행구획선법에 의해 pass 또는 fail로 평가하였다. KS K0890 The antibacterial test method of textile materials was evaluated as pass or fail by the parallel section line method.

평가예 4: 피시아이(fish eye)Evaluation Example 4: Fish eye

부직포 면적 100 mm2 기준으로, 100 ㎛ 이상의 이물이나 열화물과 같은 결함을 현미경으로 검출하여 개수를 측정하였다. Based on the area of 100 mm 2 of the nonwoven fabric, defects such as foreign substances or deterioration of 100 μm or more were detected with a microscope and the number was measured.

평가예 5: 생분해도Evaluation Example 5: Biodegradability

KS M3100-1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측정하여 생분해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 퇴비 공장에서 제조된 퇴비만 있는 접종원용기를 준비하고, 상기 퇴비에 상기 퇴비의 건조 중량의 5 중량%의 부직포를 투입한 시험용기를 준비했다. 이후, 온도 58±2℃, 함수율 50% 및 산소 농도 6% 이상의 조건에서 180일 동안 배양하며, 각 용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이를 페놀프탈레인 수용액으로 적정함으로써 각 용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이산화탄소 발생량으로 하기 식 2에 따라 생분해도를 계산하였다. The biodegradability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according to KS M3100-1. Specifically, an inoculum container with only compost manufactured in a compost factory was prepared, and a test container was prepared in which a nonwoven fabric of 5 wt% of the dry weight of the compost was added to the compost. Thereafter, incubated for 180 days at a temperature of 58±2° C., a moisture content of 50%, and an oxygen concentration of 6% or more,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in each container is collected,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in each container is measured by titrating it with an aqueous phenolphthalein solution. did. The biodegradation degre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with the measured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인장강도(MPa)Tensile strength (MPa) 3535 5050 4747 3737 2828 파단신도(%)Elongation at break (%) 600600 700700 800800 200200 150150 초기탄성모듈러스
(kgf/mm2)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kgf/mm 2 )
100100 150150 190190 350350 240240
인열강도(N/cm)Tear strength (N/cm) 600600 1,0001,000 1,1001,100 200200 300300 항균성(p/f)Antibacterial (p/f) passpass passpass PassPass failfail failfail 피시아이(개)Fish Eye (dog) -- -- -- -- 3030 생분해도(%)Biodegradability (%) 9090 9090 9090 9090 404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생분해성 부직포는 비교예 1 및 2의 생분해성 부직포에 비해 생분해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파단신도, 초기탄성모듈러스 및 항균성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s of Examples 1 to 3 were superior to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biodegradability,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was shown.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의 생분해성 부직포는 비교예 1 및 2의 생분해성 부직포에 비해 생분해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파단신도가 모두 우수하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생분해성 부직포는 피시아이와 같은 움푹 파인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고, 초기탄성모듈러스가 낮아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제품에 적용시 사용감이 착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s of Examples 1 to 3 are excellent in biodegradability,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compared to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o that they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fields. have. In addition,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of Examples 1 to 3 did not have dent defects such as fish eyes, and had a low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and thus excellent flexibility.

1: 마스크
2: 생분해성 부직포
100: 부직포층
200: 항균성 코팅층
1: Mask
2: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100: non-woven fabric layer
200: antibacterial coating layer

Claims (10)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 diol component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s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성분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몰비가 1 내지 2 : 1이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의 몰비가 0.5 내지 2 : 1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molar ratio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1 to 2 : 1,
The molar ratio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s 0.5 to 2: 1,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 및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직경이 1 nm 내지 100 nm이고,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길이가 5 nm 내지 10 ㎛이고,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3 중량%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Containing at least one nano-cellul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nanocrystals, cellulose nanofibers, and microfibrillated cellulose,
The nano-cellulose has a diameter of 1 nm to 100 nm,
The length of the nano-cellulose is 5 nm to 10 μm,
The content of the nano-cellulose is 0.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티타늄계 촉매 또는 게르마늄계 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germanium-based catalyst.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from a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he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diol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is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층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 향균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comprises an antimicrobial coating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코팅층이 상기 향균성 코팅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은나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wherein the antimicrobial coating layer comprises 0.5 wt% to 10 wt% of silver nanoparticl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평균 기공 크기가 200 ㎛ 이하이고, 인장강도가 30 MPa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400 N/cm 이상이고, 초기탄성모듈러스가 200 kgf/mm2 이하인, 생분해성 부직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nwoven layer has an average pore size of 200 μm or less, a tensile strength of 30 MPa or more, a tearing strength of 400 N/cm or more, and an initial elastic modulus of 200 kgf/mm 2 or less,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1,4-부탄디올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예비 중합체를 중축합 반응을 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로부터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을 방사하여 부직포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1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제 2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숙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prepolymer by subject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diol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o an esterification reaction;
preparing a polymer by subjecting the prepolymer t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preparing pellets from the polymer; and
Including; producing a nonwoven layer by spinning the pellets,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es a first dicarboxylic acid and a second dicarboxylic acid different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ucci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10,000이고,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이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이 250℃ 이하에서 0.5 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중축합 반응이 180℃ 내지 280℃ 및 1.0 Torr 이하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생분해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olymer is 1,500 to 10,000,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is 40,000 or mor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at 250° C. or less for 0.5 hours to 5 hour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performed at 180 ° C. to 280 ° C. and 1.0 Torr or less for 1 hour to 5 hours,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KR1020200064391A 2020-05-28 2020-05-2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10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91A KR102410620B1 (en) 2020-05-28 2020-05-2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JP2021083240A JP7282124B2 (en) 2020-05-28 2021-05-17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CT/KR2021/006204 WO2021241931A1 (en) 2020-05-28 2021-05-1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1174589.8A EP3916036A1 (en) 2020-05-28 2021-05-19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film of biodegradable polyes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7/326,489 US20210380757A1 (en) 2020-05-28 2021-05-21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film of biodegradable polyes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2110592503.2A CN113736069B (en) 2020-05-28 2021-05-2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91A KR102410620B1 (en) 2020-05-28 2020-05-2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32A true KR20210147332A (en) 2021-12-07
KR102410620B1 KR102410620B1 (en) 2022-06-17

Family

ID=7886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91A KR102410620B1 (en) 2020-05-28 2020-05-28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8031B2 (en) 2022-05-21 2024-02-13 Ecovance Co. Ltd.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biodegradable polyester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11898004B2 (en) 2022-05-21 2024-02-13 Ecovance Co. Ltd. Biodegradable molded article and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322A (en) * 2007-06-08 2008-12-18 Nippon Ester Co Ltd Polyester-base dry nonwoven fabric, conjugated fiber for use in the same and resin for conjugated fiber
KR20110055583A (en) * 2008-07-31 2011-05-25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Molding material contain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microfibrillated plant fiber
KR20140031010A (en) * 2012-09-04 2014-03-1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polyester copolymer
KR20160079770A (en) 2013-09-25 2016-07-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olylactic acid blended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019034987A (en) * 2017-08-10 2019-03-07 地方独立行政法人京都市産業技術研究所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KR20190066598A (en) * 2019-05-22 2019-06-13 함지연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antibiotic activity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58392B1 (en) * 2018-10-31 2019-12-24 (주)금성필름 Manufacturing Method of Biodegradation Film and Mulching Film prepar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322A (en) * 2007-06-08 2008-12-18 Nippon Ester Co Ltd Polyester-base dry nonwoven fabric, conjugated fiber for use in the same and resin for conjugated fiber
KR20110055583A (en) * 2008-07-31 2011-05-25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Molding material contain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microfibrillated plant fiber
KR20140031010A (en) * 2012-09-04 2014-03-1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polyester copolymer
KR20160079770A (en) 2013-09-25 2016-07-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olylactic acid blended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019034987A (en) * 2017-08-10 2019-03-07 地方独立行政法人京都市産業技術研究所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KR102058392B1 (en) * 2018-10-31 2019-12-24 (주)금성필름 Manufacturing Method of Biodegradation Film and Mulching Film prepared therefrom
KR20190066598A (en) * 2019-05-22 2019-06-13 함지연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antibiotic activity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8031B2 (en) 2022-05-21 2024-02-13 Ecovance Co. Ltd.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biodegradable polyester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11898004B2 (en) 2022-05-21 2024-02-13 Ecovance Co. Ltd. Biodegradable molded article and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20B1 (en)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044B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JP7282124B2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294134B1 (en)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US6872674B2 (en) Composite structures
DE60106596T2 (en) COPOLYESTER AND FIBER MATERIALS MANUFACTURED THEREFROM
KR102410620B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JP3440915B2 (en) Polylactic acid resin and molded products
US20080090480A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EP4095180B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2421034B1 (en)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nd bioderadable polyester resin therefrom
EP4095179A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biodegradable polyester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0824719B1 (en) Bio-degradable food-packing materials consisting of starch-contained nonwoven-nanofabrics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for
Tronci et al. Raw materials and polymer science for nonwovens
KR102527599B1 (en) Nano cellulose and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2180540B1 (en) Thermally Fusible Composite Binder Fiber Having Biodegradation
KR102418918B1 (en)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 improved in flexibility and softness, preparation thereof and biodegradable mask using the same
US20220227994A1 (en)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la) and copolymers thereof
KR102410615B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KR102410624B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83242B1 (en) Biodegradable Flame Retardant Heat-bonding Composite Binder Fiber
KR960011604B1 (en) Highly-solu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fiber
KR20110032183A (en) Flame retardant polylactic resin, polylactic fib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Melo-Lopez et al. Synthetic Fibers from Renewable Sources
JPH04323218A (en) Polyester composition having ultraviolet-shielding property, production of the polyester composition and fiber of the composition
Cherpinski Correa NOVEL ELECTROSPUN POLYHYDROXYALKANOATE BASED HIGH BARRIER AND ACTIVE BIOPAPERS OF INTEREST IN FOO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